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http://www.zoglo.net/blog/kokuryeo 블로그홈 | 로그인

카테고리

※ 댓글

  • 등록된 코멘트가 없습니다
<< 4월 2024 >>
 123456
78910111213
14151617181920
21222324252627
282930    

방문자

홈 > 고구려

전체 [ 53 ]

33    고구려어 댓글:  조회:3289  추천:0  2021-03-29
  뜻 고구려어 돌궐어족 몽골어 고대 일본어 현대 일본어 백제어 신라어 중세 국어 현대 한국어 퉁구스어 여진어 만주어 예빈키어 君主 kʌi 가이/ kai개(皆) kai-sɐ가이사 개차(皆次) qaγan(可汗) kagan kaγan(可汗) ki1mi1("king, emperor, monarch") kimi("you") ka(瑕) kisi(吉支) nirimɯ(君) kan(干) kɯm(今) kahan kɯi긔(王) nim kɯm nim kɯm *** *** han *** 善射 jumong,chumo 주몽(朱蒙,鄒牟) *** jəmə("noted bow"), Jobe-Mergen tomo("shooter's tool") tomo("friend, follower") tama("excellent,important,soul") tuma("tip") tomoe(emblem of tomo) tomo- tama tsume("nail,claw") *** *** *** *** *** *** jolin-manga , julil-muəl(卓琳莽阿) *** 金 so(蘇) 소 sol 솔,소시(召尸, silver) *** *** *** *** so (所) so 素 ("gold") *** sö("metal") söh 쇳 *** *** sele("iron") šun("sun") sigūn("sun") 鉛 nəi- 내  납, miuət/namer (乃勿) 내물,나물 *** *** namari namari *** *** *namɔr nap/납 *** *** *** *** 復舊土 ta mul 타물,다물 (多勿) *** *** tabi (度:time; whenever) tabi/tambi tamlo *** *** taɕi ("again") tø- ("re-") tam *** *** tabu-(to divide,to tear) *** 北(背後) je제 (提) jwat절(絶) 椽那部,提那部,絶奴部,後部 arka("back") hoina (布里亚特语huainə) utara umara tʃe("back") se("back,height") *** *** tuih tui ("back, behind") xama *** amargi amasi("back") *** 南(前方) kuan관(灌) (灌奴部) kuzey,Ön(front) *** kaɸo("face") kan-(予:"pre-") kao("look, face") kana-(叶:to serve,to get one's wish) 久知下(kujiha) *** *** kət("surface, look") *** *** julergi *** 東(左) źwən전,sun순 (順), (順奴部)순노부 doğu,sol(left) źeü , źegün a-dʒuma/a-duma("east") azuma 得安(dɯkan) *** *** ön("left") sae("east") źun *** dergi jun jəgin("left") 西(右) yən연 (涓), 연노부(涓奴部) batı ürüne , barun yo-(善:"good") ya-(否:"no,foul") yo-/i-("good,correct,suitable,agreeable") iya/ya-(disagreeable) *** *** *** orɯn("right") parɯn("right") hanɯi(west) xangid *** wargi anŋū(right) 石 *** taš cilaɣu(n) (古蒙古语) culuu (喀尔喀蒙古) šuluu(n) (布里亚特语) isi ishi turak(珍惡) *** tōlh tōl *** *** tahan("steppingstones") *** 巖,峴,岑 pa파-・ιəi,pua-・ιəi*pàI,pa'i /pua-斤ei,*paxe 파의, 파희,바위 巴衣,波衣,波兮 *** *** iɸa / iɸaɸo (probably unrelated) iwao ("great rock, bedrock") *** *** pahoy(巖)巴衣,바회 pawi pax(石・崖) (尼夫赫语) *** wehe *** 土地 no 노  내 内/奴~弩/惱 nori 노리 奴閭 *** ńurū nu/no(野"land") no no nu¨~nu¨ri/nε (世) *** nuri na (土地) na na(土地),noro(-n) *** 國 (nua) > na / no 나라 내,나,노,뇌,內,那,奴,惱 ra라(羅) ili ulus(* kolci/ko-ts‘ii (忽次/古次/串) *** 훌츠qurc(喀尔喀蒙古)("skewer, spit" 串) kutu~kuti/kuti < *kutui kuchi *** *** koj 곶 ("skewer, spit; promontory" 串) kulrε (Jeju dialect) kul (South Jeolla dialect) *** *** *** *** 進入 ・ιi/*i (伊) *** ire- 来 ir- 进入 ir- *** *** ip(口)/ip(門戸) ir-(to arrive; to come) ip i-(入) *** ibe-("to get foward") *** 新 ʃιəu/*sü 首수 *** *** zu("new, present, developing,a gleam") suga-("fresh") suga-suga-s- *** say say (새) sɛ *** iche ice *** 牛 ʃιəu/*sü 首수,소 *** *** usi ushi *** *** ʃyo/쇼 so *** *** eje("castrated cow") *** 豬 o-sie/o-s^i¨ʌŋ 烏斯/烏生오스,오샹 *doŋuz > domuz *** usi ("ox; cattle") wi ("swine") *** *tɕo-nʲi (猪耳) *** totʰ 돝 twɛːji, toyaji(dialect), tochi(dialect) *** *** ulgiyan("pig") ulha("domestic animal") *** 鹿 kosya고스야,구스야 (古斯也) *** *** kuzika shika *** *** *** korani 고라니 ("Manchurian elk") kōrɛŋi, korɛi (Gyeongsang dialect) *** *** kandahan ("a kind of deer") *** 馬 *** *** mori~muri uma~muma uma *** *** mʌl/(馬) mal mori (Nanai) *** morin *** 斧 ・ιo-sie , nərə-si (於斯) *** *** wono2 ono *** *** *odzgɔy (烏子蓋) ("ax") nɔlh 날ㅎ ("blade") nal (칼)날 ("blade") nas ("sickle; scythe") tōkki ("ax") *** *** anjikū ("hatchet") *** 廣 nərə-si, ə-si, (於斯) *** osy/esy 阿斯(寬大:gererous, tolerant) nalai naras-u("roll,to level off") os-u("transcend, surpass") e-si("right,wide,noble,enough") naras-u("to level off") os-u("to transcend, to press, to push") *** *** 어위 (< *어쉬) nəlbɯn 넓은 nəlb nərɯn *** očo 我撮(寬) ončo(廣:wast) *** 翼 nərəgi əji(於支) *älig > el ("hand") *** tadamgi(arm) atʃi(foot,walk,rain,money) ashi *** *** nʌlgɛ narɛ, nalgɛ 날개 *** *** asχa *** 横 ・ιo-sie/*es (於斯) *** *** yo2ko2(横)/yo2k-(避) yoko/yokeru *** *** əs/엇 əs *** *** *** *** 谷 tan/tuən/t‘ən (旦,頓,呑) *** *** tani tani *** *** tʌn~tuʌn("village", 村) *** *** *** *** *** 榖 niəŋ-biuʌt 仍伐녕벌 *** *** ina-ɸo("ear of rice") mi2("fruit, seed, grain") nebar-("stickiness of rice") inaho nebar- *** *** pyə("rice plant; unhulled rice") nuy("grains of unhulled rice amongst hulled rice") *** *** *** *** 粗 kuət-・ιəi (骨衣)골희 굴희 *** *** kata-("tough,firm") katai("tough,stiff") *** ka¨cʰɔ¨l kəcʰɯl- (荒) kəchil- kud- *** *** kata-("to become hard, to become rough") *** 耕 ka-ʃιi가시 (加尸) 갈시 kerci-("to cut, to dig trenches") *** kar-("to plow") kar- *** *** karai(木[木+欠]・鍬, kal-(plow) kal(刀) kal- gerbe-("break, snap") (Nanai) *** halhan(犂先)/halhan~halgan(犂[金+華]) gerbe-("break, snap") 邊 ka-(・a) (加阿)가.아 kera *** ha("edge, blade")kari("edge") ha kari *** *** kʌs kā *** *** kaja-("to cut") huwesi-("cutter, small blade") *** 圓 toŋ-pιuəi (冬非)동비,  *** *** tubura(丸)/maro(丸:"round") tsubura *** *** tuŋgɯl-(圓) tuŋgɯl-(圓} *** *** torho-("to roll,to circle") *** 丸 anʃi, 안시anʒip,ɣwando 안십,완도(安市,安十,丸都) *** ənduhə (达斡尔语) azi("reason,value") aji(taste) *** *** *** al 알 (x)elū- *** umhan muheren elū 足 tor 돌(廻) *** *** tar-(足る:"enough,last,to reach") tarir- *** *** tʌri tari 다리 *** *** juru(numeral for something pair up) *** 毛 tʰjʌr 탈,털(鐵) *** *** *** *** *** *** tʌri tʰʌr 털 *** *** *** *** 重 biar/bιεt (別) 별 *** *** ɸe *** *** *** pʌl *** *** *** fe("ex-, past, former") *** 松 pιu-sie부세,부스 부소/pιu-so (扶蘇/扶蘇) *** *** matu matsu bu(扶,負) so(蘇) *** sol(松)/pos(樺) sol,sonamu,so *** *** bahiya("pine cone") *** 深 bιuk-sie/puk (伏斯)복세,복스,푹 폭 *** *** ɸuka-si/puka- fuka- *** *** kiph u·n kiph- puk ("deeply") *** *** *** *** 狌 yia-ʃιi (也尸) 야시 *** *** itatʃi(weasel) itachi(weasel) *** *** yezï ~ yezɣ- ("fox") yəu ("fox") 여시yəsi(dialect) *** *** *** *** 隣 ιi-bιuʌt (伊伐)이벌 *** *** iɸa("residences") iɸa-udo/iɸa-ɸito("family,genealogy") iɸawi/iɸewi("domiciles,houses") i-ba-sho("one's whereabouts" sho is a loan word) *** *** *** iut (隣) *** *** imiya-("to gather togather") *** 霜 sat 살  (薩) *** *** sai, see, zai, zae (dialectal Japanese words for "icicle" or "ice on the branches of trees or on the surface of a body of water") *** *** *** səri səri *** *** juhe *** 菁 ka-tʃιe가세 (加支)가지  *** *** kati/katʃin(brown/lush),katute(in the past) katʃte *** *** *** kəch-(蕪) kis- ("lush, overgrown with weeds, overrun with plants") *** *** *** *** 鵠 ko-・ιəi고레이,고의,고니 (古衣) qoγu *** kukuɸi1~kubi1("swan") kukui/kugui("swan") *** *** kohay kon koni *** *** gaha("bird, raven") gasha("big bird") *** 群落 ul 울,우시(于尸) uruk ("clan") ulus ("people, nation, tribe, horde") udi ("clan, family; the standing of one's family, the social status of one's family, lineage, birth; surname") uchi("me, home, family") *** *** ul("relations; relatives; kinsfolk; clan") uri ("we, us; the Korean people, Koreans") *** *** *** urse ("people") uce("entrance") *** 牙 kʌi-ʃιi가이시,개시 (皆尸) *** *** ki1 ("fang; tusk") *** *** *** *** *** *** *** *** *** 平 pii-lιεt비렬 (比烈)비례 biri *** ɸi1ra-(比良:flat,level) taira("flat") hirata- taira *** *** *** pʌl *** *** ba("field, district") pile-("to confirm, to criticize") tehere-("to flat, to be equal") *** 母親 ya chi야츠 (也次)야차,야치 Ana *** ɸaɸa("mother")/oya("parent") haha, oya *** *** 어ᅀᅵ əzi 어미əmi 아매,에마 ame,ema(north dialect) *** eniyen a ja *** 嬰兒 gιəu-sie / kus / kyus (仇斯)구스 koto(儿子,匈奴語) kız (女孩、女儿) O'gul *** ko1 (子) kodomo *** *** *** koma(童) koma-(小-) *** omo jui("kid") kuŋa ("child") 熊 komok고목 (功木) *** *** kuma kuma koma *** kom kōm *** *** *** *** 兔 u-sie-həm우세험 우스함오사함 투시커머,툿이  (烏斯含) tawïsγan *** usagi1 / wosagi1 usagi *** *** thos-gi 톳기 tho-ggi 토끼 *** *** *** *** 見面 pʌk/*pak (伯) 박 bak-("to see, to look; to find") *** mak-(設:"to obtain,to prepare,to make") ɸak-(別:"to see, to know,to understand")>*wakar- ɸakar-(諮・計:"to consult,to talk, to obtain") mōker- wakar- hakar- *** *** poizʌp- ("to humbly show oneself, to meet (an honored person)") po-("to see, to look")/ poyp-("to have an audience with, to meet (an honored person)") pak *** baka- ("to look for, to seek, to search") baha-("to get, to obtain") baka-("to find") 難 ma 마 (馬) *** *** ma- ("truely, really") ma- *** *** modir- mōjir- ("harsh; severe; cruel") *** manga(難:hard) maŋga(堅、難"hard") maŋa 心/胸 kιo-sιi겨시,겨시 (居尸)거시 göğüs kökün ko2ko2ro2("heart")/koro("oneself") kokoro *** *** *** kogäŋi (核心)/ kasʰɯm (胸、心) *** *** huhun (乳、乳房) *** 韮 mai-tʃιi마이시 (買尸)매시 *** maŋgirsun(野蒜) mi1ra(韮) nira ("garlic chives") *** *** manʌl (蒜) manɯl *** *** maca ("garlic chives") *** 根 tsʌm잠 (斬) *** *** tukene("root,knot,joint") tʃukene *** pul?(根) pulhuy(根) ppuri tʃamγ(根株) (尼夫赫语) *** da *** 文 kɯl/kιən-ʃιi 글 근시 (斤尸) *** *** kak-(to write) kuk-/*kurum-(to collect, to form,to bind) ko2to2("word, speech, language") kak- kukur-/kurum- koto *** *** kɯl kɯl *** herse hergen *** 玉 ko-ʃie고스 구스 구셰,구슬(古斯) *** gas kusiro2("bracelet") kushiro *** *** kusɯl ("jewel") kusɯl *** γun gu *** 孔 dzei〈tsei〉-ts‘ii 斉次/濟次 *** *** tʃuk-(透), tʃuki(隙) suki ("chink, gap, vulnerable point") *** *** *** t’ul-(透), tɯm(隙)*** *** *** *** *** 穴 kap,kap-pii 甲,甲比 qapca("gorge, ravine"), qapi¨γ("Gate") *** kaɸi1 ("gorge, strait, narrow valley") kubomi *** *** *** kul (穴) *** *** *** *** 三 mir, mil (密) siet/s^ïei (悉/史) bis(5) gurav mi1 mi *** mil sei/səih 셋 sʰet̚ *** ilan ilan *** 五 ütsi,uci,üc, uca,uchha (于次,弓次) üç(3) tabun itu itsu *** *** tasul (打戌) tasət 닷 tah dügün sunja sunja *** 七 nan-・ιən, nanən,nanun, nanin (難隠) Yeti *** nana nana *** *** (n)ìlgɯp(一急) (n)ìlgúp nadan nadan nadan *** 十 tək,duk (德) on toquz(9) arav to2/to2wo tō- *** *** *** 열 yəl(10) 온on(100) 즈믄chɯmun(1000) juwa juwan juwan ʒuwan 黑 *kəmər, kəmhək (今勿) Qara *** kuro1 kuro *** *** kəm-/검- 검 kʌm *** *** kara *** 白 nə γei ʃιi-lap (奈兮 / 尸臘) Aq *** sira(白) shiro *** *** hʌy-(白) hʌy- hin hayan *** *** šara-("to become white") šeyen("white") šanggiyan("white") *** 紅 s^a-bιuk s^a-pιuəi-kιən sa(i)puk, sa(i)pikon sapi 沙伏, 沙非斤 Qyzyl *hulaɣan > ulaan so2ɸo
32    창부타령(倡夫打令) 총 모음 댓글:  조회:2596  추천:0  2019-04-30
창부타령(倡夫打令) 총 모음   후렴* 얼씨구나 지화자 좋네 아니 노지는 못하리라 1. 모진 간장(肝腸) 불에 탄들 어느물로 꺼주려나 뒷동산(東山) 두견성(杜鵑聲)은 귀촉도(歸蜀道) 귀촉도(歸蜀道) 나의 설음을 몰라 주고 옛날 옛적 진시황(秦始皇)이 만권시서(萬卷詩書)를 불 사를제 이별(離別) 두자를 못살랐건만 천하장사(天下壯士) 초패왕(楚覇王)도 장중(帳中)에 눈물을짓고 우미인(虞美人) 이별(離別)을 당(當)했건만 부모같이 중한 분은 세상천지 또 없건마는 임을 그리워 애타는 간장 어느 누가 알아주리 2.서산(西山)에 해 기울고 황혼(黃昏)이 짙었는데 안 오는 임 기다리며 마음을 죄일 적에 동산에 달이 돋아 온 천하를 비쳐 있고 외기러기 홀로 떠서 짝을 불러 슬피울 제 원망스런 우리 임을 한 없이 기다리다 일경(一更) 이경(二更) 삼(三) 사(四) 오경(五更) 어느듯이 새벽일세 추야장(秋夜長) 긴 긴 밤을 전전불매(輾轉不寐) 잠 못들제 상사일념(相思一念) 애타는줄 그대는 아시는가 둘 데 없는 이내 심사(心思) 어디다가 붙여 볼까 차라리 잊자해도 욕망이난망(欲忘而難忘)이라 차마 진정(眞情) 못잊겠네 얼씨구나 좋다 지화자 좋네 아니 노지는 못하리라 3.진국명산만장봉(鎭國名山萬丈峰)이 청천삭출금부용(靑天削出金芙蓉)은 서색(瑞色)은 반공(蟠空) 응상궐(凝象厥)이요 숙기(淑氣)는 종영출인걸(鍾英出人傑)하니 만만세지금탕(萬萬歲之金湯)이라 태평연월(太平烟月) 좋은 시절(時節) 전조사(前朝事)를 꿈꾸는 듯 유유(悠悠)한 한강(漢江)물은 말없이 흘러가고 인왕(仁旺)으로 넘는 해는 나의 감회(感懷) 돋우는듯 4.사랑 사랑 사랑이라니 사랑이란 게 무엇인가 알다가도 모를 사랑 믿다가도 속는 사랑 오목조목 알뜰 사랑 왈칵달칵 싸움 사랑 무월삼경(無月三更) 깊은사랑 공산야월(公山夜月) 달 밝은데 이별한임 그린 사랑 이내 간장 다 녹이고 지긋지긋이 애탠 사랑 남의 정(情)만 뺏어 가고 줄줄 모르는 얄민 사랑 이사랑 저 사랑 다 버리고 아무도 몰래 호젓이 만나 소곤소곤 은근(慇懃) 사랑 얼씨구좋다 내 사랑이지 사랑 사랑 참사랑아 5.요망(妖妄)스런 저 가이야 눈치없이 짖지 마라 기다리고 바라던 임 행여나 쫓을세라 임을 그려 애태우고 꿈에라도 보고지고 구곡간장(九曲肝腸) 다 녹을 제 장장추야(長長秋夜) 긴 긴 밤을 이리하여 어이 샐꼬 잊으려고 애를쓴들 든 정이 병이 되어 사르나니 간장이라 6.백두산(白頭山) 천지(天池)가엔 들쭉 열매 아름답고 굽이치는 압록강(鴨綠江)엔 뗏목 또한 경(景)이로다 금강산비로봉(金剛山毘盧峯)엔 기화이초(奇花異草) 피어있고 해금강(海金江) 총석정(叢石亭)엔 넘실대는 파도(波濤) 위에 백조(白鳥) 쌍쌍(雙雙) 흥(興)겨 운다 배를 타고 노(櫓)를 저어 대자연(大自然)좋은 풍경 마음대로 즐겨 볼까 7.섬섬옥수(纖纖玉手) 부여잡고 만단정회(萬端情懷) 어제런 듯 조물(造物)이 시기(猜忌)하여 이별(離別)될 줄 뉘라 알리 이리 생각 저리 궁리(窮理) 생각 끝에 한숨일세 얄밉고도 아쉬웁고 분(?)하고 그리워라 아픈 가슴 움켜잡고 나만 혼자 고민(苦憫)일세 8.추강월색(秋江月色) 달 밝은밤에 벗 없는 이내 몸이 어둠침침(沈沈) 빈 방(房) 안에 외로이도 홀로 누워 밤 적적(寂寂) 야심(夜深) 토록 침불안석(寢不安席) 잠 못 자고 몸부림에 시달리어 꼬꾜 닭은 울었구나 오날도 뜬눈으로 새벽맞이를 하였구나 9.어지러운 사바세계(娑婆世界) 의지(依支)할 곳 바이 없어 모든 미련(未練) 다 떨치고 산간벽절 찾아가니 송죽(松竹) 바람 슬슬(瑟瑟)한데 두견(杜鵑)조차 슬피우네 귀촉도불여귀(歸蜀道不如歸)야 너도 울고 나도 울어 심야삼경(深夜三更) 깊은 밤을 같이 울어 새워볼까 *오호(嗚呼) 한평생(平生) 허무(虛無)하구나 인생백년(人生百年)이 꿈이로다 10.a귀(貴)치 않은 이내 몸이 사자 사자 헤매어도 세파에 부대끼어 남은 것은 한(恨)뿐이라 만고풍상(萬古風霜) 비바람에 시달리고 시달리어 노류장화(路柳墻花) 몸이 되니 차라리 다 떨치고 산중(山中)으로 들어가서 세상번뇌(世上煩惱)를 잊어 볼까 b귀치 않은 이내 몸이 사자 사자 헤매어도 세파에 부딪끼어 남은 것은 한뿐이라.(추월춘풍 화개화락 몇몇성상이 지나갔나) 만고풍상 비바람에 시달리고 시달리어 노류장화 몸이 되니, 차라리 다 떨치고 산중으로 들어가서 세상번뇌를 잊어 볼까. 11.세파(世波)에 시달린 몸 만사(萬事)에 뜻이 없어 모든 시름 잊으려고 홀로 일어 배회(徘徊)할 제 만뢰(萬?)는 구적(俱寂)한데 귀뚜라미 슬피 울어 다 썩고 남은 간장(肝臟) 어이 마저 썩이느냐 가뜩이나 심란(心亂)한데 중천(中天)에 걸린 달은 강심(江心)에 잠겨 있고 짝을 잃은 외기러기 운소(雲宵)에 높이 떠서 처량(悽?)한 긴 소래로 짝을 불러 슬피 우니 춘풍호월(春風晧月) 저문 날에 두견성(杜鵑聲)도 느끼거든 오동추야단장시(梧桐秋夜斷腸時)에 차마 어찌 들을건가 12.한 송이 떨어진 꽃을 낙화(落花)진다고 설워 마라 한 번 피었다 지는 줄을 나도 번연히 알건마는 모진손으로 꺽어다가 시들기 전에 내버리니 버림도 쓰라리거든 무심코 밟고 가니 근들 아니 슬플 소냐 숙명적(宿命的)인 운명(運命)이라면 너무도 아파서 못 살겠네 13.세상공명(世上功名) 부운(浮雲)이라 강호어용(江湖漁翁) 되오리다 일엽편주(一葉片舟) 흘리저어 임기소지(任期所之)하올적에 만경창파(萬頃蒼波) 넓은물에 호호탕탕(浩浩蕩蕩)떠나간다 주경(舟輕)하니 산사주(山似走)요 파급(波急)하니 야여주(野如走)라 은린옥척(銀鱗玉尺) 펄펄 뛰고 백구(白鷗) 편편(翩翩) 비꼈는데 청풍(淸風)은 서래(徐來)하고 수파(水波)는 불흥(不興)이라 좌우산천(左右山川) 살펴보니 경개무궁(景槪無窮) 좋을씨고 격안전촌 (隔岸前村) 양삼가(兩三家)에 저녁 연기(煙氣) 일어나고 반조입강번석벽(返照入江?石壁)에 거울 낯을 벌였는데 언덕 위에 초동(樵童)이요 석벽(石壁) 아래 어옹(漁翁)이라 창랑일곡(滄浪一曲) 반겨 듣고 소리 좇아 내려가니 엄릉(嚴陵) 여울 다다랐다 천척단애(千尺斷崖) 높은 곳에 창송녹죽(蒼松綠竹) 푸르렀고 칠리청탄(七里淸灘) 고요한데 쌍쌍(雙雙) 오리 높이 떴다 고기 주고 술을 사서 취(醉)케 먹고 달을 띠고 돌아오니 대장부(大丈夫) 세상자미(世上滋味) 이에서 더할소냐 * 얼씨구 좋다 지화자 좋네 인생백년(人生百年)이 좋을씨고 14.때는 마침 어느때뇨 춘풍(春風)이 화창(和暢)하니 양춘가절(陽春佳節)이 아니냐 만산홍록(滿山紅綠) 요염(妖艶)하여 금수병(錦繡屛)을 둘렀는 듯 백화(百花) 만발(滿發) 난만(爛漫)한데 꽃을 찾는 벌나비는 향기(香氣)를 좇아 날아들고 휘늘어진 버들새로 황금(黃金) 같은 꾀꼬리는 벗을 불러 노래하고 시냇물 맑았는데 낙화(落花) 동동 떠나가니 이도 또한 경(景)이로다 * 얼씨구 절씨구 지화자 좋구려 아니 노지는 못하리라 15.명년삼월(明年三月) 오시마더니 명년(明年)이 한(限)이 없고 삼월(三月)도 무궁(無窮)하다 양류청양류황(楊柳靑楊柳黃)은 청황변색(靑黃變色)이 몇 번(番)이며 옥창앵도(玉窓櫻桃) 붉었으니 화개화락(花開花落)이 얼마인고 한단침(邯鄲枕) 빌어다가 장주호접(莊周蝴蝶)이 잠깐 되어 몽중상봉(夢中相逢) 하쟀더니 장장춘단단야(長長春短短夜)에 전전반측(輾轉反側) 잠 못 이뤄 몽불성(夢不成)을 어이하리 16.a기다리다 못하여서 잠이 잠깐 들었더니 새벽별 찬바람에 풍지(風紙)가 펄렁 날 속였네 행여나 임이 왔나 창문(窓門)열고 내다보니 임은 정녕 간 곳 없고 명월(明月)조차 왜 밝았나 생각끝에 한숨이요 한숨 끝에 눈물이라 마자마자 마쟀더니 그대 화용(花容)만 어른거려 긴 긴 밤만 새웠노라 b기다리다 못하여서 잠이 잠깐 들었더니 새벽별 찬바람에 풍지가 펄렁 날속였네. 행여나 님이 왔나 창문 열고 내다보니, 님은 정녕 간곳없고 명월조차 왜 밝아서, (생각사록 눈물이라) 마자마자 마자해도 그대 화용만 어른거려 긴 긴 밤만 새웠노라. 17.간밤 꿈에 기러기 보고 오늘 아침 오동(梧桐) 위에 까치 앉아 짖었으니 반가운 편지(片紙) 올까 그리던 임이 올까 기다리고 바랐더니 일락서산(日落西山) 해는 지고 출문망(出門望)이 볓 번인가 언제나 유정(有情) 임 만나 화류동산춘풍리(花柳東山春風里)에 이별(離別) 없이 살아 볼까 18.봄이 왔네 봄이 왔네 무궁화(無窮花) 이 강산(江山) 새봄이 왔네 방실방실 웃는 꽃들 우줄우줄 능수버들 비비배배 종달새며 졸졸 흐르는 물소리라 앞집 수탉이 꼬끼요 울고 뒷집 삽사리 컹컹 짖네 앞논의 암소가 엄매 뒷뫼의 산꿩이 끼긱끽 물 이고 가는 큰애기 걸음 삼춘(三春)의 흥(興)에 겨워 사뿐사뿐 아기장아장 흐늘거리며 걸어가네 *. 얼씨구 절씨구 지화자 좋구려 삼춘가절(三春佳節)이 좋을씨고 19.하늘같이 높은 사랑 하해(河海)같이 깊은 사랑 칠년대한(七年大旱) 가문 날에 빗발같이 반긴사랑 구년지수(九年之水) 긴 장마에 햇볕같이 반긴 사랑 당명황(唐明凰)의 양귀비(楊貴妃)요 이(李) 도령(道令)의 춘향(春香)이라 일년 삼백 육십 일에 하루만 못봐도 못 살겠네 20.오늘도 화창하니 이삼요우(二三僚友) 작반(作伴)하여 죽장망혜단표자(竹杖芒鞋單瓢子)로 부여팔경(夫餘八景) 구경 가세 부소산(扶蘇山) 저문 비에 황성(荒城)이 적막하고 낙화암(落花岩) 잠든 두견(杜鵑) 삼천궁녀(三千宮女) 죽은 원혼(?魂) 쌍쌍이 짝을 지어 전조사(前朝事)를 꿈꾸느냐 고란사(皐蘭寺) 쇠북 소래 사자루(泗자樓)를 흔드는 듯 선경(仙境)이 방불(彷彿)하다 21.증경(증?=꾀꼬리)은 쌍쌍(雙雙) 녹담중(綠潭中)이요 호월(皓月)은 단단(團團) 영창롱(映窓?)인데 적막한 나유(羅惟) 안에 촛불만 도두 켜고 인(人) 적적(寂寂) 야심(夜深)한데 귀뚜람 소리가 처량하다 금로(金爐)에 향진(香盡)하고 옥루(屋漏)는 잔잔(潺潺)한데 돋은 달이 지새도록 뉘게 잡히어 못 오시나 임이야 나를 생각하는지 나는 임 생각뿐이로다 독수공방(獨守空房) 홀로 누워 전전불매(輾轉不寐) 장탄수심(長嘆愁心) 남은 간장(肝腸) 다 썩는다 22.날 찾네 나를 찾네 그 누구라 날 찾나 기산(箕山) 영수(潁水) 별건곤(別乾坤)에 소부(巢父) 허유(許由)가 날 찾나 백화심처일승귀(百花深處一僧歸)라 춘풍석교화림중(春風石橋花林中)에 성진화상(性眞和尙)이 날 찾나 청산기주(靑山?洲) 백로탄(白鷺灘)에 여동빈(呂洞賓)이가 날 찾나 도화유수무릉(桃花流水武陵) 가자 어주속객(魚舟屬客)이 날 찾나 수양산(首陽山) 백이숙제(伯夷叔齊) 고사리(採o) 캐자 날찾나 부춘산(富春山) 엄자릉(嚴子陵)이 간의대부(諫議大夫) 마다 하고 칠리동강일사풍(七里桐江日斜風)에 함께 가자 날 찾나 기경선자(騎鯨仙子) 이태백(李太白)이 풍월(風月)짓자 날 찾나 상산사호(商山四皓) 네 노인(老人)이 바둑 두자 날 찾나 기주(嗜酒)하던 유영(劉怜)이가 동배주(同盃酒)하자고 날 찾나 칠석은하(七夕銀河) 견우직녀(牽牛織女) 한포(漢浦)로 지나다가 함께 가자 날 잧나 차산중운심(此山中雲深)한데 부지처(不知處) 오신 손님 날 찾을리 없건마는 그 누구라 날찾나 23.그대 나와 사귈 적에 이별(離別)하자 사귀었나 백년(百年)살자 굳은 언약(言約) 일조허사(一朝虛事) 뉘라 알리 임을 그려 애태다가 상사(想思)로 병(病)이 되니 조물(造物)이 시기하여 날 미워서 준 병(病)인가 안타까운 이내 심정(心情) 억제(抑制)할 길 바이 없어 일배일배부일배(一杯一杯復一盃)에 몽롱(朦朧)히 취(醉)케 먹고 울적(鬱寂)한 빈 방안에 외로이 혼자 앉아 옛일을 생각하니 만사(萬事)가 꿈이로다 상사불견(想思不見) 우리 임을 어느 때나 다시 만나 그린 회포(懷抱)를 풀어 볼까 24.일년 삼백 육십 일은 춘하추동(春夏秋冬) 사시절(四時節)인데 꽃 피고 잎이 나면 화조월석(花朝月夕) 춘절(春節)이요 사월남풍(四月南風) 대맥황(大麥黃)은 녹음방초(綠陰芳草) 하절(夏節)이라 금풍(金風)이 소슬(蕭瑟)하여 사벽충성(四壁蟲聲) 슬피 울면 구추단풍(九秋丹楓) 추절(秋節)이요 백설(白雪)이 분분(芬芬)하여 천산(千山)에 조비절(鳥飛絶)이요 만경(萬逕)에 인종멸(人踪滅)하면 창송녹죽(蒼松綠竹) 동절(冬節)이라 인간칠십고래희(人間七十古來稀)요 무정세월약류파(無情歲月若流波)라 사시풍경(四時風景) 좋은 시절(時節) 아니 놀고 어이 하리 25.a일각(一刻)이 삼추(三秋)라 하니 열흘이면 몇 삼추(三秋)요 제 마음 즐겁거니 남의 시름 어이 알리 얼마 아니 남은 간장(肝腸) 봄눈(春雪)같이 다 녹는다 이내 한숨 바람되고 눈물은 비가 되어 우리 임 자는 영창(映窓)밖에 불면서 뿌려나 주면 날 잊고 깊이 든 잠 놀래어 깨우고저 아서라 쓸데 없다 마자 마자 마자 해도 그대 생각뿐이로다 b일각이 삼추라 하니 열흘이면 몇 삼추요 제 마음 즐겁거니 남의시름 어이 알리. 얼마 아니 남은 간장 봄눈같이 다 녹는다. 이내 한숨 바람되고 눈물은 흘러 비가 되어 (세풍세우 흩날이며), 우리 님 자는 영창 밖에 불면서 뿌려 주면 날 잊고 깊이 든 잠 놀래어 깨우고저 아서라 쓸데없다 마자 마자 마자 해도 그대 생각 뿐이로다. 26.금풍(金風)은 소슬(蕭瑟)하고 휘영청 달 밝은 밤에 임 생각을 잊으려고 아픈 마음 달랠 적에 야속할손 외기러기 북천(北天)으로 날아가며 처량한 울음으로 나의 심회(心懷) 돋워 주고 지는 달 새는 밤에 귀뚜라미 슬픈 울음 사창(紗窓)에 여읜 잠을 살뜰히도 다 깨운다 무인동방(無人洞房) 홀로 누워 이리 딩굴 저리 딩굴 잠 못자고 애태우니 안타까운 이 심정을 어느 누가 알아주리 27.a.공도(公道)라니 백발(白髮)이요 면(免)치 못할 죽음이라 요순우탕(堯舜禹湯) 문무주공(文武周公) 공맹안증(孔孟顔曾) 정주자(程朱子)는 도덕(道德)이 관천(貫天)하여 만고성현(萬古聖賢) 일렀건만 미미(微微)한 인생(人生)들이 저 어이 알아보리 강태공(姜太公) 황석공(黃石公)과 사마양저(司馬穰?) 손빈오기(孫?吳起) 전필승(戰必勝) 공필취(攻必取)는 만고명장(萬古名將) 일렀건만 한번 죽음 못 면했네 멱라수(멱羅水) 맑은 물은 굴삼려(屈三閭)의 충혼(忠魂)이요 상강수(湘江水) 성긴 비는 오자서(伍子胥)의 정령(精靈)이라 b.공도라니 백발이요 면치 못할 죽음이라 천황 지황 인황이며 요순 우탕 문무 주공 성덕이 없어서 붕 했으며, 말 잘하는 소진 장의 육국제왕을 다 달랬으되 염라왕은 못 달래어 한 번 죽엄 못 면하고, 그러한 영웅들은 사후 사적이라도 있건마는. 초로 같은 우리 인생 아차 한번 죽어 지면 움이 나느냐 싻이 나나. 명사십리 해당화야 꽃 진다 잎 진다 설워 마라 명년삼월 봄 돌아오면 너는 다시 피련마는 우리 인생 늙어지면 다시 젊기 어려워라. 28.통일천하(統一天下) 진시황(秦始皇)은 아방궁(阿房宮)을 높이 짓고 만리장성(萬里長城) 쌓은 후에 육국제후(六國諸侯) 조공(朝貢)받고 삼천궁녀(三千宮女) 시위(侍衛)할 제 동남동녀(童男童女) 오백인(五百人)을 삼신산(三神山) 불사약(不死藥)을 구하려고 보낸 후에 소식조차 돈절(頓絶)하고 사구평대(砂丘平臺) 저문 날에 여산황초(驪山荒草) 뿐이로다 아서라 쓸데 없다 부귀공명(富貴功名) 뜬구름이니 아니 놀고 어이 하리 29.죽장망혜단표자(竹杖芒鞋單瓢子)로 천리강산(千里江山) 들어 가니 산은 높고 골은 깊어 두견접동(杜鵑) 날아든다 구름은 뭉게뭉게 상상고봉(上上高峯) 산(山)머리에 낙락장송(落落長松) 어려있고 바람은 슬슬 불어 구곡계변(九曲溪邊) 암석상(岩石上)에 꽃가지 떨뜨린다 경개무궁(景槪無窮) 절승(絶勝)하고 별유천지비인간(別有天地非人間)이니 아니 놀고 어이 하리 30.망망(茫茫)한 창해(滄海)이며 탕탕(蕩蕩)한 물결이라 범피중류(泛彼中流) 떠나가니 일모향관하처시(日暮鄕關何處是)요 연파강상사인수(烟波江上使人愁)는 최호(崔顥)의 유적(遺跡)이라 봉황대(鳳凰臺) 나려가니 악양루(岳陽樓) 고소대(姑蘇臺)는 호상(湖上)에 떠있는데 동남(東南)을 바라보니 오산(吳山)은 천첩(千疊)이요 초수(楚水)는 만중(萬重)이라 반죽(斑竹)에 어린 눈물 이비한(二妃恨)을 아뢰는 듯 동정호(洞庭湖)에 비친 달은 상하천광(上下天光)이 일색(一色)이라 삼협(三峽)에 잔나비는 슬피 울어 호소(呼訴)하니 천객소인(遷客騷人)이 몇이런가 31.창외삼경세우시(窓外三庚細雨時)에 양인심사(兩人心事) 깊은 정(情)과 야반무인사어시(夜半無人私語時)에 백년동락(百年同樂) 굳은 언약(言約) 이별(離別)될 줄 어이 알리 동작대(銅雀臺) 봄바람은 주랑(周郞)의 비웃음이요 장신궁(長信宮의 가을달은 한궁인(漢宮人)의 회포(懷抱)로다 지척(咫尺)이 천리(千里)되어 은하(銀河)를 사이하고 까막까치 흩어졌으니 건너갈 길 바이 없고 어안(魚雁)이 돈절(頓絶)하니 소식인들 뉘 전(傳)하리 못 보아 병(病)이 되고 못 잊어 원수(怨讐)로다 가뜩이나 썩은 간장(肝臟) 이 밤 새우기 어려워라 32.춘하추동(春夏秋冬) 사시절(四時節)을 허송세월(虛送歲月) 옥중고생(獄中苦生) 망부사(望夫詞)로 울음울 제 춘풍(春風)이 눈을 녹여 가지가지 꽃이 피니 반갑고도 서러워라 꽃이 피고 잎이 나니 녹음방초(綠陰芳草) 시절(時節)이라 버들은 실이 되고 꾀꼬리는 북이 되어 유상세지(柳上細枝) 늘어진 가지 구십삼춘(九十三春) 자아내고 잎이 지고 서리 치니 황국(黃菊)의 능상절(凌霜節)과 백설(白雪)이 분분(紛紛)할제 송죽(松竹)의 천고절(千古節)을 그 아니 불워하리 33.인생천지백년간(人生天地百年間)에 부귀공명(富貴功名) 뜬구름이라 차라리 다 버리고 세상풍경(世上風景) 완상차(翫賞次)로 용문(龍門)에 장도(壯途)타가 구점연(九點烟)에 산하원기(山河元氣) 동정호(洞庭湖) 운몽택(雲夢澤)을 흉중(胸中)에 삼킨후에 낙안봉(落雁峰) 다시 올라 사조(謝眺)의 경인구(驚人句)를 청천(靑天)에 낭음(朗吟)하고 장건(張騫)의 팔월사(八月?)를 은하(銀河)에 흘려 놓아 장생술(長生術)을 익혀가며 세상진미(世上珍味)를 읊어볼까 34.정월(正月)이라 상원일(上元日)에 달과 노는 소년(少年)들은 답교(踏橋)하고 노니는데 이월(二月)이라 청명일(淸明日)에 나무마다 춘기(春氣)들고 잔디잔디 속잎 나니 만물(萬物)이 화락(和樂)하는데 우리 임은 어디 가고 봄이 온 줄 모르는가 삼월(三月)이라 삼짇날에 강남(江南)서 나온 제비 왔노라 현신(見身)하고 소상강(瀟湘江) 기러기는 가노라 하직(下直)한다 이화도화(李花桃花) 만발(滿發)하고 행화방초(杏花芳草) 흩날린다 우리 임은 어디 가고 화류(花游)할 줄 모르느냐 35.청려장(靑藜杖) 둘러 짚고 북향산(北香山) 찾아가니 백두산(白頭山) 내맥(來脈)이요 청천강(淸川江) 근원根(源)이라 월림강(月林江) 건너가서 향산동구(香山洞口) 다다르니 계변(溪邊)에 우는 새는 춘흥(春興)을 노래하고 암상(岩上)에 피는 꽃은 원객(遠客)을 반기는 듯 외사(外寺)목 넘어들어 좌우(左右)를 살펴보니 창송(蒼松)은 울울(鬱鬱)하고 녹수(綠水)는 잔잔(潺潺)이라 심진정(尋眞亭) 높은 집은 대소행차(大小行次) 영송처(迎送處)라 어화 이 좋은 풍경(風景) 아니 취(醉)고 어이하리 36.a.휘황월야삼경(輝煌月夜三更)에 전전반측(輾轉反側) 잠 못 이뤄 겨우 한잠 들었을 제 오매불망(寤寐不忘) 우리 임 만나 일구월심(日久月深) 그리던 회포(懷抱) 반이나 이루려니 베갯머리 귀뚜라미 겨우 든 잠 놀라 깨니 곁에 임 간 곳 없고 임 잡았던 나의 손길은 빈주먹만 쥐었구나 야속타 저 귀또리 네 짝 잃고 울 양이면 나의 원통(?痛) 이사정(事情)을 이다지도 모르느냐 b.휘황월야 삼경인데 전전반측 잠 못 이뤄 태고풍편에 오신 님 만나 그린 회포를 풀랴ㅆ더니, 벼갯머리 저 귀뚜리 서상가약을 그리느냐, 불승청원 실려 탄으로 귀똘귀똘 우는 소리 겨우 든 잠 놀라 깨니, 잡았던 님은 간곳 없고 들리느니 귀뜨람 소리 구곡간장 구비 구비 솟아 나느니 눈물이라, 야속하다 저 귀뚜리 네 짝을 잃고 울 양이면 남의 사정을 왜 모르나. 37.압록강(鴨綠江) 내리는 물 황해(黃海)로 돌아들고 한라(漢拏)에 이는 바람 백두(白頭)에 부딪쳐서 삼천리(三千里) 이 강산(江山)에 속속들이 불어온다 봄바람 따스할 제 꽃도 같이 보던 것을 여름날 시냇물에 서로 벗고 놀던 것을 철벽(鐵壁)에 가로막혀 못 본 지 몇몇 핸고 바람 불어 십년(十年)이요 물결쳐서 십년(十年)이라 언제나 다시 만나 이내시름 풀어 볼까 38.진상전(眞常殿) 해회당(海會堂)을 좌우(左右)로 살펴보니 만세루(萬歲樓) 올라서서 원근산천(遠近山川) 바라보니 남산(南山)의 웃는꽃은 춘색(春色)을 띠어 있고 청계(淸溪)의 맑은 물은 계곡(溪谷)을 둘러 있고 취운당(翠雲堂) 백운각(白雲閣)에 오작(烏鵲)이 쌍비(雙飛)하니 요지(瑤池)는 어디런지 선경(仙境)이 여기로다 여래탑(如來塔) 십구층(十九層)과 대보탑(大寶塔) 십이층(十二層)을 전후(前後)로 구경하고 대웅전(大雄殿) 들어가니 탑상(榻床)에 앉은 불상(佛像) 거룩하기 짝이없네 39.천황지황(天皇地皇) 개벽후(開闢後)에 인황구주(人皇九州) 분장(分張)하니 천만고(千萬古) 흥망사적(興亡事蹟) 남가일몽(南柯一夢)아니런가 홍몽일월(鴻?日月) 태고초(太古初)에 소박현풍(素朴玄風) 혼동(混同)하니 구목위소(構木爲巢) 순거곡식(?居穀食) 몇몇해나 지나간고 복희(伏羲) 신농(神農) 황제(黃帝) 요순(堯舜) 계천극립(繼天極立)하신후에 사도지직(司徒之職) 전악관(典樂官)이 상서학교(庠序學校) 열어내어 문장귀천(文章貴賤) 분별(分別)하고 예악교화(禮樂敎化) 선포(宣布)하니 인물(人物)이 혁혁(赫赫)하고 풍속(風俗)이 희희(熙熙)로다 40.응향각(凝香閣) 들어가서 오동향로(烏銅香爐) 구경하고 심검당(尋劍堂)과 관음전(觀音殿) 동림헌(東臨軒)과 미타전(彌陀殿) 망월루(望月樓)를 차례(次例)로 구경하고 유산(遊山)길 찾아가서 안심사(安心寺) 돌아드니 무수(無數)한 부도비(浮屠碑)는 도승(道僧)의 유적(遺跡)이라 명월(明月)은 교교(皎皎)하고 청풍(淸風)은 소슬(蕭瑟)이라 녹수청산(綠水靑山) 깊은 곳에 상원암(上院庵)을 찾아가서 대해포(大海浦) 구경하니 정신(精神)이 쇄락(灑落)하다 이층철사(二層鐵絲) 휘어잡고 인호대(引虎臺) 올라가니 송풍(松風)은 거문고요 두견성(杜鵑聲)은 노래로다 41.증광경과(增廣慶科) 택일(擇日)하여 문장(文章) 무사(武士) 다 모두어 초시회(初試會)를 설장(設場)하고 춘당대(春塘臺) 후원(後苑) 안에 대소과(大小科)를 창방(唱榜)하니 부(賦) 장원(壯元)에 굴원(屈原)이요 시(詩) 장원(壯元)에 이백(李白)이라 의(義) 장원(壯元)에 사마천(司馬遷)과 의심(義心) 장원(壯元) 한퇴지(韓退之)라 책문(策文) 장원(壯元) 동중서(董仲舒)요 표(表) 장원(壯元)에 왕발(王勃)이라 생원(生員) 진사(進士) 이백인(二百人)과 삼십삼인(三十三人) 호명(呼名)하니 반악(潘岳) 송옥(宋玉) 가의(賈誼) 유향(劉向) 반고(班固) 매승(枚乘) 조식(曹植)이요 두자미(杜子美) 송지문(宋之問)과 유자후(柳子厚) 두목지(杜牧之)와 가도(賈島) 잠삼(岑參) 맹동야(孟東野)와 백낙천(白樂天) 원진(元?)이라 구양공(歐陽公) 왕안석(王安石)은 소년성명(少年成名) 조달(早達)하고 소자첨(蘇子瞻) 소영빈(蘇潁濱)은 형제연벽(兄弟聯壁)호기(豪氣)로다 설문청(薛文淸) 이동공(李??)과 왕양명(王陽明)과 왕감주(王감州)라 문장재사(文章才士) 다 뽑으니 천하득인(天下得人) 영광(榮光)이라 *띠리리잇 띠리리 잇 띠리리리리리 아니 놀지는 못하리라 42.임이별 해본 사람들 몇몇이나 덴다드냐 임을 잃든 그날밤이 어디가 아프고 쓰리드냐 배지나간 바다위에는 파도와 물결만 남아있고 임떠나간 내 가슴에는 그 무었을 남겼느냐 장미화 꽃이 곱다고 해도 꺽고보니 가시로다 사랑이 좋다고 해도 남되고 보면 원수로다 *얼씨구 절씨구 절씨구 지화자 좋네 아니 놀지는 못하리라 43.a지리하구나 임이별은 생각사록 목이 메누나 인연없어 못보느냐 무정하여 그리느냐 인연도 없지 않고 유정도 하건마는 일성중안 같이 살며 왜 이다지 애가타 그려사나 차라리 몰랐드라면 뉘가 뉜줄 몰랐을걸 사귄것이 원수로구나 b 지리하구나 님 이별은 생각사록 목이 메고 인연 없어못 보느냐 무정하여 그리느냐, 인연도 없지 않고 유정도 하건마는, 일성중 안 같이 살며 (오매불망 우리님을) 왜 이다지도 그려사나, 차라리 물랐더라면 뉘가 뉜줄 몰랐을걸 사귄 것이 원수로구나 정 많이 든 것이 대원수로다 생각을 하고 또 생각해도 님의 화용이 그리워서 (참아진정) 못살겠네. *얼씨구나 지화자 좋네 아니 놀지는 못하리라 44.a.원수가 원수가 아니라 내 정은 뺏어가고 제정 안주니 그것이 모두가 원수로다 심중에 타는 불을 그 뉘라서 꺼줄손가 신롱서를 꿈에보고 불끌약을 물었더니 임으로 하여 난병이니 임이 아니면 못끈다네 서리맞어 병든 잎은 바람이 없어도 떨어지고 임그리워 애타는 가슴 병 아니 든다고 내 어이 사나 b.원수가 원수가 아니라 내 정은 뺏어가고 제 정은 안주니 그것이 모두 다 원수로다 심중에 타는 불을 그 뉘라서 꺼줄소냐 신롱씨를 꿈에 보고 불 끌 약을 물었더니 인삼 녹용도 쓸데 없고 화타 편작도 소용이없네 님으로 연하여 난병이니 님이 아니면 못 끈다네. *얼씨구 절씨구 절씨구 지화자 좋네 아니 놀지는 못하리라 45.잊어라 꿈이 로구나 모두 다 잊어라 꿈이 로구나 옛날 옛적 과거지사를 모두다 잊어라 꿈이로다 나를 싫다고 나를 마다고 나를 박차고 가신임을 잊어야만 올을줄을 나도 번연이 알건마는 어리섞은 미련이 남아 그래도 몾잊어 걱정일세 46.나 떠난다고 네가 통곡말고 나 다녀 올동안 마음 변치 말어라 제 몸에 병이 들었나 뉘게 잡히여 못오시나 해다저서 황혼이 되면 내 아니가도 제 오니 아마도 우리임은 남에 사랑이 분명하구나 47.지척동방 천리 되어 바라 보기 묘연하고 은하작교가 흩어졌으니 건너 갈 길이 아득하다. 인정이 끊텼으면 차라리 잊히거나, 아름다운 자태거동 이목에 매양 있어 못 보아병이로다. 못잊어 한이 되니 천추만한 가득한데 끝끝이 느끼워라. 48.창문을 닫쳐도 숨어드는 달빛 마음을 달래도 파고드는 사랑 사랑이 달빛이냐 달빛이 사랑이냐, 텅 비인 내가슴엔 사랑만 가득 쌓였구나. 사랑사랑 사랑이라니 사랑이란게 무엇이냐 보일듯이 아니 보이고, 잡힐듯하다 놓쳤으니 나혼자 고민 하는게 이것이 모두가 사랑이냐. 49. 바람아 광풍아 불지 마라 송풍낙엽이 다 떨어진다 명사십리 해당화야 꽃 진다 잎 진다 설워 마라. 동삼 석달 잠을 자다가 춘삼월이 다시 올제. 황금같은 꾀꼬리는 양류상으로 넘나들며 순제금을 희롱하고 탐화봉접이 춤을 출제 훈풍을 좇아서 또 피련마는 우리 인생 늙어지면 다시 젊지는 못하리로다. 50.만리장공에 하운이 흩어지고 무산십이봉에 월색도 유정하더라 님이 저리 다정하면 이별인들 있을 소냐. 이별 마자고 지은 맹서 태산같이 믿었더니, 태산이 허망하여 (백년동락 굳은 언약이) 무너질줄 뉘라 알리. 무정하다 저 달 빛은 천리원정에 님 잃은 서름 너는 어이 모르냐. 51.바람 불어 누운 남기 봄 비 온다고 일어나며 님으로 연하여 얻은 병이 약을 쓴다고 낳을 소냐. 우황 웅담으로 집을 짓고 청심환으로 왕토를 치고, 인삼 녹용으로 구들을 놓고 삼신산 불로초로 약을 지어서 먹은 후에, 화타 편작이 갱생(更生)을 해도 님으로 연하여 애타는 간장 이내 병 낫기는 만무로구나. 52.인간 이별 만사중에 날같은 사람 또 있는가 천지만물 분연후에 설른 이별이 몇몇이냐. 강산에 떠 가는 저 배는 가는 곳이 그 어디메뇨, 만단수회 실은 후에 천리 약수 건너 가서 임계산 곳에 풀고지고, 장탄단우 이내 설움 구곡간장 맺힌 한을 어이하면 풀어볼까. 53. 동정호 지는 달도 그믐이 지나면 또 볼수 있고 북경 길이 멀다해도 사신행차가 왕래하고, 하늘이 높다 해도 오경전에 이슬이 오고, 무한년 정배라도 사만 있으면 풀리는데 황천길은 얼마나 멀게 한번 가며는 영절인가. 54.창해월명 두우성은 님 계신곳 바쳐 있고 회포는 심란한데 해는 어이 수이 가노, 잘새는 집을 찾아 무리무리 날아들고, 야색은 창망하여 달빛 조차 희미 한데 경경히 그리는것은 간장 썩는 눈물이라. 55.춘풍화류 번화시에 애를 끊는 저 두견아 허다공산을 다 버리고 내 창전에 와 왜 우느냐. 밤중이면 네 울음 소리 억지로든잠 다 깨운다. 잠을 자느냐 꿈을 꾸느냐 날 생각 하느라고 번민이냐 생각을 하고 또 생각해도 님의 화용이 그리워 뭇살겠네. 56.뉘라서 장사라더냐 죽음 길에도 장사가 있나 누누중충 북망산을 뉘 힘으로 뽑아 내며 봉리춘풍 빠른 광음을 어느 재사라 막아 내리 명황도 눈물을 짓고 왕후장상도 울었으니 오는 백발을 어이하리 진시황 한무제도 채약구선 못 하고서 여산황릉 갚은 골에 모연주초 뿐이로다 고왕금래 영웅 호걸이 백발이 공도 되어 속절 없이 묻혔구나. 57.님과 날과 만날적에는 백년을 살자고 언약을 하고 태산을 두고 맹서를 하고 하해를 두고서 언약을 하더니, 산수지맹은 간 곳 없고 다만 남은건 이별이라, 이별 두자 누가 내며 사랑 두자를 그 누가 냇나 이별 두자 내인 사람 날과 한 백년 원수로다. 박랑사중 쓰고 남은 철퇴 천하장사 항우를 주어 깨치리로다 깨치리라 이별 두 자를 깨치리라. 58.억만장안 남북촌에 영웅호걸 재자가인 명기명창 가객이며 가진풍류를 갖추어 싣고, 순풍에 돛을 달어 범피중류 내려 갈제, 벽파상에 나는 백구는 흥에 겨워 춤을 추고 고기 잡는 어옹(漁翁) 들은 어기여차 노래한다. 세상공명 다 떨치고 풍월 따라 희롱하니 이도 또한 좋을시고. 59.봄이 왔네 봄이 왔네 원근산천에 봄이 왔네 먼 산의 아지랑이 아롱아롱 뒷 내에 실 버들 하늘하늘, 불탄 잔디 속 잎이 나니 봄은 분명 봄 이로구나. 강남 갔던 저 제비도 옛 집을 찾아 다시 오고 개나리 진달화 만발하니 벌 나비 잡충이 춤을 춘다. 우리 인생도 저 봄과 같이 다시 젊지를 왜 못하나. 원수로구려 원수로구려 무정세월이 원수로구려 검던 머리 곱던 양자 어언간에 백발일세. 백발이 날 찾아올 줄 알았으면 한 손에는 창을 들고 또 한 손에는 철퇴를 들고 오는 백발을 막을것을. 60.우연히 길을 갈적에 이상한 새가 울음을 운다 무슨 새가 울랴마는 적벽화전의 비운이라 하야구구(귀귀) 진토를 보고 설리 통곡 우는 모양 사람의 심리로서야 참아 진정 못 보겠네. 포연탄우 모진광풍에 천하장사 영웅호걸이 비명횡사가 몇몇일러냐. 일후에 그 원혼들이 와석종신 못 한 이한을 어느 누구에게 하소연 하느냐 61.서산에 해 기울고 황혼이 짙었는데 안 오는 님 기다리며 마음을 죄일 적에, 동산에 달이 돋아 온 천하를 비쳐 있고, 외기러기 홀로떠서 짝을 불러 슬피 울 제 원망스런 우리 님은 한없이 기다리다 일경이경 삼사오경 어느덧이 새벽일세. 추야장 긴 긴 밤을 전전불매 잠못 들제 상사일념 애타는 줄 그대는 아시는가, 둘데 없는 이내 심사 어디다가 붙여 볼까 차라리 잊자 해도 욕망이 난망이라 차마 진정 못 잊겠네. 62.산은 적적 월황혼에 두견접동 슬피 울고 오동 우에 비낀 달은 이내 회포를 돋우는데, 야월공산 깊은 밤에 님 그리워 설이울제. 독대등촉 벗을 삼아 전전불매 잠못 들고 상사일염 애 태우니, 옥장의 깊은 곳에 잠든 님을 생각을하고 남가일몽 꿈속에라도 잠깐이나마 보고 지고, 짝을 잃고 우는 저 두견아 남의 원통 이 사정을 너는 왜 이다지도 모르느냐. 63.손목을 잡고 작별을 하려고 눈물 씻고 자세히 보니 홍도와 같이 고운 얼굴에 앵도와 같이 붉은 입술 검은 눈섭을 그린듯이 깍은듯이 가는 허리가 활대와 같이 휘였구나 노란 저고리 다홍치마에 붉은 깃에 남 끝동에 물명주 삼팔 수건을 눈결과 같이 휘여잡고 들며 날며 곁눈질에 돈 없는 건달 마음 산란하다.
31    '위안부'(慰安婦)와 조선민족 남자 댓글:  조회:2994  추천:1  2019-04-29
'위안부'와 한민족(조선)남자 최근 언론에는 소리가 여느 때보다 많이 오르고 있다. 진짜 를 관심하는 것인지?! [정치인들의 눈 가림인지•••] < 위안부>는 세계 백여 개 나라, 몇 백 개 민족 속에 조선(한국)과 한민족에게만 속하는 특유의 이다. < 위안부>는 한 세 기전 일본이 조선을 멸하고 조선과조선민족사내들에게 들씌운  치욕의 오강이다.. 나는 일본 애들 말하지 않는다.한민족 여성들이 강 족에게 끌려 다닌 적이 처음이고, 일본애들 뿐이가? 예전부터 나는 한민족사내들을 말한다. ... 사내란 게 제 나라, 제 여자를 지키지 못하여 나라가 망하고 그 많은 아녀자들이 오랑캐들에 끌려 다니며 치욕 당했는가?! 역사상 그것도 한번 아니고... ...  세계 백여개 나라 몇 백 개 민족에 이런 일이 있었던가?! 왜 세계 그많은 나라, 민족 중에 유독 조선/한국과한민족에게만 가 있고, 란 딱지가 붙는가?! 조선,한국남자들이 사고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조선의 역사와 문화를 살펴보면 외(外)족에 쫓기고 강적을 섬기며 동족끼리 살육하는 세월이었다.(지금도 마찬가지다.) 거기에 조정이 부패무능하고 관리, 양반들이 늘 기생, 여자들을 차고 강가, 숲 속을 누비며 북, 장단 속에 를 꼬부랑 외치며 아녀자들 치마속에 묻혀 삶의 을 향수하며 세월을 보낸다. 덕으로 이웃나라,  민족에게 큰 땅덩이를 다 때웠고 쪼고만 조선,한반도로 몰 리였다. 후로는 바다건너 작은 섬나라 일본 애들에게 망하는 꼴이 됐고 민족에게 [위안부]란 세계에 둘도 없는 치욕적인 단어도 얻게 되였다. 현재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나라가 분열되고 혈육이 갈라져 사는 민족이다. 그 현황에서도 한시도 한 피 줄타고 난 형제를 비방하고 멸하지 못하여 이를 갈고 있다. 조선/한민족이 반성하고 사고해야 할 것이 아닌가 한다. 잍본을 규탄하고 배상을 요구할 것이 아니라, 우리여성들이 제 나라 남자들을 원망하고 그들로부터 사죄를 받아야 한다고 본다, 조선/한민족남자들이 나라를 굳건히 지키고 제 여자를 잘 보호하였으면 그 여자들이 외(外)족들에게 끌려 다니며 굴욕을 당 하 였게는가? ! 조선/한국사내들이 제 책임을 다 하였으면 조선나라 조선/한민족에게 세상에 둘도 없는 란 치욕적인 딱지가 붙어 겠 는가?!조선/한민족사내들이 똑똑하고 잘하였으면 이런 일이 있었겠는가? 일본 애들이 사과할 것이 아니라 조선/한민족사내들이 우리여성들에게 심심히 허리 굽혀 사과해야 한다고 본다. 왜,조선/한민족이 이렇게 되였는가? 왜,조선/한민족에게 란 세계에서 둘도 없는 치욕적인 단어가 붙게 되였는가?! 전체 조선민족이 사유해 볼 일이라고 본다. 부끄럽게 떠들썩거리지 말고 숙고해보아야 한다고 본다.    한국경기도안성에서 여때 여건이 안 되여 써놓아 던 글을 이제야 올려 본다.   출처 : 동포투데이 
이성계가 몽골족인지 여진족 인지 , 한족인지는 확실히 모르겠으나 , 확실한건 동북면 사람 이었다. 고려의 영토는 어디까지나 강동6주 까지 였고 동북면을 개척한건 공민왕 시절 이었다. "이성계가 고려인이다" 논리 로 보자니 18세 이안사 시절 산성별감이 전주로 부임하여 의주지사宜州知事 로 있던 이안사 에게 관기官妓를 요구하였으나 이안사가 거절하자 사병으로 이안사를 공격할려하자 이안사는 혈족과 외족 170여호를 이끌고 고려를 떠나 동북면으로 이주하여 원나라 다루가치 가 되었다는 것이다. 근데 원나라 시절 당시 어느정도 고려인 들이 몽골관직 받고 천호자리에 앉은 사람들이 있지만 그자들은 그냥 봐도 고려인 후손 인줄 알지만 이성계는 아니였다. 그 이유는 귀화한 사람들은 성씨를 안바꿨기 때문이다. 이성계가 정말 고려인 후손 이라면 성씨는 안바꿨을 것이다.   태종 26권, 13년(1413 계사 / 명 영락(永樂) 11년) 8월 6일(임자) 4번째기사 - 동북면 천호 등이 민호를 사사로이 사역하는 것을 없애다  동북면에 와서 사는 향화인(向化人) 가운데 천호(千戶) 김고시첩목아(金高時帖木兒)의 관하인 이구대(李求大)와 최야오내(崔也吾乃)의 관하인 김양용(金良龍) 등 7인이 고하기를,   - 고려인 가운데 원나라 천호 관직 받고 귀화한 사람들 보면 성씨는 안바꿨다. 참고로 고려사 보다 보면 어느정도 등장한다.   김씨 - 김고시첩목아(金高時帖木兒) 이씨 - 이구대(李求大) 최씨 - 최야오내(崔也吾乃) 기씨 - 기샤인테무르 이씨 - 이오로첨목아 최씨 - 최첩목아(崔帖木兒) 박씨 - 박불화(朴不花)   여진족 가운데 천호 받은 사람들 보면  여진(女眞) 금패천호(金牌千戶) 아라부카[阿羅不花] 천호 관직 대를 이은 투란테무르  투란테무르 는 고려로 귀화해 이두란 이 되었다 22세 이성계 는 아가바토르  21세 이자춘 은 우르스부카 [吾魯思不花] 20세 이춘 孛顔帖木兒(패안첩목아) * 추정하건대 이성계는 몽골세력의 지배를 받는 여진오랑캐와 한족의 혼혈혈통으로 고려에 귀화한 외국인임이 틀림없다.   [출처] 이성계 가 정말 고려인 인가|작성자 iece12345    
29    가짜 역경 주역을 말한다 댓글:  조회:2731  추천:0  2019-01-04
역경(易經)은 인류 역사를 통틀어서 가장 위대하고 심오한 이치를 담고 있는 책이다. 인류역사에서 경(經)이라고 부를 만한 책이 역경(易經) 말고는 없다. 역경(易經)에는 우주와 만물에 대한 모든 이치와 사람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모든 지혜가 담겨 있다. 역경은 8천 년 전에 살았던 복희씨(伏羲氏)가 처음 만들어 자손들한테 전한 것이다. 그러나 역경이 긴 세월을 전해 오는 동안 내용의 거의 모든 부분이 훼손되고 왜곡되어 잘못 전해졌다. 지금 전해 오는 역경은 3천여 년 전에 주나라 문왕(文王) 창(昌)과 흔히 강태공(姜太公)이라고 부르는 강상(姜尙)이 수십 년에 걸쳐 고의로 왜곡한 것이다. 문왕과 강태공은 역경을 연구하여 편찬한다는 명목으로 역경의 순서와 내용을 교묘하게 뒤바꾸고 뜯어고쳐서 상(商)나라를 뒤엎고 나라를 빼앗는 도구로 삼았다. 문왕과 강태공은 가장 위대한 책을 가장 사악한 목적으로 활용한 것이다. 그러므로 지금 전해 오는 역경은 문왕과 강태공이 찬역(贊易)을 한다는 핑계로 훼손하고 왜곡한 가짜 역경(易經)이다. 역경을 주역(周易)이라고 부르는데 주나라의 문왕이 만들었다고 하여 주역이라는 이름을 붙인 것이다. 문왕이 교묘하게 만든 가짜 주역을 그 뒤로 3천 년 동안 모든 사람들이 진짜로 잘못 알고 있는 것이다. 문왕과 강태공이 만든 가짜 주역에 날개를 달아 그 위상을 가장 크게 높이고 온 세상에 널리 알려지게 한 사람이 공자(孔子)이다. 공자는 일생 동안 주역을 기록되어 있는 죽간(竹簡)을 묶은 가죽 끈이 세 번이 닳아 없어질 만큼 주역을 연구했으나 그것이 문왕과 강태공이 만든 가짜라는 것을 알지 못하고 오히려 역경(易經)의 괘상(卦象)에 해석을 붙여 십익(十翼)을 지어 가짜 주역에 날개를 달아 주었다. 십익(十翼)의 익(翼)은 날개 익(翼)이다. 새는 두 개의 날개만 갖고도 구만리장천(九萬里長天)을 마음대로 날아다닐 수 있는데 유학(儒學)의 시조(始祖)이며 성인(聖人)으로 칭송을 받는 공자가 열 개나 되는 날개를 달아 주었으니 이 가짜 주역이 얼마나 이 세상을 힘차게 잘 날아다닐 수 있었겠는가? ​ ​   그 뒤로 가짜 주역이 온 천하의 모든 학문을 장악했다. 교묘하게 왜곡된 가짜 주역이 천문학, 명리학, 자연과학, 수학(數學) 인문학, 생물학, 점술학 등 거의 모든 학문의 기초가 되었다. 그러나 공자(孔子) 뒤로 2천 5백 년 동안 주역이 가짜라는 것을 조금이라도 의심하거나 알아차린 사람이 단 한 사람도 없었다. 인류는 거의 3천 년 동안 가짜 주역(周易)의 절대적인 영향력 아래에서 암흑의 세월을 살아왔다. 지금까지도 훼손되고 왜곡된 이 가짜 주역이 온 세상을 설치면서 종횡무진(縱橫無盡)하고 있다. 이것은 중세 유럽에서 타락한 천주교(天主敎)가 인간 정신을 말살하고 하나님의 이름으로 멀쩡한 여인들을 마녀로 몰아 사냥하고 면죄부를 판매하여 재물을 모으고 다른 종교를 가진 이민족을 상대로 전쟁을 일으켜 무자비한 살생을 자행한 것과 같은 것이다.  ​그러나 칠흑 같은 밤이 지나고 밝은 태양이 떠오르면 마침내 밝은 낮이 오는 법이다. 올빼미는 칠흑 같은 어둠 속을 썩은 고기를 찾아서 날아다니지만 낮이 되면 컴컴한 속에서 숨어서 지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역경(易經)의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아서 본래의 원본과 같이 복원하는 것이 인류 역사에서 누군가가 반드시 해야 할 가장 크고 중요한 일이다. 본래 온전한 상태로 전해 오던 역경을 가장 크게 훼손하고 조작하여 지금의 주역(周易)과 같은 가짜로 경서(經書)로 만든 자는 3천여 년 전에 살았던 주나라의 문왕(文王)과 강태공(姜太公)이다. 강태공은 중국을 페르시아 민족들한테 팔아넘긴 인류 역사에서 둘도 없는 최고의 매국노(賣國奴)다. 문왕은 모반을 꾀하다가 붙잡혀 유리옥이라고 하는 교화소에 있으면서 7년 동안 역학을 연구하여 복희팔괘(伏羲八卦)를 교묘하게 뜯어고쳐서 문왕팔괘(文王八卦)를 만들고 강태공을 국사(國師)로 받들어 가장 높은 벼슬을 주고 함께 역경의 대부분을 교묘하게 뜯어고치고 훼손하여 진짜처럼 위조하였다. 지금부터 3천 1백년 쯤 전에 고공단보(古公亶父)라고 하는 페르시아 사람이 그 종족 간에 있었던 세력다툼에서 패하여 패잔병과 그 가족들 1,000여 가구를 데리고 중국으로 망명하여 지금의 중국 서안(西安) 지방에 정착하였다. 그 때 서안 지방에 있었던 강(姜)나라의 귀족 여성 강녀(姜女)가 고공단보가 서양 사람의 외모를 지니고 있는 것에 반하여 내연관계를 맺었다. 그런 다음에 호색가(好色家)였던 고공단보는 강녀를 첩으로 삼았다. 고공단보는 강녀를 첩으로 얻은 뒤에 힘을 길러서 강나라를 집어삼키고 그 지역 일대의 모든 영토(領土)를 다스리는 제후(諸侯)가 되었다. 그로부터 3대가 지난 뒤에 고공단보의 손자인 문왕과 천하제일의 책략가 강태공이 결탁하여 온갖 위계술(僞計術)과 유언비어(流言蜚語)로 백성들의 민심(民心)을 조작하고 선동(煽動)하여 전쟁을 일으켜 상나라를 쳐서 뒤집어엎고 통일 왕국을 세웠다. 강태공은 육도삼략(六韜三略)이라는 병법서(兵法書)를 지은 전술가(戰術家)로 위계술(僞計術)과 이간(離間)질에 가장 뛰어난 능력을 지닌 사람이다. 그들은 상나라를 멸망시키고 왕위를 찬탈하기 위한 준비로 상업을 크게 일으켜서 실크로드를 통해 서양을 왕래하면서 무역을 해서 엄청난 부를 축적하고 힘을 길렀다. 상(商)나라의 주왕(紂王)이 이를 알고 문왕(文王)을 서쪽에 있는 모든 제후들을 다스리는 서백(西伯)이라는 큰 벼슬을 주었다. 그 때에 문왕이 그 아버지 계력(季歷) 등과 함께 비밀리에 상나라를 뒤엎으려고 역적모의를 하다가 발각되어 문왕의 큰아들 백읍고(伯邑考)를 포함한 일당 4-5명이 현장에서 체포되었다. 형리들이 문왕의 큰 아들 백읍고를 잡아서 문초(問招)를 하였더니 백읍고는 어쩔 수 없이 아버지 문왕이 주모자(主謀者)이고 모든 것을 아버지가 시켜서 한 것이라고 사실대로 실토(實吐)를 하였다. 그래서 문왕을 주모자로 붙잡아 와서 문초를 하였더니 문왕은 태연하게 나는 그 놈과는 아무런 연관이 없으며 본래부터 그 놈은 불효막심(不孝莫甚)한 놈이므로 나를 해치기 위하여 모함을 하였을 뿐이라고 주장하였다. 중국은 인의예지(仁義禮智)를 숭상하는 나라이다. 아무리 역모(逆謀)를 꾸민 죄인이라고 해도 자백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명백한 증거 없이 짐작만으로 사람을 처벌할 수 없는 것이다. 문왕을 심문한 형리들이 그렇다면 틀림없이 대역죄(大逆罪)를 지은 네 아들을 죽여서 그 고기로 국을 끓여서 너한테 줄 것이니 그것을 먹을 수겠는가 하고 물었다. 문왕은 그 놈은 국가에 반역하고 나한테도 큰 불효를 저지른 놈이므로 만 번 죽어 마땅하고 나는 그 놈의 고기를 아주 맛있게 먹을 뿐만 아니라 먹고 나서 한 그릇 더 달라고 할 것이라고 대답하였다. 그 말을 듣고 상나라의 형리(刑吏)들은 문왕이 아들이 역적모의를 한 것과는 별로 연관이 없는 것으로 여기고 문왕을 죽이지는 않고 감옥(監獄)에 가두어 두었다. 상나라 형리들은 대역죄를 지은 백읍고를 능지처참(凌遲處斬)하여 죽였다. 능지처참(凌遲處斬)은 역적(逆賊)을 처형하는 가장 잔인한 형벌로 죄인을 십자가에 묶어놓고 산 채로 살을 회를 떠서 2-3일에 걸쳐 가장 고통스럽게 천천히 죽이는 것으로 천도만과(千刀萬剮)라고도 부른다. 천도만과는 천 번 살을 베어내고 만 번 뼈와 살을 발라낸다는 뜻이다. 실제로 살을 얇게 발라내어 수천 번을 칼질을 해서 죽인다. 형리들이 백읍고의 고기로 국을 끓여 감옥에 있는 문왕한테 갖다 주었더니 문왕은 눈도 한 번 깜빡하지 않고 태연하게 맛있게 먹고 나서 한 그릇 더 달라고 해서 한 그릇을 더 먹었다고 한다. 반역을 꾀한 주모자라는 의심을 풀고 살아남기 위해 마음속으로는 이들 부득부득 갈면서 겉으로는 아주 태연하게 아들의 고기를 먹은 것이다. 형리들은 그러나 그의 행적(行蹟)에 미심쩍은 부분이 남아 있으므로 문왕을 유리옥(羑里獄)이라는 곳에 두어 근신(謹愼)하게 하였다. 유리옥은 감옥이 아니라 교화소(敎化所)와 같은 곳이다. 이것은 죄를 지은 것에 대해 벌이 아니라 아들을 잘못 키운 것 곧 수신제가(修身齊家)를 제대로 하지 못한 것에 대한 질책으로 유리옥에서 교화(敎化)를 받게 한 것이다. 그러나 그 전에 이미 문왕은 강태공을 만나서 밀서(密書)를 주고 받으면서 천하를 뒤엎을 계략을 짜 놓고 은밀하게 추진하고 있는 중이었다. 문왕은 열 명이 넘는 아들이 있었다. 큰 아들 백읍고가 죽은 뒤로 문왕은 유리옥에 있으면서 둘째 아들인 무왕(武王)과 셋째 아들인 주공(周公), 강태공과 서로 밀약(密約)을 맺고 역경(易經)을 편찬한다는 명목으로 곧 찬역(贊易)을 빙자(憑藉)하여 7년 동안에 걸쳐서 역경의 괘사(卦辭)를 모조리 뜯어고쳤다. 지금 남아 있는 가짜 주역(周易)은 본래 복희씨가 만든 원본이 그대로 남아 있는 부분도 있고 교묘하게 뜯어 고친 부분도 있다. 중간에 있던 부분을 찢어내고 위조한 글로 바꿔치기를 한 것이 제일 많다. 한문은 본디 우리나라 글이므로 우리말과 어순(語順)이 같다. 그런데 어순과 어법을 영어와 같은 방식으로 뜯어고친 것도 그 때부터 비롯된 것이다. 그래서 우리말과 같았던 중국말의 어순(語順)이 영어처럼 순서가 반대로 뒤바뀐 것이다. 나중에 역경 편찬을 끝냈다고 하면서 내어 놓았을 때 그것을 살펴 본 검사관(檢査官)이 역경(易經)은 본디 어려운 것이라고 하여 제대로 살펴보지 않고 지나쳐 버렸기 때문에 가짜 주역이 지금까지 그대로 남아 있게 되었다. 역경은 문왕이 90퍼센트 정도를 훼손(毁損)하고 위조(僞造)하여 그것을 온갖 반역 행위의 기본 술책(術策)을 담은 경전(經典)으로 삼았다. ​문왕이 죽고 나서 그의 아들 무왕(武王)이 강태공을 군사(軍師)로 하여 마침내 상나라를 무너뜨리고 천하를 통일하여 주나라를 세우고 첫 임금이 되어 중국 대륙 전체를 다스리는 주인이 되었다. 강태공은 주나라의 건국공신이며 문왕의 스승이고 무왕과 주공(周公)의 태사부(太師父)가 되었다. 이렇게 하여 중국 대륙 전체가 서양에서 망명한 페르시아 민족 곧 서융(西戎) 족한테 완전히 넘어가게 된 것이다. 그러나 사기(史記)를 비롯한 지금 남아 있는 모든 역사 기록에는 고공단보(古公亶父)가 서융 족이 아니라 5천 년 전에 살았던 우리 민족의 시조인 황제(黃帝)의 35대손이며 후직(后稷)의 12대 손이라고 적혀 있다. 그러나 이것은 문왕과 무왕, 강태공은 반역으로 국가를 찬탈한 것을 합리화(合理化)하기 위해 조상들의 족보를 비롯하여 모든 역사 기록을 자신들한테 유리하게 조작(造作)한 것이다. 모든 역사(歷史)의 기록은 승자(勝者)가 기록한 것이다. 승자는 모든 역사를 자신의 편에 유리하게 기록하고 패자(敗者)를 불리하게 기록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권력에 대한 정당성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게 하여 가장 곧고 바른 임금이었던 상나라의 주왕(紂王)은 역시 최고의 호걸(豪傑)이었던 하나라의 걸왕(傑王)과 함께 주지육림(酒池肉林)을 일삼은 폭군(暴君)의 대명사가 되었다. 주왕(紂王)의 주(紂)는 곧을 주(紂) 또는 먹줄 주(紂)이고 걸왕(傑王)의 걸(傑)은 호걸 걸(傑) 또는 뛰어날 걸(傑)이다. 주왕은 먹줄처럼 곧은 임금이었고 걸왕은 가장 뛰어난 호걸과 같은 임금이었다. 문왕과 무왕 강태공, 이윤(伊尹) 같은 자들이 권력을 얻은 다음에 가장 훌륭하고 뛰어난 인물들을 가장 악한 인물로 만들어 모함하고 깎아내려서 모든 역사 기록을 조작한 것이다. 걸왕과 주왕은 인류 역사에서 가장 훌륭한 임금으로 첫손에 꼽을 수 있는 임금들이었다. 중국 역사에서 4대 악녀(惡女) 중에 하나로 꼽는 달기(妲己)와 말희(末喜) 또한 요부(妖婦)가 아니라 중국 역사에서 3대 귀인(貴人) 중에 하나로 꼽을 만큼 훌륭한 여인들이었다. 지금 중국에는 역경을 제대로 알고 아해할 수 있는 사람이 없다. 중국 문화는 주나라의 영향으로 서양과 같아져 버린 지 이미 수천 년이 지났다. 중국을 동양이라고 하는데 중국은 동양이 아니다. 우리나라에서 보면 중국은 서양이다. 본래 우리나라를 기준으로 하여 서양과 동양을 나누는 것이다. 어디에 있든지 내가 서 있는 곳이 중심이다. 중국은 우리나라의 서쪽에 있으므로 서양이며 결코 동양이라고 할 수 없다. 서방(西方)은 금(金)이고 금극목(金克木)의 이치에 따라 우리나라는 목(木)이므로 금(金)과 목(木)은 절대 서로 화합할 수 없다. 금(金)은 쇠로 만든 창칼과 같은 무기이며 목(木)은 나무와 풀이다. 풀과 나무는 쇠로 만든 톱과 도끼와 낫으로 자르는 것이다. 지금까지 역사 기록에 남아 있는 것만 대충 따져 보아도 중국은 우리나라를 950번이나 침략하였다. 중국이 부강해지고 힘이 생기면 언제나 우리나라를 침략하였다. 중국은 이제 미국과 패권(覇權)을 다툴 수 있을 만큼 국력이 강해졌다. 앞으로도 중국은 반드시 우리나라를 침략할 것이다. 공자와 맹자는 이와 같은 사실을 전혀 눈치 채지 못하고 문왕과 무왕을 성인으로 여기고 존경하고 칭찬하였다. 공자는 주공(周公)을 존경하여 늙어서 기력이 쇠약하여 꿈에서라도 주공을 만나지 못하게 된 것을 한탄하였다고 적혀 있다. 맹자는 공자의 제자로 공자보다 늦게 태어난 사람이지만 여러 면에서 자질이 공자보다 더 나은 사람이었다. 춘추(春秋)는 공자가 노나라 사관(史館)이 기록한 역사책에 자신의 글을 적어서 다시 편찬한 노나라의 역사책이다. 의(義)에 기준을 두고 가장 공정하게 춘추필법(春秋筆法)으로 역사를 평가하고 기록해야 한다고 주장한 공자 자신이 가장 흉악(凶惡)한 인물인 문왕과 무왕을 가장 위대하고 훌륭한 인물로 착각하고 잘못 기록한 것이다. 문왕은 처음부터 끝까지 백성들을 선동하여 성군(聖君)을 폭군(暴君)으로 조작하여 모함(謀陷)하고 온갖 유언비어(流言蜚語)를 퍼뜨려서 백성들의 마음을 이탈시키고 제후(諸侯)들의 마음을 사로잡아 그들과 연합하여 상나라를 무너뜨리고 그 영토를 나누기로 밀약을 맺고 계략(計略)과 힘을 합쳐서 마침내 나라를 강탈(强奪)하였다.
28    종묘제례악의 변질과 전통음악의 타락 - ⑤ 댓글:  조회:2492  추천:0  2018-11-25
현재의 기성 국악권력을 가진 이들의 역사는  1911년에 만들어진 이왕직 아악부로부터 비롯된다. 한일 강제병합 후 일제는 천황의 통치 아래 식민지 조선의 형식적 권력기구인 ‘이왕직’을 두었다. 물론 실질적인 통치는 조선총독부가 했고  이왕직은 허수아비로서 조선왕가의 일을 맡은 관청이었다. 태생이 이러한 이왕직 산하의 음악기구인 아악부가  친일음악을 했을 것은 너무 자명한 일이었다. 그 중에는 울분에 못 이겨 그만둔 이도 있었고 먹고 사는 일이라고 위로하며 소극적으로 활동을 한 이도 있었지만 김기수처럼 최초의 친일국악창작곡 을 작곡하여 일제에 대한 예술가적 충성심을 발휘한 사람들도 있었다. (친일문학에는 서정주, 친일국악에는 김기수) 이왕직 아악부(이하 그들이라고 부른다)가 종묘제례악을 왜곡한 것은 남상숙 선생의 연구를 통해 충분히 밝혔는데 그들이 한 짓은 그뿐이 아니었다. 아악은 궁중의 행사(조회, 제례, 회례)에 쓰는 음악의 통칭이다. 그러므로 아악부는 궁중음악만을 연주하는 기관이다. 그런데 어쩐 일인지 그들은 일제 강점기 중반부터 자신들의 음악 레퍼토리를 확장하기 시작한다. 은 궁중음악이 아니다. 가곡, 가사, 시조도 마찬가지. 풍류음악의 일종인 와 도 그렇다. 그들은 이런 음악들을 민간음악인들을 초빙하여 배우기 시작한다. 해방이 되고 한국 전통음악계는 이왕직 아악부 출신과  민간음악가 출신으로 이루어진 으로 나누어졌다. 이왕직은 소수였고 은 절대다수였지만 이왕직들에게는 정치인들과의 연줄이 있었다. 1951년 전쟁의 와중에 임시 수도 부산에서 국립국악원이 결성되었을 때  이왕직들은 국립국악원의 핵심 요직을 차지했다. 그들은 일제 강점기의 음악권력을 다시 찾았다. 그들은 1947년 서울대 음대가 생길 때 끼어들더니 1959년 서울대 국악과가 만들어지자 튼튼한 철옹성을 구축했다. 그들은 이왕직 시절 자신들이 익힌 음악을 정악(正樂)이라고 명명하고 나머지 전통음악을 민속악(民俗樂)이라 부르며 멸시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판소리, 산조, 농악, 민요, 무속음악 등을 국악과의 커리큘럼에서 철저히 배제했고 정악과 민속악이라는 편가르기를 했다. 서울대 국악과에서 배출된 이왕직의 제자들은  국립국악원, 국악고, 타 대학의 국악과에서 활약을 하게 되었고 국악개론도 만들었다. 서울대 국악과 출신인 단국대 국악과 서한범 교수는 자신이 쓴 총 346페이지 중에서  민속악의 설명에 단 두 페이지만을 허용했다. 학문이 아니라 만행이었다. 서울대 국악과에서 석사과정을 했던 백대웅 교수는 석사논문을 세 번이나 써야 했다. 민속악인 판소리를 주제로 논문을 썼기 때문이었다. 백교수는 퇴짜 맞은 논문을 모아 라는 책을 냈고 정악과 민속악의 이분법에서 벗어난 국악개론서 을 집필했다.   남상숙 선생은 환갑이 넘은 연세인데 여전히 국악계의 비주류였다. 지금까지 전임직 하나 얻지 못하고 보따리 장사로 계시다가 한국예술종합학교 겸임교수로 재직중이다.      이 스토리의 결말은 해피앤딩도 아니고 비극도 아니다. 이 스토리는 현재진행형이다. 결말은 아무도 모른다.  
27    종묘제례악의 변질과 전통음악의 타락 - ⑤ 댓글:  조회:2073  추천:0  2018-11-25
현재의 기성 국악권력을 가진 이들의 역사는  1911년에 만들어진 이왕직 아악부로부터 비롯된다. 한일 강제병합 후 일제는 천황의 통치 아래 식민지 조선의 형식적 권력기구인 ‘이왕직’을 두었다. 물론 실질적인 통치는 조선총독부가 했고  이왕직은 허수아비로서 조선왕가의 일을 맡은 관청이었다. 태생이 이러한 이왕직 산하의 음악기구인 아악부가  친일음악을 했을 것은 너무 자명한 일이었다. 그 중에는 울분에 못 이겨 그만둔 이도 있었고 먹고 사는 일이라고 위로하며 소극적으로 활동을 한 이도 있었지만 김기수처럼 최초의 친일국악창작곡 을 작곡하여 일제에 대한 예술가적 충성심을 발휘한 사람들도 있었다. (친일문학에는 서정주, 친일국악에는 김기수) 이왕직 아악부(이하 그들이라고 부른다)가 종묘제례악을 왜곡한 것은 남상숙 선생의 연구를 통해 충분히 밝혔는데 그들이 한 짓은 그뿐이 아니었다. 아악은 궁중의 행사(조회, 제례, 회례)에 쓰는 음악의 통칭이다. 그러므로 아악부는 궁중음악만을 연주하는 기관이다. 그런데 어쩐 일인지 그들은 일제 강점기 중반부터 자신들의 음악 레퍼토리를 확장하기 시작한다. 은 궁중음악이 아니다. 가곡, 가사, 시조도 마찬가지. 풍류음악의 일종인 와 도 그렇다. 그들은 이런 음악들을 민간음악인들을 초빙하여 배우기 시작한다. 해방이 되고 한국 전통음악계는 이왕직 아악부 출신과  민간음악가 출신으로 이루어진 으로 나누어졌다. 이왕직은 소수였고 은 절대다수였지만 이왕직들에게는 정치인들과의 연줄이 있었다. 1951년 전쟁의 와중에 임시 수도 부산에서 국립국악원이 결성되었을 때  이왕직들은 국립국악원의 핵심 요직을 차지했다. 그들은 일제 강점기의 음악권력을 다시 찾았다. 그들은 1947년 서울대 음대가 생길 때 끼어들더니 1959년 서울대 국악과가 만들어지자 튼튼한 철옹성을 구축했다. 그들은 이왕직 시절 자신들이 익힌 음악을 정악(正樂)이라고 명명하고 나머지 전통음악을 민속악(民俗樂)이라 부르며 멸시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판소리, 산조, 농악, 민요, 무속음악 등을 국악과의 커리큘럼에서 철저히 배제했고 정악과 민속악이라는 편가르기를 했다. 서울대 국악과에서 배출된 이왕직의 제자들은  국립국악원, 국악고, 타 대학의 국악과에서 활약을 하게 되었고 국악개론도 만들었다. 서울대 국악과 출신인 단국대 국악과 서한범 교수는 자신이 쓴 총 346페이지 중에서  민속악의 설명에 단 두 페이지만을 허용했다. 학문이 아니라 만행이었다. 서울대 국악과에서 석사과정을 했던 백대웅 교수는 석사논문을 세 번이나 써야 했다. 민속악인 판소리를 주제로 논문을 썼기 때문이었다. 백교수는 퇴짜 맞은 논문을 모아 라는 책을 냈고 정악과 민속악의 이분법에서 벗어난 국악개론서 을 집필했다.   남상숙 선생은 환갑이 넘은 연세인데 여전히 국악계의 비주류였다. 지금까지 전임직 하나 얻지 못하고 보따리 장사로 계시다가 한국예술종합학교 겸임교수로 재직중이다.      이 스토리의 결말은 해피앤딩도 아니고 비극도 아니다. 이 스토리는 현재진행형이다. 결말은 아무도 모른다.  
26    종묘제례악의 변질과 전통음악의 타락 - ④ 댓글:  조회:2430  추천:0  2018-11-25
남상숙 선생의 종묘제례악 왜곡론은 기성 국악계에 난데없는 날벼락이었지만 그들의 카르텔은 공고했다. 이왕직 아악부 출신인 성경린은 ‘전통론’을 들고 나왔다. 그는 말했다. “전통이라는 것은 스승에게서 배운 것을  그대로 이어오는 것으로 고악보의 것을 그대로 복원한다고 하여도  그것은 이미 전통의 맥은 끊어진 것이다“ (성경린이 글로 쓴 것인데 어법도 안 맞는다)  그의 말을 서양 클래식에 비유해보자. 베토벤의 이 있는데 수백 종의 악보가 같은 표기로 전해져 왔다. 그런데 20세기 초에 선율은 같은데 리듬이 전혀 다른 악보가 발견되었고 악기편성도 축소된 형태였다고 치자. 그리고 그 변형된 악보대로 을 연주한 일단의 사람들이 그것을 진짜라 하고 제자들을 가르쳤다. 그 제자들이 스승에게 배운 베토벤의 을 진짜라고 한다. 왜? 전통은 스승에게서 배운 것이기 때문에 베토벤의 친필 악보를 복원한다고 해도 그것은 이미 전통이 아니다. 이런 황당한 전통론은  남선생의 기습에 당황한 기성 국악계에 빛과 소금이 되었다. 남선생은 2003년 이후로 지금까지 이 문제와 관련하여 10여 편의 논문을 썼지만 단 한 편의 반박 논문도 나오지 않았다. 그들도 사실이라는 걸 알았다. 문제는 사실을 순순히 인정하면 그들이 지금까지 쌓아온 권력이 맥없이 무너진다는 걸 알고 있었다는 것이다. 사실 기성 국악계의 문제가 한 둘이 아닌데  어느 하나를 인정하면 나머지도 우르르 쏟아질 테니 그들로서는 크나큰 위협에 직면하게 된 것이었다. 그들은 교활하게 논쟁을 피하고 무대응으로 일관했다. 가끔씩 ‘전통론’을 방패삼아 얘기하면 되었다. 그들은 각 대학교 국악과의 권위 있는 교수였고 실기를 하는 학생들은 그들만큼의 이론적 소양이 없었다. 그들이 이렇게 용렬하게 된 데에는  슬픈 한국음악의 역사가 있었다.    
25    종묘제례악의 변질과 전통음악의 타락 - ③ 댓글:  조회:2188  추천:0  2018-11-25
남상숙 선생은 여러 차례 논문을 발표하여 종묘제례악이 위조라는 걸 주장했다. 그런데 국악계의 반응이 이상했다. 제대로 된 논문을 써서 반박하는 이는 하나도 없고 사적인 대화를 통해 모멸감을 주거나 학술대회에서는 말꼬리 잡기를 하며 논지를 흐리기 바빴다. 그러나 손바닥으로 해를 가릴 수는 없었다. 언론에서는 연일 종묘제례악이 위조였다는  남선생의 주장을 대서특필했다. 철학자 도올 김용옥까지 가세하여 이 문제에 대한 토론회가 열리고  분위기는 종묘제례악의 왜곡을 인정하는 쪽으로 흘렀다. 국립국악원은 남선생의 논문게재를 불허하는 등 가리기에만 급급하다가 회심의 일격을 준비했다. 2005년 서울 국립국악원에서는 이채로운 연주회가 열렸다. 이 연주회는 남선생의 주장을 반박하기 위해 국립국악원이 기획한 것이었다. 바로 조선후기 고악보인 에 나오는 종묘제례악과  이왕직 아악부 악보를 계승한 현행 종묘제례악을 한 무대에 올려 청중들에게 비교, 평가를 받겠다는 것이 국립국악원의 속셈이었다. 연주되지 않은 지 100년 넘는 음악과  100년 동안 연주되어온 음악을 비교하다니 남선생의 패배가 확실한 듯 했다. 청중들은 국악학자, 국악실기인, 그리고 일반 대중들이었다.  그런데 연주회가 끝나고 청중들의 반응은 예상외였다. 500년 동안 유지되던 본래의 악기편성을 갖추고 규칙적인 장고 장단에 맞추어 가사단락마다 박이 오는 의 종묘제례악은  현행 종묘제례악과는 비교되지 않을 만큼 듣기에 편하고 아름다웠다. 고악보의 종묘제례악을 듣고 난 청중들은  왜 이렇게 좋은 음악을 이제야 연주하느냐고 했다. 국립국악원 홈페이지의 자유게시판에 복원된 종묘제례악을 찬양하는 글이 폭주했다. 꼼수를 부린 국립국악원의 완벽한 패배였다. 이 문제는 이렇게 해피앤딩으로 끝날 것 같았다.
24    종묘제례악의 변질과 전통음악의 타락 - ② 댓글:  조회:2170  추천:0  2018-11-25
2003년 남상숙 선생은 종묘제례악이  일제강점기 위조된 가짜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그 논문의 단초가 된 악보가 있었으니 다. 는 종묘제례악의 변질을 기록한 최초이자 유일무이한 악보다. 조선시대 악보 중에서 이외의 어떤 악보에서도  이와 같은 종묘제례악 장단은 나타나지 않았다. 남선생이 연구한 바에 따르면  는 조선왕조의 관찬악보가 아니라 일제강점기에 조작된 악보라는 것이다. 는 19세기 말에 쓰여진 것으로 되어 있는데 를 위조하려다보니 그보다 100년 전에 쓰여진 의 영산회상부분도 위조했음을 밝혀내었다. 남선생은 서예학자를 대동해 서체 감정을 받고 종이 연대측정법까지 동원해 이를 밝혀내었다. 그 결과 역시 일제 강점기에 일부 악보를 위조하여 합본한 것임을 밝혔다. 요약해보면 18세기 정조 때의 악보인 의 일부(영산회상)를 위조하여 18세기에 이미 음악의 장단 변화가 시작된 것처럼 꾸몄고 19세기 말에 만들어진(거짓말이었다) 에서 종묘제례악을 1자1음식으로 바꾸고  전통적으로 내려오던 6대강구조(세조때 정간보 기입시  3·2·3·3·2·3 정간으로 갈라 6대강(六大綱)으로 구분하였는데 이 16정간 6대강법은 조선 말기까지 계속 되었다)를 해체하여 4구로 된 음악으로 만들었다. 선율은 세종 때 그대로인데 장단만 변했다. 이렇게 되면 그 음악은 불구가 되는 것이다. 의 이러한 장단변질은  일제강점기 에 고스란히 옮겨졌다. 진실을 말하자면  일제는 종묘제례악 같은 수준 높고 장엄한 음악이 그대로 전승되는 걸 두고 볼 수가 없었던 것이다. 그래서 이왕직 아악부를 통해 박과 절주가 무너진  절름발이 종묘제례악을 만들었고 그 사실을 숨기기 위해 라는 악보를 만들어 마치 조선왕조의 장악원에서 편찬한 관찬악보인 양 꾸몄다. 조선시대 관찬악보에 편찬시기가 기록된 악보는 하나도 없다. 그런데 에는 편찬시기가 다섯 번이나 기록되었다. 제발 19세기 악보라는 걸 믿어 달라고 부탁하는 것처럼... 
23    종묘제례악의 변질과 전통음악의 타락 - ① 댓글:  조회:2238  추천:1  2018-11-25
이제부터 연재하는 글은 남원농악 이수자인 김정헌박사의 것입니다. 일반인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전통음악, 종묘제례악의 치욕의 역사와 그 극복을 함께 생각해 보고자 하는 마음에서 마련한 것이오니 많은 관심을 바랍니다.   ※ 종묘 제례악은 조선왕조 역대 임금과 왕후의 신위(神位)를 모신 종묘에 제사드릴 때 연주하는 기악·노래·무용의 총칭으로 '종묘악'이라고도 한다.   현행 종묘제례악 악보는  이왕직 아악부의 학생이었던  김기수의 악보를 모본으로 하여 만든 것이고 김기수의 악보는 이왕직 아악부의 악보를 모본으로 만든 것이다. 김기수는 1939년 최초의 국악창작곡이자  최초의 친일국악곡인 을 작곡했다. 해방 이후에는 국립국악원 예술사, 서울대 국악과 강사,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예능보유자,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 예능보유자, 국립국악원장, 국립국악고등학교 교장 등을 역임하는 등 그야말로 출세가도를 달려온 인물로 현행 종묘제례악은 이 사람의 의중대로 전수된 것이다. 종묘제례악은 정대업11곡 보태평11곡으로 구성되었다. 단순한 악기 연주가 아니라 악,가,무의 종합예술이다. 세종이 종묘제례악을 당악(중국음악)으로 하지 않고 우리 고유의 전통음악인 향악으로 만든 이유는 우리 나라 귀신에게 제사를 지내는데  우리 음악을 사용하는 게 당연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현행 종묘제례악은 그 장단이 이상하다. 연주 시작부터 끝까지 단 한 번도 규칙적인 리듬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래서 학자들은 ‘무패턴 불규칙형’ 장단이라고 명명했다. ‘무패턴’이라는 건 장고의 패턴,  즉 쌍(덩),편(따),고(쿵),요(더러러러)의 타법이  일정하게 정해진 패턴이 없다는 말이며 ‘불규칙’이라는 건 박자구조가 들쭉날쭉하여 몇 박자인지 알 수가 없다는 뜻이다. 무슨 이런 거지같은 음악이 다 있을까? 원시인들도 이런 음악 안 할 거다. 우리가 종묘제례악을 들으면서 불편한 이유 중의 하나가  바로 장단이 무패턴 불규칙형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럼 원래 세종 때부터 이렇게 만들어졌을까? 조선전기의 악보인 , 조선후기의 악보인 등에 실린 종묘제례악은 모두 그 장단이 규칙형 장단이다. 이게 어찌된 노릇인가?  
22    서양인들이 우리민족에 대한 긍정적평가 댓글:  조회:2307  추천:0  2018-10-01
1. 마크 트롤로프는 그의 책 [The Church in Corea](1915)에서   조선인에 대한 인상을 말하면서 일본사람들보다는 어깨 위로 머리 하나 만큼은 크며 건강하고 잘 생겼다고 했다.   특히 천주교인들이 신앙을 위하여 순교하는 충실함을 찬양하고 있다. 또한   조국을 위해 일제에 항거하는 등 용기있는 백성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2. 정확하고 빠른 운동에서는   조선인은 일본인보다 강한 자립심과 자유로운 동작을 보이고 있고, 크기와 강한 점에서   중국인과 비슷하고 일본인보다는 우월하다.   국민의 좋은 특징과 질적 우월성을 비교하면 조선이 중국에 비해 단연 우위이다.  (독일인 Ernst Oppert 의 중)   3. 조선인은 참신한 인상을 주었다. 그들은 중국인과도 일본인과도 닮지 않은 반면에 ,   그 두 민족보다 훨씬 잘 생겼다. 조선인의 체격은 일본인보다 훨씬 좋다.... 조선인은 대단히 명민하고 똑똑하다.   조선인들은 스코틀랜드식으로 말해 '말귀를 알아듣는 총명함'를 상당히 타고 났다.   외국인 교사들은 한결같이 입을 모아 조선인의 능숙하고 기민한 인지능력과 외국어를 빨리 습득하는 탁월한 재능, 나아가 중국인과 일본인보다 조선인들이 훨씬 좋은 억양으로 더 유창하게 말한다는 사실을 증언한다.  (영국인 이사벨라 버드 비숍의 중) . 전체적으로 볼 때 조선인은 잘 생긴 민족이다. 조선인의 얼굴은 타원형이고 정면에서 볼 때는 대체로 길지만,    옆 모습은 약간 오목하다. 코가 양미간에서 약간 평평하고 콧구멍이 넓기 때문이다.  송나라 사신이 본 고려사람들의 특징  ".... 인물과 의복은 비록 대략은 중국과 같지마는 고려인은 대개 머리에 침골(枕骨)이 없으나 중이 되어 머리를 깎아 버리면 침골없는 것이 보이는데 퍽 놀랍고 이상하다. 옛날 [진사(晉史)]에는, 삼한(三韓) 사람들은 갓난 아이를 곧 돌로 그 머리를 눌러 납작하게 만든다고 하였으나 옳지 않다. 대체로 종류와 타고난 기품에 따라 그렇게 (납작하게) 되는 것이지 반드시 돌 때문에 넙적해지는 것은 아닐 것이다. " ( [고려도경] 중에서 )       5.조선인들의 일상적 표현은 당혹스러움을 느끼게 할 정도로 활기차다.   얼굴 생김새는 가장 잘 생긴 사람들을 기준으로 보아 힘이나 의지의 강인함보다는 날카로운 지성을 나타낸다.   조선인들은 확실히 잘 생긴 종족이다. 체격도 좋은 편이다. 성인 남자의 평균 신장은 163.4센티미터이다.   여자의 평균 신장은 확인할 수 없는데, 세상에서 제일 보기 흉한 옷 때문에 그 결점이 과장되는 여자들의 모습은 땅딸만하고 펑퍼짐하다. 남자들은 힘이 매우 세어서 짐꾼들에게 45킬로그램의 짐은 보통이다.   가족 생활은 대가족제이며 도덕적으로 지극히 건강하다. (이사벨라 버드 비숍의 위의 책 중)       6. 조선인은 대단한 지적 능력이 있으며 예리하고 탐구력이 있을 뿐만 아니라   결단력을 갖춘 자랑할만한 민족. 조선은 위대한 가능성의 나라. (영국 선교사 알렉산더 윌리엄슨의 글 (1870) )   10. 근사한 기후, 풍부하지만 혹독하지는 않은 강우량, 기름진 농토, 내란과 도적질이 일어나기 힘든 훌륭한 교육.   조선인은 길이 행복하고 번영할 민족임에 틀림없다.    협잡을 업으로 하는 관아의 심부름꾼과 그들의 횡포, 그들의 악행이 강력한 정부에 의해 줄어들고 소작료가 적정히 책정되고 수납된다면 반드시 그러할 것이다......   그러나 중국령 만주에서의 한국인들의 에너지와 근면함 그리고 그들의 검소하고 유족하고 안락한 집의 가구들을 보고 난 후에 나는 그것이 기질의 문제로 오해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모든 조선사람들은 가난이 그들의 최고의 방어막이며, 그와 그의 가족에게 음식과 옷을 주는 것 이외에 그가 소유한 모든 것은 탐욕스럽고 부정한 관리들에 의해 빼앗길 것이라는 사실을 안다. 관리들의 수탈이 아주 견딜 수 없게 되고, 생존할 수 있는 최소한의 수입마저도 빼앗겼을 때에만 한국의 농민들은 폭력을 통한 절망적인 방법에 의지하게 된다.... ...   조선인들은 어떤 행정적인 계기만 주어지면 무서운 자발성을 발휘하는 국민들이다.  (이사벨라 버드 비숍)    11. 마을마다 북과 나팔, 피리, 몇 개의 솥 뚜껑이 있어서, 흔히 여름철의 고달픈 노동 시간 중에   한참 동안 일손을 멈추고 힘껏 합주하여 피로를 푼다.....   조선 사람의 커다란 미덕은 인류애 법칙을 선천적으로 존중하고 나날이 실행하는 것이다.    여러 가지 동업 조합이나 특히 친척이 서로 보호하고 서로 원조하고 서로 의지하고 서로 부조하기 위해 긴밀히 결합된 단체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 동포 감정은 혈족 관계와 조합의 한계를 넘어 확대되어 간다.   상호부조와 모든 사람에 대한 혼현한 대접은 이 나라 국민성의 특징인데, 속직히 말하여 그런 특징은 조선 사람을 우리 현대 문명의 이기주의에 물든 여러 국민들보다 훨씬 우위에 서게 하는 것이다.  ( 프랑스 신부 달레(C.C. Dallet)의 중 )     12. 조선인은 일반적으로 모나지 않고 상냥하며 남에게 잘하는 성품을 갖고 있다.   그들은 중국어를 이해하며 학문을 좋아하고 음악과 춤에 천품을 지니고 있다.   그들의 고운 마음씨는 예나 다름이 없어 다른 민족의 모범이 되기에 넉넉하다.  (프랑스 선교사이며 지리학자인 뒤 알드(Du Halde)의 글)     13. 아시아 민족 중에서 조선인보다 더 음악에 대하여 열렬한 애호심을 가진 민족은 없을 것이다. 군부의 어느 대신이 손풍금의 연주에 감동하여 평소의 엄숙한 태도를 던져버리고 박자에 맞추어 춤을 추고 노래를 불렀다. (오페르트) * 우리민족은 예로부터 어느 민족보다 노래부르기를 좋아한다. 그 이유를 전문가들은 우리 전통사회가 드물게 보는 억압적인 사회였기에 물리적으로 감당할 수 없는 압력을 정서적으로 발산시키는 수법으로 노래가 이용됐다는 이론을 든다. 한이나 원을 스스로 풀어야 하는 성격 때문에 우리 민족은 노래 중에서도 독창이 발달했고 그 때문에 밀폐된 공간에서 혼자 미친듯이 악을 쓸 수 있는 노래방이 폭발적 인기를 누린 것이다.     ". .... 조선은 기대 이상이었다. 조선에 있게 된 것이 만족스러운 가장 큰 이유는 '조선은 내가 가본 나라 중에서 가장 노래를 많이 부르는 나라'라는 것이다. 나는 핀란드 스웨덴 덴마크 러시아 뉴질랜드 일본 태국 베트남 영국 아일랜드 등 여러 나라에서 살았고 여행도 해보았다. (현재의 북조선과 한국도 마찬가지.)  그러나 어떤 나라에서도 모든 사람들이 이처럼 노래를 잘하는 경우는 보지 못했다. 조선인들은 언제 어느 곳에서라도 노래를 부를 자세가 되어있다. 혼자서도 부르고 여럿이 같이 부르기도 한다. 라디오를 따라 흥얼거릴 때도 있고 텔레비젼 가요 프로그램을 보면서 같이 부를 때도 있고, 길을 걷거나 차를 운전하면서 노래를 부른다. 5년 동안 근무한 일본에서도 동료들이나 친구들과 함께 자주 가라오케에 가곤 했다. 몇몇 대회에 나가 상을 탄 적도 있고 텔레비젼에 출연한 일도 있다. 그런데 거기에는 뭔가 한 가지 빠진 것이 있다.   일본인들은 한국인과 같은 '노래하는 사람들'이 아니라는 것이다. 조선/한국사람들은 노래하기 위해 사는 것 같은데 일본 사람들은 그렇지는 않다....... 정말 조선인/한국인은 어디서나 노래를 부른다고 생각지 않을 수 없다. 박찬호 선수가 공을 던질 때도 노래를 할까? 잠실 야구장에 가서도 관중들이 응원하는 광경에 감동받았다. 야구장에서 관중들이 얼마나 노래를 많이 부르는지, 도대체 이 사람들이 노래하러온 것인지 야구를 보러온 것인지 분간이 안될 정도였다. 그러나 지금까지 들은 노래 중 가장 놀라운 것은 일요일 명동성당 미사에 갔을 때 들은 합창이다. 미국의 성당에서 다 같이 노래하는 것은 대개 억지로 하는 일 같은 것으로 하고 싶지 않지만 해야 하는 일같지만한국 카톨릭 신자들이 노래하는 것은 진짜로 노래하는 것이다. 내가 그 자리에서 느낀 것은 그들이 정말로 그곳에 있고 싶어 하고 행복해하고 있다는 것이다. 바로 그런 의미일까. 한국인들은 행복하기 때문에 노래를 부르는가. 한국을 떠나기 전에 누군가 이 의문을 풀어주었으면 좋겠다."  (주한 美 공보원 공보관 패트릭 리네핸. 주간조선 97.8.7일자)     14. 조선 사람들은 양반이나 서민이나 활쏘기를 좋아한다. 정부는 이 운동이 훌륭한 사수를 길러내는 하나의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하여 장려하고 있다. ..... 조선인들은 유약하다거나 비겁하지 않다. 신체의 단련이며, 활쏘기, 사냥에 많은 취미를 가지고 있고, 피로 앞에 굴복하지 않는다.  (위 달레 신부의 글 중 )   15. 남자들은 석전(石戰)을 매우 진지하게 하기 때문에 여기서 잠깐 언급할 필요가 있겠다. 이른 봄이 되면 서로 적수인 두 마을 사람들은 얼어붙은 들판에 모여 어느 편이 힘이 센지를 겨루는 시합을 한다. 머리에 새.끼줄로 만든 헬멧을 쓰고 곤봉으로 무장한 선발대가 중립 지대를 가로 질러 상대편에게 덤벼들면 후방에서 방어를 하고 있던 사람들은 언덕을 달려 내려가 상대편 마을 사람들을 향해 돌팔매질을 한다. 이들은 돌팔매질을 능숙하게 하기 때문에 돌팔매질은 대단한 위력을 발휘한다......일반적으로 이러한 실감나는 싸움 끝에는 몇몇의 사망자와 심한 부상자들이 많이 생긴다. 내가 조선에 도착한 지 얼마 안 되었을 때다. 이러한 싸움이 벌어진 후, 전두골의 두개골판이 부숴져 뇌가 들여다 보이도록 심하게 다친 한 남자가 나를 찾아 왔다. (헐랭-_-;;;;;다이나믹) ( 의사, 외교관이었던 H. A. 알렌의 중) 16. 조선에서 내가 처음으로 한 절단 수술은 호랑이의 공격을 받은 어느 조선인의 팔을 절단하는 일이었다. 말할 것도 없이 그것은 조선에서 처음으로 행한 절단 수술이었다. 그 환자는 팔꿈치 위쪽의 팔뼈가 물려 살이 썩고 있었다. 그러나 다행히도 건강하게 회복되어 그 환자의 친구들은 무척 놀라워했다. 그는 호랑이와 외국인 의사로부터 살아서 돌아갔지만, 이제는 팔 없이 조상에게 가야 할 형편이었다. (알렌의 글 중 )   17. 조선에서 호환이나 금에 관한 이야기만큼 많은 화제거리가 있을까 싶다. 조선은 금생산지로서 자부심이 대단하며 금부스러기들을 마치 금의 사태가 나기라도 한 것처럼 이야기 한다. .... 호랑이와 귀신에 대한 공포 때문에 사람들은 밤에는 거의 여행하지 않는다. 관리의 신분증을 가진 사람들이 부득이 밤에 여행해야 할 경우에는 마을에 들러 횃불가진 사람들의 호위를 부탁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야행할 경우 길손들은 보통 몇몇이 서로를 끈으로 묶고 등불을 밝히고 횃불을 흔들며, 고함을 지르고 꽹과리를 치며 길을 간다. 조선사람의 호랑이에 대한 공포는 너무나 유명해서 '조선사람은 일년의 반을 호랑이를 쫓느라 보내고 일년의 나머지 반을 호랑이에게 잡아먹힌 사람의 문상을 가느라 보낸다'는 중국 속담이 거짓말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비숍 여사의 글 중 )   18. 사람이 수백 명이나 살고 있는 꽤 큰 마을에서 나는 벌써 여러 번이나 키가 서로 틀리지만 나무로 만든 막대기가 여러 개 길가에 서 있는 것을 본 일이 있는데, 과연 이것은 특별한 관심을 끌지 않을 수 없는 것이었다. 그런데 내가 이것을 자세히 보았을 때 나의 놀라움은 얼마나 컸던가! 자세히 알고 보니 이것은 바로 동리의 우상신이었으며, 사원 혹은 기도소를 대신하는 것이었다. 더구나 이것을 보호할 생각이라고는 하나도 없이 행길 가의 땅바닥에 그냥 박아 놓았을 뿐이지 그 이상은 아무 의식도 갖추지 않고 있었다. 키가 대강 두 자에서 네 자 가량 되는 통나무 토막에 하느라고 하였다는 장식이라는 것은 다음과 같았다. 사람들이 그 나무 껍질을 벗기고 그 위쪽 끝에다가 가장 원시적인 기술로 기분 나쁘게 찡그린 얼굴을 새긴 것이 곧 모든 장식이다. ( 오페르트)   19. 조선은 유교로부터 윤리를, 불교를 통해 미래의 소원을, 그리고 일상 생활에서 병이나 초상 등 민감한 사안이 발생했을 때는 무속 신앙에 의존한다. 동시에 여러 가지 종교를 무리 없이 포용하는 그들의 삶은 인상적이다.  (조선을 방문한 프랑스 학자)   20. 조선/ 한국 사람들은 과음하는 관습이 유난스러워서 주정뱅이들이 보이지 않는 날이 거의 없었다   관찰한 결과로는 취해버리는 것은 한국인들의 독특한 특징이다라고 단언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은 그리 품위를 떨어 뜨리는 일도 아니다. 한국에서는 어떤 사람이 이성을 잃을 정도로 곡주를 마신다 하더라도 누구도 그를 짐승으로 여기지 않는다.... 한국인이 술을 좋아하는 첫번째 원인은 아마 도시에서조차도 차를 사용하는 일이 거의 전무하다는 것과 사치스러운 청량음료들이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는 것을 듯하다. 아마도 식수로 쓰는 물이 훌륭해서 대부분 그냥 먹을 수 있는 탓일 것이다. 농부들은 식사 후에 뜨거운 숭늉을 마시며, 꿀물은 사치품으로 생각하고, 잔치 같은 경우에는 귤 껍질이나 생강에서 우려낸 액체를 마신다. 귤껍질을 말리는 것은 한국 주부들의 큰 일 중의 하나이다. 모든 초가집 지붕에는 말린 귤 껍질들이 고드름처럼 매달려 있다. (비숍 여사)   고려시대 음주 문화  " 고려인들은 술을 좋아하되 좋은 술은 얻기가 어렵고, 서민들이 마시는 것은 맛도 싱겁고 빛깔도 탁한데도 아무렇지도 않다는 듯이 맛있게 마신다." ( 宋의 사신 서긍의 [고려 도경] 중에서 )     21. 동북 아시아 지방에 있는 주택에는 고래가 있다. 고래는 관(管)으로 된 일종의 화덕으로서 감자를 굽듯 사람을 굽는다. 서양 사람들이 벽돌로 침대를 만들고 그 밑에 발을 따뜻하게 하는 난로를 설치한 것과 똑 같다. 집의 한쪽 끝에 있는 아궁이로부터 다른쪽 끝의 굴뚝에 이르기까지 연관(煙管) 위를 벽돌이나 구들로 덮는다. 그래서 부엌에서 주전자의 물을 끓이고 고기를 굽는 불은 저쪽 방 안에서 앉아 있거나 자고 있는 사람을 따뜻하게 하는 데 사용된다. 다만 불을 때지 않으면 방이 차갑게 식고 밑불을 죽이면 열을 지속시킬 수 없다는 애로가 있다.  (W.E. Griffis의 중)     22. 농부나 일꾼들이 사는 집이 아무리 누추하다 하더라도 항상 깔끔한 작은 침실이 딸려 있는데, 진한 갈색의 유지가 발라져 있는 구들과 시멘트로 된 방바닥은 하루에 두 번씩 밥을 하느라고 때는 불 때문에 항상 따뜻하다.   이러한 점에서 보면 이들은 이웃 나라 사람들보다 더 편하게 산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일본의 집들은 춥기로 유명하고, 유일한 난방 시스템은 손가락을 따뜻하게 하는데 사용되는 화로가 전부이며, 또 중국의 집들은 아주 추운 겨울에도 따뜻한 법이 없기 때문이다. 중국인들이 사용하는 한가지 난방 시스템은 북쪽 지방에서 사용되는 식으로 불에 달군 돌 이외에는 집을 따뜻하게 하는 방법이 없다. 그러나 중부의 가옥들은 매우 추울 경우에도 집이 전혀 따뜻하지 않아 사람들은 몸을 따뜻하게 하기 위해 그저 옷을 더 껴입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영국인 여행가인 헨리 노먼은 조선을 여행하는 동안 놀랍고 아름다운 이 나라를 매우 칭찬하였으며, 베이징을 방문한 후에 조선의 수도인 한양은 베이징과 비교하면 천국이라고 쓰곤 했다.  (알렌의 견문록 중 )   23. 조선인들이 등으로 크고 무거운 짐들을 쉽사리 운반할 수 있다는 것에는 벌써 주목을 하였지만, 이곳 공주(公州)에서는 운반하는 짐의 무게가 차원이 달라 두눈을 의심할 지경이었다. 하지만 조선인들의 짐을 운반하는 기술에는 수천년의 경험이 어려 있다. 최소한의 힘을 들여 최대한의 무게를 운반하는 비결은 그들에게는 더 이상 비결이라 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들의 지게는 아주 이상적으로 고안이 되어 있어서, 엉덩이와 등, 어깨에 무게를 고르게 전달한다. 이런 이유로 다리만 지탱할 수 있는한 엄청난 짐을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조선인을 빼놓고는 이 방법을 착안한 민족이 없다.   세계에서 가장 운반력이 강한 중국인과 폴리네시아인들의 경우, 어깨 위에 걸친 막대의 양쪽에 짐을 걸고 무게 중심을 맞추는데, 만약에 짐이 분할할 수 없는 성질의 것일 때에는 막대의 다른 한편에 무게가 같은 물건을 걸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다. 또한 운반하는 데 넓은 공간이 필요해서, 이렇게 운반하는 사람을 지나칠 경우, 이 사람이 갑자기 방향을 틀 때는 운반대에 죄없이 한 대 맞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그러나 지게의 경우는 훨씬 간단하다........ 이런 원시적인 방법으로 대량의 짐을 장거리 운반하는 능력과 엉망인 도로 사정은 코레아가 수백 년 동안 대부대의 행상을 갖게 된 원인이 되었다. (스웨덴 기자 아손 그렙스트의 중 )     26. 남편들이 계속 흰 옷을 고집하는 한 빨래는 조선여인들의 신산한 운명과도 같은 것이다. 이런 하천에서, 궁궐 후원의 우물에서, 전국 방방 곡곡의 모든 물웅덩이에서, 아니 주택 밖 실오라기만한 개울이라도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조선의 여인들은 빨래를 하고 있다. 어떤 빨래감은 실을 뽑아 다시 꿰매야 하며, 또 어떤 빨래감은 부뚜막에서 적어도 세 번은 삶아야한다. 표면이 울퉁불퉁한 나무판에 억척스럽게 문지르거나, 판판한 돌 위에 놓고 무거운 방망이로 힘겹게 두드려야 한다. 그런 다음에 이것들을 들고가 빨랫줄에 널어 말린다. 빨래가 다 마르고 난 뒤에는 다시 다듬잇돌에 올려놓고 둥근 나무 방망이로 두꺼운 공단처럼 광택이 날 때까지 한없이 두드린다. 조선의 여인들은 빨래의 노예다. 서울의 깊은 밤, 그 괴괴한 정적을 깨뜨리는 유일한 소리가 있다면 한밤내 잠 못 자고 다닥 빨래감을 두드리고 있는 다듬이 방망이의 그 쓸쓸한 소리이다. (비숍 여사의 글 중)   27. 옷은 특히 모시 옷일 경우에는 다림질하는 대신에 비단과 같은 광택이 나도록 하기 위해 다듬이질을 한다. .... 네개의 방망이가 내는 율동적인 소리는 매우 기이하여 한번 들으면 쉽게 잊혀지지 않는다.... 은둔 생활을 하는 조선의 여인들은 인내성이 강하지만, 극단적인 상황에 몰리면 일변하여 매우 광포해지기 때문에 생각하기조차 무시무시하다. 그때 다듬이 방망이는 무시하지 못할 믿음직한 무기가 되며, 남자들도 그 방망이를 무서워한다.. (알렌의 글 중)       참고6> 조선민족과 흰 옷  ① 고대 한국인들도 흰 옷을 즐겨 입었던 것으로 보인다. 부여인들은 흰 옷을 숭상하여 흰 베로 만든 소매가 큰 두루마기와 바지를 입었다. 이러한 풍습은 고구려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중국문헌에는 신라인들이 흰색 옷을 숭상했다는 사실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그리고 백제에 대해서도 의복이 청결하다는 점을 일부러 밝혀놓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 민족이 흰 옷을 즐겨 입는 것은 밝고 깨끗하고 우아한 것을 좋아하는 우리 민족의 정서가 의복 생활에 반영된 것임을 알 수 있다.   ② 프랑스 캐주얼 브랜드 [라코스테]의 국내 라이선스를 갖고 있는 (주)서광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옷 색깔은 하얀색이다. 국내에 내놓은 45개 색상 라코스테 셔츠 중에서 지난해 판매율이 가장 높은 것이 [흰 색]으로 28.7%를 차지했다. 2위는 빨강 7%, 이어 하늘색(6.8%), 검정(6.4%), 밝은 핑크(6%), 짙은 청색(5%), 연두색(4.6%), 베이지색(4.4%), 노랑(2.7%) 순이었다. 이에 비해 유럽인은 짙은 청색(네이비 블루)를 즐겨 입는다. (조선일보 97.5.27일자    29. 모자를 쓰지않은 조선인의 모습을 생각할 수 없다. 모자의 종류도 수천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은 모자 왕국이다. 세계 어디서도 이렇게 다양한 모자를 지니고 있는 나라를 본 적이 없다. 공기와 빛이 잘 통하고 여러 용도에 따라 제작된 조선모자의 패션을 파리인들은 꼭 알아둘 필요가 있다고 본다. ( 프랑스인의 기록 )    1877년 영국 화보지 그래픽지 [조선의 모자]라는 특집 다룸.   30. 영국인 여행가는 신변보호를 위해 경호원을 쓰는 대신 조선인들이 가장 호기심을 갖는 서양의 잼, 통조림, 빵 등을 소지하였으며, 위험한 상황이 닥칠 때마다 이것들을 보이며 어려움을 돌파했다. 특히 조선인들은 성냥에 매료돼 서로 성냥을 켜보려고 몰려들기도 했다. 이 덕분으로 조선의 지방 여행을 안전하게 마칠 수 있었다.  ( 영국의 화보잡지 [그래픽] 1888년 12월 22일자)   31. 사당에서 정상을 올려다 보면 가슴이 사무치도록 아름다운 광경이 펼쳐진다. 구비구비 이어진 숲의 물결, 시냇물의 아스라한 반짝임, 구릉의 완만한 선들, 그 위로 해발 1829미터가 넘는 금강산에서 가장 높은 산봉우리가 솟아 있었다. 아, 나는 그 아름다음, 그 장관을 붓끝으로 표현할 자신이 없다. 진정 약속의 땅 ( A fair land of promise ) 인저! 진정코 !  (비 숍 여사)     32. 러시아와 일본이 한국의 운명을 놓고 서로 대결한 상태에 , 내가 한국을 떠나게 된 것은 매우 유감스럽다. 내가 처음에 한국에 대해서 느꼈던 혐오감은 이젠 거의 애정이랄 수 있는 관심으로 바뀌었다. 이전의 어떤 여행에서도 나는 한국에서보다 더 섭섭하게 헤어진 사랑스럽고 친절한 친구들을 사귀어보지 못했다. 나는 가장 사랑스러운 한국의 겨울 아침을 감싸는 푸른 벨벳과 같은 부드러운 공기 속에서 눈 덮인 서울의 마지막 모습을 보았다. 다음날 영국 정부의 작은 기선인 상하이행 헨릭호를 타고 무자비하고 엄혹한 북풍에 실려 제물포를 떠났다. 그리고 헨릭호가 강 위로 천천히 증기를 발산하며 움직일 때, 옛스러워 흥취있는 한국의 국기는 나에게 말할 수 없는 감회와 의문들을 자아내었다. (비 숍 여사)     33. “‘코리아’ 민족은 양반들뿐만 아니라 가장 신분이 낮은 사람 들조차도 귀족의 티가 흐른다.  체격과 외모 면에서도 일본인, 중국인들과 비교해 매우 귀족적이다. 특히 여성들은 일본, 중국 여성들보다 훨씬 미모가 뛰어나다. 또한 머리 전체를 뒤로 땋아 넘 긴 여성들의 머리 스타일은 헝가리 여성들의 머리 스타일과 매우 비슷하여 퍽 인상적이었다.” (헝가리 민족학자 바라소시 1929년 '코리아..'펴내)  
21    역사드라마 목록 "사극史劇으로 역사를 배워요~ " 댓글:  조회:2978  추천:0  2018-09-25
역사 시대별 드라마 목록 삼국 ~ 남북국 시대 CE 5세기 이전 차례 제목 년대 핵심인물 주연배우 제작년도 방송사 1 주몽朱蒙(고구려) 기원전  주몽, 소서노, 대소, 금와왕 송일국, 한혜진, 김승수, 전광렬 2006년 MBC 2 바람의 나라 风之国(고구려) 4년~28년 무휼, 연(해씨 부인), 도진, 유리, 대소 송일국, 최정원, 박건형, 정진영, 한진희 2008년 KBS2 3 왕녀 자명고 王女自鸣鼓(고구려) CE 1세기 초반 자명공주, 낙랑공주, 호동, 대무신왕, 매설수 정려원, 박민영, 정경호, 문성근,  성현아 2009년 SBS 4 김수로金首露(가야) CE 1세기 초반 김수로, 허황옥, 정견비, 신귀간, 이진아시 지성, 서지혜, 배종옥, 유오성, 고주원 2010년 MBC 5 근초고왕近肖古王(백제) 341년~375년 근초고왕, 부여화, 고국원왕, 진승, 해건, 위홍란 감우성, 김지수, 이종원, 안재모, 이지훈, 이세은 2010년 KBS1 6 태왕사신기太王四神记(고구려) CE 4세기 후반 담덕, 서기하, 수지니, 연호개, 연가려, 대장로 배용준, 문소리, 이지아, 윤태영, 박상원, 최민수 2007년 MBC 7 광개토태왕广开土(大)太王(고구려) CE 4세기 후반 담덕, 고운, 모용보, 도영, 약연, 아신 이태곤, 김승수, 임호, 오지은, 이인혜, 박정철 2011년 KBS1 CE 5세기 이후   제목 년대 핵심인물  주연배우  제작년도 방송사 1 제왕의 딸 수백향帝王的女儿(백제) CE 6세기 초반 수백향/설난, 설희, 명농, 진무 서현진, 서우, 조현재, 전태수 2013년 MBC 2 서동요薯童谣(백제,신라) CE 6세기 후반 무왕, 선화공주, 아좌태자, 사택기루 조현재, 이보영, 정재곤, 류진 2005년 SBS 3 선덕여왕善德女王(신라) CE 7세기 초반 덕만, 미실, 비담, 김유신, 김춘추 이요원, 고현정, 김남길, 엄태웅, 유승호 2009년 MBC 4 삼국기三国记 CE 7세기 중반 연개소문, 김유신, 무열왕, 의자왕, 계백 조경환, 서인석, 송영창, 길용우, 유동근 1992년 KBS1 5 연개소문渊盖苏文(고구려) 598년~668년 연개소문, 이세민, 양제, 영류왕 유동근, 이태곤, 서인석, 김갑수, 최종환 2006년 SBS 6 칼과 꽃剑与花(고구려) CE 7세기 초반 무영, 연충 , 영류왕, 연개소문 김옥빈, 엄태웅, 김영철, 최민수 2013년 KBS2 7 계백阶伯(백제) CE 7세기 중반 계백, 은고, 의자왕, 사택왕후 이서진, 송지효, 조재현, 오연수 2011년 MBC 8 대왕의 꿈大王之梦(신라) CE 7세기 중반 태종무열왕, 김유신, 선덕여왕, 승만왕후 최수종, 김유석, 홍은희[1], 이영아 2012년 KBS1 9 대조영大祚荣(발해) 645년~719년 대조영, 이해고, 설인귀, 초린, 숙영 최수종, 정보석, 이덕화, 박예진, 홍수현 2006년 KBS1 10 해신海神(신라) CE 8세기 후반 장보고, 자미부인, 염장, 정화 최수종, 채시라, 송일국, 수애 2004년 KBS2 후삼국 ~ 고려 시대 고려 건국 ~ 천리장성   제목 시대적 배경 핵심인물  주연배우  제작년도 방송사 1 태조 왕건 太祖王建 870년 ~ 936년 왕건, 궁예, 견훤, 강비, 종간 최수종, 김영철, 서인석, 김혜리, 김갑수 2000년 KBS1 2 제국의 아침 帝国之晨 943년 ~ 975년 광종, 대목왕후, 정종, 균여 김상중, 전혜진, 최재성, 정승호 2002년 KBS1 3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 月之恋人 步步惊心 丽 태조 ~ 광종 광종, 해수, 정종, 왕욱, 최지몽 이준기, 이지은, 홍종현, 강하늘, 김성균 2016년 SBS 4 빛나거나 미치거나 945년 ~ 960년 정종, 광종, 쌍기, 대목왕후, 왕욱 류승수, 장혁, 오연서, 이하늬, 임주환 2015년 MBC 5 천추태후 千秋太后 955년 ~ 1031년 천추태후, 김치양, 강조, 강감찬, 성종 채시라, 김석훈, 최재성, 이덕화, 김명수 2009년 KBS2 무신정변 ~ 대몽 항쟁 순번 제목 년대 핵심인물 주연배우  제작년도 방송사 1 무인시대 武人时代 1170년 ~ 1219년 이의방, 정중부, 경대승, 이의민, 최충헌 서인석, 김흥기, 박용우, 이덕화, 김갑수 2003년 KBS1 2 무신 武臣 1215년 ~ 1268년 김준, 송이, 최우, 최양백, 최충헌, 김약선 김주혁, 김규리, 정보석, 박상민, 주현, 이주현 2012년 MBC 원 간섭기 ~ 조선 건국   제목 년대 핵심인물 주연배우 제작년도 방송사 1 신돈 辛盹 1348년 ~ 1374년 신돈, 공민왕, 노국공주, 반야 손창민, 정보석, 서지혜 2005년 MBC 2 개국 开国 1351년 ~ 1392년 공민왕, 이성계, 노국공주, 최영, 정몽주 임혁, 임동진, 선우은숙, 신구, 송재호 1983년 KBS 3 신의 神医/信义 고려 공민왕 최영, 유은수, 기철, 공민왕, 노국공주 이민호, 김희선, 유오성, 류덕환, 박세영 2012년 SBS 4 대풍수大风水 공민왕 ~ 조선초기 지상, 이성계, 이정근, 해인, 반야 지성, 지진희, 송창의, 김소연, 이윤지 2012년 SBS 5 정도전郑道传 1374년 ~ 1398년 정도전, 이성계, 이인임, 최영, 정몽주, 이방원 조재현, 유동근, 박영규, 서인석, 임호, 안재모 2014년 KBS 6 육룡이 나르샤 六龙飞天 고려말 ~ 조선초기 이성계, 정도전, 이방원, 이방지, 무휼, 분이 천호진, 김명민, 유아인, 변요한, 윤균상, 신세경 2015년 SBS 7 왕은 사랑한다 王在相爱 고려 충선왕 왕원, 은산, 왕린 임시완, 임윤아, 홍종현 2017년 MBC 조선 ~ 대한제국 시대 위화도 회군 ~ 을묘왜변   제목 년대 핵심인물 주연배우 재작년대 벙송사   용의 눈물 龙之泪 1388년 ~ 1422년 이성계, 이방원, 원경왕후, 정도전, 양녕대군 김무생, 유동근, 최명길, 김흥기, 이민우 1996년 KBS1 2 조선왕조 오백년 朝鲜王朝五百年 1392년 ~ 1910년 이성계, 세종, 선조, 인조, 숙종 김무생, 한인수, 현석, 유인촌, 강석우 1983년 MBC 3 대왕 세종大王世宗 1409년 ~ 1446년 세종, 태종, 원경왕후, 황희, 소헌왕후 김상경, 김영철, 최명길, 김갑수, 이윤지 2008년 KBS2 4 뿌리깊은 나무树大根深 1409년 ~ 1446년 세종, 강채윤, 소이 한석규, 장혁, 신세경 2011년 SBS 5 장영실张英实 태종~세종 장영실, 세종, 태종, 소현옹주, 장희제 송일국, 김상경, 김영철, 박선영, 이지훈 2016년 KBS 6 한명회韩明浍 1450년 ~ 1506년 한명회, 세조, 인수대비, 김종서, 단종 이덕화, 서인석, 김영란, 임동진, 정태우 1994년 KBS2 7 공주의 남자公主的男人 1452년 ~ 1468년 김승유, 이세령, 경혜공주, 신면, 정종 박시후, 문채원, 홍수현, 송종호, 이민우 2011년 KBS2 8 왕과 비王和妃 1452년 ~ 1506년 세조, 인수대비, 단종, 연산군, 한명회 임동진, 채시라, 정태우, 안재모, 최종원 1998년 KBS1 9 인수대비仁粹大妃 1452년 ~ 1506년 인수대비, 정희왕후, 세조, 한명회, 도원군, 폐비 윤씨 함은정, 채시라, 김미숙, 김영호, 손병호, 백성현, 진지희, 전혜빈 2011년 JTBC 10 대군 - 사랑을 그리다 가상의 중세 조선 이휘, 이강, 성자현, 대비 심씨, 양안대군 윤시윤, 주상욱, 진세연, 양미경, 손병호 2018년 TV조선 11 파천무 1452년 ~ 1457년 수양대군, 김종서, 설리, 정인지, 한명회 유동근, 이순재, 김혜선, 이신재, 주호성 1990년 KBS2 12 왕과 나王与我 1452년 ~ 1506년 김처선, 폐비 윤씨, 성종, 정현왕후 오만석, 구혜선, 고주원, 이진 2007년 SBS 13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逆贼:窃取百姓的盗贼 15세기 중반 ~ 1506년 아모개, 홍길동, 가령, 연산군, 숙용 장씨 김상중, 윤균상, 채수빈, 김지석, 이하늬 2017년 MBC 14 7일의 왕비七日王妃 신채경, 이역, 이융 박민영, 연우진, 이동건 KBS2 15 장녹수 1476년 ~ 1506년 연산군, 장녹수, 성종, 인수대비, 김자원 유동근, 박지영, 현석, 반효정, 정호근 1995년 KBS2 16 대장금大长今 1482년 ~ 1545년 서장금, 민정호, 중종, 최금영 이영애, 지진희, 임호, 홍리나 2003년 MBC 17 여인천하女人天下 1506년 ~ 1565년 정난정, 문정왕후, 윤원형, 경빈 박씨, 중종 강수연, 전인화, 이덕화, 도지원, 최종환 2001년 SBS 18 황진이黄真伊 조선 중종 황진이, 김정한, 부용, 김은호, 벽계수 하지원, 김재원, 왕빛나, 장근석, 류태준 2006년 KBS2 19 천명天命 조선 인종 ~ 명종 최원, 홍다인, 문정왕후, 이호 이동욱, 송지효, 박지영, 임슬옹 2013년 KBS2 20 옥중화狱中花 조선 명종 ~ 1565년 옥녀, 윤태원, 윤원형, 정난정, 문정왕후, 이환 진세연, 고수, 정준호, 박주미, 김미숙, 서하준 2016년 MBC 21 임꺽정林巨正 1522년 ~ 1562년 임꺽정, 이봉학, 박유복, 양주팔, 윤원형 정흥채, 차광수, 정규수, 이정길, 박근형 1996년 SBS 을묘왜변 ~ 병자호란   제목 년대 핵심인물 주연배우  재작년도 방송사 1 불멸의 이순신不灭的李舜臣 1554년 ~ 1598년 이순신, 원균, 선조, 도요토미 히데요시 김명민, 최재성, 최철호, 이효정 2004년 KBS1 2 서궁西宫 1583년 ~ 1623년 김개시, 인목대비, 광해군, 원표, 이이첨 이영애, 이보희, 김규철, 김보성, 서인석 1995년 KBS2 3 구가의 서 1570년대 ~ 임진왜란 이전 최강치, 담여울, 조관웅, 담평준, 박태서, 박청조 이승기, 배수지, 이성재, 조성하, 유연석, 이유비 2013년 MBC 4 왕의 여자王的女人 1591년 ~ 1623년 광해군, 김개시, 선조, 인목왕후 지성, 박선영, 임동진, 홍수현 2003년 SBS 5 동의보감东医宝鉴 1559년 ~ 1615년 허준, 예진, 유의태, 유도지, 다희 서인석, 이응경, 이순재, 최불암, 이경진 1991년 MBC 6 허준许浚 1559년 ~ 1615년 허준, 예진, 유의태, 유도지, 다희 전광렬, 황수정, 이순재, 김병세, 홍충민 1999년 MBC 7 구암 허준龟岩许浚 1559년 ~ 1615년 허준, 예진, 유의태, 유도지, 다희 김주혁, 박진희, 백윤식, 남궁민, 박은빈 2013년 MBC 8 천둥소리 1569년 ~ 1618년 허균, 광해군, 이이첨, 허난설헌 최재성, 김주승, 선동혁, 하다솜 2000년 KBS2 9 징비록惩毖录 1589년 ~ 1598년 유성룡, 선조, 광해군, 도요토미 히데요시 김상중, 김태우, 노영학, 김규철 2015년 KBS1 10 왕의 얼굴王的面孔 1589년 ~ 1608년 광해군, 선조, 김상궁, 김도치 서인국, 이성재, 조윤희, 신성록 2014년 KBS2 11 화정华政 1603년 ~ 1645년 광해군, 정명공주, 홍주원, 소성대비, 능양군 차승원, 이연희, 서강준, 신은정, 김재원 2015년 MBC 12 일지매一枝梅 조선 인조 일지매, 이화, 정란, 허균, 설화 장동건, 염정아, 임채원, 김동현, 박순애 1993년 MBC 13 일지매一枝梅 조선 인조 일지매, 변시후, 변은채, 봉순 이준기, 박시후, 한효주, 이영아 2008년 SBS 14 돌아온 일지매一枝梅归来 조선 인조 일지매, 여월희, 달이, 구자명, 백매 정일우, 윤진서, 김민종, 정혜영 2009년 MBC 15 탐나는도다 조선 인조 장버진, 박규, 윌리엄, 서린, 얀 서우, 임주환, 황찬빈, 이승민, 이선호 2009년 MBC 16 명가名家 조선 인조 최국선, 한단이, 김원일 차인표, 한고은, 김성민 2010년 KBS1 17 홍길동洪吉童 가상의 조선 홍길동, 이업, 임성중, 우용두 김석훈, 김상중, 이덕화, 이종원 1998년 SBS 18 쾌도 홍길동快刀洪吉童 가상의 조선 홍길동, 허이녹, 이창휘, 심수근 강지환, 성유리, 장근석, 박상욱 2008년 KBS2 19 전우치田禹治 가상의 조선 전우치, 이치, 홍무연, 강림, 이혜령 차태현, 유이, 이희준, 백진희 2012년 KBS2 20 야경꾼 일지巡夜人日志 가상의 조선 이린, 도하, 무석, 박수련, 조상헌, 사담 정일우, 고성희, 유노윤호, 서예지, 윤태영, 김성오 2014년 MBC 정축하성 ~ 신유박해   제목 년대 핵심인물 주연배우 재작년대 방송사 1 궁중잔혹사 - 꽃들의 전쟁宫中残酷史 1637년 ~ 1645년 조귀인, 인조, 김자점, 민회빈 강씨, 소현세자,봉림대군 김현주, 이덕화, 정성모, 송선미, 정성운, 김주영 2013년 JTBC 2 추노推奴/追奴 병자호란 이후 이대길, 송태하, 김혜원, 황철웅, 업복이 장혁, 오지호, 이다해, 이종혁, 공형진 2010년 KBS2 3 최강칠우最强七友 병자호란 이후 최칠우, 소윤, 흑산, 민승국 문정혁, 구혜선, 유아인, 전노민 2008년 KBS2 4 대명待命 조선 효종 봉림대군, 최명길, 임경업 김흥기, 김성원, 백일섭 1981년 KBS1 5 마의马医 조선 현종 백광현, 강지녕, 이명환, 장인주, 이성하 조승우, 이요원, 손창민, 유선 ,이상우 2012년 MBC 6 동이同伊 1681년 ~ 1725년 동이, 숙종, 장희빈(장옥정), 차천수, 서용기 한효주, 지진희, 이소연, 배수빈, 정진영 2010년 MBC 7 장희빈张禧嫔 1670년 ~ 1701년 장희빈(장옥정), 숙종, 인현왕후, 장희재 정선경, 임호, 김원희, 길용우 1995년 SBS 8 장희빈张禧嫔 1681년 ~ 1720년 장희빈(장옥정), 숙종, 인현왕후, 숙빈 최씨 김혜수, 전광렬, 박선영, 박예진 2002년 KBS2 9 장옥정, 사랑에 살다张玉贞为爱而生 조선 숙종 장희빈(장옥정), 숙종, 인현왕후, 숙빈 최씨 김태희, 유아인, 홍수현, 한승연 2013년 SBS 10 다모茶母 조선 숙종 (1692년) 장채옥, 황보윤, 장성백 하지원, 이서진, 김민준 2003년 MBC 11 장길산张吉山 조선 숙종 장길산, 묘옥, 이갑송, 이지용 유오성, 한고은, 정준하, 류수영 2004년 SBS 12 대박大发 조선 숙종~영조 숙종, 영조, 이인좌, 백대길, 담서, 숙빈 최씨 장근석, 여진구, 전광렬, 최민수, 임지연, 윤진서 2016년 SBS 13 대왕의 길大王之路 조선 영조 영조, 사도세자, 혜경궁 홍씨, 숙빈 최씨 박근형, 임호, 홍리나, 김영애 1998년 MBC 14 어사 박문수御史朴文秀 조선 영조 박문수, 영조, 이연희, 소화련 유준상, 조민기, 임지은, 한혜진 2002년 MBC 15 군주 - 가면의 주인君主假面的主人 가상의 조선 왕세자 이선, 한가은, 천민 이선, 김화군, 편수회 대목 유승호, 김소현, 김명수, 윤소희, 허준호 2017년 MBC 16 비밀의 문秘密之门 조선 영조~정조 이선, 영조, 서지담, 혜경궁 홍씨, 나철주 이제훈, 한석규, 김유정, 박은빈, 김민종 2014년 SBS 17 무사 백동수武士白东修 1742년~1778년 백동수, 여운, 황진주 , 유지선, 김광태 지창욱, 유승호, 윤소이 , 신현빈, 전광렬 2011년 SBS 18 이산李祘 1762년 ~ 1800년 이산(정조), 의빈 성씨, 영조, 박대수, 혜경궁 홍씨, 효의왕후, 홍국영, 정순왕후 이서진, 한지민, 이순재, 이종수, 견미리, 박은혜, 한상진, 김여진 2007년 MBC 19 왕도王道 조선 정조 홍국영, 정조, 혜경궁 홍씨, 정순왕후, 순지 김영철, 강석우, 정영숙, 김자옥, 박순애 1991년 KBS1 20 홍국영 조선 정조 홍국영, 정후겸, 수절녀 서씨, 여옥, 정조 김상경, 정웅인, 이태란, 정소영, 정재곤 2001년 MBC 21 바람의 화원风之画员 조선 정조 신윤복, 김홍도, 정향, 정조 문근영, 박신양, 문채원, 배수빈 2008년 SBS 22 거상 김만덕巨商金万德 조선 정조 김만덕, 정홍수, 오문선, 강유지, 할매 이미연, 한재석, 박솔미, 하석진, 고두심 2010년 KBS1 23 소설 목민심서 조선 정조 정약용, 비안, 정약전, 정조, 심환지 이진우, 김성령, 김규철, 김흥기, 임혁 2000년 KBS2 24 성균관 스캔들成均馆绯闻 조선 정조 이선준, 김윤희, 구용하, 문재신 박유천, 박민영, 송중기, 유아인 2010년 KBS2 25 한성별곡-정汉城别曲-情 1800년 박상규, 이나영, 양만오, 정조 진이한, 김하은, 이천희, 안내상 2007년 KBS2 26 정조암살미스터리-8일正祖暗杀之谜-8天 조선 정조 정조, 혜경궁 홍씨, 정약용 김상중, 정애리, 박정철 2007년 채널CGV 세도 정치 ~ 경술국치   제목 년대 핵심인물 주연배우 재작년도 방송사  1 상도商道 1803년 ~ 1840년 임상옥, 박다녕, 정치수, 박주명, 홍득주 이재룡, 김현주, 정보석, 이순재, 박인환 2001년 MBC 2 태양인 이제마太阳人 1837년 ~ 1900년 이제마, 설이, 구운영 최수종, 김유미, 유호정 2002년 KBS2 3 풍운风云 1857년 ~ 1898년 흥선대원군, 명성황후, 고종, 조대비 이순재, 김영애, 박칠용, 반효정 1982년 KBS1 4 명성황후明成皇后 1861년 ~ 1898년 명성황후, 고종, 흥선대원군 이미연, 최명길, 이진우, 유동근 2001년 KBS2 5 찬란한 여명灿烂的黎明 1863년 ~ 1895년 이동인, 김옥균, 박영효, 이하응, 민비 김갑수, 정보석, 이민우, 변희봉, 하희라 1995년 KBS1 6 조선총잡이朝鲜神枪手 개화기 박윤강, 정수인, 최혜원, 김호경, 최원신 이준기, 남상미, 전혜빈, 한주완, 유오성 2014년 KBS2 7 조선 과학수사대 별순검别巡检 개화기 강웅비, 김사율, 서은, 조달환, 홍법률 이기영, 정유석, 조안, 최규환, 이재포 2005년 MBC 8 별순검 시즌1别巡检1 개화기 강승조, 김강우, 여진, 배복근 류승룡, 온주완, 박효주, 안내상 2007년 MBC 9 별순검 시즌2别巡检2 개화기 진무영, 한다경, 선우현, 지대한 이종혁, 이청아, 박광현, 박원상 2008년 MBC 10 제중원济众院 개화기 황정, 유석란, 백도양 박용우, 한혜진, 연정훈 2010년 SBS 11 독립문独立门 조선 고종, 순종 고종, 이승만 박칠용, 서인석 1984년 KBS1 12 미스터 션샤인 Mr.Sunshine 조선 고종, 순종 유진 초이, 고애신 이병헌, 김태리 2018년 tvN 13 대망大望 가상의 조선 박재영, 윤여진, 박시영, 최동희 장혁, 이요원, 한재석, 손예진 2002년 SBS 14 해를 품은 달拥抱太阳的月亮 가상의 조선 허연우, 이훤, 양명, 윤보경 한가인, 김수현, 정일우, 김민서 2012년 MBC
20    고구려년표 댓글:  조회:2732  추천:1  2018-05-01
BC298년 고주몽 출생 BC279년 고주몽 부여扶余에서 졸본卒本땅으로 옴                  고두막한의 딸 소서노의 후원을 받음                  주몽이 비류국왕 송양을 만남 BC278년 말갈靺鞨부락을 침                주몽이 과루부 대인 (왕)으로 됨 BC 277년 (BC37년) 주몽이 졸본부여왕위를 차지함                                  나라이름을 고구려로 정함 BC 276년 비류국왕 송양이 투항해 옴 BC 274년 (BC34년) 졸본성을 쌓고 황궁을 건설  BC 272년 (BC32년) 행인국荇人國을 통합하고 성읍城邑으로 만듬 BC 268년 (BC28년) 북옥저北沃沮를 통합하고 성읍으로 만듬 BC 264년 (BC24년) 주몽의 어머니 동부여東扶余에서 사망                                  사신을 부여에 보냄 BC 259년 (BC19년) 부여에서온 류리가 태자가 됨                                  동명왕 사망 BC 258년 (BC18년) 백제시조 온조가 남쪽으로 감 BC 249년 (BC9년) 선비국鲜卑國을 치고 속국으로 만듬 BC 246년 (BC6년) 부여왕 대소가 볼모교환을 제기                                고구려 태자 도절이 볼모로가는 것 거절                                대소가 5만의 군사로 고구려 침공 BC 240년 (1년) 태자 도절이 사망 BC 238년 (3년) 대보 협보가 남한으로 감 BC 236년 (5년) 유류왕사망. 여률왕즉위  BC 232년 (9년) 부여왕 대소가 사대事大할 것을 요구                            고구려 왕자 막래莫來가 이를 반대 BC231년 (10년) 모천에서 검은 개구리와 붉은 개구리와 싸워진것은 북부여 멸망의 징조라고 함 BC 227년 (14년) 2만명의 군사로 량맥국을 멸망시킴 BC 223년 (18년) 여률왕如栗王 사망 대주류왕 즉위 BC 221년 (20년) 골구천에서 사냥하다가 신기한 말 얻음 부여왕 대소가 붉은 까마귀를 보내옴 BC 220년 (21년) 왕이 부여를 공격.                            북명사람 피유 적곡사람 마유가 따라옴 BC 219년 (22년) 부여 대소왕 사망                             부여를 속국으로 만듬                             갈사국이 섬                             대소의 4촌아우가 투항해옴                             그를 왕으로 삼고 연나부에서 살게함 BC 215년 (26년) 개마국 통합하고 군현으로 만듬                             구다국왕句茶國 투항이후 고구려 령토확장 BC 209년 (32년) 남부사자 추발소를 비류부장으로 임명                            추발소에게 대실씨의 성을 줌 BC 203년 고구려기병이 중국 한나라편을 지원                  초나라를 공격하는 전투참가 BC 138년 대주류왕 사망 애루왕 즉위 BC 107년 고구려서변에 침입한 한나라침략군을 격퇴 BC 107~82년 한나라 현토군 고구려현을 서쪽으로 몰아냄 BC 1세기 중엽 동옥저東沃沮 지역을 고구려의 속령으로 만듬 BC 19년 중해왕中亥王 사망.류리명왕 즉위 BC 18년 왕이 송씨와 결혼 BC 17년 왕자 무휼 출생. 왕비 송씨 사망 3년 국내로 수도를 옮기고 위나암성을 쌓음 8년 황룡국黄龍國왕이 센 활을 보내옴 태자 해명이 그것을 꺾음 9년 태자 해명이 교도에서 자살        한이 망하고 신新나라가 섬 12년 고구려-신전쟁. 왕망王莽의 대흉노匈奴공격전 반대          현토군玄菟郡안의 구려句麗사람들 고구려로 망명          신나라군 고구려에 침입하여 연비를 죽임          고구려군이 신나라 현토군에 공격강화 13년 후부여군 학반령침입.왕자 무휼이 매복작전으로 격파 14년 왕자 무휼을 태자로 삼고 군사와 행정에 관한 일 맡김 10년 중반 고구려가 오늘날 강원도지방의 소국들을 속국화 18년 비류사람 제수에게 금10근과 토지10경을 줌         고구려소속 7개소국이 진한편으로 투항         류리명왕 사망.대무신왕大武神王 즉위 19년 백제백성 1000여호가 고구려땅으로 들어옴 25년 을두지를 우보로 임명.군사와 행정사업 맡김 20년대 초중엽 황룡국黄龍國을 통합 27년 을두지를 좌보로 송옥구를 우보로 임명 28년 위나암성으로 침략해온 한나라 료동태수太守의 군대 격퇴 30년 매구곡의 세력인 상수가 고구려에 투항 32년 최리의 락랑국楽浪國을 투함시킴          고구려가 한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무역진행 37년 락랑국楽浪國을 멸망시킴 42년 고구려가 신라新羅의 북변을 공격 44년 후한后汉이 락랑국에 사신을 보냄          살수이남이 락랑국에 속함          대무신왕 사망. 민중왕 즉위 47년 잠우락부의 대가가 고구려를 배반 48년 홍수가 져서 20여개소에서 산사태가 남 49년 고구려군이 한나라의 우복평 어양 상곡 태원을 공격 
19    일본어의 기본패턴 (하) 댓글:  조회:3428  추천:0  2018-02-01
패턴[pattern] 뜻 ㅡㅅㄸ 뜻 일정한 형태나 유형이나 양식 01 일본어의 기본 패턴 001 ~은(는) ~입니다 ~は~です 002 ~은(는) ~이(가) 아닙니다 ~は~ではありません ~은(는) ~(이)지 않습니다 ~は~くありません 003 있습니다·없습니다(사람·동물) います?いません 004 있습니다·없습니다(사물·식물) あります?ありません 005 ~이었습니다·~했습니다 ~でした?~かったです 006 ~이고 ~입니다 ~で~です?~くて~です 007 ~은(는) ~입니다 ~い~です ~한 ~입니다 ~な~です 008 ~이(가) 아니고 ~(입)니다 ~じゃなくて~です ~(이)지 않고 ~(입)니다 ~くなくて~です 02 ます형과 접속하는 패턴 009 ~합니다·~했습니다 ~ます?~ました 010 ~하지 않(겠)습니다 ~ません ~하지 않았습니다 ~ませんでした 011 ~합시다·~할까요? ~ましょう?~ましょうか 012 ~고 싶다·~고 싶어하다 ~たい?~たがる 013 ~(하)기 힘들다(어렵다) ~にくい ~(하)기 쉽다(편하다) ~やすい 014 ~(하)기 시작하다 ~はじめる ~을(를) 마치다(끝내다) ~おわる 015 계속 ~하다·~(하)면서 ~つづける?~ながら 016 ~(하)세요·~(해)라 ~なさい?動詞の命令形 03 て형과 접속하는 패턴 017 ~해 주세요 ~て(で)ください 018 ~하고 있다, ~해 있다 ~て(で)いる 019 ~하고 있는 중이다 ~て(で)いるところだ 020 ~되어 있다 ~て(で)ある 021 ~하고만 있다 ~て(で)ばかりいる 022 ~해 보다 ~て(で)みる 023 ~해 놓다, ~해 두다 ~て(で)おく 024 ~하고 나서 ~て(で)から 025 ~해지다, ~해 오다, ~て(で)くる 026 ~해 버리다, ~하고 말다 ~て(で)しまう 027 아무리 ~해도 いくら~ても(でも) 028 ~해도 좋다, ~해도 된다 ~ても(でも)いい 029 ~하면 안 된다 ~ては(では)いけない 030 ~해 주면 좋겠다, ~을 원하다 ~て(で)ほしい 031 ~해 가다 ~て(で)いく 032 ~하고 오다 ~て(で)くる 033 ~해서 죽겠다, 너무 ~하다 ~てしょうがない?~てしかたがない 04 た형과 접속하는 패턴 034 ~하기도 하고 ~하기도 하다 ~たり(だり)~たりする 035 ~한 적이 있다 ~た(だ)ことがある 036 ~하는 편이 좋다 ~た(だ)ほうがいい 037 막 ~한 참이다 ~た(だ)ところだ 038 ~한 채(로) ~た(だ)まま 039 ~한 후, ~한 다음 ~た(だ)あと 040 막 ~한 참이다, ~た(だ)ばかりだ ~한 지 얼마 되지 않다 05 ない형과 접속하는 패턴 041 ~하지 말아 주세요 ~ないでください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ないでほしい 042 ~하지 않아도 된다 ~なくてもいい ~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なくてもかまわない 043 ~하지 않으면 안 된다 ~なければならない ~なくてはいけない 044 ~하지 않는 편이 좋다 ~ないほうがいい ~이(가) 아닌 편이 좋다 ~く(じゃ)ないほうがいい 045 ~하지 않아서 ~なくて ~이지(하지) 않아서 ~く(じゃ)なくて ~이(가) 아니어서 06 주고받는 형태의 패턴 046 주다·~해 주다 あげる?~てあげる 047 주다·~해 주다 くれる?~てくれる 048 받다·~해 받다 もらう?~てもらう 049 드리다·~해 드리다 差し上げる?~て差し上げる 050 받다·~해 받다 いただく?~ていただく 232 051 주다·~해 주다 やる?~てやる 236 07 가정형의 패턴 052 ~하면, ~할 거면 ~なら 244 ~하다면, ~이라면 053 ~하면 ~たら 248 054 ~하면·~이면 ~と 252 055 ~하면 ~ば?~ければ?~なら(ば) 256 056 ~하면 ~할 수록 ~ば~ほど?~ければ~ほど?~なら(ば)~ほど 08 수동?사역?사역수동형의 패턴 057 ~받다, ~되다, ~(해)지다 ~(ら)れる 058 ~(피해를) 입다, ~당하다 ~(ら)れる 059 ~시키다, ~하게 하다 ~(さ)せる 060 ~하게 해 주다·~하다 ~(さ)せてもらう 061 ~하게 해 주다 ~(さ)せてくれる 062 (마지못해) ~을 하다 ~(さ)せられる 09 추측형의 패턴 063 ~(할) 것 같다 ~そうだ 064 ~(하는) 것 같다, ~(하는) 듯하다 ~ようだ 065 ~(하는) 것 같다, ~(인) 것 같다 ~みたいだ 066 ~(하는) 것 같다 ~らしい 067 ~겠지 ~だろう 068 ~겠지요? ~でしょう 069 ~할(일) 것이다 ~はずだ ~할(일) 리가 없다 ~はずがない 070 ~라고 생각하다 ~と思う 071 ~일(할)지도 모른다 ~かもしれない 10 기타 패턴 072 ~와 ~(와) 어느 쪽이 ~と~とどちらが ~보다 ~쪽이 ~より~のほうが 073 ~은(는) ~보다 ~は~より ~ 중에서는 ~이(가) 가장 ~の中では~が一番 074 ~할 수 있다 ~ことができる?動詞の可能形 075 ~하게 되다 ~ようになる ~할 수 있게 되다 ~できるようになる 076 ~(하려는) 참이다 ~ところだ ~하고 있는 참(중)이다 ~ているところだ 077 어째서, 왜 どうして?何で 078 ~(할) 생각이다·~(할) 예정이다 ~つもりだ?~予定だ 079 ~(하)기로 하다·~(하)게 되다 ~ことにする?~ことになる 080 ~(이)라고 하다 ~そうだ?~という 081 ~(하)게 하다 ~くする?~にする 082 ~(으)니까, ~해(여)서·~때문에 ~から?~ので 083 ~때문에·~하기 위해 ~ために 084 자주, 주로 よく 그다지(별로) ~않다 あまり~ない 085 ~조차 ~さえ?~すら 086 ~(하)러 가다·~(하)러 오다 ~に行く?~に?る 087 벌써, 이미, 이제·아직 もう?まだ 088 ~덕분에·~탓에, ~때문에 ~おかげで?~せいで 089 분명(히)·아마 確か(に)?たぶん 090 ~사이에, ~동안에 ~間に ~동안에, ~전에 ~うちに
18    일본어의 기본패턴 (상) 댓글:  조회:3129  추천:0  2018-02-01
  01 조사 이용 패턴1 001 ~에 있어서, ~에서·~에 있어서는, ~만큼은·~에게 (있어서) ~において?~にかけては?~にとって 002 ~을(를) 대신해·~대신에 ~に代わって?~代わりに 003 ~에 대해·~에 관해·~에 대해 ~について?~に?して?~に?して 004 ~(함)에 따라·~(함)에 따라, ~와(과) 함께 ~にしたがって?~につれて 005 ~에 걸쳐서 ~にわたって?~にかけて 006 ~에 한해서, ~만·~에 한하지 않고, ~뿐만 아니라 ~に限って?~に限らず 007 틀림없이 ~이다, ~할 것이 틀림없다 ~に違いない?~に相違ない 008 ~에 즈음하여, ~(할) 때·~을(를) 맞이하여, ~할 때 ~に際して?~にあたって 009 ~에 부응하여, ~에 답해·~에 따라, ~에 맞게 ~に?えて?~に?じて 010 ~치고는, ~(하)기에는·~(인) 것에 비해서는 ~にしては?~のわりには 011 ~에도 상관없이, ~(함)에도 불구하고 ~にもかかわらず?~にもかまわず 012 ~에 앞서·~전에, ~에 앞서 ~に先立って?~の前に 013 ~에 지나지 않다, ~에 불과하다·~뿐이다 ~に過ぎない?~だけだ/~にほかならない 02 조사 이용 패턴2 014 ~을(를) 계기로 ~をきっかけに?~を契機に 015 ~을(를) 중심으로·~을(를) 비롯해 ~を中心に?~をはじめ 016 ~을(를) 제외하고·~ 빼고, ~ 제외하고 ~をのぞいて?~ぬきにして 017 ~을(를) 통해 ~を通じて?~を通して 018 ~을(를) 불문하고·~에 상관없이 ~を問わず?~にかかわらず 019 ~은(는) 어쨌든 간에, ~은(는) 차치하고·~은(는) 제쳐 놓고, ~은(는) 차치하고 ~はともかく?~はさておき 020 ~은(는) 물론 ~はもちろん?~はもとより 021 ~(으)로 보면, ~의 입장에서 보면 ~から見ると?~からいうと 022 ~(라)고는 할 수 없다·~한(인) 것은 아니다 ~とは限らない?~わけではない 023 ~부터(가)·~(라)고 해서 ~からして?~からといって 024 ~아래에서·~을(를) 바탕으로, ~을(를) 기초로 하여 ~のもとで?~をもとに 025 ~에 비해서·~와(과) 비교해서 ~と比べて?~と比較して 026 ~도 …(하)지만 ~도 ~も…ば~も?~も…なら~も 027 ~은(는)커녕·~(할) 상황이 아니다 ~どころか?~どころではない 03 형식명사 이용 패턴 028 (얼마나) ~던가·~(할)까보냐, ~(할) 수 있나 ~ことか?~ものか 029 ~(이)기 때문에, ~(이)니까·~(이)기 때문에 ~ことだから?~ものだから 030 ~(할) 필요는 없다·~못할 것은 없다 ~ことはない?~ないことはない 031 ~(하)기로 되어 있다·~(하)려고 하고 있다 ~ことになっている?~ことにしている 032 ~(함)으로써, ~(하는) 것으로·~(하)기 때문에, ~(한) 이유로 ~ことによって?~ことから 033 ~(이)라고 한다, ~(하)다고 한다·(바로) ~(이)라는 것이다 ~ということだ?~というものだ 034 ~(하는) 일이 있다·~(한) 적이 있다 ~(する)ことがある?~(した)ことがある 035 ~(하는) 법이다, ~(하는) 것이다·~(하는) 것이 아니다, ~(해서는) 안 된다 ~ものだ?~ものではない 036 ~(한) 채로, ~(한) 대로·~뿐, ~만, ~(한) 채 ~まま?~きり 037 ~탓에, ~때문에·~바람에, ~탓에 ~せいで?~ばかりに 038 ~(하는) 대로 ~とおりに/~どおりに?~次第 039 ~(할) 터이다, ~(할) 것이다·~할(일) 리가 없다·~(할 것이) 뻔하다, ~(할 것임)에 틀림없다 ~はずだ?~はずがない?~に決まっている 040 (당연히) ~이다, ~것이다·~할(일) 리가 없다 ~わけだ?~わけがない 04 접속사 이용 패턴 041 그래서 だから?それで 042 하지만·하지만, 그런데 だが?ところが 043 그런데, 그건 그렇고·그런데, 그건 그렇고, 자 ところで?さて 044 또는, 혹은·그렇지 않으면, 아니면 または?それとも 045 게다가, 더욱이·게다가, 그러고도 それに?しかも 046 즉, 바로, 다름 아닌·결국, 즉, 요컨대 すなわち?つまり 05 부사 이용 패턴 047 마침내, 드디어·겨우, 가까스로, 간신히 いよいよ?やっと 048 이미, 벌써 すでに?もう 049 먼저, 우선, 일단·미리, 사전에 まず?前もって 050 아마, 필시, 어쩌면·아마 おそらく?たぶん 051 반드시, 꼭·꼭 ~(은) 아니다, 반드시 ~(은) 아니다 必ず?必ずしも~ない 052 그만, 무심코, 어느덧·깜빡, 무심코 つい?うっかり 053 그다지 ~않다·별로 ~않다, 특별히 ~않다 あまり~ない?別に~ない 054 결코·절대로 決して?絶?に 06 경어 이용 패턴 055 먹다 / 마시다·드시다 食べる/?む?召し上がる 056 가다 / 오다 / 있다·가시다 / 오시다 / 계시다·가다 / 오다 / 있다 行く/?る/いる?いらっしゃる?まいる/おる 057 말하다·말씀하시다 / 말하다, 아뢰다 言う?おっしゃる/申す 058 보다·보시다 / 보다 見る?ご?になる/?見する 059 하다·하시다·하다 する?される/なさる?いたす 060 묻다 / 방문하다·(삼가) 여쭙다, 찾아뵙다 聞く/訪問する?うかがう 061 만나다·(찾아)뵙다 ?う?お目にかかる 062 일반 동사의 존경어·일반 동사의 겸양어 お+동사의 ます형+になる?お+동사의 ます형+する(いたす) 063 한자어의 존경어·한자어의 겸양어 ご+한자어+になる?ご+한자어+する(いたす) 064 ~해 주십시오·~하겠습니다 お+동사의 ます형+ください?~(さ)せていただきます 07 문말에서 이용하는 패턴 065 (오로지) ~뿐이다, ~만 하다·~(하)고 있다, ~중이다 ~一方だ?~つつある 066 ~할 우려(염려)가 있다·~(할) 위험이 있다 ~おそれがある?~危?がある 067 ~(할) 수 없다, ~(하기) 어렵다·~(하기) 어렵다 ~かねる?~がたい 068 ~(할) 정도다·~(할) 정도다, ~만큼이다 ~くらいだ?~ほどだ 069 ~(하지) 않을 수 없다 ~ざるを得ない?~ないではいられない/~ずにはいられない 070 ~(할) 수밖에 없다 ~しかない?~ほかない 071 ~(해)야만 한다·~(할) 수는 없다 ~べきだ?~わけにはいかない 072 ~(하지) 않겠다·~(할)지 말지 ~まい?~か~まいか 08 기타 패턴 073 ~(하는) 끝에·~끝에, ~뒤 ~あげく?~すえ 074 ~(하는) 한편으로·~(하는) 반면 ~一方で?~反面 075 ~(할) 수 있다·~(할) 수 없다·~(할)지도 모른다, ~(할) 수도 있다 ~うる / ~える?~得ない?~かねない 076 ~(하는) 한, ~(인) 이상·~(하지) 않는 한, ~(이) 없는 한 ~限り?~ない限り 077 ~(하는) 경향임, 자주 ~함, (하기) ~쉬움·~느낌이다, ~기운이다, ~기색이다·~스럽다, ~같다, ~처럼 보이다 ~がち?~?味だ?~っぽい 078 ~하자마자 ~か~ないかのうちに?~たとたん 079 ~(하는) 바에는, ~하는(인) 이상은·~(하는) 이상은 ~からには?~以上は 080 (끝까지) ~하다, (다) ~하다, ~(해)내다·(모두) ~할 수 없다·(끝까지) ~하다, ~(해)내다 切る?~きれない?~ぬく 081 ~(할 때)마다·~걸러, ~간격으로 ~たびに?~おきに 082 ~투성이다, ~천지다 ~だらけだ?~まみれだ 083 ~(하)면서 ~つつ?~ながら 084 ~뿐만 아니라·~뿐만 아니라·~뿐만 아니라, ~뿐더러 ~のみならず?~だけでなく?~ばかりか 085 ~에 적합한, ~용·~을(를) 위한 ~向きの?~向けの 086 ~만에·~모습, ~모양 ~ぶりに?~ぶり/~っぷり 087 ~에 달렸다·~에 따라서는, ~나름으로는 ~次第だ?~次第では 088 ~(하다) 말다·~(하다) 만 ~かける?~かけの 089 ~(하)자마자·~나름대로/~나름의 ~なり?~なりに/~なりの 090 ~(할) 뻔했다 ~ところだった?~そうになった
17    전통악기 댓글:  조회:3113  추천:0  2018-01-30
민속악기 民俗樂器        타악기 방향, 교방고,장구, 북,소고,징, 꽹과리 ,박,자바라,운라 관악기       대금,중금,소금,당피리,향피리,초적,소관자,소, 생황,당적,퉁소,단소,태평소,나발,나각 현악기 거문고,가야금,대쟁,아쟁,당비파,향비파,월금,공후,해금 아악기  雅樂器     타악기 특경,특종,편경,편종,축,어,부,건고,삭고,응고,뇌고,영고,노고,노도,뇌도,영도,도,절고,진고,순착,요,응,아,상,독 관악기 관,약,지,적,훈,화,우 현악기 금,슬
16    한국어 남북간 국가명표기 차이 댓글:  조회:3445  추천:0  2018-01-28
국가명 표기  쓰르비아, 쎄르비아 (러시아어: Сербия, 세르비아) 카나다 (러시아어: Канада, 영어: Canada, 프랑스어: Canada, 캐나다) 로씨야 (러시아어: Россия, 러시아) 이딸리아 (러시아어: Италия, 이탈리아) 또고 (러시아어: Того, 토고) 오스트랄리아 (러시아어: Австралия, 오스트레일리아) 아랍추장국 (한국 한자: 아랍酋長國, 아랍에미리트) 마쟈르 또는 웽그리아 (헝가리어: Magyarország, 러시아어: Венгрия, 헝가리) 서부사모아 (영어: Westen Samoa, 사모아) 에스빠냐 (스페인어: España, 에스파냐 , 스페인) 앵귈러 (영어: Anguilla, 앵귈라)  벨라루씨 (러시아어: Беларусь, 벨라루스) 체스꼬슬로벤스꼬 (체코어: Československo, 구 체코슬로바키아) 쏘베트사회주의공화국련맹, 쏘련 (러시아어: Советский Союз, 구 소비에트 연방, 소련) 뽈스까 (폴란드어: Polska, 폴란드) 타이 (태국어: ประเทศไทย, 태국) 애급 또는 에짚트 (한국 한자: 埃及, 러시아어: Египет, 이집트) 팔레스티나 (아랍어: جمهورية فلسطين, 팔레스타인) 캄보쟈 (러시아어: Камбоджа, 캄보디아) 수리아 (아랍어: سوريا, 시리아) 까타르 (러시아어: катар, 카타르) 윁남 (러시아어: Вьетнам, 베트남) 월남도 있다 윁남사회주의공화국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뻬루 (러시아어: Перу, 페루) 메히꼬 (스페인어: México, 멕시코) 꾸바 (러시아어: Куба, 쿠바) 벌가리아 (러시아어: Болгария, 불가리아) 방글라데슈 (러시아어: Бангладеш, 방글라데시) 화란 또는 네데를란드 (네덜란드어: Nederland, 네덜란드) 뽀르뚜갈 (포르투갈어: Portugal, 포르투갈) 우즈베끼스딴 (러시아어: Узбекистан, 우즈베키스탄) 중앙아시아국가들은 스탄이 더 정확하다. 아이띠 (프랑스어: Haïti, 아이티) 뜌니지 (러시아어: Тунис, 튀니지) 로마니아 (루마니아어: România, 루마니아) 뛰르끼예 (터키어: Türkiye, 터키) 도시명 표기 브류쎌 (네덜란드어: Brussel, 브뤼셀, 벨기에의 수도) 쁘라하 (체코어: Praha, 프라하, 체코의 수도) 와르샤와 (폴란드어: Warszawa, 바르샤바, 폴란드의 수도) 도꾜 (일본어: 東京, 도쿄, 일본의 수도) 울라지보스또끄 (러시아어: Владивосток, 블라디보스토크, 러시아의 도시) 밸리(영어: Valley, 더밸리, 앵귈라의 수도) 표준에 가까운 단어를 굵게 하였다.   
15    한국의 전통색상90색 댓글:  조회:2038  추천:1  2018-01-26
14    조선족력사년표 (상) 댓글:  조회:2184  추천:0  2018-01-20
(광복전까지)     1597년 8월 , 백두산 분화. 1677년 청조는 간도에 대한 봉금령을 내린다. 1688년 4월 , 백두산 분화. 1689년 청로는 네르틴스크 조약을 체결.외흥안령을 국경으로 흑룡강은 중국의 국내하천으로 인정. 1702년 4월 , 백두산 분화. 1712년 중국과 조선 량국은 압록강, 「토문강土門江」을 국경으로 할것에 합의.백두산에 정계비를 세운다.후에 「土門江」이 송화강을 가리킨다. 1859년 5월 28일, 청로는 애훈조약을 체결.청은 아라사에 흑룡강에 좌안의 영유권, 흑룡강과 송화강의 항행권을 인정. 1859년 훈춘 협령을 부도통협령(副都統協領)에 승격. 1860년 청로가 북경조약 을 체결.우쑤리강동쪽, 도문강 북쪽의 토지를 로씨야에 할양(현재의 연해주).청은 일본해에의 출구를 잃는다. 1869년 전에 없던 기아에 의해 조선인이 연변에 유입. 1875년 청은 서간도의 봉금정책을 폐지. 렬강의 만주접근에 대항하기 위해서 였다. 통화현에서 조선인이 벼농사에 성공. 1881년 청은 조선에 대해서 간도지역 조선인의 송환을 요구. 1882년 청은 입적령을 발포해 조선인의 귀화를 권유. 1883년 조선은 두만강봉금령을 폐지.  집안에 밀정으로 들어간 사까와 카게노부는 광개토왕비의 탁본을 일본에 가지고 돌아간다. 1884년 조선의 종성으로부터 개산툰을 거쳐 룡정에 이르는 도로가 부설.  길림성은 조선과 「상민무역 지방규정」을 맺고 상부지를 지정하고 무역을 자유화한다. 1885년 을서담판  청은 봉금령을 전폐하고 월간국을 마련해 조선이민에 의한 개간을 장려한다. 1887년 정해담판 1890년 월간국을 무간국으로 고친다. 청은 머리모양 복장을 중국식으로 한 조선인에 대해서 토지 소유권을 인정한다. 1897년 리씨조선은 중국과의 관계를 끊고 독립을 선언한다. 1900년 의화단사건을 계기로 러시아는 만주를 점령.러시아군이 국자거리에 침입. 중국인은 길림방면으로 피난했기 때문에 조선이민이 급증. 1901년 이때부터 봉천(심양)의 서탑에 조선인 집단으로 자리잡기 시작. 1902년 연길청이 설치.  조선정부는 이범윤을 북간도관리사로 임명.이범윤은 사병단을 만들어 조선이민을 보호한다. 1906년 조선인에 의한 중국에서 처음으로 되는 근대적인 학교인 서전서숙 학원을 용정에 설립.학생수22명(지금은 「서전서숙 유적지」라고 씌여진 기념비가 서있다). 1907년 8월 19일 , 조선인 보호를 명목으로 사이토 중령이 인솔하는 일본군이 룡정에 주둔.일본은 룡정촌에 한국 총독부 임시 간도출장소를 설치.    서전서숙 학원은 창건8개월에서 폐지.  간도 조선인 인구는 7만 1000명. 1908년 4월 27일, 서전서숙의 김학연은 명동학원을 세운다(후에 3년제의 중학교로 발전).  7월1일 , 일본은 서전서국이 있던 자리에 간도보통학교를 개교.  창동학교 개설.  광성학교 개설. 1909년 9월 4일 , 간도협약  일본은 청의 간도 영유권을 인정하는 한편, 조선인의 간도의 거주권, 간도 총영사관을 용정에 개설해 경찰관을 주재시키는 권리, 길림과 조선의 회령을 잇는 철도의 부설권을 손에 넣는다.  ◆ 한국의 교과서의 기술  「19 세기후반 이후, 한민족은 간도지방에 대거 이주하고 개척했다.그러나 청나라가 간도개간사업을 구실로 한민족의 퇴거를 요구하여 간도귀속문제가 일어났다.정부에서는 백두산 정계비의 토문강이 송화강의 상류에 있는것을 이유로 간도가 우리 영토인것을 주장하고 간도를 함경도의 행정구역에 편입해 관리하고 있었다.그러나 을미조약으로 우리나라의 외교권을 빼앗은 일본은 만주의 안봉선의 철도 부설권을 손에 넣는 대가로 간도를 청나라의 영토로서 인정하는 간도조약을 청나라와의 사이에 체결했다(1909).  ( 「국정 한국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 한국의 역사」 명석서점)    청은 훈춘청을 설치.  9월 22일, 나쯔메 소세키, 하얼빈을 방문.  10월 26일, 안중근 하얼빈역에서 이토히로부미를 암살.  11월 1일, 일본은 한국 총독부 임시 간도 출장소를 폐지.  11월 2일, 일본은 간도 일본 총영사관을 용정에 설치.스즈키 요타로가 대리 총영사. 1910년 3월 26일, 안중근의 사형 집행.  8월 29일, 한일합방  10월 7일, 기독교회의 박무림등은 용정에 상정여자학교를 창설.  재간도 조선인 인구는 10만 9500인명.  민족종교인 대종교는 북간도에 지사를 설치. 1911년 5월 9일 심야, 간도 일본 총영사관과 90호이상의 일본인 주택에서 화재.  재간도 조선인 인구는 12만 6000명.한족은 3만5200명.  신의주와 안동(단동)을 연결하는 압록강 철교(944 m)가 조선 총독부 철도국에 의해 완성(이 다리는 한국전쟁중 미군에 의해 폭격되어 현재는 애국교육의 실물교재 및 관광자원으로서 활용되고 있다). 1912년 룡정에 간도신사가 선다.  9월 14일, 기독교 장로교회의 조희림등은 용정에 영신학교를 창설. 1913년 캐나다인 장로파 선교사 파커가 용정에 교회를 연다. 1914년 대종교는 본사를 간도로 옮긴다. 1915년   1916년 1월 16일, 룡정에서 대화재 발생.  일본 조선은행지점을 룡정에 설립.  룡정으로부터 회령으로 통하는 도로가 개통.  작가 김학철이 태어남. 1917년 동양탁식주식회사 간도 출장소(동탁), 조선인민은행 주장소, 간도상업금융 주식회사를 설립.  연길사범학교(지금의 제일사범) 설립.  12월 30일 , 윤동주가 용정 지신진 명동촌에서 태어남. 1918년   1919년 3월1일 , 3·1 독립운동  3월 13일 , 3·13 운동  3·1운동의 영향을 받고 용정에서 반일대회가 열린다.김영학이 대회회장.참가자는 2만 혹은 3만명이라고 한다.김영학은 「독립선언」을 낭독.대회결속후 「조선독립만세」의 표어를 내걸고 시위행진.진압에 해당된 맹부덕의 중국군 부대는 시위대를 향해 발포해 19명이 사망.  3월 17일, 13일의 사망자의 매장을 실시함과 동시에 반일시위를 연다.의사능(14명이 매장·그외 5명의 사체는 유족이 가지고 돌아간다)이 만들어진다.  4월 2일, 석건평에서 반일시위.8천명이 참가. 1920년 1월, 윤준희등은 일본조선은행의 기마대를 습격하고 15만엔을 강탈(지금은 「탈취 15만원사건 유적지」라고 새겨진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2월 4일, 장로파 교회는 용정에 은진중학교를 창설.교장 포드, 학생수27명으로 5년제.영어, 성서, 한문, 이과등을 교수.개학후 바로 일본의 경찰에 의해 2명의 교사와 20명이상의 학생이 체포된다.1개월후 석방.  6월, 장로파 교회는 용정에 일광학교를 개설.    6월 4일~7일, 봉오동전투  일본군 남양 수비대가 도문에서 신민단과 충돌.    9월 12일과 10월 2일 , 훈춘사건 총독부에 매수된 중국인 마적 장호강등은 두차례에 걸쳐 약400명의 병력으로 훈춘성을 습격한다.일본 영사관을 파괴하고 일본인을 살해.일본정부는 이 사건을 대대적으로 보도해 일본군출병의 구실로 만든다.    10월 20일~23일 , 청산리 전투  (한국에서는 청산리대첩 혹은 청산리독립전쟁으로 불린다).김좌진(군정서), 홍범도(대한독립군) 등이 인솔하는 약2천~3천명의 독립군이 일본군과 충돌.크고 작은 10회의 전투결과, 일본군의 카노우대대에 큰타격을 준다.일본군은 약6백~8백명이 전사.  ◆ 김좌진(1889~1930)  별칭 김중하.1889년 충청남도의 명문(양반) 출신.김옥균과는 사촌관계.대종교의 열심한 신도.1930년 원부하에 의해서 암살된다.    ◆ 홍범도(1867?~1943)  1867년 혹은 1868 년생.출신지는 불명.사냥꾼을 하고 있던 동안에 사격명수로서 두각을 나타내 사냥꾼의 두목이 된다.일본에 의한 「총사냥」을 계기로서 동료를 모아 의병을 조직.1943년 시베리아에서 사망.    ◆ 현재는 현지에 기념비가 서있다.씌여있는 기념문은 이하와 같다.  「청산리 전적지 소개. 일제의 「경신년 토벌」에 직면해 우리들의 항일무장부대는 홍범도의 지도하에 유동작전을 전개했다.1920년 10월 21일-22일에 청산리·백운평·천수평·어랑촌등지에서 적에게 타격을 입히고 인민들의 항일투쟁의 신심을 고무했다」.    ◆ 한국의 교과서로부터  「3·1운동이후, 만주에서는 국민회군, 북로군정서군, 대한독립군, 서로군정서군, 대한의용군, 광복군총영등 독립군 부대가 활약했다.이러한 독립군 부대는 일본군과 교전하면서 군자금의 조달, 밀정의 처단, 독립정신의 선양 등 독립을 위해서 계속 싸웠다.이중에서도 가장 훌륭한 전과로서 홍범도가 인솔하는 대한독립군의 봉오동전투와 김좌진이 인솔하는 북로군정서군 및 국민회산하의 독립군이 획득한 청산리대첩이었다.봉오동전투에서 대한독립군은 독립군 본영을 기습해 온 일본군 한개 대대를 최진동의 군무도독부군, 안무의 국민회군과 함께 봉오동으로 유인하여 포위, 공격하고 대승리를 거두었던 것이다(1920). 이에 대해 일본은 한국내에 주둔하고 있던 부대와 관동지방에 파견되고 있던 부대 및 연해주 지역의 부대를 동원해 동, 서, 남의 세방면으로부터 독립군을 공격해 왔다.북로군정서군을 시작으로 하는 독립군의 연합부대는 일본군의 대부분대와 충돌해 6일간의 수십회에 걸치는 전투로 일본군을 격파하고 휘황한 전과를 올렸다(1920).이것을 청산리대첩이라고 한다.큰 타격을 받은 일제는 독립군의 저항을 식민지 통치의 위협으로 간주하고 독립군뿐만 아니라 만주에 사는 한국인에 대해서까지 무차별하게 학살하는 간도참사(주)를 일으켰다. (주) 간도지방에서 일본군에 학살된 한국인은 훈춘현에서 242명, 연길현에서 1124명, 화용현에서 572명, 왕청현에서 347명, 녕안현에서 17명, 그 외의 현에서 804명이나 되었다. ( 「국정 한국고등학교 역사교과서 한국의 역사」명석서점)    10월 하순 , 경신년대학살  일본군은 대거관도일대에 출병해 조선인의 마을을 태우고 삼천명을 학살. 1921년 3월 17일, 호남성 장사에 중한호조사가 설치.  4월 , 천도교회는 용정에 동흥중학을 창설.  5월 , 기독교회는 용정에 영신중학을 창설.  10월 5일 , 대성유교공교회는 용정성중학을 창설해 개교식을 올렸다.  ◆ (한국에서 유명한) 연변출신의 인물  윤동주 용정 1917년 문익환 용정 려운형   1922년 조선인의 경지 소유 면적이 전경지 면적의 52%를 차지한다.  천보산·용정·개산툰을 잇는 천도 경편 철도가 부설(이에 대해서 반대운동이 일어난다).  11월 27일, 용정의 간도 일본 총영사관에서 화재가 발생. 1923년 3월, 공산주의자 김사국등은 용정에 동양학원을 열고 마르크스 사상을 넓힌다.그 외에 학생 친목회, 사회과학 연구회등의 마르크스 사상 스터디그룹이 열린다. 1924년 7월, 용정에 노동학원 창설.마르크스 사상을 넓힌다.    봉천정부는 조선인 학교의 폐쇄명령을 내린다.  연길운수조합, 계량조합, 용정건설자 동맹등의 노동자 혁명조직이 성립. 1925년   1926년 1월 , 동만청년총연합맹, 간도소년회, 노동회, 부녀회등 혁명단체가 성립.  5월 , 새로운 간도 일본총영사관이 준공(현 용정시정부청사).  5월 , 주하현 일면파에서 조선 공산당 만주총국이 창설되고 본부를 녕고탑에 설치.  6월 , 미츠야협정의 체결 봉천군벌 경무처처장 간진과 조선 총독부 경무국 국장 미츠야 미야마쯔와의 사이에서 맺어졌다.조선인 단속에 대한 협력체제를 확립.  7월 , 조선 공산당 동만구역국이 용정에 성립.  최남선은 백두산에 오르고 동아일보에 「백두산참관기」를 발표. 1927년 두만강을 건느는 철교가 개산툰과 삼봉사이에 건설된다.  사과배가 탄생. 셈프로의 연극단체 「예문사」가 용정에서 성립.  10월 , 간도 제1차 공산당원 체포 사건 1928년 2월 , 중공 만주성위는 주동교를 용정에 파견.중공동만특별 지부를 창건.  9월 , 간도 제2차 공산당원 체포 사건  10월 , 용정에 중공동만구위를 설치.  간도 흉작.  중국 공산당은 조선인을 국내의 소수민족으로 인정하고 혁명후에는 자치권을 주는것을 방침으로서 확립.  용정 대성중학을 수리 및 확장.벽돌건물이 된다.  김일성은 길림육문중학에 입학. 1929년 김일성은 중국에서 마르크스주의자로서 국민정부에 체포된다. 1930년 1월 23일 , 「광주학생 반일투쟁」지지의 데모가 용정에서 열린다.일본 경찰은 50명 이상의 학생을 체포.이에 항의해 학생들이 은진중학교 교정에 집합해 일본 경찰 수십명을 구타.  2월 , 중공 연변특별지부가 성립.  3월 , 간도 제3차 공산당원 체포 사건  4월 5일 , 중공 만주성 위원회는 극좌적인 「붉은 5월」방침을 발포.  5월 1일 , 용정의 많은 학교에서 스트라이크 및 각지에서 데모.「붉은5월 투쟁」의 개시.  5월 30일 , 간도5.30 봉기(붉은5월 투쟁). 간도거주 조선인 공산주의자가 조직한 봉기.용정, 투도구등 천도선(천진·도문간) 연선을 중심으로 영사관, 전등회사, 역전등을 방화, 파괴.화룡현 약수동에서는 소비에트를 수립했지만 탄압된다.이듬해8월까지 2000여명이 검거.후에 극좌방침과 총괄된다.  8월 1일 , 81길돈폭동.  추수폭동. 1931년 춘황폭동.  봄, 김일성은 항일 유격대에 들어간다.  7월 , 백두산의 정계비가 도둑맞힌다.  9월 18일 , 만주사변  12월 , 중공에 의해 동북 인민 혁명군이 편성된다.    만보산 사건.장춘교외의 만보산에서 조선 농민의 수로를 중국인이 파괴.일본은 중·조 양국민의 배척을 부추기기 위해서 대대적으로 보도.평양, 인천등에서 중국인거리에 대한 폭동이 발생. 1932년 2월 5일 , 일본군은 하얼빈을 점령.  2월 15일 , 용정에서 일본의 모략단체· 민생단 이 조직된다.조선인의 반발로7월에는 해산.  3월 1일 , 만주국의 건국을 선언  3월 , 고찌의 시인 우에무라 히로시 이 대표작「간도 유격대의 노래」를 발표.  4월 , 지금의 동성용에 비행장이 만들어진다.  4월~ , 해란강대혈안 (연길현 해란)  조선 라남 19사단의 간도 파견대, 창춘에 주둔한 관동군 히라가 부대는 조선인 촌락을 습격.    4월 29일 , 샹하이의 홍구공원에서 진행된 「천황 탄생일」의 식장에서 윤봉길 이 폭탄을 던져 샹하이 파견군사령관 시라카와 대장이 사망.  9월 , 개산툰과 조선을 연결하는 다리가 준공.  11월~ , 민생단 사건( 중공동만특위원회는 반민생단투쟁을 전개해 많은 아군을 숙청했다)  중공 연길현 로두구구위원회의 서기 송령감이 체포되어 전향 , 일본의 스파이로서 당조직에 잠입해 있었지만 중공에 잡힌 일본헌병의 자백에 의해 그 사실이 발각되었다.잡힌 송령감은 거짓으로 20여명의 스파이를 자백했기때문에 중공 동만특별위원회는 그들을 체포해 처형해 버렸다 (송령감사건) .이것이 반민생단투쟁의 서단. 의심에 사로 잡힌 중공 동만특별위원회의 한족간부는 조선인을 일본의 앞잡이로 의심하고 하나하나씩 숙청해버렸다. 1933년 도문과 신경(장춘)를 연결하는 철도가 부설.  3월 , 일본 공산당원인 관동군 경중 대원 이타 야스오 는 10만발의 탄약을 트럭에 실고 소왕청 항일유격구에 나른후 자살한다(일본측의 자료에서는 증명되지 않은것 같다).  5월 , 민생단원이라 하여 왕청현 위원회서기 이룡국이 그외 10명과 함께 총살된다.  9월 , 동북인민혁명군 제일군 제일독립사가 창건된다.사장은 양정우.  10월 , 왕청현의 현위원서기의 김권일이 민생단분자라 하여 체포·총살된다. 1934년 용정에서는 지명의 유래가 된 우물을 기념해 「용정지명 기원지우물」이라고 조각된 비석이 세워진다.발기인은 이기섭 .그후 홍위병에 의해 파괴된다.  3월 , 동북인민혁명군 제2군 제1독립사가 연길현에서 창건된다.사장은 조선인인 주진, 정치위원은 중국인 왕덕태.  9월 , 일본은 「조선인 이주대책의 건」을 내각의회로 결정.조선인농민을 만주에 이주시킨다. 12월 , 길림성에 속해 있던 연길현, 왕청현, 화룡현, 훈춘현 4현에 심양성에 속해 있던 안도현을 가세해 간도성을 창설해 조선인성장을 임명한다.도문시는 연길현으로부터 분리독립해 도문에 간도 일본영사관 분관이 신설된다. 1935년 1월 , 쿄토 제국대학 원정대가 백두산 동계 첫등정에 성공.대장은 이마니시 긴지. 1936년 장백현에서 재만한인 조국광복회 결성. 1937년 보천보전투(당시의 신문에서는 보전사건).제1로군 제2군소속 제6사장 김일성 부대에 의한다.  간도육군병원이 설립된다(현재의 233 의원).  ◆ 소련은 연해주에 살고있는 조선인을 중앙 아시아에 강제 이주  8월 21일의 소련인민위원회 회의 및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명의 극비지령 「극동국경구역에서 카레이쓰이의 이주에 관해서」에서 극동지방의 내무위원회에 국경구역의 모든 카레이쓰이를 중앙아시아에 이주시키는 것을 위탁한다고 명기해 1938년 1월 1일까지 완료할 것을 지시.이에 의해 강제이주당한 카레이쓰이는 18만 2천명.소련은 카레이쓰이가 연해주에 출입도 금지해 자유로운 여행이 허가된 것은 1955년이다 . 1938년 2월 17일 , 윤동주는 용정의 광명학원중등부 5학년을 졸업.4월에 서울의 연희전문학교 입학.  7월~8월 , 장고봉사건  지금의 훈춘시 방천에서 일본군과 소련군이 충돌.이 사건에 대해서는 알빈·D· 쿠크스 「또 하나의 노모한 장고봉사건 1938년의 일소 분쟁의 고찰」(원서방 1998년 5800엔)이 매우 자세하다.  ◆ 장고봉사건(하산호 사건)의 경과 (참고 「관동군」나카야마 타카시)  6월 13일, 소련극동지방 내무인민위원 부장관인 류시코브 대장이 장령자부근에서 국경을 넘어 망명.  7월6일, 관동군이 소련군의 암호를 도청.내용은 장고봉부근의 고지를 일본군보다 먼저 점령하도록 진언하는 것.  7월9 일본, 소련병이 장고봉정상부근에 진출.  7월 11일본, 소련병이 40명으로 증가해 진지를 구축.왜 이 시기에 소련군이 장고봉을 점령했는지는 현재도 불명.  7월 13일본, 조선군(고이소 구니아키 대장)은 「외교교섭을 우선 실시하고 그후 실력행사 한다」라고 중앙 및 관동군에 전보를 발.  7월 14일, 참모본부는 「장고봉사건 처리요령」을 정함.  7월 16일본, 조선군에 대해 국경근처에 병력을 집중하도록 명령.  7월 26일, 대본영은 출동부대의 철퇴를 명령.제19 사단은 철퇴를 개시.  7월 29일, 장고봉 북2킬로의 사초봉 남쪽 고지에 소련군을 발견한 제19 사단(오다카 사단장)은 독단으로 이것을 공격하고 후방에 철퇴했지만 소련군증원부대는 사초봉 일대를 점령.  7월 31일, 제19사단은 다시 독단으로 소련군을 공격·격퇴하고 일대의 능선을 점령.  8월2일~3 일, 소련군은 전면공격.일본군은 격퇴.  8월6일, 군단을 재구성한 소련군(1만 5천명)에 의한 총공격.일본군(6814명)은 전수방위에 철저히 하고 진지를 고수.일본군은 전쟁 확대를 막기 위해서 전차·비행기를 사용하지 않았다.  8월 11일, 정전이 성립.  일본군사망자 526명, 부상 914명.  소련군사망자 792명, 부상 3279명.  10월 10일 , 무창에서 김낙산을 총대장으로 하는 조선의용군이 결성된다. 김낙산 총대장 박효3삼 제1 지대장.황포군관학교 4 기생. 왕통(김택) 제1 지대 정치 위원. 리익성 제2 지대장. 김학무 제2 지대 정치 위원. 동만주철도주식회사를 연변에 설립.  개산툰에 팔프공장이 준공. 1939년   1940년 2월 23일 , 통화성 산중에서 양정우 가 사망.일본군은 게릴라가 무엇을 먹고 있는지 조사하기 위해 양정우의 사체를 해부.  3월 , 홍기하전투  김일성이 지휘하는 항일련군 제2 방면군 6사가 마에다부대와 충돌.  11월 , 조선의용대의 제1차간부회의가 열림.    여름 , 제3 고등학교 산악부의 우메사오 타다오·후지타 카즈오·도모타는 백두산에 오름.제2 송화강 원류를 처음으로 확인. 1941년 삼합과 조선의 회령을 잇는 다리가 건설.  8월 25일 , 수풍댐 의 완성  압록강의 수풍댐은 첫송전을 실시한다.수풍댐은 70만 킬로와트를 발전.    ◆ 관동군이 특별 대연습을 진행해 연길의 북쪽언덕에 부대 주둔지가 만들어진다  「관동군의 전차는 비옥한 밭속을 강제로 돌입하여 캐터필러의 자리가 난 범위내를 자신들의 사용지로 마음대로 그었다고 한다.병숙사는 허술한 벌락건물이다.칸막이가 없는 토방에 널판사이에 흙을 채운 벽.지붕은 안천정이 없다.창문도 적어 낮에도 어두컴컴하다.지붕의 한가운데에 통로가 있고 양측에 상하2단의 마루가 있다.그 마루에 무시로를 깔고 잔다.」 1942년 3월 , 만주국교육부의 지시에 따라 은진중학은 간도성립 제3국민고등학교로 된다. 8월 , 화북 조선독립동맹이 결성.조선의용군화북지대로 불리는 군대를 유지한다. 1943년 연길현에서 간도시(현 연길시)가 독립.  상류쪽에 새로운 압록강대교가 준공(1990년 10월 24일, 중 조우의교로 명명). 1944년 8월 , 공13128 부대(속칭 28 부대)가 치치할로부터 연길에 이동.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