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zhiran 블로그홈 | 로그인
자연사랑

※ 댓글

  • 등록된 코멘트가 없습니다
<< 9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     

방문자

홈 > 전체

전체 [ 4 ]

4    꽃을 차마 꺾지 못한 이중섭 댓글:  조회:337  추천:0  2024-02-27
서광원 인간자연생명력연구소장 사람 마음이 참 비슷하다는 걸 의외의 장소에서 느낄 때가 있다. 주택가 골목길 후미진 곳도 그렇다. 잘 보이지 않는 곳이다 보니 은근 슬쩍 버리는 마음이 슬며시 쌓이고, 그래서 늘 잠재적인 쓰레기장 후보가 된다. 죄다 버리는 것들이니 보기 좋을 리 없고, 누가 관리하는 곳도 아니니 쉽게 치워지지도 않는다. 쓰레기는 쓰레기를 부르는 법. 가끔씩 누군가 치워도 금방 ‘제 모습’으로 돌아가는 ‘회복 탄력성’까지 갖춘다. ‘쓰레기장 아님’ ‘벌금 있음’ ‘CCTV가 보고 있다’ 같은 경고를 해도 그때만 반짝 줄어들 뿐 효과는 높지 않다. 그래서 어느 주택가나 골치 아픈 문제가 되는데, 사실 간단한 방법이 있기는 하다. 큰돈이 들지도 않는다. 뭘까? 작은 꽃밭이다. 한 연구에서 발견한 이 엉뚱한 해답이 진짜 효과가 있는지 어느 TV 방송에서 몰래 카메라를 설치해 봤더니 생각지도 못한 모습들이 잡혔다. 아무도 없는 한밤, 물건을 슬쩍 버리러 나왔던 이들이 이전에 없던 꽃밭을 발견하고는 손에 든 걸 버리지 못한 채 이리저리 서성이다 그냥 돌아가는 것이었다. 꽃밭을 망치는 사람이 되고 싶지 않아서 말이다. 꽃을 사랑하는 마음이 우리 안에 있어서 그렇다는 게 심리학자들의 생각이다.   미국 하빌랜드-존스 교수팀은 다른 방법으로 이 마음을 실험했다. 선물을 받을 때 나타나는 미소를 분석해 보니 과일을 받은 사람은 90%가, 따뜻함을 의미하는 양초를 받은 사람은 77%가 마음에서 우러나는 미소를 지었다. 꽃을 받은 사람은 어땠을까? 놀랍게도 모두 다, 그러니까 100%였다. 우리는 왜 꽃을 좋아할까? 진화심리학에 의하면, 이런 마음은 우리 인류가 오랜 시간 살아오면서 축적된 것이다. 꽃이 만발한 곳은 땅이 비옥해 살기 좋은 생태계가 형성되다 보니 ‘꽃= 좋은 것’이라는 마음이 생겼다는 것이다. 1982년 충북 청원군 동굴에서 발견된 4∼6세 정도 되는, 일명 ‘흥수 아이’의 유골에 있던 많은 국화꽃가루 역시 이런 마음에서 기원한 표현일 것이다. 이 아이가 구석기인인지 신석기인인지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지만, 이 사랑하는 아이가 저세상으로 가는 길에 많은 꽃을 놓았던 건 분명하다. 사랑하는 마음을 꽃으로 표현한 것이다. 세계 각지의 선사시대 유적에서도 자주 볼 수 있는 오랜 마음의 흔적들이다. 꽃을 좋아해 꽃 그림을 많이 그렸다는 화가 이중섭이 남긴 인상적인 일화가 있다. 6·25전쟁으로 부산에 피란 가 있던 시절, 그는 친구 집에 얹혀 살았는데, 하루는 친구 아내가 식탁에 꽃이 좀 있었으면 좋겠다고 했다. 그 말을 듣고 밖으로 나간 이중섭이 한참 후 빈손으로 돌아왔다. 그 빈손에 대한 답변은 이랬다. “모든 꽃이 있어야 할 자리에 있어 꺾을 꽃이 없었다.”
환경 변화의 역습 삽화 1 치타는 네 발 달린 육지동물 중 가장 빠르고, 참고래는 바다의 강자다. 다들 자신들이 속한 생태계에서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의 미래는 위기 그 자체다. 멸종 위기에 몰려 있거나 간신히 명맥 유지하기 바쁘다. 보호정책이 없다면 멸종을 피할 수 없을 정도다. 멀쩡한 듯한데 왜 생존의 막다른 골목에 처해 있을까? 치타는 200만 년 전쯤 사자나 표범이 쉽게 잡을 수 없는 가젤을 전문적으로 사냥하기 위해 출현했다. 지금도 그렇지만 가젤은 날렵한 몸 덕분에 순식간에 시속 80㎞ 이상으로 뛸 수 있어 덩치가 있는 사자나 표범으로서는 쉽게 잡기 힘든 먹잇감이다. 그래서 사자는 몇 시간씩 조용히 다가가 기습을 하거나 협동 사냥을 하고, 표범 역시 끈질긴 매복을 통해 사냥한다. 다른 방법은 거의 없다. 치타는 어떨까? 그냥 달리면 된다. 최고 속도 구현을 위해 온몸을 ‘구조조정’했기에 최대 시속 120㎞까지 낼 수 있다. 뛰었다 하면 세 달음 만에 시속 64㎞ 이상으로 달릴 수 있고, 3초 만에 시속 90㎞를 돌파한다. 여기까지는 웬만한 전투기보다 빠르다. 그리고 이때부터는 한 번에 6~7m씩, 그야말로 바람처럼 뛰는 ‘바람의 파이터’다. 구조조정은 힘들었겠지만 결과는 좋았다. 육지 최고의 속도를 구현한 덕분에 녀석들은 덩치가 큰 사자들보다 훨씬 쉽게 사냥할 수 있다. 사자들은 먹이에 접근할 때, 25m 정도까지 조심조심 접근해야 어느 정도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지만, 녀석들은 두 배 거리인 50m 정도에서 스타트를 해도 성공률이 더 높다. 사자는 열에 한두 번 성공하는 데 반해, 녀석들은 두세 번에 한 번 꼴로 성공한다. 엄청난 성공률이다. 덕분에 밤 사냥에 나서지 않아도 된다. 사자는 덩치가 크니 어둠 속에 몸을 숨길 수 있는 밤 사냥 비율을 높일 수밖에 없지만, 치타는 그럴 필요가 없다. 훤한 대낮에 사냥한다. 달리기에는 자신 있다는 얘기다. 녀석들의 스피드는 지금도 여전하다. 그런데 왜 멸종 위기를 맞고 있을까? 아프리카 초원에 개발 바람이 불면서 사람들이 초원으로 몰려들고 있기 때문이다. 늘어난 인구로 경작지가 필요해진 사람들이 초원을 밭으로 만들거나 목축지로 사용하다 보니 치타의 활동공간이 급격하게 축소되고 있다. 최고 속도의 전투기에게 넓은 공간이 필요하듯, 빠르게 달리는 녀석에게도 마찬가지인데, 갈수록 이런 공간이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가장 큰 타격은 역시 초원이 줄면서 가젤의 숫자가 주는 것이다. 가젤 하나에만 전문화한 상황이라 가젤이 줄면 타격은 예정된 미래다. 더구나 공간이 좁아지다 보니 별로 마주치고 싶지 않은 사자나 하이에나들과 자주 만나는 것도 골칫거리다. 애써 먹잇감을 사냥해 놓으면 녀석들이 와서 빼앗아 가버리기 때문이다. 무거운 중량에서 최고 속도가 나올 수 없기에 덩치를 최대한 줄였는데 그러다 보니 사자나 하이에나들과 대적할 수 없게 됐다. 사자는 보통 150㎏이 넘고, 하이에나는 60~70㎏쯤 되지만 치타는 40㎏ 정도에 불과하다. 덩치로는 대적이 안 된다. 최대 강점을 만들어 주던 게 환경이 바뀌자 치명적인 약점이 되고 있다. 변화가 워낙 빨라 신체 진화를 시킬 시간이 없어 현재로선 뾰족한 수조차 없다. 멸종이라는 막다른 골목으로 몰리는 수밖에. 삽화 2 치타만이 아니다. 강력한 삶의 무기였던 것들이 환경이 변하면서 거꾸로 비수로 변하는 일이 드물지 않다. 넓은 바다를 누비는 참고래는 영어 이름이 ‘Common Rorqual’이다. ‘흔한 고래’라는 뜻이다. 어디서나 흔히 볼 수 있을 정도로 번성해서 그렇기도 했지만 이런 이름이 붙은 데에는 또 다른 이유가 있었다. 몸에 지방을 많이 비축하면 물 위에 쉽게 뜰 수 있었기에 그렇게 했기 때문이다. 속도가 느려지긴 했지만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었고 그렇게 살아도 별일 없었다. 하지만 좋은 시절은 언젠가는 끝나는 법, 예전 대양을 개척하던 시절 선원들 눈에 쉽게 띄다 보니 보이는 대로 죽음을 당해, 자칫 멸종할 뻔했다. 살아있다는 건 환경에 적응하는 것이다. 현재의 나, 현재 우리가 갖고 있는 것에 적응하는 게 아니라, 언제 어떻게 변할지 모르는 환경에 적응하는 것이다. 살아있음이라는 게 여기서 생겨나는 까닭이다. 장점이란 게 뭘까? 어떤 환경에 잘 적응했기에 가지게 되는 삶의 장치, 더 잘 살아가게 하는 힘이다. 하지만 그 환경에 기반한 장점이니 환경이 변하면 당연히 장점도 사라지게 마련, 상황이 이런데도 장점만 붙들고 있으면 스스로 불행을 부르는 것이나 다름없다. 변화가 가파르면 치타나 참고래처럼 멸종이라는 막다른 골목으로 몰릴 수도 있다. 삶에서 적응은  완료 개념이 아니다. 완료될 수도 없다. 적응은 항상 진행형이어야 한다. 위기는 ‘안다’라고 생각하는 순간 시작된다. 그 순간부터 알려는 노력을 하지 않기에 환경이 어떻게 바뀌는지 모르게 되는 까닭이다. ‘안다’라고 하는 순간 모르게 되는 것이다. 적응했다고 생각하는 순간, 적응을 멈추는 것이다. 멈추지 말아야 하는데 멈추니 삶도 거기서 멈춘다. 서광원 인간자연생명력연구소장
2    1.잘 봐야 잘 잡는다… 눈의 진화 댓글:  조회:411  추천:0  2023-08-17
서광원 인간자연생명력연구소장 치타는 네 다리를 가진 동물 중 가장 빠르다. 3초 만에 시속 100km까지 가속할 정도니 속도에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이 녀석들이 지구에 출현한 건 지금으로부터 200만∼300만 년 전. 천하의 사자들이 덩치 때문에 쉽게 잡을 수 없는 가젤을 타깃으로 하면서부터다. 가젤 사냥에 전문화한 것이다. 물론 마음만으로 되는 게 아니었다. 빠른 가젤을 잡기 위해서는 모든 걸 바꿔야 했기에 머리 크기는 물론 턱과 이빨, 그리고 발톱까지 무게와 크기를 줄였다. 반면 심장과 호흡기를 키워 호흡량을 늘렸다. 이렇게 몸 전체를 개조하다시피 한 덕분에 순간 최대 속도 시속 120km 이상을 구현할 수 있었다. 그런데 진화 과정에서 치타가 건드리지 않은 곳이 있었다. 눈 크기다. 빨리 달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쫓아야 할 목표를 정확히, 제대로 보는 게 그 이상으로 필요했기 때문이다. 치타만이 아니다. 속도를 중시하는 사냥꾼들의 진화 과정을 보면 다른 건 줄여도 눈 크기만은 줄이지 않는 편이다. 살아가기 힘든 곳에서 사는 생명체일수록 눈을 중시한다. 숲의 밤을 자신의 영역으로 만든 올빼미는 귀도 크지만 눈 또한 크다. 어둠 속을 헤아려야 하기 때문이다. 인간의 눈동자 지름이 보통 8mm쯤인데 녀석들은 13mm나 된다. 눈의 무게가 몸무게의 30%나 되는 녀석도 있으니 눈에 엄청난 투자를 하는 셈이다. 이 덕분에 녀석들의 밤눈은 사람보다 100배쯤 뛰어나다. 햇빛이 거의 없는 심해에 사는 대왕오징어도 비슷한데, 사방이 캄캄한 이런 곳에는 눈이 머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녀석들이 한둘이 아니다. 생명의 역사에서 눈은 언제나 진화의 아이콘이었다. 좋은 눈을 가질수록 생존의 우위를 누렸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맬컴 매카이버 연구팀이 수많은 화석의 눈 크기를 측정해 보니 최초로 육지에 상륙한 양서류는 물고기 시절보다 눈이 세 배나 컸다. 또 육지로 올라와서 눈이 커진 게 아니라 눈이 좋은 생명체들이 육지의 먹잇감을 보고 올라왔고 계속 눈을 키웠다. 눈이 좋은 녀석들이 신천지를 발견했던 셈이다. 인류 역시 몸에 비해 눈이 큰 편이다. 뇌의 3분의 1 이상을 시각중추에 할애하고 있다. 오늘의 인류가 되기까지 눈이 그만큼 중요했다는 의미다. 야구에서 타격 페이스가 갑자기 떨어지는 선수들은 대개 볼을 보는 선구안이 먼저 나빠진다. 좋지 않은 볼에 방망이가 나가니 잘 맞을 리 없다. 격투기 선수들은 얼굴에 펀치가 날아들어도 눈을 감지 않는다. 감으면 반격할 기회가 물 건너 가 버리니 주먹이 날아와도 눈을 뜨는 훈련을 한다.   세상 사는 게 갈수록 힘들다 보니 현실을 외면하고 눈을 감고 싶을 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 그렇다고 현실이 사라지지는 않는다. 잠깐은 잊을 수 있지만 계속 그럴 수는 없다. 무엇보다 해결의 실마리가 현실 속에 있을 가능성이 많다. 그러니 고통스럽더라도 현실에서 눈을 떼지 말아야 한다. 눈을 뜨고 있어야 보는 눈이 생긴다. 
1    76.한 번과 두 번의 차이 댓글:  조회:274  추천:0  2023-08-17
  대체로 크기가 크면 눈에 더 잘 보이는 법인데 불행은 반대인 듯하다. 큰 불행일수록 어느 날 갑자기 들이닥치는 걸 보면 말이다. 2009년 8월 8일, 대만의 한 마을에서도 그랬다. 당시 태풍 모라곳이 몰고 온 폭우로 마을 앞 강이 넘치자 사람들은 근처 초등학교로 대피했다. 가끔 겪는, 있을 수 있는 일이었다. 그런데 다음 날 아침, 땅이 흔들리며 우르릉 소리가 나는가 싶더니 해발 800여 m에 이르는 뒷산이 무너져 내렸다. 꼭대기부터 무너져 내린 거대한 흙더미가 시속 100km의 속도로 산 아래 반경 1km를 덮쳤다. 밖으로 잠깐 나왔다가 목숨을 건진 생존자의 말처럼 “눈 깜짝할 사이에 모든 것이 사라졌다.” 마을 주민 550명 중 500명이 이 더미에 깔려 숨졌다. 대만은 태풍이 자주 지나치는 곳이기에 예방 시스템이 잘돼 있는 곳으로 손꼽히는데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 누군가의 잘못이었을까?   그럴 수도 있고 아니기도 했다. 아무도 예상치 못했기 때문이다. 왜 예상치 못했을까? 그때까지 산사태는 산의 경사가 35도 이상인 곳에서 일어나는 게 상식이었다. 이 마을 뒷산은 25도 경사인 데다 사고 전에도 특이사항이 없었다. 문제는 바로 이런 상식이었다. 지구 온난화로 강수량이 늘다 보니 땅속 기반암이 이전보다 더 많은 수분을 품고 있어 무너질 가능성이 높아졌는데 이걸 감안하지 못했던 것이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조금씩 축적되는 위기여서 더 그랬다. 이번 여름에 우리 역시 겪었듯 예전엔 어디서 어쩌다 한 번 일어나던 이런 일들이 부쩍 잦아지고 있다. 이런 일이 사건 사고로 나타날 때마다 붙는 ‘기록적인’이라는 표현이 낯설지 않을 정도다. 세상의 여러 분야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연구하는 복잡계 관점에서 이런 현상은 결코 단순하지 않다. 한 번과 두 번은 완전히 다르기 때문이다. 세상은 항상 변하기에 무슨 일이든 일어날 수 있지만, 바로 그렇기에 같은 일이 두 번 일어나기는 쉽지 않다. 한 번은 우연이지만 두 번은 우연이 아니기 때문이다. 어떤 일이 두 번 일어난다면 거기엔 반드시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 ‘한 번 일어난 일은 다시 일어날 가능성이 거의 없지만, 두 번 일어난 일은 언제든 다시 일어날 수 있다’는 이슬람의 격언 그대로다. 한 번과 두 번은 단순한 차이가 아니라 차원이 다를 수 있기에, ‘어쩌다 한 번’ 일어날 수 있는 일이 두 번 이상 일어난다면 그냥 넘기지 말아야 한다는 뜻이다. 좋은 일이면 얼마나 좋겠는가마는 그렇지 않으니 말이다. 큰 불행일수록 어느 날 갑자기 들이닥치는 건 앞의 산사태처럼 보이지 않게 쌓여 있다가 한꺼번에 터져 나오기 때문이다. 요즘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이런 일들은 이전과는 다른 눈으로 세상을 봐야 한다는, 자연이 보내는 신호다.  서광원 인간자연생명력연구소장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