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18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     

방문자

검색날짜 : 2018/04/01

전체 [ 3 ]

3    [그것이 알고싶다] - 돈벌레(그리마)를 죽이지마세ㅛ... 댓글:  조회:5471  추천:0  2018-04-01
 그리마(돈벌레)를 죽이지 마세요 ...                                                                       그리마(Scutigeridae) ​ ​(사진참조)   습하고 따뜻한 곳을 좋아하여 부잣집에 자주 출몰하던 탓에 돈벌레라고 불리운다. 다소 징그럽고 괴기스러운 생김새로 인해 협오스런 곤충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그리마는 대단한 익충이다. 그리마는 바퀴벌레, 모기, 파리를 독니로 제압하여 모조리 먹어버리고 심지어는 알까지 찾아내 없애버리는 해충의 학살자!! 하지만 그리마의 독은 인체에 크게 해가 되지 않으며 겁이 많아 어지간해서는 사람 근처에 가지 않는다. 그리마 세마리만 있으면 당신의 공간이 바퀴벌레, 파리, 모기, 기타 등등의 해충에게서 해방될지도 모른다.   몸길이 2~7cm이다. 몸은 머리와 몸통으로 되어 있다. 머리에는 1쌍의 긴 촉각과 1쌍의 겹눈이 있다. 몸통은 막대모양이고 8개의 등판으로 덮인다. 가늘고 긴 15쌍의 걷는 다리가 있다. 등판 뒤쪽 중앙에 기문(氣門)이 있다. 촉각과 걷는 다리는 수십 개의 마디로 갈라지고 유연하다. 몸빛깔은 청람색·흑갈색 등이며 얼룩무늬가 있는 것도 있다. 숲의 풀덤불이나 인가의 지붕 밑, 얕은 동굴 등에 살며 거미류와 모기·파리 등의 작은 곤충을 잡아 먹는다. 동작이 민첩하다. 봄과 가을에 걸쳐서 1개씩 알을 낳아 진흙으로 싸서 땅 위에 둔다. 갓 부화한 유충은 다리가 4쌍이며탈피할 때마다 몸마디와 다리의 수가 늘어난다. 성숙 기간은 3년이다. 적의 공격을 받으면 다리를 떼어 버리고 달아나는데, 떨어진 부분은 다음 탈피할 때 다시 난다. 전세계에 분포하며, 한국에는 집그리마·혹그리마·고려그리마·큰집게그리마 등의 종류가 서식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그리마과 [Scutigeridae] (두산백과)
2    [이런저런] - 쌍둥이 형제 같은 날 아빠 되다... 댓글:  조회:2894  추천:0  2018-04-01
미국 쌍둥이 형제, 같은 날 같은 병원서 첫아기 출산 (ZOGLO) 2018년3월31일 한날한시에 태어나 같은 날 아빠가 된 미국 미시간 주 쌍둥이 형제 조슈아(왼쪽)와 저스틴 소링턴 [NBC 투데이쇼 화면 캡처] (시카고=연합뉴스) 김 현 통신원 = 한날한시에 태어나 서로의 곁을 지키며 살아온 미국의 쌍둥이 형제가 같은 날 같은 병원에서 나란히 첫 아기를 품에 안아 화제다.  30일(현지시간) NBC 투데이쇼와 폭스뉴스 등에 따르면 미시간 주 북부 트래버스시티에 사는 쌍둥이 형제 조슈아와 저스틴 소링턴(33)은 지난 27일 약 19시간 차이를 두고 차례로 아빠가 됐다.  조슈아의 아내 드니스가 트래버스시티 먼슨 메디컬 센터에서 오전 4시18분 자연분만으로 아들 잭을 출산했고, 1시간 후 같은 병원에 도착한 저스틴의 아내 알렉스가 오후 11시43분 역시 자연분만으로 딸 루시를 출산했다.  두 부부는 같은 시기에 임신 사실을 알고 놀랐으나 드니스의 출산 예정일은 3월25일, 알렉스의 출산 예정일은 4월8일로 2주 차이 났고 같은 날 출산은 아무도 예상 못 한 일이었다. 조슈아는 "잭이 태어난 후 저스틴 부부가 축하 인사를 오지 않아 '이상하다'고 생각했다"면서 "(저스틴 부부가) 분만 준비실에 들어가 있다는 사실을 뒤늦게서야 알았다"고 털어놓았다. 저스틴 부부는 "조슈아 부부와의 연결고리가 더 단단해지는 느낌"이라며 "이건 우리의 운명"이라고 웃으며 말했다. 30여 년 전 두 아들을 한꺼번에 얻은 쌍둥이 형제의 어머니 리자 소링턴은 첫 손주 2명을 같은 날 얻었다. 같은 날 태어나 늘 함께 생일 축하를 받아온 쌍둥이 형제가 앞으로 매년 첫아이들의 생일도 같이 축하하게 된 데 대해 가족들은 기쁨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조슈아는 "아이들 생일 파티를 함께 하면서 더 큰 즐거움과 행복이 있을 것으로 믿는다"며 "사촌간인 두 아이가 저스틴과 나처럼 가깝게 지냈으면 좋겠다"고 기대했다. 
1    [그때 그사람] - "현실과 력사를 쓰는것이 신문" 댓글:  조회:3390  추천:0  2018-04-01
기자의 사명은 변하지 않는 것…                         평생영예칭호 수상자 장정일 (ZOGLO) 2018년3월29일    평생영예칭호 수상자 장정일 지난 23일 만난 전 주 민족문화 전승 발전 ‘평생영예칭호’ 수상자 장정일(75세)은 “돌이켜보면 대중들과 함께 호흡하며 살아온 지난 32년은 저에게 참 많은 것들을 선물해줬다. 후회없는 기자인생을 살았다”며 회심의 미소를 지었다. 지난 1971년, 당시 연변대학 조문계를 졸업하고 지식인 재교육을 받으며 석현진 종이공장에서 사업하던 장정일은 연변일보사 전근령을 받고 기자생활을 시작했다. 그때까지만 해도 《연변일보》는 주요하게 신화사의 기사를 번역하는 것으로 채워졌다. 몇년이 지나서 지방기사가 다루어지기 시작했고 교육, 체육, 리론부가 먼저 설립됐다. 이어 중요뉴스부가 생기면서 기자들의 활약도 커지기 시작했다. 워낙 문학에 흥취를 갖고 있던지라 취재를 하고 기사를 집필하는 과정은 젊은 그에게 신선하게 다가왔고 일 속에서 보람을 느낄 수 있었다. 물론, 그때까지만 해도 그에게는 기자정신이나 언론사업에 대해 깊은 료해가 없었다. 주로 실천을 통해 하나씩 배워가는 과정이였다. 특히 선배들이 몸소 가르치는 기자정신은 그에게 깊은 감명을 남겼다고 한다. “지금도 뇌리에 남아있는 글 한편이 있다. 바로 작고하신 연변일보사 전직 총편 오태호의 글이다. 이라는 그리 길지 않는 문장 한편이 당시 신문 2면에 실렸는데 충격을 받았다. 형식적으로는 소의 수난을 썼으나 섬세한 관찰력으로 당시 정치투쟁의 소용돌이 속에 휘말려 피페해진 농촌과 사람들의 마음을 예리하게 짚어냈다. ‘기자의 눈’이란 무엇이고 기자는 어떤 글을 써야 한다는 것을 그때 참 많이 배운 것 같다.” 그는 이어 선배기자인 황순룡 선생에 대해 회억하면서 “50년대에 당시 시대상황에서 위험을 무릎쓰고 ‘조선어 순결화’에 대한 글을 썼는데 이 글은 단지 언어에 한한 것만이 아닌 민족문화와 령혼을 대표하는 언어의 힘에 대해 피력했다. 글을 쓰고나서 황선생은 비판을 받았지만 진정한 기자정신을 보여준 본보기로 후배들의 마음에 남아있다.”고 말했다. 1984년, 장정일은 부총편으로 발탁되였고 무거운 책임을 안고 사업에 정진했다. ‘목표는 높게 그러나 시작은 작게.’ 그는 모든 일에서 이 같은 생활신조를 지켰다. 신문을 꾸리는 일에서도 례외가 아니였다. 뭐든지 단술에 배를 부릴 수는 없는 법, 하나부터 차근차근 해나가는 것, 그러나 큰 목표를 바라고 최선을 다 하는 것이다. 부총편의 직책을 맡기 시작한 후로 그는 우선 ‘건국 35주년 문학콩클’을 조직해 《연변일보》 문학작품공모를 시작했으며 그 것이 현재의 ‘해란강 문학상’전신으로 됐다. 또한 《연변일보》 중점작가 모임을 열어 문학교류를 증진하는 동시에 큰 몸살을 앓고 나서 피페해진 문단에 생기를 부여하고 작가들의 창작열을 불러일으켰다. 1986년, 그는 신문의 1면에 발 빠르게 시평란- ‘사색의 여울목’을 설치해 뉴스와 론설이 쌍바퀴로 굴러갈 수 있도록 신문의 평형성을 이뤘다. 또 언론의 역할을 최대한으로 발휘하기 위해 3면에 사회인사 시평 전문란- ‘국자가’를 설치해 론설과 문예성을 결부한 칼럼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기자에게 제일 고귀한 것은 사회흐름과 호흡을 같이 하며 사회 현상을 잘 짚어내고 좋은 것을 찬양하고 나쁜 것을 탄핵하는 호소력 짙은 글을 써내는 것이다. 그 것이 바로 기자의 자세다.” 그는 자신에게 늘 이렇게 요구했을 뿐만 아니라 동료 기자나 후배들에게도 이 같은 자대로 요구했다. “요즘은 매체들이 발빠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따라서 종이매체의 효용성이 떨어진다는 주장도 많으나 뉴디미어의 활발한 응용은 매체의 영향력이 확대된 것일 뿐 그렇다고 종이매체의 작용까지 무시할 수는 없다. 내용을 승화하고 질을 추구한다면 언론의 다양한 시도는 충분히 가능하다.” 장정일은 이와 같이 말하면서 “시대를 막론하고 대중들이 아름다운 문화에 대한 지향은 변하지 않는다. 그러니 기층 백성들의 삶을 포착하는 기사가 필요하다. 현실을 담아내면서 력사를 쓰는 것이 신문이다.”라고 짚었다.  글·사진 박진화 기자/연변일보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