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19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  

방문자

검색날짜 : 2019/02/16

전체 [ 3 ]

3    "한글, 이번에는 제가 배울 차례입니다"... 댓글:  조회:3276  추천:0  2019-02-16
윤동주 떠난 날에 조선일보  이한수 Books팀장 음성으로 읽기 기사 스크랩   이메일로 기사공유   기사 인쇄   글꼴 설정         100자평 페이스북 공유4 트위터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기사 URL공유 공유 더보기  2019.02.16    스물여섯 살에 죽은 일본 시인 이시카와 다쿠보쿠(石川啄木·1886~1912)는 1910년 일제가 한국을 강제 병합하자 이를 비판하는 시를 씁니다. '지도 위 조선 나라에 새까맣게 먹물을 칠하면서 가을 바람을 듣는다. 누가 나를 피스톨 갖고 쏴주지 않으려나 이토처럼 죽어 보여주련다.' 시인 백석(白石·1912~1996)은 이시카와를 좋아해 '석(石·이시)'을 이름으로 삼았다네요. 후배 시인 이바라기 노리코(1926~2006)는 이시카와 시를 인용하고 이렇게 씁니다. '일본어가 밀어내려 했던 이웃 나라 말 한글/ 어떤 억압에도 사라지지 않았던 한글/ 용서하십시오/ 땀 뻘뻘 흘리며 이번에는 제가 배울 차례입니다.' 이바라기는 윤동주를 사랑해 한글을 배웠다네요. '너는 왜 이제야 왔나/ 윤동주가 부드럽게 나를 꾸짖습니다/(중략)/ 젊은 시인 윤동주/ 1945년 2월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옥사/ 그대들에게는 광복절/ 우리에게는 항복절인/ 8월 15일이 오기 겨우 반년 전 일이라니/ 아직 교복 차림으로/ 순결을 동결시킬 듯한 당신의 눈동자가 눈부십니다.' 이번 주 새로 나온 이바라기 노리코의 시집 '처음 가는 마을'(봄날의책)에서 읽었습니다. 오늘(16일)이 윤동주 시인이 떠난 날이네요. 증오 가득찬 정치인의 말에서 사랑 넘치는 시인의 말로 바뀌는 날은 언제 올까요. 이바라기는 씁니다. '틀어진 모든 것을/ 시대 탓하지 마라/ 자기 감수성 정도는 스스로 지켜라/ 이 바보야.'
2    [동네방네] - "윤동주", 실시간 알리기... 댓글:  조회:3036  추천:0  2019-02-16
배우 박솔미 "오늘 '윤동주' 실검 만들자"  2019-02-16    좋아요 훈훈해요 좋아요 평가하기  댓글 글자 크기 변경하기  인쇄하기  보내기 16일 옥사일 맞아 서경덕 교수와 알리기 캠페인 윤동주 서거일 관련 카드뉴스[서경덕 교수 제공] (서울=연합뉴스) 왕길환 기자 =  KBS 드라마 '죽어도 좋아'에 출연했던 배우 박솔미가 16일 윤동주 옥사일을 맞아 '윤동주' 실시간 이슈 검색어(실검) 만들기에 도전한다. 서경덕 교수가 전개하는 '대한민국 역사, 실검 프로젝트'에 동참한 것이다. 박솔미는 이날 하루 서 교수가 제작한 카드뉴스를 자신의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해 확산시켜 '윤동주'를 포털사이트 실검에 오르도록 활동을 한다. 1장의 카드뉴스에는 학사모를 쓴 윤동주 사진과 함께 "시인 윤동주는 민족의 독립과 자유를 위하여 일제에 고통받는 조국의 현실을 시(詩)로 표현했다. 하지만, 1943년 조선인 유학생들과 조선의 독립 및 민족문화의 수호를 선동했다는 이유로 일본 경찰에 붙잡혀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던 중 1945년 2월 16일 28세의 나이에 순국하였다"는 글이 실렸다. 이어 "우리는 이날을 반드시 기억해야만 한다"고 끝을 맺는다. 박솔미는 "의미 있는 역사 캠페인에 동참하게 돼 기쁘다. 팔로워들이 '좋아요'를 통해 함께 힘을 모은다면 오늘 하루 윤동주를 널리 알릴 수 있을 것"이라며 "적극적인 동참을 바란다"고 말했다. 서 교수는 "올해는 3·1 운동 및 임시정부수립 100년을 맞는 역사적인 해"라면서 "이를 기념해 대한민국 독립운동 역사의 의미 있는 날을 함께 기억하자는 대국민 캠페인을 지속해서 펼치겠다"고 밝혔다. ...  
1    [동네방네] - "80에 청춘", 닐리리... 시인할매, 화가할매... 댓글:  조회:3286  추천:0  2019-02-16
안내 시 쓰고 그림 그리는 할머니들 전성시대 2019-02-16    좋아요 훈훈해요 좋아요 평가하기  댓글 보내기 영화 에서 할머니들이 마을 담벼락에 그림을 그리고 있다. / (주)스톰픽쳐스코리아 시도 쓰고 그림도 그린다. 글과 그림을 배운 이야기가 영화가 되고 책이 되었다. 대부분이 여든을 넘긴 시골 할머니들의 이야기다. 각각 지난 2월 5일과 오는 27일이 개봉일인 다큐 영화 와 , 2월 1일 출간된 책 의 주인공들은 모두 ‘까막눈’이었던 할머니라는 공통점이 있다. 이제는 주인공으로 당당히 시사회나 전시회 자리에 서고 신문과 방송에 나와 인터뷰도 한다. 과거의 사연만 들으면 시장에 가서 간판을 보고 가게를 찾을 수 없고, 은행에서 번호표를 뽑고 자기 차례를 기다리는 일상이 늘 버거웠던 인생의 굴곡이 느껴진다. 하지만 할머니들은 이제 글도 그림도 마음껏 쓸 수 있는 현재를 더 강조한다. “기분이 너무나 좋아요. 근데 촌에서 살다봉게 나는 말을 헐 줄을 몰라 가지고 못허겄네. 이해하십쇼.” 에 출연한 양양금 할머니(72)는 시사회에서 영화에 출연한 소감을 묻는 물음에 이같이 답했다. 말을 잘 못한다고 하지만 시를 보면 그런 것만도 아니다. ‘해당화 싹이 졌다가/ 봄이 오면 새싹이 다시 펴서/ 꽃이 피건만/ 한 번 가신 부모님은/ 다시 돌아오지 않네/ 달이 밝기도 하다/ 저기 저 달은 우리 부모님 계신 곳도/ 비춰 주겠지/ 우리 부모님 계신 곳에 해당화도/ 피어 있겠지.’ 양 할머니가 쓴 ‘해당화’라는 시와 함께 윤금순 할머니(82)가 쓴 ‘눈’이라는 시도 를 연출한 이종은 감독의 심금을 울렸다. ‘사박사박/ 장독에도/ 지붕에도/ 대나무에도/ 걸어가는 내 머리 위에도/ 잘 살았다/ 잘 견뎠다/ 사박사박.’ 시로 표현한 할머니들의 감성과 그 배경이 된 인생역정을 짐작하기란 쉽지 않다. 영화를 봐도 마찬가지다. 이 감독은 “‘구구절절하게 가지 말자’고 생각했다. 시가 많은 이야기를 하고 있으니…”라며 연출 의도를 설명했다. 영화는 할머니들이 까막눈으로 살며 겪은 고충과 불편을 일일이 증언하게 하지 않는다. 다만 평소와 다르지 않은 할머니들의 일상 자체가 시가 되는 모습에 초점을 맞춘다. 김막동(84)·김점순(80)·박점례(72)·안기임(85)·최영자(87) 할머니 등 전남 곡성군 입면 탑동마을 할머니들은 2009년부터 마을의 ‘길작은 도서관’ 김선자 관장과 함께 한글을 배우기 시작했다. 지은 시들은 2016년 라는 이름으로 묶여 책으로 나왔다. 할머니들은 새벽부터 일어나 일하고서도 늦은 밤에 도서관에서 수업을 받으며 2017년에는 그림책 도 펴냈다. 이 감독에 따르면 영화 는 영상으로 담긴 할머니들의 ‘인생 시집’ 후속편에 해당하는 셈이다. 개봉을 앞두고 있는 역시 할머니 주연의 일상 다큐 영화라는 점은 와 비슷하다. 굳이 구분하자면 은 웃음이 배어나는 코미디에 가깝다. 두 편 모두 글 모르는 할머니들의 파란만장하고 기구한 인생을 신파조로 그려내는 대신 지나친 무거움을 피하며 일상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이전까지 (2011년), (2012년) 등 비판적인 시각이 담긴 다큐멘터리를 연출했던 김재환 감독은 “노년층에게도 현재의 욕망이 있고 설렘이 있는데 여러 작품이 노년층의 삶을 왜곡하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을 했다”며 “어머니가 친구들과 웃으며 볼 수 있는 작품을 하나만 하라고 했다”는 말로 기획 의도를 밝혔다. ‘내가 골(글) 쓰는 걸/ 영감한테 자랑하고 십다/ 여 함 보이소/ 내 이름 쓴 거 비지예(보이지요)/ 내 이름은 강금연/ 칼라카이 영감이 없네.’ 경북 칠곡군 약목면 복성2리에서 한글을 배운 강금연 할머니(85)를 비롯해 영화에 함께 출연한 박금분(89)·곽두조(88)·안윤선(82)·박월선(89)·김두선(86)·이원순(82)·박복형(87) 할머니들 역시 2015년 2016년 두 권의 시집에 이름을 올린 시인들이다. 모두 1930년대에 태어난 주인공 할머니들 중 짧게나마 학교에 다닌 이들도 있지만 일제강점기라 한글은 배우지 못했다. 어린 나이에 시집을 가고 한국전쟁이 터진 와중에 자식을 낳고 기르는 등 역사의 곡절을 버텨냈다. 영화 에 출연한 할머니들과 교사./인디플러그 “지금이 내 인생에서 최고의 행복인 것 같다” 농사를 짓고 식구들을 먹여살리기 바쁜 와중에 세월은 흘러 글을 모른 채 노년을 맞았지만 글을 모른다고 웃음도 모를 리는 없다. 한글을 가르치는 선생님과 받아쓰기를 하면서 답안지에는 한글 대신 온갖 기호가 난무한다. 맞아도 틀려도 글 쓰고 배우는 일 자체가 재미있을 뿐이다. 전국노래자랑대회에 나간 할머니를 응원하러 마을 할머니 모두가 함께 몰려나가 춤을 추는 모습 역시 젊은 세대와 다르지 않은 우정과 흥을 보여주는 장면이다. 할머니들에게 한글을 4년간 가르친 마을학교 주석희 교사는 “할머니들과 다 같이 영화를 보는 게 목표 중 하나였다”며 “아무도 관심을 두지 않았던 삶의 이야기를 할머니들과 같이 볼 수 있어서 감동했다”고 말했다. 전남 순천의 할머니 20명이 쓴 시와 일기를 직접 그린 그림과 함께 펴낸 역시 고령화 시대 ‘나이듦’의 문제가 그 어느 때보다도 가까워진 한국 사회의 현실을 돌이켜보게 한다. 여든 전후의 나이가 늦었다고 할 수도 있지만 할머니들은 그림책 작가와 함께 선을 긋고 동그라미와 네모를 그리는 것부터 시작해 그림을 배운다. 소재는 무궁무진하다. 역사적 사건들을 여러 차례 겪어온 그동안의 삶은 물론, 주변 사람들의 모습과 시골의 풍경 모두가 그림과 글의 대상이 된다. 배우려고 배우는 것이 아니라 즐거움에 빠져 수업 후 집에 돌아가서도 수백 장의 그림을 그린 할머니들에게는 글과 그림이 그 자체로 ‘힐링’이 된 셈이다. “공부를 하니 젊어졌다고 한다. 지금이 내 인생에서 최고의 행복인 것 같다”는 김명남 할머니의 표현대로 책 출간 이후 ‘작가’ 할머니들은 더 다양한 활동으로 자신들의 실력을 뽐내고 있다. 글과 그림을 배운 순천그림책도서관에서 출간기념 북콘서트를 여는 한편, 가족들과 함께 전국의 동네책방과 도서관을 중심으로 순회 북토크와 원화 전시를 진행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오는 4월에는 미국 필라델피아 등 3개 도시에서도 순회전을 열기로 했다. 나옥현 순천그림책도서관장은 “항상 소외받고 낮은 곳에서 산다고 생각했던 할머니들이 작가가 돼 자존감도 높아지는 등 몸과 마음이 건강해졌다”고 말했다. /김태훈 기자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