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zxkhz 블로그홈 | 로그인
张学奎文学
<< 4월 2024 >>
 123456
78910111213
14151617181920
21222324252627
282930    

방문자

홈 > 전체

전체 [ 136 ]

136    낙엽 댓글:  조회:426  추천:0  2020-05-22
    시   낙 엽 장학규 꽁지가 떨어져 내려앉는 걸 춤 춘다고 미화하지 마라 추락하면서 아츠랗게 지르는 비명을 듣지 못했기 때문이리라   생명의 정기가 빠져나갈 땐 쇠덩이도 절망의 탄식을 터뜨리고 삶의 마감이 예감되면 돌부처도 우는 상을 지으리니   마지못해 땅에 뒹굴어야 하는 운명이어서 바람의 괴롭힘을 피해 나무 밑둥이에 숨어든 것을 뿌리를 찾는 고행이노라  칭찬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내 아픔이  그대의 즐거움이 된다면  기꺼이 그러하련만   죽순도 비물에 쫓겨  맛나는 재료로 부상함을 기억하라 두들겨 맞아 상처투성이인 더덕도 원한 인생은 아니었다   차라리 불에 화려하게 타서  깨끗하게 사라진다면 먹히지 않고  외곡되지 않고 놀림당하지는 않을테지   그러하오니 본의 아니게 두툼하게 덮어주어  추운 겨울 이겨냈다면  그건 그대의 조화였지 나의 몫은 아니다   료녕신문 2020년 4월 17일부                    
135    지도 댓글:  조회:388  추천:0  2020-05-22
시 지 도 장학규   앉아서 8만리 가면서 한뺌도 안되는 거리를 멀다고 한탄한다   구름이 외면하고 우표도 코웃음치는데 주눅을 애교처럼 걸치고 세상사에 재미를 널어놓는다   야크를 뜯는 서역이 전설 같이 떠오르고 사막의 바람소리는  멎은 듯 고착되어 있다 해발은 같아도 높낮이가 분명하고 선으로 갈라선 라이벌 역시 잠잠하다   집밖의 소란과 충돌을  멀리 뒤로 젖힌 채 세계는 단란하게 한곳에 모여 사이 좋게 질서를 구축했다.     료녕신문 2020년 4월 17일부
134    风之唤 댓글:  조회:342  추천:0  2020-05-22
短篇小说   风之唤   张学奎 作 张慧京 译       山麓下的夜色深的令人毛骨悚然,还未等崂山的夜幕完全降临,猫头鹰的叫声就此起彼伏的传来。 “咕咕咕。。。”  那种难以辨别究竟是凄厉还是暗哑的叫声,与周边的松柏在晚风中摇晃的声音相呼应,更加使人不寒而栗。再加上满山稀奇古怪的山石在夜色的衬托下瞬间蜕变成犹如猛兽般的样子难免让人胆战心惊,此时流下寂静深谷的溪流声也增加了一些恐惧氛围。   春心抚着怦怦直跳的心,垂头凝视着歪倒在冷冰冰的炕上酣睡如泥的三个孩子,心想着,孩子终归就是个孩子啊。方才还缠着妈妈哭闹不休的孩子们眨眼间就已纷纷坠入梦乡。尽管孩子们还挂着泪痕的脸颊被冻得青紫,但所幸他们的心渐渐地恢复了平和。 事情发生的那么突然,都来不及阻拦和哀求。过了许久,春心也没有鼓起追出去的勇气。她心里明白这时应该出去找个什么人,哪怕揪着人家的衣角央求一下,也比现在这样好受一些,但她却仍然呆坐在原地发愣。 唯唯否否的春心平常就不敢晚上出门,自从大女儿降生后匆忙离开繁华的都市那天起,已经有五年多的时间几乎没走过夜路了。 因为难以言表的原因,她们迫于无奈躲进这道教圣地崂山脚下苟活。所以春心丝毫感觉不到自己身处赫赫有名的风景名胜区的感觉。说实话春心非常讨厌不到八点钟就伸手不见五指的这个偏僻的小山村。 刚搬过来的头两年,老公像牵线木偶一般麻木的混日子。但随着时间的推移慢慢的不胜无聊,开始出门到处转悠,后来渐渐地喜欢上夜行生活。不,他夜以继日的在爬山越岭。或许这就是春心的一大心病。其实老公根本没有欣赏海上第一名山的心情, 他只是出于作为男人和丈夫的责任感而惯性地走出家门罢了。 祸根指不定就是从那时开始埋下的。老公在行人绝迹的深更半夜背着挎包,腰上别着形似一把刀的手电筒出入村中,非常显眼。正因如此,村里人开始用怀疑的眼光留意他。起初大家都疑心他是个小偷,终于有一天,村里的几个壮丁合谋以抓贼的名头拦下了他,翻了他的挎包,这才发现里面装着的都是些刺楸、葛根、桔梗等之类的药材。于是,他们家生活拮据难以维持温饱的传言迅速在全村蔓延开来。 来到这里他们才体会到,乡下人不同于邻家发生抢劫也漠不关心的城里人,他们极其喜好八卦,尤其是对刚从外地搬过来的陌生邻居给予特别关注。男人们喜好揪辫子,女人们乐于八卦的这年头哪怕就那么一点点的丑闻也足够他们涮来涮去大半年了,这也是乡下人生活的一种乐趣。 最初访问他们家的是不怕被别人说三道四的一些上了岁数的老人家,他们手拿芋头或土豆之类的东西来敲门,为的也不过是看一看这家到底过得多窘迫,以备茶余饭后的谈资。不善于人情世故的春心却被他们的来访感动的潸然泪下。老公没日没夜的辛苦采集回来的药材野菜全都卖给城里的韩国餐馆换来的钱刚刚交够房租,剩不下几个铜板,生活始终捉襟见肘。还在生长期的三个孩子,因为营养不良,干瘦的像竹竿一样。春心压根没有工夫深究老人家们送东西来的目的所在,孩子们能捞到有东西吃,她就足够开心了。 然而这种日子也稍纵即逝,老人们切切察察了一段时间之后,好像觉得再也没什么可挖的素材,重又归于了平静。取而代之的是,不知是从哪里听到了什么流言蜚语,令人生厌的房东老陈隔三差五的过来东看看西瞧瞧。分明是猴子遗传的房东老陈每次眼角都挂着黄色的眼屎,他那被上帝随便捏造的粗糙的鼻子总是一抽一抽的吸着鼻涕,让人恶心的如同置身地狱。 “你们能交上下个月的房租吗?” 老陈说话的时候总是瞥着春心,他好像也觉察到春心的丈夫是个听不大懂中文的外国人。 “几天前不是刚交过的吗!” “所以我问你下个月啊!” “我们至今好像没有欠过房租吧!” “话是这样...” 老陈每回都这样灰溜溜夹起尾巴,然后用烫嘴的当地方言嘟哝一番,转身离去。 那日,老公比往常回来得早一点。 老公看到老陈坐在炕头上,脸色立马阴沉起来。抱着小儿子与老陈面对面呆坐的春心见老公回家忙要站身时,突听丈夫像狮吼一样大叫。 “这家伙为什么总像发情的公狗一样窜来窜去?”   “他该是又来催房租了。”   “不是给了吗!就前两天的事!”   “说的是啊。我哪里知道他到底要想干嘛。”  老陈像兔子一样竖起耳朵听着,尽管他听不懂夫妻俩说的话,但从他们的表情上大概猜出是在说他。于是摆出一副老不高兴的样子插了嘴。   “想骂我就堂堂正正的拿中文骂!真无耻。” “你有病吧。我们用什么语言对话关你鸟事?你听不懂韩语难道是我的错吗?” 老公转过视线直盯着老陈用韩语再一次牢骚。这下老陈似乎嗅到了不祥的征兆,立刻从炕头跳下来。 “啥意思?想打架呀?来,试试看!”   “没有没有,他是在说我没做饭呢。”    春心跟哄孩子一样把老陈哄了回去。 那天晚上夫妻俩婚后头一回大吵了一架,正好米也揭底了,他们便把剩饭均分给孩子们吃,精疲力竭的夫妇俩饿着肚子赌气似的躺进各自的被窝里。 一整夜没合眼的春心天刚蒙蒙亮就早早的起床穿好了衣服。她把昨晚发生的不愉快抛到脑后,忙拎起老公昨日采回来的刺楸,坐车去市里的韩餐馆卖了60块钱,又赶去市场买了二十斤大米后火急火燎的赶回了家。此时老公已然不在家,屋里只留下孩子们饿着肚子眼巴巴的在等着她。  “哦哦,对不起,妈妈来晚了,这就给你们做饭吃。” 春心麻利的淘着米,心里懊悔着昨晚不该跟老公吵架。 (难道这么早就进山里了?昨晚到现在已经饿了两顿饭了呀,怎么有力气干活?) 两人至今没有领证,所以孩子们也没有落户,更谈不上国籍。   春心总觉得自己的人生就像灾难大片一样。她自认倒霉,把一切的一切当成命运的安排,麻木的过日子。可就是这样与世无争的她也不止一次的被命运捉弄过。   经大学前辈引荐,刚到生产体育用品的青岛韩国公司时,春心还是一个不懂世故的小女孩,她把这个世界看得很简单,认为生活无非是工作之外吃喝拉撒睡,人生没什么大不了的。 尽管是个制造业公司,但她走运的被分配到了隶属于白领部门的总务科,还好不用在车间做力气活。 总务科的科长是个比春心大三四岁的韩国小伙,大家都叫他沈科长。此人虽然年纪不大,却在春心面前总爱摆出一副高高在上的姿态,自认为那样装腔作势会显得格外成熟老套。每当下达工作指令时,他昂着头,鼻空对着人哼哼着。听取汇报时也满脸不屑一顾的样子坐在转椅上正眼也不瞧一下。 与之相反,贸易科的卞科长却不像而立之年的人,他成天到晚嘻嘻哈哈个不停。他与沈科长是同学,一有空就往总务科跑,明面上是找沈科长谈事情,其实他就是来偷看春心的,这一点大家心知肚明。 有一天的晚上,记得那天是周日,春心在市场闲逛时,与卞科长不期而遇。卞科长浮夸的跟她打个招呼后,不分青红皂白一把拉住春心的手走进了市场入口处的一间酒吧里。 无巧不成书,事情就是那么机缘巧合,正当他们走进零零散散坐着几个人的酒吧里,沈科长正对着门独自喝着洋酒。 (嗯?)    三个人同时愣在原地。 但过片刻后,反应过来的沈科长像弹簧一样蹭的从座位上跳将起来。   “这算哪回事?人家辛辛苦苦铺了路,你个兔崽子横插进来敲竹杠!俊豪你不够义气!” 春心这时才知道原来卞科长的名字叫俊豪。 “你不要无理取闹好不好?有多远给我滚多远!” “不教训你一下,你就不知道天有多高地有多厚!” 看到沈科长抬起拳头,春心不由自主的拉住了边俊豪的胳膊。可俊豪也不是省油的灯,看到沈科长的架势毫不示弱,甩起胳膊往前冲,哪想到春心还吊在胳膊上,这下瘦小的春心被甩在沈科长的拳头面前。 “翁!” 霎时间,春心便失去了意识。 春心醒过来时已经在医院病房里了。唇边传来了针扎一般的痛感。脸上厚厚的用医用绷带包扎了起来,看来伤势不轻。沈科长不知去向,只有卞科长坐在床边,茫然地盯着她。 “很抱歉,都怪我。” “没有。” 然而那句话却卡在唇边,发不出声音来,喉咙像火烧般疼痛难忍。 卞科长很快就看出端了,起身走到饮水机边接了一杯水递到春心的唇边。    “喝口水吧。” 春心头一回感觉到一个男人居然可以如此体贴入微。 在春心住院的三天时间里,始终不见沈科长的影子出现,替肇事者照顾春心的是卞科长。经过那段时间,春心的心慢慢的从一表人才的沈科长移到了潇洒自如的卞科长身上。 没想到的是原以为感到内疚和羞愧的沈科长,居然开始变本加厉的折磨她。春心出院又复工一个月他都没有抬头看过一眼,随之而来的是无休止的刁难和指责。往日每天催交的工作日志,每每毕恭毕敬地双手递上去他都懒得看上一眼。如此这般三番五次受冷后,春心便觉自讨没趣,有一天没有上交工作日志就下班了。 结果第二天早上,沈科长当着员工们的面狠狠奚落了一番。    “再敢胡来,小心炒你鱿鱼!” 有一回,负责采购的春心事先预定了纸箱,但约好的10点过了10多分种纸箱车还没有来。这下可把春心急坏了,正当春心像热锅上的蚂蚁一样在公司门口走来走去不断打电话时,突然从背后飞来一只男运动鞋,“砰”的一声打在了春心的后背上。春心强忍住剧痛转身一看,果不其然沈科长凶巴巴的从院内向春心疾步而来。春心心想这下完了,像等待末日审判一样,闭上眼睛僵直在原地。   “臭丫头,马上收拾好你的东西给我滚!坐吃闲饭你也配?”  沈科长窜到跟前一把掐住了春心的脖子,春心无力地挣扎着,就在这一刹那,更可怕的事情不期而至。不知何时沈科长身后多了一个凶神恶煞般的卞科长,只见他通红着双眼挥舞方木  “啪!” 沈科长顿时像泄了气的皮球一样垂下手臂软软的瘫倒在地。 公司立即像遭受了炮轰一般乱成一锅粥。昏迷不醒的沈科长被救护车护送到医院,紧接着召开的公司会议上,卞科长和春心双双被解雇。 “真对不起,您被我牵连了。” 卞科长拦住了收拾好东西走出办公室的春心。 “不是这样的。这是迟早都要发生的事。心术不正的人,嘴也不干净。他那种不仅不施以援手还落井下石的人,就应该狠狠教训他一顿。我跟他之间早就心存龃龉了,倒不如摆到明面上撕破脸好呢。” 卞科长落落大方的笑着握住春心的手。 “我从来没有今天这样轻松愉快过。稍等一会,我们一起走。” 住在公司宿舍里的卞科长被解雇意味着他该回国,可他拎着行李搬出公司宿舍铁了心要跟春心一起走也就说明他放弃了回国的机会。 二人的同居生活就这样开始了。俊豪的中文水平还不太靠谱,而且他又没有临时住处,于是很自然的搬进了春心的租房。俊豪操起了他所擅长的贸易业,开始做将国内农产品出口到韩国的业务。起初生意还算可以,日子过的蛮充实。   “等着瞧!没几年我就把公司做大给他们看!”   俊豪气冲霄汉的口若悬河。 不久他们搬进了更宽敞的公寓,雇了一个保姆帮他们做家务。春心像韩国电视剧里的阔太太一般每天出入美容院。 春心怀孕了,俊豪说要和春心一起去韩国申请登记,春心赶忙四处打听出国办理婚姻登记所需要的资料。人家说首先必须有护照,春心火急火燎的飞回了久别的东北老家。派出所民警要她拿出不是法论功邪教徒的证明,回到村里找治保主任,治保主任说怎么能给离开村子十好几年的人开那种证明?那不找死吗?他没有那个胆量! 于是她偷偷摸摸给治保主任塞了两百元,软磨硬泡开出证明送到了派出所。好不容易办下来护照回青岛,拿着身份证和户口簿再去办理相关手续,领事馆却又让她开来未婚证明并要做公证,等她再次去往家乡时,已然临近秋天了。可让她们意想不到的是在申办签证时再一次被卡壳,这一次领事馆要她拿出无犯罪记录证明。春心快要崩溃的档口,俊豪先行爆发了。 “他娘的,算了!等我回国把那边的资料办过来在这里登记好了。” 刚好这时韩国正遭受病虫害和冻害双重灾害,韩国泡菜的原材料白菜几近绝收。随之而来的是,对中国白菜的需求量不断增加,俊豪收到的订单也与日俱增。俊豪如鱼得水,把所有的积蓄全部拿来投入进去,但资金还有很大缺口,无奈之下向之前一直合作的中间商赊账购买白菜并出口到韩国。正当俊豪做着一获千金发财梦时,大额货款还没入账,却传来白菜中检测出残留农药物而被全部没收的晴天霹雳般的消息。常言道,祸不单行,福不双至。俊豪为确认事情真伪,买机票准备回国时,被海关告知他的签证已失效,已经非法滞留了半个月了。不久前俊豪还记起了签证有效日期,这一忙就忘记了续签。本以为就那么半个月应该不会有什么问题,结果机场工作人员提醒他赶紧去出入境管理局登记,办理通行证。与此同时,根据相关法律规定每日还要交罚款500元,最高罚5000元,而且签证还不能续签。 顿时,俊豪大脑一片空白。签证不能延长意味着他再也不能入境,那么老婆和还未出生的孩子咋办? 更难以想象那些吃人不吐骨头的中间商们会有什么反应,他们能相信白菜里查出农药残留物这种事吗?就算早就知道有那么一回事他们能承认吗? (逃跑吧。) 第二天,俊豪就带着春心跑到了偏远的城阳区。中间商们派人四处寻找俊豪的消息不时传到耳朵里,俊豪惊慌失措,每天如坐针毡似的坐立不安。 大女儿敏智降生仅半个月,俊豪就毅然决然溜出市区,住到崂山脚下的一个小村庄里。用手头不多的钱,悄无声息的过了两年有余。直到老二敏英出生,家里开支增多,这才夜猫子似的走出了家门。他知道生活是个无底洞,再也不能继续这样耗下去了,必须得找个活养活家人,可作为非法滞留者外加逃犯的他能做的事情几乎没有。 上学的时候,俊豪曾住在寺庙里读书,闲暇时经常帮助寺庙里的和尚挖刺楸来清煮,偶尔也采一些葛根和桔梗来享受。那些经验成了他养家糊口的本钱,虽然没能让生活更加滋润或宽裕,但起码没有让一家人饿死。这时夫妻俩才痛切心骨的体会到,一家人能够生活在一起是多么幸福的事情。就在他们为生计忙碌的时候,老三敏国诞生了。儿子的出世,打了俊豪一个鸡血,他每天100迈连轴转,从不停息。 崂山的晚风再次变得凉飕飕时,危机出现,电池将要耗尽,发动机无法启动。允许普通市民免费游玩的崂山周边地区渐渐很难找到能卖钱的山货野味。不管怎么节约,都无法填补日益扩大的生活黑洞,捉襟见肘的情况再也不能够隐瞒。老陈的房租在催促、哀怨和争吵声中一推再推,不知不觉间已欠了半年。 金钱是人间所有的始末。正是因为钱,俊豪的人生才被毁的一团糟。也正是因为钱,他们的家庭一步一步走到了日暮途穷的境地。 现在这个家对于俊豪来说只能算是一张床了,只要他睁着眼,他就要不顾一切的爬山越岭。无论是崂山的深夜、崂山的溪流、崂山的猫头鹰,还是崂山刺骨的冷风,都不能阻挡他执着的脚步。。 那天也如此,晚上七点多了,俊豪仍然没有下山来。春心用仅剩的两小把大米熬了粥,喂给直喊饿的孩子们,自己空着肚子等着丈夫回家。 平心而论,春心很想站在门口等着辛苦了一天的老公归来,可她实在惧怕乡下的夜晚。伸手不见五指的门外海风呼啸而过,猫头鹰刺耳的叫声此起彼伏,连山谷中隐隐的水流声也让人不寒而栗。 春心仿佛听见了“嘎吱”一声大门被推开的声音。  “是你吗,孩子他爸?” 没有回答。 还以为是听错了,正要坐回去的时候,门无声的轻轻推开,房东老陈像厉鬼一样飘了进来,把春心吓了一跳。造物主随随便便拿捏的奇丑无比的赤鼻子里不断进出黄灿灿的鼻涕,老陈皮笑肉不笑的走近春心。   “什么时候交房租啊?”   “大叔,发发慈悲再延缓几天好不好?求求你。”   “已经拖欠半年了,做人总得要点脸吧。哪怕卖身也好不是?” 心术不正的老陈早有预谋似的,眼角还挂着早晨的眼屎,嬉皮笑脸的走了过来。只认钱不认人的老陈开始手舞足蹈起来。   “你丈夫成天不着家,你年纪轻轻的独守空房不寂寞吗?这是遭的哪门子罪。” 老陈边说边想拉住春心的手,不想被春心用尖利的指甲挠了一道。刹那间,老陈的手腕上划出了一道不浅的血痕。   “臭娘们,装什么清纯...真把自己当成烈女了吗?马上给我交房租!!”   春心正要再一次跪地求饶时,突然门“哐”的打开,俊豪跳了进来。俊豪高举着挖葛根的钩子,怒气冲天地紧盯着老陈,那模样着实让人惊悚。但铁钩却停在了半空,俊豪强忍着怒火直喘着粗气,一动不动。老陈战栗着,像泥鳅一样从俊豪胳膊底下滑走。   “孙子,你等着,我不会放过你!” 老陈不忘他那得心应手的滑稽。可很快就证明了这次他并不像往常一样耍耍嘴皮子功夫那么简单。   俊豪刚把挖来的山货放好,简单洗漱后坐到饭桌旁时,“嗡嗡”的警车铃声由远及近的传来,随之听到纷杂的皮鞋踩在地上的声音。很快,十几个穿着警服的壮汉闯了进来。   “有人说你打了人?”   “没有的事。连个手指头都没有碰到。”    春心横在俊豪身前解释。可不近人情的警察们不由分说铐上了俊豪。   “因为有人报警不得不查。如果调查没有问题,自然会把他送回来。请耐心等待。” 经过一番扫荡过后的房间里显得凌乱不堪。被突如其来的骚动惊醒的孩子们抱住妈妈的腿不住地瑟瑟发抖,哭喊了许久才累倒在冰冷的炕上沉沉入睡,还残留着泪痕的小脸蛋被寒冷冻得发紫,好在他们的内心恢复了平静。   第二天,当地派出所打来电话。让春心把俊豪的护照和身份证件送过来,说是需要验明正身。 那天春心顺便见了一面俊豪,一夜间他憔悴的不成人形。在共同生活了六年多的春心面前,俊豪像罪人一样抬不起头来,说话也变得语无伦次。 “我在这个世界上真是个多余的混蛋。明明说好不让你吃苦,到头来狼狈到如此地步!对不起,你能不能最后再相信我一次,等我回来吗?” 再过三天后,传来俊豪被转送到市拘留所的通知,正式告知等调查结束,将他驱逐出境。 几年来俊豪一直在逃避的事情终究成了现实,现在已无法挽回。春心十分清楚被关在牢里的俊豪是什么感受。   在春心魂不守舍的那些日子里,刚刚6岁的大女儿敏智主动担起了照顾弟弟妹妹的责任。幸好邻居们看不过去及时送来花生、地瓜、芋头之类的食物。乡下人还是那样的淳朴和善良,有些多情善感的老奶奶看到一个外族女人孤零零的留在这里,便默默地抹起了眼泪。当回过神来看到年幼的敏智为了给弟弟妹妹吃,坐在火炉旁被烟熏得边抹泪边烤地瓜的样子,春心猛然拾起了做父母的责任感,她告诉自己不能继续茫然无助下去了。   孩子们太早懂事了,做妈妈的怎可萎靡不振?那也不是俊豪希望看到的。春心这才明白,为了自己的孩子,为了让他们有尊严的堂堂正正的活着,她没有什么过不了的坎。   2014年3月中旬,写于青岛
133    芦苇深处 댓글:  조회:445  추천:0  2020-05-04
短篇小说   芦苇深处   张学奎 作 张慧京 译     这绝对算得上是精彩的金蝉脱壳,像影视剧的情节一样不可思议又极富戏剧性。 昨天早晨, 孟社长像往常一样若无其事的挂着他那标志性的微笑来到办公室。这天正好赶上阴历二月初二,龙抬头的日子,所以公司员工们按当地习俗都不约而同的剃了头来上班。不知道是不是因为节日氛围的原因,这天员工们盯着孟社长的神经松懈了不少。  孟社长也很怡然自得。他那富态的脸上一扫之前的焦躁与不安,安然的窝在社长室里百无聊赖地到处打着电话。 办公室里的一举一动像现场直播似的实时地传递到外面。这是一家做海产品加工出口的公司,员工也不过十余人。可就那么几个员工当中,除两个在办公室无聊的挖着耳朵外,其余都散坐在院内的空地上安闲的享受着早春的太阳。眼瞧着一旁被掀开大门的厂房里,有几台古董一样陈旧的机器披着厚厚一层灰趴在那里毫无生机。 自打公司业绩开始走下坡路以来,孟社长实际上一直处于被“软禁”的状态。不知从何时起,员工们开始三三俩俩组队监视着几年来一直独自居住在公司宿舍的孟社长。员工们担心孟社长像别的老板一样夜半三更突然跑路,那样拖欠半年多的薪水就一下子蒸发掉了。 尤其是小亮小明两兄弟每天不厌其烦的询问孟社长的活动情况。两个膀大腰粗的家伙同在一个公司里,其他员工只能像马仔一样听从他们使唤。看俩兄弟总是一副囊中羞涩的模样,或许他家的海虹养殖场并不太景气。  “阿俊,通知一下员工们,今晚公司有会餐。” 孟社长吩咐道。阿俊是公司唯一留下来的翻译, 社长与员工间的所有沟通只能通过阿俊进行。所以员工们一直认为阿俊是社长的人,而社长却觉得阿俊和员工们是串通一气的。总之,阿俊像三明治一样夹在中间,两面不是人。 那晚他们难得在小渔村的最高级餐厅里聚餐。   “新年应有新气象,希望大家鼓足干劲,更创辉煌。 请大家相信我,今年起订单开始稳步增多,我们要携起手来大干一场,让公司东山再起!好不好?” 孟社长一向善辩,能说会道。酒席上他不断地强调公司有了起死回生的新机遇,一边还频频劝酒。员工们也难得放下戒心,纷纷点了龙须面和猪头肉,庆祝公司久旱逢甘露。他们兴高采烈的互相灌着烧酒和啤酒,吃着海鲜码面。会餐一直到凌晨才散去,最后所有人都烂醉如泥。特别是那个孟社长,踉踉跄跄起身时不知是自绊还是被别人推搡“哐”的一声把脑袋磕在了地上,鲜血瞬间从额头上流了下来。可孟社长却丝毫不知情,就好像躺回到他那个席梦思大床一样,岔开四肢呼呼大睡起来。阿俊费了九牛二虎之力才把肥头大耳的孟社长拖回到公司宿舍里。 可第二天临近午时,孟社长还没有走出社长办公室。他那台开了十多年,早已伤痕累累的索纳塔车安静的停在宿舍院子里。员工们看到那辆车,都认为孟社长还没有起床。 “昨天确实是喝高了。一大把年纪啦,还想跟我们飙, 那不死路一条吗?” 小亮的弟弟小明一边用右手拇指摸着鼻子,一边大声嚷嚷。话音刚落,围成一圈的员工们互相掐着腰笑成一团。   “还真别说,不管怎样咱们老板还每天带着小姑娘到处逛呢。谁知道他还能不能做呢,哈哈哈。” 直到日上三竿,大家才开始觉得不太对劲。午饭时间也早已经过了多时,孟社长还是没有走出来。   “不对,一定有什么事!” 小亮戳着弟弟小明,声音有点颤抖。院子里的气氛霎时间紧张起来。小明条件反射般往前走,员工们也齐刷刷全都跟在小明的后面跑向社长的宿舍。宿舍门很轻松的就被推开,里边不见孟社长,洗手间里也找不到他的踪影。食堂阿姨说直到现在也没看到孟社长出来吃饭。他们翻遍了公司的每个角落还是没有发现孟社长。   “糟了,这家伙绝对是跑路了!” 大家立马展开了一场追击战,摩托车和汽车像弹簧一般从渔村里呼啸而出。 渔村离市区较远,但是差不多一个小时也就到了。要在茫茫人海中找一个蓄谋良久且消失一天的人那不比登天还难?没到一顿饭的功夫,出去找人的员工们陆陆续续垂头丧气的回到公司。 小亮不由分说径自走到阿俊面前,一把抓住他的衣领。 “阿俊,你肯定知道孟社长躲到哪里去了吧?” “怎么可能?我要知道还傻呵呵地待在这里吗。” 有口难辩大概说的就是这样的境遇吧。果不其然,不管你怎么解释小亮就是不相信阿俊。 “你不是留下来想要拿走公司的东西不是吗?这是你们早已预谋好了的。 公司是用阿俊你的名字注册的吧,既然孟社长跑了,如果抓不到他,那就只有你来承担责任啦。小明,把这位哥们带到我们的集装箱屋里去看着。其余的人分组每天交替到火车站和机场蹲守。我就不信那家伙能躲到天上去。” 阿俊被小明拽着离开渔村,往海边去。走了不一会儿有一片湿地慢慢的呈现在眼前,同时稀疏的矮个芦苇丛也不时跃入视野中。去年的芦苇现已干枯的只剩下空心的躯干,在微风的吹拂下,左右摇晃着。渐渐的芦苇丛变得繁茂和厚重起来,脚底下横躺的干芦苇被人踩的发出嘎吱嘎吱的刺耳声音。雪白浓密的芦苇挡住了视线,近在咫尺的海滨滩涂若隐若现。阿俊走在小明前面,一边挥开比自己还高的芦苇,一边继续往前走。 也不知道走了多久,再一次看见海岸线时,一个赤黄色的集装箱悄然出现在他们眼前。开阔的滩涂与芦苇丛浑然天成地融合在一起,蔚为壮观。小明的爸爸不知何时得到了消息,已然在集装箱外等候他们。 “爸,我要和这个朋友在这里待上几天,您先回家去歇息吧。” “这位不是金部长吗?咋了?出什么事了吗?” “我们的社长跑了,找到他之前我们要把这位朋友当人质一样看管起来。” 三个人一起走进集装箱里。集装箱外表看起来破旧不堪,但屋里倒还算干净。墙面新刷了白漆,前后开了两扇窗,使屋内宽敞明亮。房间最里面整整齐齐摆着两张钢丝床。出入门对面的墙边还架起一个火炉子,大概是用它来解决用餐问题。 老头急匆匆收拾东西准备回家。他从床底下拿出了塞成一团的衣服,顿时一股难闻的臭味扑鼻而来。自从进来时就嗅到一种奇奇怪怪的味道,也许是因为心理作用的缘故,从床底下开始到每个边边角角都充斥着腥臭味,膻味和腐烂的气味。 阿俊掩着鼻子赶忙退出房间。小明见状慌慌张张的跟出来,生怕阿俊突然消失在天地间。当看到阿俊泰然自若地背靠着集装箱站立的样子,小明不好意思的咧开嘴笑了。以前在公司里,小明见到阿俊都会弯腰喊一声“哥”。 老头走了以后,阿俊在门外徘徊了一会。小明背靠大门,好像满不在乎似的掏出手机开始玩游戏,但阿俊明白小明这是司马昭之心路人皆知。 沿着宽阔的滩涂地铺开的一望无际的芦苇丛在反射着赤朱丹彤的夕阳,尽显银光。随风柔和地摇晃着的芦苇,像软软的棉被一般传递着温暖。 也许是因为换了环境的缘故,阿俊直到凌晨才好不容易睡着。等他睁开眼睛时已经是上午九时多了,刚巧到了退潮的时候。 “哥,我们出去抓跳跳鱼咋样?” 旁边一没人,小明就像以前一样叫阿俊哥了。 “你家是养海虹的吧?哪来的跳跳鱼啊?” “哈哈哈”    莫名发笑后,小明走出了集装箱。意识到阿俊跟在后面,小明头也不回的绕到屋后去,从芦苇丛中摸出两只鱼竿。 “退潮的时候可有意思了。大眼蟹和跳跳鱼跟着海水回去,撒网会网到很多的大眼蟹。如果你想用手抓跳跳鱼并不容易,因为它肚子底下的鳍可以像脚一样又爬又跳,甚至可以蹦到滩涂上的木桩上,真的。” 小明说跳跳鱼的孵化期将至,现下正是捕获跳跳鱼的好时机,急忙催着阿俊找了一个适合钓鱼的位置。小明迅速的挂上鱼饵抛竿,一下就钓上来两条跳跳鱼。小明骄傲的告诉阿俊,跳跳鱼很贪心,所以很容易就能抓到。小明从口袋里掏出一个馒头给阿俊吃,并递给他一支鱼竿。不过阿俊对钓鱼这档子事没什么特别的兴趣,他反而更乐于欣赏大海那波澜壮阔的美景。从脚下慢慢望向大海远处,海水如同斜线,越远越高,仿佛海水就要马上倾斜到自己身上来,这种感觉不免让人产生一种竭尽所有挑战海水的强烈欲望。他觉得大海的治愈能力并不亚于医院。 小明可能是觉得一个人钓鱼很无聊,问阿俊回不回去。阿俊也不答声,缓缓起身走过去,看了看小明的蓝色提桶,里面除了跳跳鱼还有一些海螺蛤蜊之类的海鲜。 “你又不是国际屠夫,怎么见啥逮啥?” “要论国际屠夫你们才是吧。都跑到这里来行国际骗术不是吗。” 不知怎的阿俊的脸瞬间火烧了起来。明明是跟自己毫无相干的事情,他却有口难辩,这种无奈深深地刺痛着他。 回到集装箱时发现里面多了一个人。那是个扎两根辫子的少女,即便是渔村现下也很少看见扎这种辫子的女孩。她那双望着阿俊的眼睛里盈满了欢笑和喜爱,雪白的脸蛋上已泛起红晕。 “妈妈让我过来给你们送午饭。。。” 少女害羞地低下头,声音越来越低。 “爸爸昨天临走之前留了几个馒头,应该够吃一天的…” 小明从少女手里顺手接过包裹放在床上,回头对阿俊说: “哥,这是我妹妹玲玲。玲玲,向金哥问个好。” 原以为他家里只有兄弟俩,想不到居然还有个妹妹。老头好像还不到六十岁吧,他们那时候明明已经开始计划生育了,怎么生了三个孩子呢?当然之前确也感觉到他们家似乎很有点背景。不管怎样,漂亮女孩的突然出现,使得整日愁容满面的阿俊开始眉开眼笑起来。 “是叫玲玲啊,谢谢你送来吃的。” 玲玲通红着脸不敢正视阿俊,但是却不急于转身离开。小明倒也没觉得有什么不对,顺便吩咐玲玲炖跳跳鱼汤,自己则在外面忙生火烤大眼蟹和蛤蜊。玲玲干净利落的炖好鱼汤端出来的时候小明也恰巧烤好了海鲜,这天午饭格外丰盛。玲玲炖的鱼汤真有独到之处,吃起来非常可口美味。饭后玲玲麻溜的收拾好碗筷,而后悄然消失在芦苇飘拂的小路中。 第二天早上,玲玲又来了,顺道还带来了爸爸的口信。爸爸吩咐小明抽空把晒在集装箱上面的干海虹拿回家,说是有急用。    “好像有个市里的大公司要大量收购干海虹,爸爸正在着手收购全村的干海虹。”    “从别人手里收的那点干海虹还能赚多少钱啊。至于这样大惊小怪吗?” 因为是爸爸的命令小明不敢不听,他嘟囔着,慢悠悠地爬上集装箱,将不到半口袋的干海虹拿下来。 “小明,最近是不是生产海虹的季节?如果能运转公司的机器,几天内就能生产很多干海虹的啊。”   “是啊!哥,我怎么就没想到呢?哥你不是学到孟社长的技术了吗?”   “技术方面,交给我应该没问题。”   “这样太棒了,我马上去趟爸爸那儿。玲玲,你暂时陪这个哥哥留在这里。我去去就回。”   小明急急忙忙背起干海虹跑向芦苇丛里。 小明刚刚离开,集装箱里就立即笼罩在沉重的寂静当中。玲玲面红耳赤的低头坐在一旁,阿俊甚至能听到她短促的呼吸声。阿俊再也没法看下去,开口道:   “玲玲,能不能带我去看一下你家的海虹养殖场?” 玲玲没有回答,反而一脚串到门外。阿俊点上一支烟后跟了出去。绕过几道芦苇丛后,有一艘小油船跃入视线,油船随着涨潮剧烈地摇晃着。玲玲利落的跳上船,但阿俊是个旱鸭子,任由他怎么折腾就是无法爬上摇晃着的船。玲玲这才褪去脸上的红晕,笑眯眯的伸出手,将阿俊拉上了船。 船大约开出了十多分钟,发现前面有一大片白色的浮标,看得人眼花缭乱。走近一瞧,浮标下连着挂有海虹的绳子。 挂有浮标的线,长度足足有200多米长,数十条线平行的排列着。原本整齐的线,因为海浪,被打成蜿蜒的曲线。可奇妙的是,几十条线弯曲的如出一辙。 玲玲把船划近线边后,把手伸进水里拽住了什么东西,原来那是拴着海虹的绳子。 “这个叫 ‘捻绳’,长约五米,海虹就是栓在这上面长大的。”    玲玲指着“捻绳”这么说道。 “大约去年九月中旬时,要把种贝拴上放进海里,到今年2月份就可以收获了。品尝鲜嫩饱满的海虹肉的好时节是晚冬和初春。” 玲玲补充道,再过些时日春意怏然时,正值海虹产卵,这时候的海虹是有毒的,不能食用的。 马上要退潮了,玲玲为了赶回去,没有过多满足阿俊的好奇心,便急急忙忙摘了一些大的海虹就返程了。 玲玲拴好船,把装着海虹的袋子递给阿俊,径直走向集装箱房。她已经不是之前那个文静羞涩的少女了。不觉间俨然变成了手巧而又勤快的渔村姑娘。   玲玲生起炉子开始烧水。她一边淘米,一边使唤阿俊选二十几个厚实的海虹剥开。阿俊机械的按照少女的吩咐配合着。   水开始沸腾,玲玲把阿俊挑完后剩下的海虹放进水里煮。待海虹的口开了以后,把它们一一捞出来,重又刷锅倒米,再把阿俊剥好的海虹放进米里煮饭。   “母海虹的肉呈红色,公海虹要比母海虹白。相比之下母海虹可好吃多了。”   跟着孟社长干了10多年海产品加工的阿俊,多少也懂得这方面的常识。烹饪海虹不需要其他调料,它本身的鲜味就足够美味了。不仅如此,它还有解酒和预防肥胖的功效。尽管如此他还是头一回亲临海虹养殖场。   “哥,趁热快点吃呀。”   “咱们一块吃吧。”   “也好。”   玲玲给阿俊盛了一大碗海虹饭,又盛了一碗汤给他。不知不觉中她轻声的哼起了歌,宛如一个家庭小主妇的模样。   午饭过后很久,也不见小明回来。玲玲好像意犹未尽,完全忘记了小明的离开,她坐在床边继续哼着歌。那是最近电视里时不时播放的流行音乐。看来头扎辫子也经不住潮流的诱惑。 “哥,你听过少女时代的歌吗?就是那首唱起来像叽叽喳喳的那首歌。”   “知道啊。那可不是燕子在叽叽喳喳叫。叽是感叹词,喳喳也不是叫声,而是英文的婴儿。以后有空了我再教你。”   “哇,哥哥真的好棒啊。”    阿俊头一回在女孩面前感到这么神气。在这偏远的小渔村里从没有过让他心动的女孩,又脏又累的海产品加工活本来就不适合女人做,所以公司员工全部是男人。 以前,公司曾有一个长相普通的姓崔的女孩当过秘书。可是崔小姐的心容不下这个寂寞的小渔村,因此她干了几个月便走了,之后再也没见过年轻的女孩子。村路上来来回回的都是些穿着宽松的布衣,头带方巾的村妇了。难以想象渔村里居然还有像玲玲这般貌如天仙又一尘不染的女孩子。真应了那个淤泥里的珍珠的传说。   “我其实关注哥哥很长时间了。 有一回假装找小明哥哥去了趟公司,为的就是看你一眼。”    玲玲察觉自己说漏了心里话,吐了吐舌头,忙低下了头,脸红的像海虹肉一样。阿俊越发觉得这个女孩可爱有趣。   “那时为什么不喊一喊‘哥哥!我在这!’呢?”   “讨厌,我不跟你说啦!”   “假如你那时候真的喊出来了,说不定我就爱上你了。”   “真的?”   “当然了,像玲玲这么聪慧美丽的姑娘,谁会不喜欢啊。” “哥哥也喜欢我吗?”   “那是当然,如果你愿意,我们现在就开始好不好。”   “我不知道。” 玲玲双手捂着脸,悄然依偎在阿俊身上。阿俊很自然地顺手抱住了玲玲。 就在这时,小明突然开门进来,小明看到这一幕愣愣地呆在原地一动不动。紧随小明进来的玲玲她爸一头收不住脚直接撞到小明的背上,“哎哟!”一声大叫。阿俊和玲玲措手不及急忙向两边分开,但为时已晚。不用多说,小明和老头都知道他们之间发生了什么事。小明登时暴跳如雷。   “真想不到哥是这种人!你不仁,我便不义了!” 小明赚起拳头向前跨过来,说时迟那时快,玲玲不知哪里来的勇气一步串到阿俊身前,用身体挡住了小明。   “小明哥,他是我选择的人!不管他的事!”    玲玲抬眼看着愣在门口的爸爸,继续说道。   “爸,我要嫁给他。我已经喜欢他很久了。”    两父子无言以对。时间像被凝固了一样,几人沉默了许久。过了很长时间,老人开了口。   “我只想问你一句话,那个公司是不是以你的名字注册的?”   “是。起初政府规定外国人不能从事海产品加工业,所以孟社长借用了我的名义注册了这家公司。”   “我不听理由,总之你的确是法人代表不错吧?”   “是的。”   “小亮已经把孟社长告到警局了。他如果已经潜逃回国那就罢了,但是如果还没有出国,迟早会被抓到。现在留下的问题就是如何运转公司的机器,我们不能碰,那样就是侵犯他人财产了。”   “当然是那样。”   “可你就不一样了,不管怎样你是公司的法人代表,有你来启动就够不上侵权。怎么样?你开动机器和我们合作如何?你有技术,我有货源和销路。不想试一下吗?”   阿俊迟疑了片刻。他点了根香烟默默地走了出去,太阳早已西下,夕阳把天空染得一片通红。 回想起来孟社长对他不薄,当年孟社长握着刚刚大学毕业的阿俊的手激情地说,我们是一衣带水的邻居,又是血肉相连的同胞。孟社长还把平时不给外人看的技术都传授给他。即便这次孟社长没有事先透漏过半点逃跑计划,自己一个人偷偷溜走,使得阿俊陷入窘境,但在孟社长那里阿俊确实学到了不少东西。 如今孟社长回来的希望很渺茫,旧的机器也没法卖给不懂技术的人,就算当成废铁卖掉,对于孟社长拖欠的工资来说也是杯水车薪。 既然如此,何不留下来收拾残局?阿俊感到责任重大。眼前的困境,或许对他来说是个机遇也说不定。机会来时应该把握时机,满负荷运转机器,指不定还能还上孟社长拖欠员工的工资,同时给公司注入一线生机,岂不是好事。    阿俊晃悠悠走向芦苇丛,回头看了看跟上来的老人,问:   “我想请教您一个问题。这里的海边为什么有这么多芦苇?”   “它实际上是人工种植的。最近的科学研究表明流入重金属等污染物的地方种植芦苇会减轻污染。”   “啊,原来是这样。”   “不仅如此,芦苇的根还能入药。药方里的芦根就是芦苇的根晒制而成的,它不仅可以促进肠胃蠕动,还有利尿,止血等功效。”   “我知道了,我跟您合作,现在马上回去整修机器。” “哈哈,那太好了。” 老人轻轻捶了下阿俊的肩膀,豪爽的大笑起来,小明也跟着哈哈大笑。 不知何时,玲玲已站到阿俊的旁边,悄悄握住了阿俊的手臂,那双纤柔的双手,给阿俊传递着温暖。     2014年3月中旬  
132    바이러스 댓글:  조회:464  추천:0  2020-04-25
   단편소설   바이러스 장학규     1 애란이는 불안하게 출입문을 흘끔흘끔 쳐다보았다. 당금이라도 문이 벌컥 열리며 민혜가 불쑥 들어설 것 같았지만 두시간 내내 두근거리는 가슴을 내리쓸며 기다려도 벌써 와야 할 민혜는 돌아올 줄 몰랐다. 텔레비죤에서는 한창 무한에서 발생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해 방송하고 있었다. 그게 구경 어떤 바이러스인지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진 않았지만 전염성이 강하고 사람이 죽어나가는 병인 것만은 분명해졌다. (기집애, 하필이면 이런 비상시기에 나갈 건 뭐람?) 경자년 설날을 눈앞에 두고 집안이 부산해지기는 순전히 사춘기에 들어선 딸 민혜때문이였다. 지난해 부터 민혜는 자잘한 일에도 바락바락 대들었고 시도떄도 없이 애수에 잠겨서 울상을 짓군 했었다. 포동포동 살이 오르면서 처녀티를 나타내기 시작한 얼굴에 그늘이 질 때면 애란이는 주름이 잡히기 시작하는 자신의 얼굴보다 더 안타까웠다. 그보다도 가난한 집안에서 어렵게 자라면서 억울한 것들이 너무나 많았던 자기도 이 정도로 성장통을 겪은 거 같지는 않았다. 아니, 아예 선장통이란 게 있었던지도 기억에 가물가물하다. 지금 세월에 무엇이 부족한가 말이다. 먹고 싶은 걸 마음대로 먹고 가지고 싶은 걸 달라는대로 사주는데도 만족되지 않으면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한단 말인가. “엄마, 사람 사는게 잘 먹고 잘 입고 잘 놀고 그러면 다 되는 거야?!” 민혜는 그럴 때마다 딴세상 사람을 보는 듯 눈을 크게 뜨면서 도리머리를 저었다. “그럼, 그런 걸 내놓고 또 뭐가 있지?” “대화가 안돼! 아무튼 할 말이 없어.” 민혜는 은근히 엄마를 낮잡아보는 어투로 종알거리더니 창밖에서 뿌리를 잃고 떠도는 희뿌연 구름덩이만 멍하니 내다보았다. 애란이는 딸애의 그 태도가 정말 싫고 마음에 들지 않았다. 부모를 무시하는 건 그렇다치고 이 좋은 세상을 살면서 지구 말세가 닥친 것처럼 이마살을 잔뜩 찡그리고 있는 몰골은 정말 보아주기 어려웠다. “그러니까 뭐 어쨌다고 이러냐구?”   “나 아빠 말 듣고 세계명작을 본게 영 후회돼. 명작이란게 대개 다 비극으로 끝나고 주인공들의 운명이 비참하고 그렇잖아.” 민혜는 동에 닿지 않는 말을 지껄이고서 컴퓨터에 매달려 있는 아버지를 건너다보면서 또다시 후하고 땅이 꺼져갈듯 한숨을 내쉬였다. 항상 이랬다. 주제를 따라 가는게 아니라 곁가지로 삐져가면서도 꼭 지기가 옳다고 아득바득 우겨대군 했다. 그런 것도 모르고 아버지이란 사람은 뭐가 그리 좋은지 컴퓨터를 보면서 킬킬 웃고 있었다. 민혜야. 이걸 봐. 유태인들은 말이야. 애가 아장아장 걷기 시작할 때 테이블 우에 세워두고 안아줄 것처럼 팔을 벌리고 유혹한단다. 음, 애들은 당연히 부모를 믿고 그대로 앞으로 달려들지, 그때 부모가 슬쩍 옆으로 피한대. 당연히 애는 땅에 떨어져 된통을 당하는 거지, 그때로부터 아무리 얼려도 다시는 안기지 않는단다. 세상에 믿을 건 오로지 자기 혼자밖에 없다는 교육을 그렇게 생생하게 시킨단다. 그럴 거면 왜 낳아서 키우냐구? 낳자마자 정글에 버려서 원시인, 야만인 만들어버리면 더 멋지잖아. 딸애가 사정없이 내쏘았다. 애란이도 덩달아 남편을 흘겨보았다. “애가 마음에 담아두고 있는 일들이 너무 많은 것 같았습니다. 그런 데에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고 있어서 힘이 빠져있고 작은 일도 감당하기 힘들어하고 있어 보입니다. 퍼그나 지적인 인상을 풍기는 심리상담사가 하던 말이 떠올랐다. 김씨 성의 심리상담사는 우아한 자세로 앉아서 기품있게 말했었다. 심리상담사까지 찾아가기는 우연한 일때문이였다. 하루는 민혜가 온밤을 부시럭거리면서 잠을 자지 않더니 아침에 일어나서 심하게 기침을 해댔다. 부산하게 집에 비치해둔 감기약을 찾아서 먹였으나 별로 효험을 보지 못하는 대신 점심 즈음부터는 코물까지 질질 짜기 시작했다. 이대로 더 두어서는 안되겠다 싶어 싫다는 애를 끌고 가까운 가도병원으로 갔다. 류행성감기라면서 링겔을 맞으면 된다는 것이였다. 그런데 애의 팔목에 침을 찌르려던 의사가 초풍할 지경으로 놀라는 것이였다. “아니, 이게 뭐냐?” “아무것도 아니예요. 긁히웠어요.” 민혜가 급히 옷소매를 내리면서 막았지만 이미 늦었다. 팔목에 서너줄 길게 지나간 상처가 유표하게 애란이의 눈에 들어왔다. 그건 첫눈에도 인위적으로 긁은 것이란 걸 보아낼 수 있었다. “사람이 왜서 사는지 모르겠어. 멋대가리 하나도 없단말야.” 민혜는 막무가내인듯 혼자소리로 중얼댔다. 애란이는 흠칫 놀랐으나 아무런 내색도 내지 않았다. 의사한테 부모의 무심함과 무책임함을 그대로 들킨 것도 부끄러웠지만 그보다 괜히 애를 더 자극해서는 안되겠다는 생각이 앞서서였다. 집으로 돌아온 애란이는 슬그머니 화장실로 들어가 문을 안으로 닫아걸고 멀리 고향병원에서 의사로 있는 동창한테 전화를 걸어 민혜의 상태를 솔직히 말하고 도움을 청했다. “놀랄 필요 없어. 그 나이의 아이들에게 흔히 있는 현상이야. 한번 심리상담을 해보는게 좋을 거 같아. 애한테 뭔가 부모와 얘기할 수 없는 것이 있을 수 있어.” 며칠 후 기회를 찾아 민혜와 스치는 말처럼 심리상담 한번 해볼가 얘기했더니 별로 거부하지 않았다. 아마 자기도 뭔가 터놓지 않으면 안되는 모양이였다. 민혜는 처음 만나는 상담사와 친구라도 되는듯 무람없이 말을 주고 받았다. 상담사가 엄마는 피해달라고 해서 애란이는 부근의 커피숍으로 기신기신 찾아들어가 아이스아메리카노 한잔을 주문하고 예쁘장한 마담이 지겨워할 정도로 시시껄렁한 화제를 두시간가량 주절댔다. 상담사가 전화 와서 상담실에 돌아가니 민혜는 어디로 갔는지 보이지 않았다. 잠간 나가 있으라고 내보냈어요. 애가 자신보다 옆사람들의 감정을 더 많이 배려하는 착한 아이라서 혼자서 잘 참고 견디다가 이젠 마음의 그릇이 꽉 차서 한계가 온듯 합니다. 그릇을 좀씩 비워야 될 것 같습니다. 분노, 억울함 등 감정들이 있으면 안된다고 생각하고 그런 감정들을 상심한 기분으로 대체해서 표현했던 모양입니다. 그래서 잠이 안 올 때면 온통 상심한 감정에 휩싸여서 혼자서 많이 울었다고 합니다. 일단 애가 무슨 얘기를 하든 평가하지 말고 판단하지 말고 동조하면서 잘 들어만 주세요. 그러면 아이가 믿고 다 분출할 수도 있을 겁니다. 그래야 홀가분하게 원상태를 회복할 것입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죠? 부모의 립장에서는 애한테 무엇이나 다 준 것처럼 생각하지만 실은 선택적이거나 강압적 또는 주관적으로 안겨준게 더 많은 거 같습니다. 보기 싫어하는 걸 억지로 밀어부쳤거나 아니면 학교서 꼭 갖추라고 요구한 걸 만족시킨 것에 불과한지도 몰라요. 실제로 애 스스로는 자기가 요구하는 건 거의 묵살되였다고 합니다. 애가 가지고 싶어하는 걸 주세요. 그게 애와 심리적으로 소통하는 길입니다. 그날 저녁 민혜는 시뚝해서 고양이를 키우고 싶다고 말했다. 혀에 뼈가 들어간게 확연히 알렸다. 심리상담사로부터 기를 전달받은 모양이였다. 고양이를 사려면 얼마쯤 드냐고 물었더니 반나절 인터넷을 뒤진 후 가장 싼 것이 800원이라고 가볍게 말했다. 아빠가 평소처럼 랭소적인 멘트를 날리려는 걸 애란이가 눈짓으로 말리고 선선히 그러라고 허락했다. 너무 쉽게 답복해서인지 민혜는 한동안 믿기 어렵다는 표정을 짓다가 틀림없는 사실임을 확인하고 불시에 흥분을 걷잡지 못하고 하늘이 낮다고 퐁퐁 뛰였다. “얼굴에 마스크라도 걸어라. 천박해보인다.” 남편은 여전히 달통되지 않는지 민혜를 흘기며 빈정댔다. 민혜는 이날 아침 엄마한테서 돈을 받아 인터넷으로 주문한 고양이를 가지러 나갔다. 그리고 점심 시간이 훨씬 지난 지금까지도 돌아오지 않고 있었다. 2 민혜가 안고 돌아온 것은 오렌지 고양이였다. 순오렌지색이였는데 몸에 옅은 흰색 줄무늬들이 줄줄히 늘어서있었다. 영화나 만화에서 자주 보던 고양이의 모습이였다. 생각보다 많이 컸고 살져 있었다. 낯선 집에서 낯선 사람들과 만나서인지 고양이는 박스 속에서도 불안하게 고개를 바닥에 깔고 있었다. 오후 두시가 지나서였다. 민혜는 한반의 친구 둘을 불러서 함께 애완동물가게에 갔고 거기서 고양이 사육에 관한 지식과 위생상식에 대한 설명을 듣고 다시 고양이 사료와 분변통들을 두루 사다보니 점심때가 되였다고 했다. 방학 후 여러날만에 만난 친구들은 헤여지기 아쉬워 칼국수 한사발씩 더치페이로 사먹고 오다보니 늦었다고 변명했다. 민혜는 긴 말을 하면서도 전혀 얹치는 법이 없었다. 애란이는 자기 할 말만 뚜뚜뚜 내뱉고 돌아서서 냉큼 고양이를 안고 자기 방으로 들어가는 민혜의 등뒤에 대고 종주먹을 휘둘러댔다. 조걸 그저 어쩌래? 에휴 때려놓을 수도 없고. 어쩌면 좋을가 저걸 그저. 사실 애란이도 남편 못지 않게 동물을 싫어하고 있었다. 남편은 어렸을 때 개한테 한번 물린 후 모든 동물과 멀리하게 되였다고 한다. 어려서부터 민혜는 강아지를 욕심냈었지만 번마다 아빠의 단호한 거절을 받았다. 딸애가 달라는 거라면 심장도 빼줄 거 같은 남편은 유독 강아지한테만은 엄청 거부감이 심했고 알레르기가 있었다. 강아지라는 소리만 들어도 펄쩍 뛰였고 애의 고집을 꺾기 어려울 때면 어른답지 못하게 푹 기절해 넘어가는 퍼포먼스도 아끼지 않았다. 그래서도 민혜가 칭얼대면 고양이란 동물에 대해 설명하면서 은근히 그쪽으로 애의 관심을 유도하군 했다. 글쎄 콩나물 비빔밥과 숙주나물비빔밥이 무엇이 다른가 말이다. 거기서 거기가 아닌가. 애란이는 슬그머니 화가 동했다. 따져보면 이번에 민혜가 첫마디에 고양이를 지목한 것도 어쩌면 아빠가 장기간 세뇌를 시킨 결과일 것이다. 애완동물은 거개가 비슷했다. 강아지는 안되고 고양이는 괜찮다는 론리는 어떻게 나온 것인가. 남편은 타고난 사기군캐릭터가 분명했다. 그런데도 민혜는 거기에 홀딱 넘어가버린 것이다. 하필이면 왜 고양이였는지 애란이는 미치고 환장할 지경이였다. 운명의 조롱이라고 밀어부치기에는 좀 억지스럽긴 했으나 썩 달갑지 않은 일인 것만은 틀림없었다. 애란이가 어렸을 적 집에서는 고양이를 키웠었다. 하얀 색의 고양이였는데 지금처럼 특식밥이 없이 그대로 막 풀어놓고 키웠었다. 산에 들에 헛간에 들락거리면서 쥐를 잡아먹고 살았었다. 가끔 그것도 집이라고 찾아와 발목에 매달릴 때면 먹다남은 밥덩이에 고기뼈 따위들을 던져주면 맛갈스레 먹군 했다. 산골마을에는 저녁만 되면 마땅히 놀거리가 거의 없었다. 해가 긴 여름에도 일곱시만 되면 주변 산들이 무서운 짐승마냥 시꺼멓게 둔갑했고 나무잎들이 바람에 으스스 소름 돋치는 소리를 내군 했었다. 어른들도 밤에는 마을밖에 나가기를 저어하던 그 시절 애란이에게는 고양이가 든든한 친구였다. 애란이네는 고양이 외에도 똥개 한마리도 키우고 있었다. 어느날 엄마가 동네에 놀러나갔다가 친구네 집 개가 새끼 여섯마리를 낳았다면서 하나 달라고 사정해서 겨우 얻어온 것이였다. 아버지는 강아지에 대해 특별히 애정을 쏟아부었다. 고양이가 옆에 오면 발로 툭 걷어차면서도 강아지는 아들이나 되는 것처럼 머리를 쓰다듬어주거나 들어서 어깨에 올리군 했다. “빨리 커. 올해말 쯤이면 잡아먹을 수 있겠지.” 아버지의 목적은 거기에 가 있었다. 한줌이 되나마나한 강아지가 아버지의 눈에는 맛난 료리감이였던 것이다. 아닌게 아니라 그해 말이 지나서 이듬해 초봄에 강아지는 아버지에 의해 도살되여 바로 자기가 자란 집에서 아버지 친구들의 배속으로 골고루 들어가 소화되였다. 그날 술상은 자정까지 이어졌고 친구들이 하나둘 집으로 돌아간 후 얼근하게 취한 아버지가 비스듬히 벽에 기대여 누운채 비자루 살을 꺾어서 이발을 뚜지며 애란이의 품에 안겨 자고 있는 고양이에게 주절주절거렸다. “올 여름엔 네 차례다. 알았어?” 잠결이였지만 애란이는 똑똑히 들었다. 그리고 불길한 예감이 어린 가슴에 자리를 틀기 시작했다. 여름방학을 앞둔 어느날 애란이가 학교에서 돌아오니 고양이가 보이지 않았다. 평소 같으면 자기 절로 알아서 돌아오겠지 하고 무심하게 지나쳤겠지만 먼저번 비몽사몽간에 아버지가 하던 말이 떠올라 집안팎을 샅샅히 뒤졌다. 그래도 고양이의 그림자도 보이지 않았다. 허둥지둥 집에 돌아오니 엄마의 눈치가 이상했다. 그렇다고 생각해서 그런지 엄마는 애란이와 눈길을 마주치기 저어했고 무슨 말인가 할듯 말듯 하다가 입을 다물군 했다. “엄마, 고양이 봤어?” “으…글쎄…” “글쎄가 뭐야? 아버지가 고양이 잡아먹었지? ” “아니, 아직 먹지 못했어. 에그에그 벌써 죽었겠지…” 엄마가 가리키는 곳을 살펴보니 앞마당에 갓 파서 다시 메운 구덩이가 보였다. 판지 꽤 오란듯 흙이 벌써 깡깡 말라 주변의 흙색이랑 별로 다르지 않았다. 약간 솟아 올라온데다가 발로 밟은 흔적만 없었어도 그게 되파묻은 구덩이라는 걸 알 수 없었다. 꺼꾸로 말하면 그 구덩이는 다시 메운지 반나절은 넘어된다는 증거였다. 애란이는 허둥지둥 손으로 흙을 파기 시작했다. 꽛꽛하게 굳어지기 시작한 땅은 손자국만 낼뿐 파지지 않았다. 애란이가 애간장이 나서 사방을 둘러보는데 엄마가 눈치 채고 헛간으로 달려가더니 삽을 들고 나왔다. 모녀간이 달려들어 50센치 정도 파들어가니 마대 한자루가 드러났다. 마대 속은 조용했다. 아차 잘못되였구나. 속이 철렁하여 급히 아구리를 풀고 들여다보려는데 불시에 하얀 연기 같은 것이 솟아나왔다. “어마나!” 자루를 풀던 애란이는 엉덩방아를 찧었고 한발 뒤에 서서 바라보던 엄마는 어느새 저만치 도망가 있었다. 사납게 튕겨나온 연기가 애란이의 눈앞에서 주춤 멈춰섰다. 고양이였다. 반나절 땅속에 파묻혀서도 죽지 않고 살아있었다. 애란이는 두손 모아 하느님께 감사를 드렸다. 고양이는 어린 주인을 잠간 바라보며 꼬리를 한번 흔들고는 몸을 돌려 어디론가 사라졌다. 애란이는 이 평생 다시는 고양이를 만날 수 없으리라 생각했다. 갑자기 세상을 다 잃어버린 듯한 슬픔이 가슴 한가득 슴며들었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이틑날 아침 고양이가 다시 집을 찾아온 것이다. 애란이의 품을 파고드는 고양이를 아버지가 냉큼 꼬리를 잡아 나꾸어챘다. 와락 달려들 것 같던 고양이는 그러나 고스란히 잡혀갔다. 쥐를 잡던 그 날카로운 발톱으로 아버지를 긁어놓고 도망가기를 애란이는 바라고 바랐지만 고양이는 주인 앞에서는 영원히 약자라는 걸 애란이는 알리 없었다. 그렇게 잡혀간 고양이는 이번에는 애란이가 지켜보는 앞에서 다시 마대 속에 들어갔다. 후에야 안 일이지만 그 마대 속에는 불을 지피고 남은 재가 가득 들어있었다. 고양이가 악을 쓸수록 재가루가 날려 고양이는 마침내 질식해 죽고 말았다. 그날 밤 아버지의 친구들은 또다시 고양이가 뛰놀던 구들에서 술상을 차렸다. 화제는 자연히 고양이 사냥에 관한 것이였다. 아버지네는 흥미진진하게 고양이 고기에 술잔을 기울이면서 별의별 기이한 살상법들을 서로 나누었다. 자루에 담아 돌로 물 속에 하루종일 눌러두었는데도 죽지 않더라는둥, 쇠줄로 목을 감아서 나무에 걸어놓고 반나절 트럼프를 놀고 올려다보니 그때까지도 허둥대더라는둥 하여튼 아라비안나이트 같은 이야기들이 끝도 없이 흘러나왔다. 그때부터 애란이는 고양이를 싫어했다. 남편처럼 모든 동물을 싫어할 정도로 극단적이지는 않지만 고양이만은 마음 속으로부터 거부감이 생겼다. 아니, 안쓰러웠다. 고양이만 눈에 띄우면 조건반사적으로 땅 속에 파묻혔던 고양이가 마대 속에서 튕겨나오던 장면이 우렷히 머리에 떠올랐고 재가 가득 들어찬 마대 속에서 몇시간동안 발버둥치던 모습이 클로즈업되여 눈앞에 나타나군 했다. 거기에 아버지 친구들이 주고받던 고양이에 대한 기이한 이야기들이 귀전에 들려 몸서리가 쳐졌다. 민혜가 사춘기를 앓지만 않았어도, 그것도 손목을 긁을 정도로 심한 상태가 아니였다면 애란이는 두번 다시 고양이를 집에 들여놓지 않았을 것이다. 딸애의 방에서는 아무 기척도 없었다. 애란이는 발뼘발뼘 다가가 문을 조용히 밀고 틈새로 집안을 들여다보았다. 민혜가 고양이를 안은 채로 침대에 비스듬히 누워 핸드폰을 보고 있다가 문소리를 들었는지 머리를 쳐들었다. “고양이 이름이 뭐지?”   “아직 없어.” 애란이도 저 옛날 고향의 고양이가 이름이 뭐였던지 기억에 없었다. 아마 그 시절에는 고양이에게 이름을 지어주지 않았을 것이다. 대체로 “모모”하고 불렀을 것이다. “이젠 고양이도 사주었으니 공부 좀 해야잖아. 핸드폰은 그만 보고.”   “엄마, 나 이제 집에 들어온지 1초야. 숨도 돌리게 하지 않고 다그쳐?” “너 약속을 몇번째 깨고 있어? 지금이 고중입학을 앞둔 대목인데 1초라도 아껴야지.” “엄마 1초가 얼마 긴지 알아? 선생님이 입을 여는 순간 1초가 흘러가. 그 1초에 뭐한단 말이야?” 애란이는 억이 막혀 입을 다물고 말았다. 딸애는 개념을 이렇게 호도하는 경우가 많았다. 전번날에도 아침에 머리를 감고 엄마더러 드라이기로 머리를 말려달라고 요구했다. 마침 아침 식사상을 차리던 애란이는 무심하게 스스로 말리라고 한마디 했다. 그런데 딸애가 대번에 드라이기를 바닥에 내동댕이쳤다. 낳을 때 내 등뒤에도 손 하나 만들어놓지. 어떻게 저절로 말린단 말야. 머리가 기름기 번지르해서 어떻게 학교에 가. 오늘 학교 못간다고 청가해줘. 막무가내란 말은 이런 경우가 적격일 것이다. 민혜는 항상 이 세상과 공멸할 그런 전투태세를 갖추고 있었다. 파리도 고기다 하면 고기가 되는 것이고 조류다 하면 조류로 되는 억지를 과시하고 있었다. 3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심상치 않았다. 사스때처럼 사람이 죽어나가기 시작하더니 급기야 발원지 무한시가 도시봉쇄라는 급처방을 내렸다. 시내 공공뻐스, 지하철, 카페리, 장거리뻐스 운행을 중단한 것은 물론 공항이나 기차역도 무한시를 떠나는 통로를 잠시 닫아버렸다. 얼굴이 천박하지 않더라도 마스크를 걸게 된 상황이 바야흐로 닥친 것이다. 려행업을 하는 애란이는 이 징조가 얼마나 무서운 후과를 몰고 올 것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사스때도 그랬고 조류독감때도 그랬다. 돈 벌고 못 벌고의 문제가 아니라 먹고사냐 하는 문제였다. 특히 인터넷에서 “박쥐 먹는 미녀”라는 동영상을 본 후 애란이는 상황이 예상외로 심각하다는 예감을 느꼈다. 왕몽운이라는 녀성 블로그가 2016년 6월에 올린 이 동영상은 누리꾼들에 의해 맞춤하게 끌려나와 조림돌림을 당하고 있었다. 왕몽운은 태평양의 섬나라인 팔라우에서 료리된 검은색 박쥐의 날개를 펼쳐보이기도 했다. 박쥐탕을 먹고나서는 카메라를 향해 “고기가 아주 질기기는 하지만 엄청 맛있네요”하고 말할 때는 막 구토가 나오기도 했다. 이번에도 사스때처럼 박쥐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말했다. 그때도 박쥐의 사스 바이러스가 사향 고양이를 통해 옮겨졌을지도 모른다는게 일반적인 인식이였다. 이번에는 무한의 재래시장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를 퍼뜨리는 매개체로 지목된 대나무 쥐나 뱀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었다고 한다. 애란이는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부랴부랴 차를 몰고 슈퍼에 가서 먹거리를 한아름 사왔다. 남편과 둘이서도 모자라 싫다고 뻗치는 딸애를 우격다짐으로 끌고 주차장에서 식품들을 날라올렸다. 민혜는 여전히 그 식이 장식이였다. 고양이를 가져오기 전에도 만화복장을 사내라고 졸랐다. 다 큰 녀자애가 만화복장 입고 어떻게 거리에 나서냐고 따지니 만화축제때 입으면 되는게 아니냐고 자기쪽에서 당당히 맞섰다. 1년에 한두차례밖에 없는 만화축제에 가려고 수백원씩 하는 옷을 사입을 필요가 뭐냐고, 그 돈이면 평상복을 사고도 학용품 돈이 나온다고 설복해도 소용이 없었다. 결국 아침 일찍 일어나고 사기진작하는 것을 조건으로 온라인에서 만화복장을 주문하고 말았다. 그러나 그때뿐이였다. 이틀도 가지 못해 점심때가 되도록 기상할념을 하지 않았다. 꺠울랴 치면 방학때도 제대로 자지 못하게 한다고 야료를 부렸다. 매일 아침 다섯시에 일어나서 저녁 열시까지 공부했는데 어쩌다 방학이 되여 잠 좀 자는게 무슨 죄냐고 따져 묻기도 했다. 말이야 맞는 말이였다. 애란이는 되려 애가 안쓰러워 못이기는 척 물러났다. 그런데 거기서 끝이 아니였다. 열두시가 넘어서 마지못해 일어나서도 꼴기없는 모습이였다. 세수를 할념도 하지 않았고 구미가 없다고 밥을 안먹는다고 손사래를 치기도 했다. 그러면 공부라도 하라고 하면 머리에 들어오지 않는다면서 입을 삐죽거리고 다시 벌렁 침대에 드러누워버렸다. 이거 약속한 거랑 다르잖아. 신용이 없이 앞으로 어떻게 세상에 나설 거냐? 누군 이렇고 싶어 이래? 나절로도 어쩔 수 없단 말이야. 다 말라가는 풀더러 계속 그러면 죽을 거니 뿌리를 깊이 박고 수분을 빨아들이라고 말한들 소용이 있어? 애란이는 말문이 막혀 종주먹을 들고 그저 이거이거 하다가 제풀에 손을 내려버렸다. 설날도 집안 분위기가 부산했다. 민혜를 기다리느라고 두 부부간은 배를 곯으면서 점심때까지 기다렸다. 일년을 시작하는 첫날이라는 개념도 그랬지만 하나밖에 없는 자식이 빠진 밥상이 너무 싱거웠기 때문이였다. 목덜미를 잡아 일으킬가? 좀 더 자게 냄두세요. 조만간 일어나겠지요. 그래도 그렇지. 이렇게 자꾸 방치해도 되는 겨? 남편은 정말로 딸애의 머리채를 잡아챌 것처럼 민혜의 방문을 열어젖혔다. 문이 열리기 바쁘게 민혜 대신 고양이가 뛰쳐나왔다. 열흘이 되도록 딸의 침대밑에 숨어서 지내던 고양이였다. 고양이는 조심스럽게 구석쪽으로 에돌아서 식탁밑으로 기여들었다. 귤빛 털을 약간 곤두세우고 줄무늬가 확 눈에 띄우는 꼬리는 바닥밑으로 질질 끌고 있었다. 처음에는 식탁밑에 그대로 주저 앉아 석쉼한 울음소리를 내더니 차차 애란이한테로 다가오면서 머리로 발을 쓱쓱 비벼댔다. 응석을 부리고 있는 것이다. 애란이는 화들짝 놀라 발을 옆으로 뺐다가 고양이가 다시 머리를 박아오자 그대로 내버렸다. 고양이가 사람에게 애교를 부리는 장면은 어렸을 때부터 익히 보아왔었다. 재가 가득 든 마대에 박혀서 질식해 죽어 아버지네 배 속의 기름기로 변해버린 고향의 그 고양이도 그랬었다. 오렌지가 아닌 화이트였지만 고양이의 재롱 수완은 대체로 비슷했던 것이다. 그 귀여운 것이, 박쥐처럼 질긴 것이 왜 인간의 배 속에 들어가야 하는지 아직도 골드바흐의 추측보다 더 풀기 어려운 문제였다. 이번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도 그랬다. 야생동물을 즐겨 먹는 중국인들의 류별난 음식문화가 이런 대형 전염병 유행을 초래했다는 지적이다. 하긴 가족 같이 지내오던 사육 짐승도 인정사정없이 마구 도살하는 인간들이 자기네와 연분이라군 전혀 없는 야생동물에 련민을 가질리 만무하지 않는가. 덕분에 설련휴가 2월 2일까지 연장되였다. 애란이는 괜히 흥분되여 그 소식을 민혜한테 전했다가 즉시로 반격당했다. 그게 보통 백성이랑 무슨 상관이래. 사람은 369등으로 나뉘여져 있구 대부분 백성은 연휴랑 상관이 없단말야. 하루 놀면 하루 수입이 없어. 인간세상은 배 나온 사람들이 어리석은 인간들을 세뇌시켜 부려먹는 론리가 아니구 뭐야. 4 청도서도 확진 환자가 생겨났다. 위쳇 모멘트부터 시작해 각 채팅방들이 발칵 뒤집어졌다. 잇따라 마스크가 동이 났다는 소문이 떠돌았고 배추 한포기에 80원씩 판다는 루머가 퍼졌다. 애란이는 피씩 웃었다. 아무튼 미리 준비해둔게 다행이였다. 계획적으로 먹으면 보름쯤은 넉넉하게 넘길 수 있었다. 려행사를 하면서 사스와 조류독감 시절을 겪은 것이 큰 도움이 된 것이다. 지금 돌이켜보면 어처구니가 없었다. 한번도 아니고 두번씩이나 겪으면서도 아무런 마련도 하지 않아 그때 된통을 당했었다. 선무당이 사람을 죽인다고 어디서 얻어들은 것은 있어 만나는 사람마다 마늘을 많이 먹고 어쩌구를 재미로 지껄이군 했었다. 그러다가 먹거리가 떨어져 가까운 슈퍼에 달려가보니 필요한 물품들은 거개가 바닥이 났었다. 어떻게 그 어려운 세월을 넘겼던지 지금도 딱히 기억나지 않는다. 지금도 인터넷에서는 마늘을 물에 끓여 마시면 예방 가능하다는 토방법이 떠돌았다. 그러면서 마스크가 여벌이 없으면 알콜로 소독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고 서로 알려주고 있었다. 더욱 기 막히는 소식은 쓰레기통에 버려진 마스크를 주어다가 씻고 소독하여 다시 파는 사람들이 있다는 소식이였다. 세상에! 이 인간들을 그저 어쩄으면 좋단 말인가?! 애란이는 자신이 이 며칠 하루에도 수십번씩 앞뒤가 끊겨진 감탄어인 이거이거 그저그저를 주절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딸아이에 대해서도 그랬고 지어 말없이 눈치를 흘끔흘끔 보면서 다가서는 고양이에 대해서도 본능적으로 혀를 끌끌 차군 했다. 오렌지 고양이는 올 때보다 살이 많이 올라있었다. 아직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되지 않았는지 소심한 모습을 보였지만 주인들이 관심을 보이는 눈치만 보이면 머리부터 들이대며 자기를 예뻐해달라고 아양을 떨군 했다. 고양이는 애란이가 좋은지 아니면 만만한지 정작 자기를 사온 민혜는 놔두고 애란이의 주위만 뱅뱅 돌았다. 민혜는 고양이에게 먹이를 주는 일 외에는 여전히 세상사에 관심이 없는 태도였다. 밤늦게까지 방에 들어박혀 핸드폰을 뒤적였다. 그러다보니 고양이의 분변을 처리하는 일은 아빠에게 차려졌고 고양이와 놀아주는 일은 아이러니하게도 애란의 몫이 되였다. 새벽 두시쯤이 되면 고양이는 화장실에 들어가 분변통을 긁어대군 했다. 그건 고양이가 배변을 했다는 암시였다. 고양이가 똥오줌을 누고는 그것을 파묻는 작업을 하는 것이다. 싸락싸락 하는 소리는 10분쯤 이어졌는데 조용한 집안에서 무척 신경을 긁어댔다. 지금 세상은 고양이 밥이 따로, 똥오줌을 받는 통과 그것을 파묻는 알갱이를 따로 팔고 있었다. 애란이는 또다시 사람들의 식재료가 되던 그 시절의 동물들이 불쌍하고 미안했다. 사람들이 먹다 남은 것들을 아무거나 던져주면 받아먹고 자라면서도 순순히 맞아주고 먹혀준 그것들의 삶은 억울할 수밖에 없었다. 동물도 세상을 잘 만나야 해. 못난 세월을 탓해야지 뭐 별도리가 있는가. 하다면 그때 살육된 동물들이 원귀가 되여 다시 인간에게 복수하는 거란 말인가? 애란이는 흠칫 놀라면서 발밑을 파고 드는 오렌지 고양이를 툭 차버렸다. 킥 하는 소리와 더불어 저쪽으로 피해간 고양이가 웬일인지 캑캑캑 소리를 멈추지 않았다. 목을 길게 빼고 주둥이를 바닥에 대면서 무엇에 케킨듯 캑캑캑거리다가 다시 목을 쳐들고 허공에 대고 칵칵거렸다. “민혜야, 이 고양이 왜 이래?” 놀란 애란이가 소리치자 무관심인듯 아무 소리도 없던 민혜가 방에서 달려나왔다. 발로 고양이를 툭툭 건드려보더니 핸드폰을 들고 누군가와 문자를 주고 받았다. “감기에 걸린 것 같대. 어린애 감기약을 사서 먹이면 된대.” “그럼 아빠가 약국에 갔다올게. 물약을 말하는 거겠지?” “아빠 그만둬. 지금 비상시기잖아. 고양이때문에 사람이 죽어야 돼?”   민혜의 얼굴에 걱정과 더불어 공포의 그늘이 어느새 자리잡았다. 주의해 살피지 않으면 쉽사리 보아낼 수 없는 반응이였다. 죽음에 대한 공포는 반대로 삶에 대한 지향일 수 있었다. 애란이는 오히려 그게 좋았다. 딸애가 생에 대한 욕망이나 미련까지는 몰라도 적어도 삶이 싫지는 않다는 의지가 아닌가. 그렇게 모든 걸 포기한 듯 하더니 서서히 생기가 돋아나고 있지 않는가. 그러나 다음 순간 애란이는 더 깊은 나락으로 굴러떨어졌다. “차라리 내가 갔다 올게. 뭐 죽기보다 더 하겠어?” 민혜는 정말로 신을 찾아 신었다. 처음부터 두손두발 다 들어서 고양이 사는 걸 반대했던 아빠는 딸애를 거들떠도 보지 않았다. 남편은 그렇게 독한 면이 있었다. 강대강으로 대들면 절대로 져주는 법이 없었다. 긴 세월을 그런 남편과 살아온 애란이는 남편한테 다가가 슬그머니 안아주었다. “애를 저렇게 나가게 내버려두면 어째요? 죽어도 우리가 먼저 죽어야지. 우리 사는게 다 저 애때문이 아니예요?!” 마른 장작처럼 쉽게 터지는 남편은 온순한 양마냥 애란이가 챙겨주는 마스크를 고스란히 끼고 밖으로 어슬렁 나갔다. 민혜는 그러는 아빠가 리해되지 않는듯 물그러미 뒤모습만 바라보았다. 초이틑날부터 아파트단지가 전면 봉쇄되였다. 업주가 아닌 사람은 일률로 출입이 허락되지 않았다. 남편이 아파트단지를 벗어날 수 있을지 또 문여는 약국이나 있을지도 알 수 없었다. 그러나 반시간이 좀 넘어 남편은 요구대로 어린애 감기약을 사왔다. 민혜는 신기한듯 집에 들어서는 아빠의 손에서 물약을 받아들었다. “나갈 때 들어올 때 모두 검열을 받았어. 그대로 죄인 취급이야 죄인.” 이틑날 새벽 두시쯤 화장실에서 또 고양이가 바스락거리는 소리가 들려왔다. 아마 배변을 하고 파묻는 모양이였다. 그런데 느닷없이 낮처럼 또다시 캐캑거리는 소리가 함께 들려왔다. 사람의 기침소리 같은 그 소리가 몇분간이나 이어졌다. 이 난시판에 고양이까지 왜 저 지랄이여, 아, 짜증나. 참아요. 애 좋아하는 거잖아요. 심리상담사님도 애 요구를 최대한 만족시키라고 했잖아요. 내버려둡시다. 저게 심상찮단 말이야. 하필이면 지금 기침하고 저러지? 사람에게 전염되지 않는다는 보장은 없잖아? 그것도 고양이가 민혜방에서 같이 지내니 애가 더 걱정이야. 감기약 먹이면서 며칠 두고 관찰해보자요. 그날 낮에도 고양이는 기침을 멈추지 않았다. 하루종일 줄창 기침을 하는 것이 아니라 서너시간만에 한번씩, 그것도 막 목이 막혀 죽겠다는 괴상한 모양을 하고 있었다. 약을 두번세번 먹여도 소용이 없었다. 다음날 새벽에도 고양이는 어김없이 변을 파묻으면서 기침을 꽤나 오래동안 해댔다. 이젠 애란이의 인내심도 한계점에 도달할 무렵이였다. 뜻밖에도 민혜가 방문을 열고 나왔다. “엄마, 우리 고양이 내버리자.” 정색해서 내뱉는 말이 하루밤새에 어른이 된 어투였다. 말을 마친 민혜는 미처 말릴 사이도 없이 고양이를 안아서 출입문밖으로 내던졌다. 인차 고양이가 문을 긁어대는 소리가 들려왔고 얼마후에 문밖이 조용해졌다. “아니, 너 그래도 괜찮겠어? 무슨 생각에 그런 결단을 내린 거야?” “사람부터 살아야잖아. 우리가 죽고 고양이 홀로 살아선 아무런 의미도 없잖아.” “그건 그렇지. 저게 살아남았다 해도 결국 굶어죽겠지 아마.”   “그러니까 말이야.” 민혜는 전번날보다 더 심각하고 엄숙한 모습이였다. 밝은 전등빛 아래서 흙빛이 된 얼굴이 보다 결연한 인상을 주었다  “나 새벽까지 잠을 자지 못하잖아. 엄마랑 아빠랑 주고 받는 말을 다 들었어. 나를 아껴주고 사랑하는 부모를 놔두고 왜 고양이한테 의지해 살아야 하나 하는 생각이 들었어.” “그렇구나. 우리 민혜 요새 고민 많았구나. 그런데 말이지. 내 보기엔 고양이는 순 감기에 걸린게 틀림 없을 거 같아. 우리랑 두주일 거의 같이 있었잖아. 요즘 도는 병이라면 우리도 벌써 열이 났었어야지.” 애란이는 말을 하다말고 스스로 이마를 탁 치고 후다닥 뛰여 일어나 급히 밖으로 나갔다. 그러나 문밖에는 고양이가 없었다. 실망해서 어디론가 가버린 모양이였다. 아빠트단지내에도 고양이는 보이지 않았다. 거리에 나가보았지만 여전히 눈에 띄이지 않았다. 희붐히 밝아오는 거리에는 사람 그림자 하나 얼씬거리지 않았다. 애란이가 풀이 죽어 돌아서는데 핸드폰에 문자가 떴다. 엄마, 빨리 돌아와, 청도에 벌써 10여건 확진환자가 나졌대. 그잘난 고양이가 다 뭐라고, 얼른 와! 엄마를 걱정하는 민혜의 안타까운 마음이 고스란히 전달되여 왔다. 알써! 애란이는 자기도 모르게 주르륵 흘러내리는 눈물을 훔칠념도 않고 부랴부랴 집으로 향했다. 그런데 문어귀 계단에서 오렌지 고양이와 오며가며 만날 줄이야. 이것 역시 연분이야. 손을 벌리니 고양이는 마침 기다렸다는듯 품에 와락 안겨들었다. 더이상 반가울 수가 없었다. “감기일뿐이야 감기일뿐이라고. 잘 치료해줄테니 우리 건강하게 살자구나.” 머리 속에는 옛날 시골의 동물과 아직도 도살이 감행되고 있는 정글 속의 동물들이 교차적으로 떠올랐다. 5 정월 초닷새날 민혜는 위쳇방을 통해 12킬로짜리 알콜 한통을 샀다. 재난 속에서도 인간의 욕망은 영원히 식지 않는다. 위쳇그룹들에서는 마스크에 알콜에 식품에 팔지 않는 것이 없었다. 민혜가 아빠더러 아빠트단지 북문에 나가면 물건을 갖다주는 사람이 있을 것이라고 해서 나가보니 정말로 알콜을 배달하는 차량이 와있었다. 어떻게 쓰냐고 물어보니 알콜을 이미 용도대로 혼합해놓았으니 오가는 사람이 다친 물건이면 무조건 뿜어서 소독하면 된다고 알려주었다. 마스크도 쓴 다음 알콜을 뿜어서 건사했다가 다시 써도 된다고 말했다. 일단 믿기로 했다. 그건 동시에 민혜에 대한 믿음이기도 했다. 엄마, 이십일 정도 먹을 수 있는 음식은 있어? 있지, 미리 다 준비해두었으니깐. 그럼 됐어. 우리 2월 17일 부터 온라인 수업을 한대. 아마 그때까지도 학교에 갈 거 같지 못해. 민혜는 부지런히 집안을 오가면서 소형 분수병으로 알콜을 뿜어댔다.                                     2020년 제2호
131    댓글:  조회:541  추천:0  2020-04-25
단편소설   탈 장학규     오후 다섯시가 겨우 넘었지만 창밖은 벌써 어둠이 어둑어둑 내리기 시작하고 있었다. 홍교수는 쏘파에 무료하게 기대여 앉은채 리모콘을 들고 부지런히 채널을 돌렸다. 100여개 채널을 아무리 바꿔도 대체로 볼만한게 없었다. 조잡한 고대복장을 아무렇게나 차려입고 음모궤계에 열중하는 내용이 아니면 이 화평한 시대와 동떨어지게 아직도 총칼을 집어들고 충아싸야 하는 짓거리들을 하고 있었다. 거기에 애들이 한창 밥상머리에 앉아있을 시간대임에도 불구하고 재미를 가미한답시고 공공연히 진한 배드신을 곁들이고 있었다. (저런 걸 보고 애들이 뭘 배우겠어?!) 홍교수는 속으로 투덜거렸다. 푼더분한 얼굴에 심한 짜증이 부글부글 괴여오르고 있었다. 교육자인 홍교수의 눈에는 요즘 젊은이들의 상태가 엉망 그 자체였다. 허영과 사치가 극에 달하고 서로 시샘하고 다투고 공격하는데 열중하는 모습이였다. 이대로 방치하면 하늘이 무너지진 않는다 손쳐도 사회가 크게 기울게 틀림없었다. 인성교육이 시급한데도 그 중임을 맡아야 할 매체들이 암투와 적개심과 색정을 부추기는데만 열중하니 구제불능이 아닐 수 없었다. 가끔 예능프로그램이 나오기는 했으나 외국걸 그대로 패러디한 흔적이 진하고 아니 나오는 생쇼를 억지로 꾸며서 눈쌀이 저절로 찌프려지기도 했다. (대책이 없어 암튼. 너희들 클라스가 원래 저질스럽지.) 홍교수가 신경질스레 리모콘을 한옆으로 팽개치는데 침실쪽에서 안해가 부르는 소리가 들려왔다. “아빠!” 종래로 들어보지 못한 호칭에 간사한 목소리였다. 홍교수는 부시시 일어나 침실로 느릿느릿 걸어갔다. 마흔을 갓 넘긴 나이인데도 벌써부터 무기력하다. 아무런 격정과 감흥도 없다. 정말로 한때 심장이 두개인 듯 가슴이 널뛰였던 때가 있었을가 싶을 정도로 심드렁하다. 침실에서 안해는 화장대 거울을 마주하고 서있었다. 홍교수가 들어서는 기척을 느꼈는지 그녀가 몸을 탈며 돌아보았다. 순간 홍교수는 흠칠 놀라며 그 자리에 우뚝 멈춰섰다. 안해는 얼굴에 마사지팩을 하고 있었다. 눈, 코, 입만 뚫어지고 나머지 면상 전체가 새하얗게 덮힌 안해는 얼핏 해골 처럼 보였다. 가슴이 섬뜩했던 리유도 그때문이였다. “현박…” 현박은 홍교수가 안해를 시까스를 때 자주 사용하는 용어이다. 현씨 성의 안해는 사회학 박사학위를 가지고 있었다. 그들 부부는 중학교때 부터 동창이였다. 대학도 같은 대학을 갔고 졸업 후에는 같은 직장에 배치되였다가 한국 류학을 1년 사이를 두고 앞서거니 뒤서거니 떠났었다. 홍교수가 한해 먼저 박사학위를 따내고 청도로 귀환하고 안해는 이듬해 박사공부를 마쳤다. “아빠!” 안해는 아양 떨듯 한번 더 불러놓고 빤히 홍교수를 쳐다본다. 얼마전 한국에 학술 교류를 갔다오더니 갑작스레 변해버린 호칭이다. 전에는 홍교수가 “미애야” 하고 부르면 “희철아 왜?” 하고 텁텁하게 대꾸했었다. 그들 부부간에는 여보당신이란 부름 자체가 생략되여있었다. 가끔 홍교수가 장난기가 발동하여 “현박” 하고 부르면 안해는 바로 “홍교수” 하고 되받군 했었다. “웬일이여?”   “오늘 무슨 옷 입고 갈까?”   그러고 보니 안해는 오늘따라 동네 할머니들 처럼 소매 없는 회색 내복에 자잘한 꽃무늬가 새겨진 검은색 몸뻬를 입고 있었다. 전에 없는 모습이였다. 집에서 일 할 때는 언제 봐도 반팔 흰색 적삼에 스커트를 받쳐입고 깨끗한 앞치마를 두르고 있던 안해였다. “그것도 이번에 사온 건가?” “뭐 말이예요? 몸뻬?”   “응” “오사모님도 자택내에서는 몸뻬를 입으시더라구요. 그렇게 기품있는 분이 친정엄마 처럼 친근한 느낌이였어요. 집에서 움직일 때는 캐주얼보다도 훨씬 편하고 분위기도 좋아보였구요. 돌아올 때 남대문시장을 거쳐 몇견지 골라왔어요.” 오사모님이란 안해의 박사과정 지도교수의 부인이다. 안해가 억수로 닮고 싶은 모델이다. 홍교수가 말없이 시무룩히 미소만 띤채 되돌아서는데 안해의 종알대는 목소리가 애교처럼 등뒤에 따라왔다. “뭐 입으면 좋을가?” “아무리나 입어. 정장이 좋더만은” 홍교수의 기억에 안해는 정장외에 다른 옷을 입은 것 같지 않았다. 그만큼 항상 반듯하고 점잖은 이미지의 안해였다. 어쩌면 이번 한국 행차가 안해에게 어떤 충격을 준게 틀림없었다. 성경, 코란, 불경과 동급의 성서를 펼쳐낼 것처럼 만사불구하고 학문에 얼굴을 틀어박고 살던 안해가 느닷없이 그 얼굴에 팩을 붙히기 시작한 것 부터 미스테리한 일이였다. 목소리가 말랑말랑해지고 호칭이 느끼하게 변한 것도 심상치는 않았다. 아빠가 뭐지? 오빠도 아니고 아빠가 뭐야 아빠가? 실은 옷차림에 크게 신경을 써야 할 자리도 별로 아니였다. 십년쯤 못본 고향친구와의 저녁 약속이였다. 새로운 이민도시 청도에서는 흔하디 흔한 일이였다. 태호와의 재회는 약간 희극적이였다. 서로 한 도시에 살고 있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래왕없이 여직껏 지내왔었다. 보름전의 일이다. 퇴직을 앞둔 김학과장이 홍교수를 불렀었다. “홍교수, 이번엔 홍교수가 수고 좀 해줘야겠어요. 모레 미래독서회란 단체에서 ‘민족교육과 우리의 출로’라는 테마로 토론회를 조직하는데 우리 학과 교수가 가서 주제강의를 해달라고 요청왔네. 나 몸이 많이 말째여 아무래도 홍교수가 모처럼 한번 다녀와야겠어요.” 당초 홍교수를 이 대학으로 불러들인 당사자인 학과장은 머리가 희끗해진 지금까지도 직접 호명을 하는 법이 없이 언제나 홍교수 홍교수 하고 불렀다.  “아, 글쎄요.” 홍교수는 잠간이지만 머뭇거렸다. 사실 홍교수는 그런 장소에 다니는 것이 딱 질색이였다. 주머니에 돈푼깨나 챙겨넣고 하늘이 낮다고 으시대는 꼬락서니들을 도무지 보아줄 방법이 없었다. 홍교수는 교수라는 허울도 별로 사답잖게 보는 사람이였다. 그 껍데기를 벗으면 모두가 똑같게 생긴 인간임에도 괜스레 폼을 잡는 짓거리가 꽤나 우습기도 했다. 특히 모임장소에서 한 인물 뽐내고파 안달이 나서 퐁퐁 튀는 작자들은 그저 눈꼴이 실뿐이였다. 홍교수는 세상을 등지고 자신이 좋아하는 학문만 하고 싶었다. 그리고 실제로 그렇게 해왔었다. 학과장도 그 점을 잘 알기에 여직 홍교수를 사회활동에 내몬 적이 없었다. 그러나 이번은 아니였다. 퇴직을 눈앞에 둔 시점에서 자신의 뒤를 이어야 할 홍교수를 마냥 사회의 변두리에 방치해둘 수는 없었던 것이다. 그런데 울며 겨자 먹기로 나간 그 토론회에서 홍교수는 뜻하지 않게 소굽친구인 태호를 만나게 된 것이다. 오회장으로 불리는 태호는 그번 모임의 협찬인이였다. 굵직한 허우대에 값비싼 양장을 하고 붉은색 넥타이까지 맨 태호는 일견에도 위압감을 주고 있었다. “희철이 맞구나. 난 홍희철 교수가 온다는 말을 듣고 간대로 정말 너일까 싶더라. 이게 몇년만이니? 정말 반갑다.” 먼저 와서 주석대에 점잖게 앉아있던 태호가 행사장에 들어서는 홍교수를 먼저 발견하고 한달음에 달려와 반갑게 손을 잡았다. “어,.. 저…” 홍교수가 미처 반응을 못해 떠듬거리자 태호가 가볍게 그의 어깨를 툭 쳤다. “왜 나를 몰라보겠어? 나 태호야. 뒤싸울의 오태호.” “아…” 그제야 홍교수는 눈앞의 이 번들번들한 사나이가 어렸을 적 한동네서 같이 자란 소굽친구 오태호란 걸 알아냈다. 소학교밖에 나오지 못한 태호 덕분에 홍교수는 이젠 기억에도 아리까리한 고향마을의 이름을 용케 기억해냈다. 뒤싸울, 옳지. 어렸을 때 앞싸울, 뒤싸울 하면서 오갔었지. “우리 10년전에도 만났었잖아. 너 한국서 금방 청도로 왔을 때 우리 달포쯤 같이 지냈었는데…” 물론 홍교수도 잊지 않았다. 아니, 여직껏 잊혀지지 않았었다. 마음 깊은 곳에 애써 깔아두고 그 기억이 되살아날가봐 어마지두 걱정하면서 근 10년을 살아왔었다. 정말이지 다시 더듬고 싶지 않는 아픈 상처였다. 그때 홍교수는 갓 한국에서 청도로 복귀했었다. 제자를 보기에 스승만한 눈은 없다고 대학시절의 은사였던 김학과장이 청도로 자리를 옮기면서 홍교수를 호출한 것이다. 한국어학과가 갓 설립되여 시동 중이라 대학에는 아무런 마련도 없었다. 김학과장은 학교에서 직접 영입한 인재이기에 여러모로 대우가 따라갔지만 홍교수는 숙소마저 없어 림시로 세집을 잡아야 했다. 처음으로 인간에게 타이틀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의식했을 무렵이였다. 학교에서는 길어서 반년은 세집살이를 감안해야 한다고 했다. 안해 미애가 아직 일년 더 한국에서 박사공부를 해야 하기에 홍교수는 최대한 지출을 공제해야 하는 처지였다. 홍교수는 학교 부근에서 5평 남짓한 단칸방 하나를 세맡았다. 침대 하나를 들여다놓고 옷 트렁크에 책 보따리들을 갖다놓으니 발 디딜 틈도 없었다. 실내에서의 활동은 침대우에서만 가능한 상황이였다. 그래도 홍교수는 별로 개의치 않았다. 불편이 습관되면 전혀 불편하지 않다고 누가 그랬던가. 문제를 문제로 삼지 않으니 문제가 되지 않았다. 새로운 일터에서 한껏 재능을 펼쳐보리라 마음 다잡으니 이 정도의 어려움은 술자리 안주감도 되지 않는 일이였다. 홍교수가 유일하게 참기 힘든 일은 안해에 대한 그리움이였다. 하루 강의를 마치고 집에 돌아와 차가운 이불과 마주할 때면 마음은 어느덧 자기도 모르게 스르르 무너진다. 안해의 품이 사무치게 그리워진다. 그들은 결혼한지 3년도 되지 않는 신혼부부였다. 중학교때 부터 찰떡 처럼 붙어다녔던 그들은 대학도 같은 대학을 선택했다. 직장에서도 매일 얼굴을 맞대다가 홍교수가 류학을 떠나니 안해는 견디지 못하고 일년만에 쫑그르르 한국까지 따라왔었다. 홍교수는 안해가 보고 싶을 때면 술로 달래군 했다. 청도는 그러기에 안성맞춤한 도시였다. 문만 열고 나서면 어디서든 청도맥주와 만날 수 있었다. 그것도 병사리로 담은 것이 있는가 하면 캔으로 봉한 것도 있었고 더우기 통에 부어놓고 내리 받아먹는 것도 있었다. 선술집에 가면 커다란 유리고뿌에 생맥주를 부어주기도 했고 어떤 가게에서는 주머니 옅은 나그네들을 위해 전문 비닐봉지에 생맥주를 떠서 팔기도 했다. 그날도 홍교수는 불면의 밤을 이겨내지 못하고 한밤중에 거리에 나섰다. 늦여름의 청도는 모질게도 더웠다. 자정을 치닫는 시간대인데도 골목에는 여기저기에 웃통을 벗어버린 남정네들이 맥주에 땅콩을 곁들이면서 더위와 싸우고 있었다. 원체 말썽을 싫어하는 홍교수는 얼근히 취해 왁짝 고아대는 주정군들을 피해 멀찌감치 사거리까지 씨엉씨엉 걸어갔다. 아무튼 잠이 오지 않는 날이다. 이렇게 밤새도록 걸어도 무방할 거 같은 기분이였다. 사거리를 건너 아무렇게나 자그마한 슈퍼에 들어가 봉지맥주를 사는데 주인인 듯한 사내가 자꾸 홍교수를 흘끔흘끔 쳐다보는 것이였다. 혹시 얼굴에 무엇이 묻었나 싶어 손을 들어 낯을 훔치던 홍교수는 정면으로 가게 주인과 눈길을 마주쳤다. (엉?) 두사람은 동시에 흠칫했다. “혹시 희철이?” “태호…?” 두 소굽친구가 이렇게 약속없이 고향에서 수천리 떨어진 청도에서 20여년만에 상봉한 것이다. “여긴 어떻게 왔어?”   “얼마전에 저 앞의 대학에 취직했어. 넌?” “글쎄 유학까지 갔단 말은 얻어들었다. 이 가게 내가 하는 거야.” “그렇구나.” 서로 상대의 집을 확인한 결과 홍교수의 세집이 훨씬 가까웠다. 두 친구는 한사람이 봉지맥주 두개씩 들고 세집으로 돌아왔다. 그런데 집안으로 들어서던 태호가 느닷없이 빈정대는 어투로 두덜대는 것이였다. “이게 집이냐? 대학 선생이 이런 데서 산다는게 말이나 돼?” “대학교 선생이면 사람이 다른가?” “그건 아니구…”   홍교수는 자기 집으로 가자며 우기는 태호를 겨우 침대에 눌러앉혔다. 가운데 신문지를 펼쳐놓고 볶은 락화생 한줌과 슈퍼에서 가져온 마른 안주를 벌려놓고 둘은 봉지맥주 네개를 밤새며 다 마셔버렸다. “기막혀. 내 무식이 태산을 찔러도 이렇게는 안 산다. 이게 웬 꼬라지니? 자슥아.” “글쎄 그런 사연이 있다구.” “사연이구 뭐구 안되겠다. 내일 당장 우리집으로 가자. 방 세개짜리 아파트인데 어차피 비여있으니 같이 살자. 난 밥 할 줄 모르니 그것만 저절로 챙기면 돼.” “제수는 어쩌구?”   “말투 한번 고약하다. 형수지 어떻게 제수냐? 그나저나 내 마누리도 한국에 있어. 거기서 물건 해보내면 난 여기서 팔구 그런다구.” 이틑날 퇴근하기 바쁘게 태호가 차를 구해가지고 찾아왔다. 감동앞에서는 언어가 창백했다. 주인집에 한달치 집세를 더 주고 홍교수는 태호한테 공손히 끌려갔다. 태호는 가게일때문에 항상 한밤중에 귀가했다. 거기에 지역 사업가모임의 회장직을 맡고 있어서 이틀이 멀다하게 곤죽이 되여 돌아왔다. “희철아, 저거들 다 깡패출신들이여. 델꼬 가서 같이 술 먹고 싶어도 홍박이랑 어울리기 어려워. 양해해.” 아침은 언제나 홍교수가 했다. 시장을 보고 와서 료리를 다 해놓아도 태호는 드렁드렁 코를 골며 자고 있었다. 어차피 사전 약속이 있었던 만큼 홍교수는 군말 없이 매일 열심히 아침상을 차려놓고 출근했다. 저녁에 돌아와 보면 밥상우의 밥과 채소는 폭격당한 듯 지저분하게 헤집어져 있었고 빈그릇들이 그대로 팽개쳐져 있었다. (자식이, 내가 뭐 자기집 종넘인줄로 아네.) 홍교수는 투덜거리면서도 상을 치우고 그릇들을 가셨다. 한달쯤 지난 어느날이였다. 그날은 휴일날이였고 홍교수는 집에서 다음주 북경에서 열리는 전국학술포럼에 내놓을 론문을 집필하고 있는 중이였다. 오후 네시가 좀 넘어서 태호로 부터 전화가 걸려왔다. “희철아, 저녁에 친구 셋이 우리집에 술 마실러 가니 채소 좀 맛있는 걸로 서너가지 해놓아라.” 이번에는 장난기를 담은 “홍박”도 삭제된채 명령식으로 지시하고 있었다. 귀가 거슬리고 마음이 불쾌했지만 꾹 참고 시장에 달려가 새우와 바다물고기 그리고 여러가지 조개류를 한아름 사들고 와서 부지런히 씻고 데치고 삶고 볶고 지지면서 두시간 좋이 서둘러 한상 푸짐하게 차려놓았다. 미처 앞치마도 풀지 못하고 이마에 돋은 땀을 훔치고 있는데 태호를 선두로 시커먼 장정 셋이 줄레줄레 따라들어왔다. “아, 벌써 다 해놓았군. 희철아, 인사해. 이분들 다 이 부근에서 괜찮게 나가는 친구들이야. 저긴 식품하는 김사장이구 이쪽은 악세사리하는 방총경리구 여기 이분은 전자회사 하고 있는 심회장이야. 여러분, 이 친구는 내 동창입니다. 자 얼른 앉으시지요.” 홍교수가 소개 받는대로 알은체 하고 있는데 상대방들은 배가 더 급한지 주섬주섬 상에 들어앉아 저가락을 집어들기 시작했다.  술상은 세시간 넘어 끌어서 열시반에 끝났다. 그들은 서로 목청을 비기 듯 왕왕 소리치며 세상사를 주고 받으면서도 건너방에 그들을 위해 료리를 한 사람이 배를 곯으면서 책을 보고 있다는 것을 잊고 있었다. 2차로 노래방에 간다면서 우르르 쓸어나간 다음에야 침실문을 열고 나온 홍교수는 술과 물과 담배꽁초로 범벅이 된 밥상을 보고 억이 막혀 한동안 입을 하 벌렸다. 배가 무지 고팠지만 식욕이 동하지 않는 것이 이상했다. 세상에 이런 경우도 있냐 싶었지만 정말로 먹고 싶은 마음이 꼬물도 나지 않았다. 새벽 한시쯤 되였을가. 홍교수가 어슴푸레 잠이 들고 있는데 태호로 부터 또 한번 전화가 왔다. 친구들이 배가 고프단다. 밥을 하고 채소들을 덥혀 놓으란다. 홍교수는 대꾸없이 전화를 끊었다. 먼저 상에 쓰레기들을 깨끗이 거두었다. 태호 요구대로 쌀을 씻어 밥솥에 안친 후 료리를 덥혀서 솥에 그대로 두었다. 집안을 둘러보니 너무 지저분한 거 같지는 않았다. 홍교수는 트렁크를 들고 거리에 나섰다. 그날 태호는 홍교수를 다시 찾지 않았다. 이틑날 점심 무렵에 태호가 전화를 걸어왔다. 그러나 홍교수는 받지 않았다. 한참 후 문자가 날아왔다. 어디 있냐고 물었다. 다시는 낯짝 보지 말자 그렇게 답복하려다가 점잖게 학교에서 강의 중이라고 대답했다. 사흘날에도 전화벨이 울렸으나 홍교수는 조금도 주저없이 끊어버렸다. 그리고 나흘째 되는 날에는 전화번호를 바꾸어버렸다. 그리고 그 후로 두 사람은 다시 만나지 않았다. 아무튼 홍교수는 독서회 강의를 어떻게 했는지 모른다. 행사가 끝난 후 태호가 별도로 술 한잔 하자고 끌었던 거 같다. 그 우직한 손아귀에서 빠져나온 대목도 어슴푸레하다. “안해가 한국에 학술대회 참가하러 갔다가 오늘 돌아와. 마중 나가야 해.” 아마 그렇게 둘러댔을 것이다. 태호가 한사코 전화번호를 물어서 마지못해 대주고 도망치 듯 쫓기 듯 허둥지둥 집으로 돌아왔을 때 홍교수는 거의 탈진한 상태였다. 지금 돌이켜보면 솔직히 별로 흥분할 일도 아니였다. 그들은 원래 결이 다른 사람이였다. 자신은 교수고 태호는 기업가이다. 노는 물부터 달랐다. 그들이 같이 어울리자고 끌어도 홍교수는 뽕 맞은 것처럼 동네 미쳐돌아가는 짓거리는 절대 못하는 타입이다. 그러면서 왜 삐졌던가 싶다. 교수라는 껍데기 한벌 걸치니 허영심이 배꼽까지 꽉 들어차서 괜한 일에도 자존심이 쉽게 스크레치 난 모양이였다. 예상대로 이틑날 태호한테서 전화가 걸려왔다. 저녁에 부부 동반으로 식사하자는 요청이였다. “며칠 후 보자구. 안해가 며칠 출장갔다 오더니 몸살이 심해.” 십년 묵은 체증이 하루밤 사이에 풀렸는지 홍교수는 저도모르게 너스레를 떨었다. 스스로도 약간 어이가 털렸지만 별로 부자연스럽지는 않았다. 그런데 어제 태호가 정말로 또 전화를 걸어왔다. 다시 핑계 대면 혼날 줄 알라면서 위협 아닌 위협까지 가했다. 강아지도 되게 당한 골목에는 가지 않는다는데 하면서도 홍교수는 더 어찌할 수가 없었다. 안해는 약속시간이 아득바득 다가올 쯤에야 방에서 나왔다. 흰색의 목폴라티에 롱스커트를 받쳐입고 유백색 코트를 걸치고 있었다. 나오면서도 저절로 서먹서먹했는지 내려다보고 뒤돌아보고를 거듭했다. 어색하기는 홍교수도 마찬가지였다. 여직껏 반듯한 정장 차림새의 안해만 봐왔던 홍교수는 눈앞이 갑자기 환해지는 느낌이였다. 안해가 저 정도로 예뻤던지 의심이 들 지경이였다. 오늘 하루 안해는 기품있는 대학 부교수로 부터 시골아줌마로 갔다가 다시 시체 녀인으로 화려하게 부상한 것이다. 이번에 오사모님한테 단단히 세뇌당한 거라고 홍교수는 생각했다. 안해는 무슨 일에나 올인하는 성격이였다. 한번 어떤 사유모식이 형성되면 쉽게 바뀌지 않고 지궂게 한곬으로만 흘러가는 타입이였다. 홍교수 부부가 약속 장소에 도착했을 때 태호는 로비 쏘파에 몸을 파묻고 신경질적으로 담배를 태우고 있었다. 테이블 우의 담배재떨에는 담배 꽁초가 수북히 쌓여있었다. 다가서는 홍교수를 째리듯 노려보는 듯 싶더니 인차 얼굴에서 분노를 몰아내고 웃음을 게발랐다. “난 홍교수가 아니 오는 줄로 알았어.” “그럴리가…” 홍교수는 태호가 내미는 손을 잡으며 뒤를 돌아보았다. “현박, 이 분이 내가 말하던 소시적 친구요. 인사해요.” 다시 태호를 향해 안해를 소개했다. “우리 안사람이여. 현씨구 지금 부교수 직함을 가지고 있어.” “아, 형수님, 반갑습니다.” 태호가 정색해서 허리까지 굽히면서 인사했다. 문뜩 10년 전의 일이 다시 환영마냥 떠올랐다. 자기가 형이라며 바락바락 우기던 태호가 아니였던가. 식당은 호텔 2층에 자리잡고 있었다. 태호의 안내를 받으며 룸으로 들어서던 안해가 주춤하고 멈춰섰다. 그와 동시에 룸에 진한 화장을 하고 앉아있던 웬 요염한 녀인이 벌떡 일어서며 소리를 질러댔다. “아니, 현선생님 아니세요? “ “혹시 지…지…” “현선생님 맞네요. 네, 제가 해순이예요. 지해순.” 두 녀자는 누가 먼저랄 것 없이 동시에 새된 소리를 지르며 퐁퐁 뛰기 시작했다. 작지 않은 룸이 두 녀자로 인해 꽉 찬 느낌이였다. 홍교수는 어안이 벙벙하여 눈이 데꾼해진 채 두사람을 번갈아 바라보고 있었고 태호는 언녕 이런 장면에 익숙하다는 듯 슬슬 자리를 찾아 앉아서 흐뭇하게 쳐다보고 있었다. “여보, 이 현선생님 덕분에 내 살아났어요. 우리 오늘이 있는 것도 현선생님 덕분이구요.” “엉? 뭔소리여?” 태호는 난처한 듯 얼굴에서 미소를 거두고 이마살을 찡그리며 낮다랗게 중얼거렸다. “내 맨날 외웠잖아요. 한국서 일자리 떼우고 주머니가 바닥이 났을 때 마침 현선생님을 만나서 오사모님댁에 가정부로 들어갔다구요. 바로 그 은인이예요. 그 바람에 우리 가게가 살아남은 거지요.” 그 사실은 홍교수도 안해한테서 들어 아는 소리였다. 홍교수가 귀국하고 안해는 남아서 박사공부를 계속하던 어느 날이였다. 그날 따라 안해는 생리중이여서 심한 복통에 시달리고 있었다. 어려서 부터 조리를 제대로 하지 않아 고질로 남겨진 병이였다. 지도교수에게 말미를 맡고 동네 병원으로 가던 안해는 병원 문어구에서 얼굴이 창백하게 질린 웬 녀인과 조우했다. 지금 처럼 늦가을이 다가오는 계절인데도 녀인은 홑옷을 입은 채로 오돌오돌 떨면서 담옆에 쪼그리고 앉아있었다. 눈길을 잠간 주고 받고 의사한테서 약을 받아 나오는데 아까 녀인이 그 자리에 퍼더버리고 주저앉아있었다. 얼굴에는 진땀이 배여 있었다. 타향에서 온 사람이 분명했다. “여보세요. 혹시 도움이 필요한 거 아니예요?” “네에…” 녀인은 낮다랗게 대꾸하고 얼굴을 깊숙히 파묻었다. “무슨 일이세요?”   “저 지금 하루동안 아무 것도 먹지 못했어요. 라면 하나 사주실 수 없겠어요?” 안해는 두말없이 녀인의 손을 끌고 슈퍼에 찾아들어갔다. 알고보니 녀인은 중국에서 온 조선족으로 이름은 지해순이라고 불렀다. 한국에 나온지 1년이 좀 넘는데 하루도 놀지 않고 닥치는 대로 일했다. 원래 시골에서 자란 터라 육체적인 고생은 얼마든지 이겨낼 수 있었다. 그러나 시도때도 없이 욕설을 퍼붓고 쩍하면 노임을 잘라먹는 행태에는 견뎌내기 어려웠다. 그래도 매일같이 악으로 버티며 한잎두잎 모아서 국내에 있는 남편에게 부쳐보내군 했다. 남편을 그 돈으로 자그마한 슈퍼를 시작했다고 알려왔다. 점차 규모를 늘려가면서 자금도 더 들어갈 무렵 해순이한테 뜻하지 않은 일이 들이닥쳤다. 그날 오후도 해순이가 함바집에서 저녁 준비를 하고 있는데 느닷없이 문이 열리며 오야지가 어슬렁어슬렁 들어섰다. 평소에 틈만 나지면 집적거리던 오야지인지라 해순이는 바짝 긴장했다. 아닌게 아니라 오야지는 히물히물 다가서며 해순이의 어깨를 끌어안았다. 해순이가 몸을 탈면서 한쪽으로 벗어나자 여직껏 한번도 목적을 달성 못한 오야지는 악이 받치는지 와락 달려들면서 독수리가 병아리 채듯 그녀를 덥썩 안아들고 그녀의 숙소로 마련된 안쪽 방으로 씩씩거리며 걸어갔다. 코에서는 역한 참이슬 냄새가 풍겨나왔다. “사람 살려요. 사람 살려요.” 해순이가 발버둥치며 고아대는 소리가 현장에서 메아리쳤다. 급해난 오야지는 해순이를 그대로 바닥에 동댕이치고 꼬리빳빳이 도망쳤다. “너 어디 두고 보자.” 아닌게 아니라 며칠 후 함바집에는 해사하게 생긴 중년녀인이 찾아왔다. 오야지는 그 녀인이 새로온 식모라면서 인수인계를 마치고 당장 떠나라고 호령했다. 물론 이런 저런 핑계를 만들어 원래 많지 않던 노임을 반나마 잘라버렸다. 불법 취업 중이였던 해순이는 억울하고 분했지만 꾹 참을 수밖에 없었다. “신분때문에 다시 취직이 되지 않았어요. 이대로 집에 돌아가면 가게는 망하고 지금껏 헛수고한 셈이 돼요. 도와주세요. 무슨 일이라도 되니 주선만 해주시면 열심히 일할게요.” 안해도 조선족이란 것을 알게 된 해순이는 손을 비비면서 애원했다. 원래 마음이 약한 안해는 머리가 뜨거워져 그 길로 해순이를 자신의 숙소로 데려왔고 이틑날에 곧바로 지도교수님 댁 가정부로 소개했다. 오사모님이 언제부터 참한 가정부를 찾아달라고 부탁해온 터였다. “너 같은 애면 딱 좋겠어.” 오사모님은 직방 대고 말하지는 않았으나 안해더러 도와달라는 말이 분명했다. 안해도 그 일자리가 무척 욕심났다. 금방 귀국한 남편은 아직 자리를 제대로 잡지 못했고 자신도 일년 더 공부해야 하니 아르바이트가 필요한 시점이기도 했다. 그러나 얼굴이 가려워 차마 자신이 하겠다고 말할 수는 없었다. 금전 유혹에 빠진 사람 처럼 보이는 것도 그렇고 박사 공부한다는 사람이 가정부 일을 한다는 것도 얼굴이 깎이는 일이라 생각되였다. 마침 그때 해순이가 오게 된 것이다. “소개해주고 얼마나 후회되던지. 얼굴에 철판 한번 깔면 모든 어려움이 일소되는데 왜 그리 간단한 일도 못했는지…” 안해가 두고두고 외워서 홍교수는 마치도 자신이 겪은 것처럼 기억하고 있었다. 해후를 한 두 녀인은 무슨 할 말이 그렇게 많은지 끝도 없이 재잘거렸다. 해순이 입에서 “선생님”으로 불리던 안해가 시간이 흐르면서 어느새 “언니”가 되여있었다. 홍교수는 태호를 슬그머니 건너다보았다. 술 먹어서인지 얼굴이 붉그스레해진 태호는 인플레이션이 심하던 입을 술을 붓는데만 사용하고 있었다. 어깨를 늘어뜨리고 잠자코 홍교수가 술 들자면 들고 담배 피자면 피우고 따라 할 뿐이였다. 홍교수는 태호가 지금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알 것만 같았다. 태호는 홍교수에게 죄책감도 가졌을 법 했다. 홍교수가 따분한 분위기를 깨려고 학과에서 “우리말축제”를 준비 중이라고 하니 태호는 말이 떨어지기 무섭게 즉시로 자기가 협찬하겠노라고 나섰다. 절대 거절해서는 안된다고 못박기도 했다. 그간 대학공부를 하지 못한 알레르기가 심해서 괜히 호기를 더러 뽑으면서 살았다면서 양해를 구하기도 했다. 술김이긴 했지만 진심이 전달되여 왔다. 간만에 두 친구는 밤이 깊어가도록 술을 주고 받았다. 상을 파하고 집에 돌아온 안해는 어렵게 준비해 차려입고 나갔던 옷들을 와락와락 벗어서 그대로 침대밑에 아무렇게나 팽개치고 다시 몸뻬를 찾아 주섬주섬 입었다. 헐렁해준 몸을 흔들면서 기분이 나는지 과장된 제스처로 거실을 한바퀴 돌기도 했다. “편해, 편해, 정말 편해. 이렇게 홀가뿐하고 편한 걸 놔두고 왜 그렇게 조이면서 살아야 했지?” 홍교수는 그러는 안해를 보면서 희미하게 웃음 지었다. 어쩌면 자신도 그렇게 조이면서, 참으면서, 절제하면서 살아왔던게 틀림없다. 풀고 헤치고 벗으니 한결 가벼운 걸 가지고 괜스레 너무 오래 억지춘향노릇을 한 거 같았다. 홍교수는 래일 학과장에게 “우리말축제” 협찬금 소식을 전할 일로 안해보다 훨씬 더 흥분되여 있었다.                                          2020년 제1호   창작수기 탈은 있으면 빛나고 없으면 편하다 장학규 인간은 사탄의 유혹을 못이겨 금단의 선악과를 먹으면서 락원에서 추방되였다. 알몸의 부끄러움을 알아 루추한 부위를 가린 것을 탈을 쓰기 시작한 기원이라면 인간은 그때로 부터 자신의 본연의 모습을 감추고 가리고 덧칠하고 분장하느라고 억수로 악을 쓰며 살아온 셈이다. 따져보면 “탈”의 형태도 각양각색이다. 의복이 먼저 탈이였다. 모름지기 표정도, 신분도, 직무도 아무튼 인간의 몸뚱이 이외의 모든 것이 탈인 게 분명하다. 동물과 구별되는 인류의 력사는 어쩌면 부지런히 “탈”을 만들어 자신과 점점 멀어지는 과정이였는지도 모르겠다. 혹자는 스스로를 더 잘 다듬고 더 멋지게 거듭나기 위한 몸부림이라고 칭할지도 알바 없다. 아무튼 그래서 문명이란 허울을 만들어 쓰게 되였고 계급이나 신분이나 또는 규범들이 생겨나서 서로를 나누고 대립시켰던 것이 아닌가 싶다. 부지런한 사람이 부를 챙기고 덕이 있는 군자가 존경받고 힘있는 용사가 권리를 행사하고 총명한 사람이 지식을 가지는 것은 만고불변의 진리이다. 인류는 바로 이런 지성과 엔리트들에 이끌려 진화해왔고 구원의 긴 터널을 달리고 있다. 그들의 머리에 두른 광환의 “탈”은 빛날 수밖에 없고 또 천추만대로 이어가며 빛나야 하는 “탈”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가끔이지만 “탈”도 나름대로가 아닐가 하는 생각이 든다. 녀인들이 예쁘게 보이려고 값진 옷차림을 하거나 진한 화장을 하는 것은 출발점이 갸릇해서 즐겁기만 하다. 금전이나 리익을 위해 권세앞에서 간사함을 표현하는 행위도 어쩌면 먹고 살아야 하는 인간의 본능 발로라 량해가 닿을 듯도 싶다. 꼭은 아니여도 남을 해치려는 고의가 없다면 거짓도 품어줄만 하고 상대와 필요에 따라 부동한 역할을 배역하는 것도 눈감아 줄 수 있다. 그만큼 우리가 살아가는데 “탈”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 “탈”들이 우리 사회를 더 다양하고 다채롭고 더 빛나게 장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로 되는 것은 그저 “탈”일뿐인데 그것을 고유 특권으로 착각하는 의식이다. 특히 스스로가 뒤집어쓴 “탈”이 아닌 경우는 더욱 그렇다. 스스로 찾아 쓴 것은 누구나 그것이 “탈”이고 또 어쩔 수 없이 썼다는 것을 잠의식에서도 자각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남이 씌워준 “탈”은 그것이 “탈”인줄을 잘 모를 때가 없지 않다. 어떤 시점에, 어느 라인에 어정쩡하게 나타났다가 느닷없이 선택되여 “탈”을 뒤집어 쓴 채 그것이 혹시 하느님의 실수였을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하지 않고 야비하게 주변을 짓밟고 다니는 인간들은 꼭 한마디 해주고 싶은 존재들이다. 너에게 “탈”이 용케 차려졌더라도 그것은 휘두르는 무기가 될 수 없으며 더욱이 너의 추악함을 덜어주는 면죄부일 수는 없다. “탈”은 남의 시각에서 빛나고 스스로는 벗을 때가 더 편하다. 아마도 나는 그래서 인간이 구원되여 복락원하는 그날을 기다릴 것 같지 못하다. 내가 못에 먼저 박혀 죽어야 하기 때문이다.                            2019년 11월 11일
130    边缘人 댓글:  조회:438  추천:0  2020-04-25
短篇小说   边缘人 张学奎 作 张慧京 译 (他怎么还不回来呢?) 兰姬不时地向窗外望去。冷风飕飗,枯叶不断摇落,道旁的树木只剩赤裸的枝干遮挡着人们的视线。 超市门前的这一条街一直延伸到海边。或许正是因为这个缘故,来往于这条大街的人们几乎都是到海边游玩的游客。 兰姬苦等着有个人能从那些人群中突然窜出来,她等的那个人就是她的老公。老公一大早走出门去,直到午饭时间过了很久都没有回来。她非常纳闷自己怎么会还有等老公的时候,但她确实在不知不觉中抓耳挠腮的等待着老公的归来。 “奇了怪了,人世间真是什么现象都有。” 兰姬自嘲的摇了摇头。那个酒囊饭袋即便呆在她身边,除了伸手要饭吃外其他一无是处。不管是何缘由,就为了那个不值一提的老公浪费大半天的脑细胞还真是冤枉。 她早就下了狠心,总有一天要和这个人来一场总清算。兰姬怎么也想不出往后的日子如何把他当做老公来信任和生活。 想想真的不可理喻,这样一个牛高马大的大汉子总是蜷着肩膀走路的样子让人感到很猥琐。而他掀起背心漏出黝黑的肚脐眼时,更是觉得讨厌和丢人。只要饭桌上有食物,不管好不好吃,他都能表现得狼吞虎咽,那模样好似几天没吃过东西的饿急了的野狼。更加气人的是,即便你怎么羞辱他,他都能从容不迫地一笑而过。平时无论你怎么催促他做事,人家就是慢条斯理混时间,你说气不气人。 老公总是那样的自行其是,怙恶不悛。 兰姬虽然对老公不抱任何希望,但此时此刻她还是憋着心里的委屈焦急的等待着那个不争气的男人。 兰姬家之所以能在这么繁华的地段开起超市,纯粹是走了狗屎运。 当时这条街正在重新翻修,地面都被挖开,两边的门市房前都搭起了脚手架。道路两侧的商家们都非常沮丧,大家争先恐后地对外出兑商铺。兰姬从着急出兑的店铺主人手中,用低于市面很多的价格盘下了这个店铺。她改变了原先的打算,决定不开小吃店,改开一家专门售卖韩国商品的超市。据她分析,肯穿过泥泞不堪的街路进来吃饭的人应该寥寥无几,相反很多不得不生活在这里的街坊邻居们可能会选择就近购买各种各样的生活必需品。 兰姬的判断没有落空。趁着大家仓皇关门大吉无心恋战的档口,兰姬反其道而行,24小时不间断的持续营业,结果生意却出乎意料的红火起来。两年后道路恢复往日的繁华时,她的超市已经熙来攘往,周围也没有可以与之竞争的对手了。 就是从那时起,房东便耍起了心眼。起初他耍无赖的强烈要求取消早前已经签订好的5年租赁合同,非要提高百分之二十的租金。兰姬据理力争未果后,向法院提起了履行合同诉讼。工作效率一向不尽如人意的法院工作人员,不耐烦的连连打着哈欠,让她先回家等待审理通知。之后便没有了下文。 此后房东变本加厉,气势更加凌人。房东打着要重新安装门闸的幌子,带着好几个人把店铺整整封了好几天。打了报警电话,一个相貌堂堂的警官带了个穿便服的跟班过来处理。他们瞧了一下合同书,又确认了双方的身份证,在现场来来回回随随便便拍了几张照片后离开,然后也没了音讯。 这下房东的气焰更加嚣张,在房东不间断的骚扰和恐吓之下,兰姬迫于无奈在写着即日起上涨百分之二十租金的新合同上签了字。 每当晚上脑海里浮现出那个无耻的房东满脸胜利微笑的模样,兰姬便会整宿的失眠。 她在大半夜莫名其妙的走下床,借着月色看那白纸黑字的合同,心里不免怀疑这次的一纸合约是否真的会具有法律约束力? 果不其然,房东真的另有别的算盘,城府极深的那个无赖房东铁了心要把兰姬从这里赶走。从那时起不知从哪里冒出来的地痞流氓隔三差五的进店里来闹事,同时各种执法人员也无缘无故地来来回回几十遍。 前天工商局的人又找上门来,窄小的店里一下涌进来五个人,他们连个招呼都不打就直接把货架上的商品翻了个底朝天。他们顺手拿起东西粗略扫过后不分青红皂白直接扔到地上。超市员工们吓得都缩到角落里,本来天生喜好热闹的顾客们这时哇呀围过来开始起哄。五人中,一个矮胖的秃顶男人最为跋扈,他脸上一幅顾盼自雄的样子,直接将东西砸在地上。 “你们这是干什么?” 兰姬回过神来,拼命挡在货架前,可此时超市已经被他们砸的一片狼藉。 “你们这是比黑社会更卑鄙的强盗行为, 我要告你们!” 秃头矮胖子听到这话扭过头来剜了兰姬一眼,倏地抬起脚,“喀嚓”一脚下去,正好踩到了一包辛拉面上,面团被踩后传来了震耳发聩的响声。 “告啊,你尽管去告。告诉你外国食品必须要有中文说明,这可是国家规定。小王,你过来给她家开罚单,马上没收这家的营业执照!” 工商局的人就像刚进来的时候一样又呼啦啦地扬长而去。 兰姬凭借第六感大体明白了这是怎么一回事,这是外来人经常会受到的遭遇。经验告诉她这种时候跟他们再怎么理论也无济于事,现在需要的是忍耐和冷静。 兰姬马上呼来了老公,她明明知道这种时候叫了他也不顶用,可脑海里能够想起来的人却只有那个百无一用的男人。 跟往常一样,兰姬快要崩溃时,老公这才双眼通红踉踉跄跄地走进来。 “没别的办法,只能花点钱了。” 听了兰姬的话后,老公脱口说了一句话后便倒头就睡。 之后老公磨蹭了两三天直到今天早上才从兰姬那里要了钱便出门去了。他说有一个朋友的亲家公认识跟工商局的人很要好的当地朋友,找那位当地朋友约出来工商局的人好好请一顿客应该就能解决问题。可老公拿着钱出去以后,整整一天音讯全无。 其实兰姬的棱角早已被磨平,脾气也没了。任人操纵惯了,也没觉得有什么不舒服,她早已过惯了人家说什么就做什么的生活模式了。不就拿钱买酒这档子事儿吗? 拿就是嘛,买就是啦,有什么大不了的。她就是不想看那些人的嘴脸才让老公去跟他们斡旋。 可老公到现在都还没回来。兰姬平生头一回给他那么多钱。以前曾有过几次塞给他些零钱让他出去办理小事,他一般都会拿去喝了酒。但是这回可不一样,不仅给的钱数多,而且还要解燃眉之急。 (这东西今天敢不回来试试。看我不把他的腿打断。) 兰姬气不打一处来。老公就算马上变成一抔黄土她也不会觉得可惜, 她是心疼那笔钱,老公要是用这些钱和他的那群狐朋狗友们喝酒的话那就完了。现在回想起来,这一年来几乎没有风平浪静的时候,收入更是微薄的可怜。 直到残冬日落时分,兰姬听到门“哐”的一下打开了。她背靠着门正在收拾东西,以为是老公回来了,她站在原地头也没回地大喊起来。 “你干嘛才回来?嗯?现在是你胡作非为的时期吗?哎哟, 我这是脑子进水了,还把你当成老公。” 没有回答。老公总是这种态度,不是说不过兰姬,而是压根就不想跟她说话。 “说话呀?连借口也不想找一个吗?”。 还是没有回声。兰姬有种不祥的预感,本能的转过身来。 进来的人并不是她的老公,而是个从未谋面的年轻人,身材矮小的他局促地站在门口,显得有些不自在。虽然形销骨立,但肌肉看起来很结实,尤其是他那眼神像猎犬一样锋利尖锐。他穿着脏兮兮的衣服,就像从哪里捡了别人扔掉的衣服一样上下不匀称,一眼就能看出在外漂泊了很久很久。他毫无血色的脸上露出疲惫和饥饿的神情。 兰姬无措的搓着双手,用不流畅的汉语支支吾吾地说。 “真是对不起...我还以为是孩子他爸回来了。” 来客欲言又止,他仿佛很不适应周围的环境,东张西望的模样显得有点可疑。相比眼前站着的兰姬,他好像对屋外更加提防。 “我饿急了,您能不能给我10块钱?” 半响小伙子才开了口,没想到说的竟是纯正的朝鲜语。他那双伸到兰姬面前的手干燥皲裂,沾满灰尘。 “原来您是朝鲜族呀。” 他可能是看到了超市窗子上的朝鲜语广告语所以走了进来。 兰姬顿时感同身受一般,心里很不是滋味。 “我很饿,求您施舍10块钱,让我充充饥。” 陌生人好像肚子太饿,顾不及回答她的问题,急匆匆地重复了之前的话。 “啊,瞧我这精神头。” 兰姬急急忙忙翻了翻口袋,看起来很假,掏了半天口袋里才夹出来一张二十元的纸币。小伙子来不及弯腰道谢,接起钱来就往外走。 “请稍等。” 不知怎的,兰姬觉得不能就这样就让他走了。她从来没有做慈善家的想法,她也没有那个钱和资格。兰姬也曾有过生活的很邋遢的时候,她深知贫穷附身时幸福就开溜的道理。她永远忘不了那个风雪交加的冬夜,为了躲避追债人,她们夫妇抱着还未断奶的孩子仓皇背井离乡时的场面。也正是因为人生的那一幕,她才会更加怨恨老公吧。 听到兰姬的叫声,小伙子猛然转过身来,他那锐利的眼神里闪射出警戒的光芒,不知不觉间,他已经握紧了拳头。看那反应和架势就知此人来路不同寻常。但很快小伙子缓过神来,把手放到头上踉跄了一下。兰姬赶忙上前一步搀扶了他。 “您还好吗?快进来。这大冷天的,在外面一定吃了不少苦吧。” 小伙子放弃了警觉,乖乖的跟了进来。兰姬把凳子摆在柜台前,让他坐下。随后,急忙跑到食品货架前拿了三袋辛拉面。辛拉面是最能快速果腹的食品, 忙时或过饭点时兰姬她们经常煮拉面简单对付一顿。 在煮面的那一会功夫,小伙子迅速的陷入了沉睡当中。当面已煮好,兰姬轻声叫醒他时,他就像受伤的猛虎一般,一跃而起,好像马上要掐断兰姬的脖子似的,凶神恶煞般的三角眼直瞪着她。不过下一秒他又无力的摊回了凳子上,可能是闻到了香喷喷的辛拉面味。 “面要凉了,您快吃吧。” 兰姬顿时胆战心惊了起来,她突然觉得这个人不只是肚子饿那么简单,这个狭小的躯壳里分明装着难以启齿的曲折故事,那些故事不是别人随随便便能触碰的。兰姬深深地感觉到没有必要再与这个人聊下去。 一眨眼的功夫,小伙子就吃完了三袋拉面。真切的让人感受到了什么是风卷残云,狼吞虎咽。 “真的太谢谢您了!” 小伙子好不容易挤出来一句话。他非常有礼貌地弯腰行了个大礼后走出门,脚步比之前轻盈了许多。 兰姬没有再挽留他,她意识到自己差点因为义气用事惹出大祸来。兰姬真的很讨厌自己每每在重要时刻毫无提防,只会无底线的同情和妥协。 (必须要变得硬一些!) 兰姬天天都在后悔中度日。要是早知道会是今天这种下场,她当初就应该狠狠地跟房东斗上一场。可惜事情已经发生,再后悔也没有用了。不仅如此,让人后悔的事还接二连三的发生。对待工商局的人也一样,他们把东西摔到地上的时候,她就应该狠狠的撒一顿泼。不是吗?没有中文标识就能随便把别人的东西扔到地上踩吗?难道不是应该走法律程序吗?可那时候为什么还要忍下来呢?实在无法理解倔强的自己怎么学会了放弃。不,可能是自己骨子里就深深的埋藏着顺应大势的基因。 其实那个秃头小矮子带人过来的时候,兰姬就已经隐约感觉到这不是例行检查,而是想要抓她的把柄。 明眼人一眼就能看出仗势欺人的秃头小矮子那番无耻的行径分明是在房东的指使下做出的,可即便知道那档子事,兰姬还能怎样? (难道真的只能任人宰割坐以待毙吗?) 不知不觉间大街上的路灯已经明亮,居民楼里的灯也一个接一个点开。虽然天还没黑下来,但也快到了吃晚饭的时间,路上的行人渐渐变得稀少,只有各种车辆繁忙地来回着。 看样子老公不是去陪工商局的人了,那肯定是在跟他那群狐朋狗友们鬼混了,老公是一个地地道道的说他胖他就喘的那种类型,根本拦都拦不住他。不管咋地,这样一直干等下去也不是个办法,应该在他花光钱百般耍赖之前把他逮回来。兰姬拿出手机刚要打电话给老公,超市的门忽的再一次被轻轻推开。 进来的不是别人,是那个刚走不到一个小时的小伙子,他焦黄的脸上仍然没有一丝表情,眼神里却透露出杀气来。 兰姬没有询问他再一次光临的缘由,小伙子倔强的眼神已经说明了一切,兰姬的心猛地一沉。刹那间,不知怎的小时候念过的东郭先生与狼的故事浮现在脑海里。兰姬本能的倒退了几步。 小伙子背靠着门直勾勾盯着兰姬,两个人面对面沉默了许久。 超市里的灯还没来得及打开,气氛显得更加沉重凝固。小伙子犹豫着把手伸入口袋又拿出来,好一会儿才轻声问: “我想去威海,但没有车费。您能借给我100块钱吗?” 兰姬没有马上回答,沉默了一会。即使大脑强烈的告诉她应该赶紧给他钱,把他打发走,但却觉得不能表现的过于急躁,那样会让对方认为兰姬在心虚。趁小伙子把手从口袋抽出来的空档,兰姬偷瞄了一眼,他的口袋里似乎有硬邦邦的东西。 收银台就在门口。而且钱就放在柜台的抽屉里。是小伙子一伸手就能触碰到的地方。 “钱在收银台的抽屉里,你自己拿吧。我得开灯收拾收拾东西。” 兰姬就像无事发生一样,轻松自如地走到墙边打开灯。灯一开,屋里瞬间亮了起来。兰姬也没想到自己居然能这么沉着冷静。 小伙子目光仍旧很迟疑。一动不动的站在原地目视着兰姬。 “我还有一事相求。说实话我连过夜的地方都没有,您能让我今晚在这里过一宿吗?” 兰姬哑口无言,她不知道该怎样对付这个请求。如果拒绝,她可能再也无法踏出这个房间。就算答应了,小伙子也不可能让她毫发无损的回家的吧。 那么只能跟他在超市里呆上一晚上,想想多么恐怖。该来的总会来的,是福不是祸,是祸躲不过。 二人再一次陷入了沉默。小伙子背靠着门像生根似的站着不动,兰姬也无法移动。兰姬清楚地知道此时任何一个没必要的细节都有可能招来杀身之祸。 “只一晚上就好。” “请问一下,为什么是这里?” “我在这个城市里一个认识的人都没有。” “所以帮过你的我就应该被宰吗?” 兰姬不知不觉中提高了嗓门。她在内心里再次质问自己,为什么要低声下气的苟且偷生?这个提问足以冲破兰姬细弱的身体,大到根本无法遏制内心的波澜。瞬间,兰姬怀疑自己是不是太歇斯底里了,来不及深思熟虑,话已经像喷泉一样脱口而出。 小伙子好像被这突如其来的一击惊呆了,木讷的站在门口,手放在后脑勺上,目光慢慢的变缓和了一些。小伙子边挠着头,边走到收银台前,但没有伸手去拿钱,锁着眉头沉思着什么。 这下给兰姬动身的机会,她很自然的把小伙子之前吃剩下的面汤拿到厕所倒掉,小伙子不做任何反应。一瞬间兰姬想到躲进厕所反锁上门,然后拨打110求救,估计这样做也未尝不可,小伙子砸门闯入的时间,足够警察赶过来救她。但是不知为何,兰姬还是放弃了报警,反而拿起扫把回到原先的地方若无其事的扫起地来。兰姬不想给小伙子一个被激怒的机会,危险再次来临的时候,躲到厕所也不迟。 “你看这样行吗?我给你200块钱,30到40块钱就可以找到不错的青年旅店。余下的钱去掉100元的去威海的车费还能剩下60多块,省点还可以吃上几天。” 兰姬握紧扫把,跟他搭话。她故意把钱数往少了说的,如果一开口就说要给很多的钱,反而被他看出她在害怕。当然也考虑到要防止他提出更过分的要求。小伙子仿佛犹豫不决,皱着眉头一声都不吭。 “如果执意要在这里过上一夜,你请便,那我就回家睡去。” 兰姬自己都不知道怎么会说出这种话来,小心过了头,不经意间还是说漏了嘴。 果不其然,小伙子像猛然回过神似的,从收银台前霍的站直了起来,眼神里再次出现了那可怕的杀气。兰姬本能的紧握住扫把,往后倒退了几步。小伙子也好像下定了决心似的离开收银台往前迈出一大步。兰姬心想,只要小伙子再往前走过来一步她就立刻掉转身跑进厕所里。 就在这时,超市门“哗”的一下再次被推开,失踪一整天的老公和三个朋友大声嚷嚷着走了进来。浓郁的酒味扑鼻而来。 小伙子被吓了一跳,急忙往一边闪过,敏捷地又把手揣进口袋里。 不知情况的老公摇摇晃晃的走到了二人中间。 “他是谁?” 小伙子用那寒冷的眼神目视着兰姬。 “是进来买东西的顾客。” 兰姬静静的回答。小伙子轻轻地吁了一口气,并坦然的从老公他们掀开的店门中溜走。 兰姬也不知道从哪里出来的勇气,一下窜到收银台旁,从抽屉里捻起一张100块钱追了出去。 一眨眼的功夫,小伙子已经走到了马路对面,慌慌张张的向前小步慢跑。刚才那沉着冷静从容不迫的样子消失的无影无踪, “喂,等一下。” 兰姬无所畏惧的穿过马路。小伙子回过头看见兰姬后面没有其他人,便停下脚步疑惑的等着兰姬。 “这是您刚才遗漏在店里的钱,请拿走吧。” 老公和他的那帮朋友们走出了超市大门聚在路边,呆呆的望向这边。兰姬没有理会他们,径直走到脸色发白的小伙子面前,把钱塞进了他的手中。小伙子微微颤抖,却也没有回绝。他只是用力的握住手中的钱,向兰姬重重地低头致谢,转身移步的小伙子喉咙中瞬间发出“呃”的一声低泣。那声音就像困兽哀鸣一样。 兰姬站在原地,直到小伙子彻底消失在她的视野里。 老公和他的朋友们还在迷惑不解的站在超市门外。 兰姬似乎多少猜到了老公晚归的原因。正所谓江山易改本性难移,兰姬现在已经不关心老公是否摆平了工商局的那些人。或许是解决了事情后回来跟她炫耀一下也说不定。要不就是喝酒花光了钱,带着朋友们过来防御。不管情况如何,已经不那么重要了。现在回想起来,打破头也弄不明白当初自己为什么那么执着于这些。看来相信别人或许是一件非常不靠谱的事情。 看那架势,老公和他的朋友们又想要彻夜喝酒了,那又怎样,想喝就让他喝吧,想吃就让他吃吧,这不就是他们活着的乐趣所在吗?满足他们,让他们自生自灭好了。往后的坎儿就让她兰姬自己兜着吧,有什么大不了的。这么一想心里倒也踏实了很多。 兰姬慢慢的走了回来,心想着跟地狱般的老公一起都熬过了大半辈子,人生还有什么过不去的坎呢!   2014年4月
129    낮달 댓글:  조회:495  추천:0  2019-11-29
시 낮달 장학규   간밤에 뭐하고 아닌 때 나돌가  하얗게 새운 검은 시간 파랗게 물들어간다   서슬 푸른 해빛에 옥토끼 도망 가고 광한루 사라졌어도 상아의 향기마저 감출 수는 없다   진동하는 사랑을 카텐으로 막으려니 어느새 한줌으로 달려와 내 품에 안긴다   잉태된 불덩이는 풀무가 필요 없다  
128    막차 댓글:  조회:505  추천:0  2019-11-29
단편소설   막   차 장학규     해가 많이 길어지기는 길어진가 보다. 7월 중순에 접어들면서 일곱시가 넘어가도 하늘은 서운한 듯 한가닥 밝은 빛을 렴치없이 그대로 드리우고 있었다.  그러나 정호는 날이 곧 어두워지리라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느끗한 듯 하면서도 미처 의식도 하지 못하는 사이 순식간에 까막나라로 들어가는 것은 이 계절만의 특수이기도 했다.  어쩌면 세상사도 이 계절만큼 치렬하면서도 끝맛이 통쾌했으면 좋겠다. 지나간 모든 것을 찰라에 까맣게 까먹을 수만 있다면 행복은 행복대로 즐거움은 즐거움대로 남모르는 어딘가에 남아 있을테고 고통이나 후회 같은 것은 아예 온데간데 형체도 없을 것이 아닌가. 보이지도 않고 만질 수도 없는 과거라는 이름의 물건에 얽매여 마치도 세계말일이나 다 된듯 껌뻑 죽었다 살아나면서 한바탕 홍역을 치르는 것은 정말로 사람이 할 노릇이 못되였다.  아직 한나절 달아오른 열기가 채 식지 않은 때이다. 거퍼 몇발작 걷지도 않았는데 온몸에 땀이 배이고 있었다. 정호는 어지러워오는 머리를 세차게 흔들고 휘청휘청 술취한 사람처럼 뻐스정류장으로 다가갔다.  그곳에는 벌써 적지 않은 사람들이 몰려서 있었다. 손에 든 싸구려 부채를 버럭버럭 소리내여 저으며 더위를 식히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슈퍼 랭장고에서 갓 사온듯 찬 물방울이 데롱데롱 매달린 생수병을 이마에 대고 있는 젊은이도 있었다. 어떤 남정네는 웃통을 드러내놓은채 부끄러움도 잊고 녀인들 사이를 이리저리 빠져나갔고 무시당하기 한창 좋은 얍삽한 무리들은 그늘이 언녕 사라진 가로수밑으로 한걸음 물러나 피서하는 흉내를 내고 있었다.  정호는 멍하니 거리 건너편 뻐스정류소를 바라본다. 저기서 29번 뻐스를 타면 첫 역이 은정이가 살고 있는 아파트단지 부근이다. 지금 이대로 달려가 은정이를 불러내고픈 충동이 사뭇 강렬하다. 도대체 왜 그러냐고 따져 묻고 싶다. 떠나지 않으면 안되냐고 구걸이라도 할가부다. 그러나 은정이는 정호의 전화를 받지 않을게 분명하다. 문자도 씹을게 틀림없다. 그렇다고 저대로 훌쩍 떠나버리도록 내버려둬야 한단 말인가.  눈앞에 미연이의 득의양양한 얼굴이 동영상처럼 떠올랐다. 종래로 보여주지 않던 모습이였다. 인혜의 표정은 이상야릇하다. 갈피를 잡지 못하게 아리숭한 것은 그녀만의 디자인이다. 승원이는 소태 씹은 형상이다. 도대체가 왜들 그러는지 모르겠다.  그사이 뻐스가 여러대 지나간 모양이다. 주변이 갑자기 조용한 느낌이 들어 둘러보니 정류소에는 그 많던 사람들이 모두 증발해버리고 자기 혼자만 달랑 남아있었다.  시계를 보니 이제 막차가 남아있었다. 이 역에서 타면 반대방향으로 달리기에 은정이네 아파트는 제일 마지막 역전이 되는 셈이다. 29번은 환선으로 한바퀴 달리는데 대략 한시간 정도가 걸린다.  막차가 달려왔을 때 정호는 조금도 주저없이 뻐스에 올랐다. 스스로도 어떤 절박함에 쫓기는 느낌이였다. 하긴 그럴만도 했다. 모레면 은정이는 한국으로 떠난다. 명색이 류학이라고는 하지만 사실은 정호를 마음속으로부터 밀어내기 위해 그런다는 걸 잘 알고 있었다.  그러나 뻐스에 오르자마자 정호는 난제에 부딪쳤다. 주머니를 발칵 뒤집어도 1원짜리 동전이나 지폐가 나오지 않았던 것이다.  정호는 돈관리를 제대로 할줄 모르는 편이다. 여유가 나지면 그때그때 다 술을 사먹는다. 그래서 종래로 지갑이란 것을 들고 다녀본 적이 없다. 원래 거기에 넣을 여유가 별로 없었지만 그거보다 뭐니뭐니해도 먼저 거추장스럽다. 몇푼 있으면 있는대로 바지주머니에 아무렇게나 구겨넣는다. 그게 훨씬 편하다. 그래서 동전은 거절이다. 주머니속에서 덜렁덜렁거리는 소리가 짜증나서이다. 1원짜리 지폐도 마찬가지이다. 가끔 그런 돈이 잔돈으로 나오면 그자리에서 기부함에 넣어버리거나 어떤 거리를 찾아 써버리고만다. 때문에 그의 주머니에는 1원짜리 돈이 들어있어본 적이 거의 없다.  정호가 난처해서 손을 비비고 있는 것을 곁눈질로 본 기사가 위챗페이로 지불 가능하다고 퉁겨준다.  (아, 그렇지.) 정호는 무안하여 저도모르게 차안을 돌아보았다. 다행히 승객은 네댓명밖에 되지 않았고 그나마 더위에 질렸는지 아니면 하루 일에 지쳤는지 누구라없이 활 열어젖힌 차창에 머리를 박고 지그시 눈을 감고 있었다.  정호도 창문이 열려있는 자리를 찾아 앉았다. 한여름인데도 에어컨이 없다. 기사 바로 머리 우로 선풍기 한대가 달랑 달려있을뿐이였다. 뻐스가 달리기 시작하자 선선한 바람이 얼굴을 스쳐지나갔다. 정호는 될수록 머리를 차창밖으로 많이 내놓으려고 애썼다. 그러다가 차가 주춤 역에 멈춰서면 살인적인 열기가 확 얼굴을 덮쳐 냉큼 차안으로 움츠러들군 했다.  그렇게 몇 역전을 달렸는지 알바 없다. 차츰 정호는 썰물과 밀물이 륜회하듯 하는 공기의 조화에 적응되여 바깥 풍경을 내다볼 마음의 여유가 생겼다.  도시의 밤은 폭염에도 움츠러들지 않았다. 네온등이 명멸하는 가운데 도처에서 스피커가 고아대고 있었고 음식점 식탁들이 가게밖으로 몰려나와 맥주판이 벌어지고 있었다.  느닷없이 정호의 눈에 “소주실크”라는 간판이 들어왔다. 전에는 본적이 없는 자그마한 옷가게였다. 마네킹에 불륨이 선명한 치파오를 입힌 그 가게를 보노라니 1년 전 소주에서 은정이와 만나던 일이 떠올랐다.  그날 정호는 패키지관광으로 소주 졸정원을 돌고 있는 중이였다. 바캉스의 계절이라고는 하나 관광따위에는 별로 관심이 없는 정호였다. 인혜만 아니였어도 이번 길을 나서지 않았을 것이다.  “요사이 짬내서 한번 왔다가. 긴히 할 말이 있어.” 인혜가 이런 전화를 걸어왔을 때 정호는 갸우뚱했었다.  “무슨 일이여? 전화로 하면 안돼?” “글쎄 전화로 될 수 있는 일이면 굳이 왔다 가라겠어?” “돈 없어. 시간은 가득 남아돌아도…” “그럴 줄 알았어. 항상 그랬지.” 인혜는 정호의 대학 동창이자 첫사랑이였다. 대학 4년간 줄창 붙어다니면서 매일이다싶이 투계처럼 치렬하게 싸웠었다. 정호는 인혜한테 완전히 오픈된 상황이였다. 정호가 코숨을 내쉬여도 왜서 그런다는 원인을 한시간 정도 쉽게 분석해낼 수 있는 사람이 인혜였다.  “인터넷을 통해 청도중국여행사에서 패키지상품을 예약했어. 첫코스가 소주이니 그때 만나서 얘기해.” 인혜의 말대로 하면 인혜도 항상 그랬다. 뭐나 일방통행식으로 결정해놓고 통보하면 그만이였다. 산만하고 자유분방한 정호를 언제나 자기 뜻에 맞는 어떤 프레임에 가두어두려고 무지 애썼었다.  정호는 이번까지 소주가 세번째 행이였다. 청도에 있는 대학을 졸업하고 인혜가 소주 삼성전자에 취직하자 짐을 들어다주느라고 따라왔었다. 둘은 힘든줄도 모르고 사흘동안 소주의 곳곳을 누볐다. 서로 까놓고 밝히지는 않았으나 두사람은 이번이 어쩌면 마지막으로 되는 데이트일지도 모른다는 핍박감에 시달렸었다.  당나라 시인 장계의 “풍교야박”으로 인해 유명해진 한산사와 춘추전국시대 오나라 왕 합려가 파묻혔다는 호구산도 그때 둘러보았다. 물론 중국4대명원에 속하는 졸정원에서는 벌려진 입을 다물지 못했었다. 일개인이 만든 정원이 감히 나라 임금의 후원과 어깨를 견줄 정도였으니 그 규모가 어마어마한 것은 말할나위도 없었다.  그로부터 2년 후 인혜가 결혼을 하면서 정호는 축하차 다시 소주를 찾았다. 인혜와 한회사에서 일하는 남편은 김장우라고 불렀는데 훤칠한 체격에 인물도 멀쑥했다. 정호는 결혼식 이틑날로 청도에 돌아오려고 했었으나 오래간만에 모인 동창들이 한사코 놔주지 않았다. 그래서 다시 졸정원을 찾았으나 웬일인지 그번에는 아무런 감흥도 느끼지 못했다.  그리고 이번이 세번째이다. 패키지라 별수 없이 팀을 따라 이동하다가 졸정원의 중부화원 견산루에서 그만 물가를 따라 세운 낮다란 돌란간에 주저앉아버렸다. 앞으로 가봤자 마냥 먼저번에 보아온 그대로일게 분명했다.  정호는 미지세계의 유혹이나 예측불가의 신비로움이란 것이 알고보면 허황한 것이란 것을 새삼스레 돈오했다. 사실 세상사란 종이 한장에 불과한 것이였다. 툭 뚫어놓고 들여다보면 세상은 거기서 거기요 별로 희한한 것도 아니였다. 몇년간 죽자살자했던 인혜가 덜렁 다른 남자의 품에 안기리라고 누가 생각이나 했겠는가? 그리고 그것이 현실로 다가왔는데도 정호는 아무렇지도 않게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생생하게 감지하고 있는 현재이다.  물속에서는 짙은 노란색을 띤 금붕어들이 하느작거리며 헤염치고 있었다. 가끔 한뺌 크기의 피라미나 송어들도 보였다. 물곬이 오불꼬불하고 깊숙한 걸 미루어보아 자칫 붕어나 또는 잉어도 있음직했다. 정호는 어렸을 적 시골 강가에서 반두로 송어를 건져내여 매운탕을 제법 맛있게 끓였었다. 여기서는 반두질은 무리겠으나 낚시 정도는 괜찮지 않을가싶다.  견산루 1층 바닥에 돗자리를 펴놓고 낚시대를 척 물에 드리우면 신선 부럽지 않을 거 같았다. 정호는 청도에서 매일 휩쓸려 다니는 친구들이 생각났다. 고기를 낚아채여 휴대용 가스레인지로 보글보글 매운탕을 끓인다면 시 쓴다고 너벌대는 홍철이넘은 완전히 미쳐날뛰지 않을가. 술깨면 자기도 기억하지 못하는 시라는 물건을 지벌지벌 씹어대겠지 아마. 친구보다 녀자를 더 좋아하는 영철이는 못하는 술 둬잔 먹이고 바로 2층으로 올려보내면 그만이다. 견산루 구조는 좀 특이하다. 1층에서 2층으로 바로 올라갈 수 없다. 계단 자체가 없다. 꼭 1층 옆구리에 붙은 산허리를 타고 빙 돌아서 올라가야 한다. 그 2층 입구에다 역시 주색잡이인 영남이를 파수꾼삼아 세워두면 다른 넘은 올라갈 궁리도 못할 터이다. 아무래도 둘이 피박나게 싸울지도 모른다.  태평천국때 충왕 리수성이 견산루에서 주로 사무를 보았던 리유가 바로 이곳이 요지경같고 은밀하고 방어가 쉽기 때문이 아니였던가. “저 혹시 청도에서 관광팀 따라 오신 분 아니세요?”   정호가 한창 백일몽에서 헤매는데 웬 녀자가 뒤에서 챙챙한 목소리로 물어왔다. 아직도 환각에서 완전히 깨여나지 못한채 돌아보는데 녀인이 반갑다는듯 다시 말을 이었다.  “아유, 맞네요. 우리 같은 팀이예요. 후, 이제 살았네요.” 20대 후반의 발랄하게 생긴 처녀였다. 목소리도 컸고 어투도 꺼리낌 없었다. 블랙 투피스 차림인 걸 보니 직업녀성같았다. 관광을 나서서도 유니폼을 입은 사람은 별로 없을듯 싶었으나 눈앞의 처녀는 오히려 그 옷이 퍽 어울렸다. 불륨이 선명했고 한결 정숙해보였다. 특히 주름 한점 보이지 않는 생생한 얼굴이였다. 정호는 저도모르게 주눅이 들었다. 그러고보니 정호는 어느덧 30대로 업되여있었다.  “팀에서 떨어졌지 뭐예요. 태평천국 어쩌구 해서 기념사진을 남기려고 2층으로 에돌아서 올라갔다가 내려오니 일행이 어디로 갔는지 알수 있어야 말이죠. 길도 모르겠고요. 저 오불꼬불한 다리가 귀신을 물에 빠지게 하기 위해서가 아니고 저를 물귀신 만들려고 준비한거 같았어요. 호호” 가이드가 뻥친 말을 그대로 고지식하게 믿는 푼수떼기였다. 정호도 이곳으로 들어올 때 거기까지는 들었었다. ㄱ자형으로 꺾어지게 다리를 만든 건 귀신은 곧은 걸음밖에 걸을줄 모르기 때문이라고 가이드가 말했었다. 사람을 해치려고 뒤를 따르던 귀신이 곧추 걸으면서 물에 빠져 죽는다는 어처구니없는 시나리오였다. 정호는 처녀가 귀엽다는 생각에 피씩 웃고말았다.  “홀로 남아서 여유작작하시는 걸 보니 이곳이 첫걸음이 아니네요. 우리 빨리 나가요. 일행이 떠나면 큰일이예요.” 처녀는 무람없이 정호의 팔짱을 꼈다. 팔뚝에 가슴이 뭉클하고 맞혀왔다. 반갑고 믿는다는 표현이였겠으나 정호는 오히려 요즘 애들은 참 당돌하다는 생각과 더불어 얼굴이 저절로 붉어왔다. 그러나 정작 당사자는 전혀 어색함을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그들이 동원(东园)을 거쳐 정문으로 빠져나오는데 저만치에서 인혜가 손을 흔들어보였다. 흰팔이 드러나고 속옷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캐미솔에 미니스커트를 받쳐입었고 발에는 조리샌들을 걸고 있었다. 결혼하더니 성숙미가 한결 돋보였고 나젊은 부인다운 기품도 엿보였다.  “이분은?”   그들앞으로 다가온 인혜가 적의에 가득찬 눈길로 그때까지도 정호의 팔짱을 어정쩡 끼고 있는 처녀를 바라보며 물었다.  바로 저 눈길이였다. 대학졸업 1년전부터 미연이를 보는 인혜의 눈길이 바로 저랬었다. 우연히 정호와 미연이가 한 회사에 실습을 가면서부터였다. 두 련인사이가 삐걱거린 것도 그 무렵부터였다. 그리고 인혜의 거침없는 저주의 화법도 날따라 레벨을 더해갔다.  “그 더러운 손을 제몸에 대지 말아요. 징그럽고 구역질나요.” 인혜는 전혀 컨트롤되지 않은 언어폭력을 사랑이라는 미사려구로 포장하면서 정호를 시도때도없이 공격해왔다. 사랑하는 사람을 만신창을 만들어놓고서도 기고만장해서 모든 잘못은 정호가 자신을 절제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했다. 물론 단짝이였던 미연이에게는 더욱 험악하게 굴었다. 결국 함께 청도에 남기로 했던 인혜가 난데없는 소주를 선택하면서 둘의 사랑은 사실상 금이 가버린 것이였다.  “갓 사귄 친구야.” 정호의 입에서 느닷없이 이런 대답이 흘러나갔다. 순간 정호는 스스로도 대견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리숭한 중국식 표현이 어떨 때는 정말 좋았다. “사귀다”는 말이 경우에 따라서 뉴앙스가 다르게 들린다. “친구”도 마찬가지였다. 그저 노는 친구가 있고 련애하는 친구가 또 따로 있다. 어떤 친구와 어떻게 사귀냐에 따라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이 서로 달리 해석이 되고 리해가 되는 법이다. 그런데 옆에 처녀가 더 당돌한데가 있었다.  “저 은정이라고 불러요. 이렇게 뵙게 되여 반갑습니다.” 또렷한 조선말이였다. 정호는 속으로 흠칫 놀랐지만 내색않고 가만히 잠자코 있었다.  “네, 반가워요. 참 예쁜 아가씨네요.” 인혜는 대범하게 은정이의 손을 잡고 둬번 흔든 후 정호를 돌아보면서 어꺠를 으쓱해보이며 미안하다는 제스처를 취했다.  “갑자기 중요한 바이어가 오게 되여서 회사에서 호출이 왔어. 오라 해놓고 내가 시간을 맞출 수 없어 죄송하다고 알리려고 나왔어. 얼굴 이렇게 봤으니 너무 실례는 아니겠지. 나중 다시봐.” 돌아서는 인혜의 뒤모습이 그렇게 처량할 수 없었다.  그런데 이틑날 팀을 따라 항주에서 령은사를 돌고 있는데 누군가 어깨를 툭 쳐왔다. 인혜였다. 어제와 달리 얼굴에 웃음이 찰랑찰랑 맺혀있었다.  “어떻게 왔어? 바이어는 어쩌구?” 놀라는 정호와 달리 인혜는 차분했다.  “제공처럼 날아왔지.” 령은사가 저 유명한 제공스님이 출가한 사찰이란 사실을 빗대고 하는 말이였다. 그러면서 슬그머니 정호의 옆에 따라붙는 은정이를 전혀 모르는 사람인듯 거들떠도 보지 않았다. 어제와 판이하게 도고한 태도였다. 뭔가 낌새를 챈 모양이였다. 어쩌면 멀리 청도에 있는 미연이에게 확인했을지도 모를 일이다. 인혜라면 충분히 그러고도 남을 사람이였다. 그러면 당연히 은정이란 형체가 바로 들통날 수밖에 없을 것이였다. 그리고 오늘 아침 자가용을 몰고 관광차 뒤를 바싹 뒤따라왔을 터이다. 보지 않아도 비디오였다. 그런데 미연이는 왜 아무런 말도 없을가? 애당초 정호가 강남으로 내려온다는 사실을 미연이는 모르고 있었다. 잔꾀가 많은 인혜가 빙 에둘러 미연이의 입을 털었을 가능성이 컸다. 미연이는 남한테 쉽게 당하는 캐릭터이다. 졸업을 일년 앞두고 뜻하지 않게 정호와 같은 회사에 실습을 가서 몇달간 함께 있었지만 사실 둘 사이는 어쩌다가라도 손 한번 잡아본 적이 없었다. 동창끼리는 가끔 어깨동무도 할법 했으나 미연이는 언제나 정호를 피하는 눈치였다. 딱친구인 인혜와 련애하는 사이라고 그러는지 항상 정호와 거리를 두고 지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습 문제로 인혜한테 날벼락을 맞은 미연이였다.  인혜가 소주로 떠난다는 소식이 퍼졌을 때 누구보다 얼굴에 화색을 띄운 사람이 미연이였다. 그날로 미연이는 결연히 청도에 잔류하기로 결정했다. 누구도 그 리유를 알수 없었다. 오래동안 미연이의 꽁무니를 쫓아다닌 승원이가 아무리 함께 광주로 내려가자고 구슬려도 미연이는 미동도 하지 않았다. 결국 승원이가 손을 들고 광주행을 포기하고 말았다. 그러나 웬일인지 대학을 졸업한지도 5,6년이 지났지만 그들 둘은 더이상 진전이 없었다.  은정이는 저녁때까지 내내 풀이 죽은 모습이였다. 심상치 않았다. 무슨 속상한 일이라도 있냐 물었지만 막무가내로 머리만 저어댔다. 그러나 인혜가 저녁을 별도로 사주겠다고 정호를 단체식사장에서 끌어내자 은정이도 주밋주밋 따라나섰다.  “우리 동창사이 긴히 할 말도 있고하니 오늘저녁 피해주면 안될가?” 정호가 인혜의 눈치를 살피며 민망해하자 은정이는 오히려 자기가 억울한 듯 눈물까지 글썽여보였다. “단체에 제가 아는 사람은 하나도 없어요. 이렇게 떠나버리면 저는 어떡하라구요. 가서 한마디도 삐치지 않고 입을 닥치고 있을테니 데리고 가주세요.” “괜찮아요. 같이 가요.” 인혜는 대수롭지 않다는듯 정호보다 앞질러 대답하고는 그들을 끌고 거리에 나와 택시를 잡았다.  “루외루” 조수석에 앉아 외마디 단창을 뽑고 눈을 지그시 감고 있는 인혜를 건너다보며 정호는 오리무중에 빠졌다. 한번 내려오라고 닥달해놓고 루외루에서 밥 한때 먹이려고 한건 아닐 것이다. 팀은 래일 상해를 거쳐 귀로에 오른다. 이야기를 나눌 시간은 오늘 저녁밖에 없다. 그런데도 인혜는 은정이를 그대로 끌고 나온 것이다.  항주는 처음이지만 루외루는 낯설지 않았다. 남송 시인 림승의 “산 너머 청산이요 루각 건너 루각이네”로 널리 알려진 루외루이다.  낮에 서호를 유람할 때 눈으로 현물을 확인하기도 했었다. 한때 임금의 행궁으로도 역할을 했던 고산에 우뚝 솟아있는 루각이다. 산밑에 자리 잡으면서 서호와 엇비슷 수평을 다투는 루외루는 기세도 기세려니와 풍류도 이만저만이 아닌 듯 싶었다. 그속에서 질탕하게 흘러나오는 노래가락이 유람선까지 은은하게 들려오고 있었다.  그때 정호는 대형 유람선보다 쪽배가 더 운치있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혼탁한 서호물이 향기 넘치는 막걸리로 보이는 건 정호뿐일가. 영남이는 아예 한입에 다 마셔버릴듯 풍덩 뛰여내릴터이지. 홍철이는 너울너울 춤을 출가? 판소리 한마당 펼칠 것이다. 영철이는 한달음에 서씨같은 미녀의 품에 쓰러지렷다. 어화둥둥, 소동파님 반갑나이다, 백락천님 인사 올립니다 쿵당쿵당쿵쿵당… 그렇지만 궁전같이 으리으리한 루외루에서 내다보는 서호는 더욱 선경에 다름 아니였다. 루외루가 호화로운 왕궁이라면 서호는 여유작작한 천궁이다. 금빛의 석양이 뒤덮힌 서호는 도처에 일엽편주로 알록달록 장식되여 있었다.  정호는 술을 얼마 들이켰는지 모른다. 요염한 인혜가 아양을 떨면서 부어주는대로 마셔버렸다. 은정이가 쑥스러운듯 숙녀처럼 가장하며 따르는 잔도 몽땅 비웠다. 그러다가 나중에는 서로 빼앗아 먹기 시작했다.  누가 먼저 취했는지는 모를 일이다. 정호가 뇨기가 동해 비칠거리며 화장실로 가니 입구에 은정이가 쪼크리고 앉아 얼굴을 무릎사이에 파묻고 있었다. 잠든 모양이라고 생각하며 어깨를 치며 부르는데 느닷없이 은정이가 벌떡 일어서면서 정호에게 안겨왔다. 피하면 그대로 땅바닥에 엎어질 기세여서 정호는 어쩔 수 없이 은정이를 받아안았다.  “키스해줘요.” 은정이가 빨갛게 립스틱을 바른 입술을 내밀었다. 정말이지 정호는 여직 그렇게 탐스러운 입술을 본 적이 없었다. 인혜는 섹시한 입술을 가졌고 미연이는 예쁜 입술을 가졌었다. 그러나 둘다 탐스럽다와는 어울리지 않았다. 그러나 은정이는 정말 앵두처럼 먹고싶다는 충동을 느낄 정도로 탐스러운 입술을 가지고 있었다. 몽롱한 의식속에서도 이러면 안된다는 자아와 정말 못 참겠다는 본능이 맞싸움을 벌이고 있었다. 그러나 결국 두 입술은 맞붙고 말았다. 걸탐스레 정호를 빨아들이는 은정이의 입에서 연신 신음소리가 줄이어지더니 불시에 정호의 손을 잡아 언녕 풀어진 가슴 속으로 집어넣어주었다. 앑다란 천 한쪼박에 감싸여진 가슴은 겉보기와 다르게 엄청 풍성했다.  “이만 하자. 여긴 아니여.” 지궂게 매달리는 은정이를 겨우 떼여놓고 자리에 돌아오니 인혜는 어디로 갔는지 보이지 않았다. 황급히 카운터로 내려가보니 인혜가 홀 경리인듯한 녀자와 오랜 친구인양 살갑게 인사하고 있었다. 이미 결산을 맞추었는지 그들이 문밖에 나서도 뒤쫓아나오는 사람이 없었다. 이 식당에 들어설 때는 먼저 련락을 받은 듯 한무리 사람들이 마중 나오고 자리를 안내하고 했었다. 먹고나니 배설물밖에 나올게 없어서 배웅도 하지 않나 그런 얼토당토않는 궁리를 하는데 저 앞서 나가던 인혜가 정말로 풀밭에 엉뎅이를 까고 앉는 것이였다.  “이…제부터 노…노상…방뇨하기다 ㅎㅎㅎ” 어디서 그런 용기가 났던지 정호도 꿰춤을 끌어내렸다.  “나간다 나간다 앞으로 나간다…” 그런데 한번 앉아버린 인혜가 다시 일어날념을 않는다. 가까이 다가가보니 어느새 잠들어있었다. 두둥실 떠오른 만월에 하얀 엉덩이가 눈부시게 반짝거렸다. 정호가 급히 은정이를 불렀다. “얘, 여기 와서 이 친구 좀 일으켜줘.” “싫어요. 나 그런 시다바리할 사람 아니거든요.” 정호는 울며 겨자먹기로 인혜의 치마를 올려 입히고 둘쳐 업었다. 4년간 련애를 했던 녀자라 쑥스러움같은 것은 없었다. 인혜가 다른 사람의 와이프가 되였을망정 두사람의 몸에 잦아든 흔적까지 없어질리 만무했다.  은정이는 택시로 호텔에 가는 내내 웬일인지 물티슈로 입술을 닦고 또 닦고 있었다.  그로부터 한달이 지난 어느날 느닷없이 은정이로부터 전화가 걸려왔다. 솔직히 관광팀이 해단될 때까지도 정호는 자기의 전화번호를 은정이에게 알려주지 않았었다.  “어떻게 내 남를 알았지?” “그건 알바 아니고요. 우리 이제 어떻게 할 셈이예요?” “무얼 어떻게 한단 말이야?” “그럼 우린 아무 사이도 아니였나요? 항주에서 있었던 일은 아무일도 아니였어요?” “우리 만나.” 두사람은 란카페점에서 조용히 만났다. 그 사이 은정이는 많이 야위여있었다. 은정이는 눈에 확 띄이는 미인은 아니였으나 어딘가 끌어당기는 무언가가 있었다. 그리고 생김새도 어느 구석이나 비례에 딱 맞게 붙어있었다. 인혜는 눈이 기막히게 요염했다. 눈길을 한번 부딪치면 절대 이동불가다. 미연이는 허리가 섹시하다. 그대로 감겨들것 같다. 하지만 은정이는 좋은 곳도 나쁜 곳도 가려낼 방법이 없다. 어디나 평범해보이면서도 또 모두가 남달리 특이했다. “제가 이렇게 연락하지 않았다면 계속 모른체 했을 거죠?” “글쎄 알은체 해야 할 일이 뭔가 말이야.” “그날 저도 많이 취했지만 어슴푸레 기억은 있어요. 우리 사이에 어떤 일이 있었잖아요.” “네가 내 손을 당겨갔어.” “그런 핑계는 말고요. 양심대로 말씀해줘요. 옷우로요 아니면 옷속으로요?” “그게 의미가 다른가? 형식에 따라 내용도 달라지는가.”   “그렇잖구요. 저에게는 엄청난 차이가 있걸랑요.” “시끄러. 사귀면 되잖아.” 은정이는 불시에 눈알이 데꾼해졌다. 그제야 보니 은정이의 눈도 인혜 못지 않게 매력이 있었다. 커다란 눈에 쌍거플을 떠이고 있었다. 특히 그 밑에 깊게 패이는 보조개는 사람을 취하게 하기에 충분했다.  정호와 은정이가 사귄다는 소문이 어느새 날개를 뻗쳐 친구바닥에 쫙 퍼졌다. 서른 넘은 덜먹총각이 마침내 외토리를 벗어나게 되였다면서 기뻐하는 사람이 많았다. 특히 승원이가 신바람이 나서 야단이였다. 사실 그들둘사이는 미연이가 가운데 끼여있어서 시종 껄끄러웠었다.  정호와 은정이는 가끔 친구들 모임에 초대되여 가서 커플 대접을 받기가 일쑤였다. 은정이의 얼굴에는 하루종일 웃음이 떠날새가 없었다. 물론 정호도 이제는 좀 안정된 생활을 해야겠다는 마음을 굳히고 있었다.  시답지 않게 대하는 사람도 없지 않았다. 우선 인혜였다. 멀리 소주에서 시끄러움도 마다하고 며칠에 한번씩 전화를 걸어오거나 위챗으로 문자를 보내왔다. 은정이 정체가 뭐냐? 전번에 왔을 때 보니 별로 임전한 녀자는 아니더라. 배운 바탕이 있냐? 경제적으로 여유있냐? 며느리를 차문하는 시엄마같았다.  그리고 또 한사람이 있었다. 미연이였다. 원래 말수가 적은 미연이는 아예 입을 다물어버렸다. 친구들 모임에도 나오지 않았다. 정호의 모든 것이 자신과는 하등의 상관도 없다는 듯 일체 련락을 끊고 잠수를 타버린 것이다.  그러건말건 정호와 은정이의 관계는 일사불란하게 진척되여갔다. 달포전에 정호는 은정이네 집을 방문하여 은정이 부모에게 인사를 올렸다. 정호쪽에는 량친이 모두 없는 터여서 은정이 부모의 허락만 받으면 혼사가 가능했다. 은정이 부모는 은정이 본인보다 더 좋아했다. 하루종일 벌려진 입을 다물지 못했다. 아마도 과년한 딸을 시집 보내는 게 급선무였던 모양인지 지금 당장 짐을 사들고 집으로 들어오라고 재촉했다. 그러나 정호는 점잖게 사절했다.  며칠후 정호는 회사 숙소에서 나와 은정이네 아파트가 비스듬히 보이는 단지에 집을 세맡았다. 둘이 살기에 무난한 두칸짜리 아파트였다. 집주인이 조선족이라 집안이 알뜰하게 거두어져 있었다. 벽지만 바꾸면 그대로 입주할 수 있었다.  정호가 은정이를 데리고 장식시장을 돌며 벽지를 고르고 있는데 몇달간 종무소식이던 미연이가 문뜩 전화를 걸어왔다. 지금 당장 만나야겠다는 것이였다. 정호는 은정이를 힐끔 건너다보았다. 은정이는 고도로 민감해진 듯 신경질적으로 내뱉었다.  “저도 함께 가요.” 검은 색 점퍼 스커트를 입고 나온 미연이는 여전히 그렇게 아름다웠으나 어딘가 모르게 구겨진 모습이였다. 높다란 회전의자에 앉아 데이불우의 맥주잔을 달락이던 미연이가 그들이 호프바에 들어서는 것을 보고도 일어서지 않고 그저 고개만 까닥였다.  “넌 잠간 빠지면 안되겠니?” 미연이가 찬 어조로 은정이에게 내뱉었다.  “언니…” “입 닥쳐!” 미연이가 히스테리적으로 소리 질렀다. 그바람에 정호는 초풍할 지경으로 놀랐다.  “둘이 아는 사이였어?” “좋아, 자리 안내줄거면 여기서 다 까발리자구.” 미연이가 다시 차분한 자세로 돌아왔다. 그녀는 립서비스인양 미리 준비한 대사를 한글자한글자 토박토박 내뱉었다.  “저 애 잘 알지. 승원이 회사에 사무직원이야. 너희들 항주 인연도 승원이가 감독한 거였지. 조연은 인혜이구.” “언니…” “나를 너한테서 떼놓으려고 승원이가 기획한 거야. 그런데 너희들이 정말로 맞붙었잖아. 물론 승원이는 당연히 한시름 덜었겠지. 그런데 인혜는 아니였어. 그저 테스트해본 것뿐인데 니 마인드가 그 정도로 지저분할 줄 누가 알았겠어. 후회막급이였을 거야. 너희들 갈라놓으려고 뒤에서 벼라별 짓거리를 다 했어. 아니면 은정이한테 물어봐. 너를 여자들을 돌아가면서 퍼먹는 물방아쯤으로 생각하는 파렴치한으로 묘사했을 거야. 너희들 결혼한다는 소식을 듣고 안달이 나서 지금 청도로 날아왔어.” “언니는 저주 받을 거야.” 은정이는 얼굴을 싸쥐고 호프바를 빠져나갔다.  잔잔한 음악이 흐르던 실내에 까닭없이 침묵이 흘렀다. 한낮이라 손님이 적은 원인도 있었지만 배려심 깊은 주인이 그들간의 심상찮은 분위기를 감안하여 슬그머니 음악을 꺼버린 것이였다.  “이제 와서 그걸 깨트리는 이유가 뭐야? 왜 꼭 이래야 하지?” 정호는 갑자기 남편 잃은 미망인처럼 거멓게 보이는 미연이를 넋잃고 바라보며 중얼거렸다.  “너가 장기쪽처럼 남들에 의해 이리저리 움직이는게 참 싫었다.” “그건 내가 원하는 거였을 수도 있다는 생각은 해본 적 없니? 내가 정말로 은정이를 좋아할 수 있잖아. 그렇다면 축복해줘야 하는게 아니야.” “그런 이유로 너의 불량을 위안받으려니 기대하지마.” 미연이의 온몸에 찬기운이 씽씽 감돌았다.  “그래, 니가 바라는대로 승원이한테로 돌아갈게. 어떤 것이 사랑이란 걸 생생하게 보여줄테다. 개념을 라면국물에 말아먹은 자식같으니라구.” 그후로 은정이도 자취를 감추어버렸다. 전화를 해도 받지를 않았고 문자를 보내도 회답이 없었다. 은정이는아마 많이 난처했을 듯 싶다, 승원이가 감독한 영화에 남주연을 꼬시기 위해 자청하여 녀주연으로 선뜻 나섰다는 사실이 미연이를 통해 남주연한테 알려졌으니 민망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사실 정호는 인혜가 진짜로 패키지 여행상품을 보내주리라 생각지 못했다. 아무리 승원이가 부탁했더라도, 그리고 정호 홀몸이 미안했더라도 그렇게 은정이와의 미팅을 만들어줄만큼  흉금 넓은 인혜가 아니였다. 인혜와는 몸을 섞으면서 치렬하게 사랑하고 닭처럼 지궂게도 싸우면서 살아와서 그녀가 눈 한번 굴려도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알수 있는 처지였다.  인혜가 결혼해서부터 둘 사이는 안부 인사외에 거의 연락을 하지 않았었다. 보고싶다는 생각이 사무칠 때가 많았지만 정작 할 말은 없었기 때문이였다.  그런데 인혜가 선뜻 패키지 여행상품을 보내준 것이다. 정호도 인혜가 자기를 잊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그만큼 그들은 깊게 사랑했었다.  소주 졸정원에서 정호와 은정이가 팔짱 끼고 나오는 장면을 보고 인혜가 눈썹이 꼿꼿이 살아나던 모습이 눈에 선하다. 조연이였던 인혜로서도 단 하루만에 살을 맞댈 지경으로 가까워진 그들이 쉽게 접수되지 않았던 모양이였다.  그렇다면 질투때문에 소주에서 항주까지 달려왔단 말인가. 그때까지 외롭게 홀로 사는 정호가 안스러워 나름 멋진 시나리오를 구상했으면 그대로 달리도록 내버려뒀어야 하는게 아닌가. 정호가 새로운 역전을 향해 달리도록 밀어줬어야 하지 않는가.  미연이도 그랬다. 정호의 마음이 자신한테 머물지 못한다는 것을 잘 알면서도 새차를 막차로 밀어붙힐 까닭이 뭐란 말인가. 처음부터 차가 떠나게 된다는 사실을 감지하고 있었으면서도 정호를 말리지도 않아놓고 기어코 사랑이란 미명으로 막차로 정거시킨 그 심보야말로 구역질이 났다.  그런데 그 구역질나는 미연이가 엊그제 뜻하지 않게 위챗문자를 보내와 은정이가 곧 한국으로 유학을 떠날 것이라고 알려온 것이다. 아무리 잘못을 구하고 만류해도 소용이 없었다면서 은정이를 붙잡아두지 않으면 정말로 막차는 떠난다고 경고삼아 부연했다.  물론 승원이의 부탁을 받고 전하는 것이라는 핑계를 댔었다. 그리고 승원이와 결혼하게 된다고 덧붙혀 통보했다.  “알았어.” 정호는 한마디만 대꾸했다. 그리고 긴 시간을 고민했다. 은정이와는 오래 사귄 것도 별로 없었는데 석별앞에서 살이 에이는 아픔이 있었다. 사랑은 시간이 문제가 아닌 거 같았다.  말려야 한다. 잡아야 한다. 막차의 뒤모습을 쳐다보는 바보가 되여서는 안된다.   정호는자기때문에 한국행을 택한 은정이를 오늘은 기어코 만나서 잡아야겠다고 마음 먹었다.  29번 뻐스는 점차 식어가는 더위를 뚫고 갑자기 속력을 내여 달리기 시작했다. 저 앞으로 은정이네 아파트가 륜관을 서서히 드러내고 있었다.  정호는 그 역에서 내리기로 마음을 다잡았다. 오늘은 무작정 은정이네 집으로 찾아들어갈 것이다.  그리고 은정이에게 사실은 자기가 승원이에게 감독을 위임했던 장본인이라고 고백할 생각이였다. 승원이네 회사를 들락거리면서 한눈에 은정이를 발견하고 특별히 부탁해서 각색한 시나리오라고 밝힐 것이다.                                      2018년 11월   
127    허강일 현상으로부터 보는 소비문학 댓글:  조회:484  추천:0  2019-11-29
  평론   허강일 현상으로부터 보는 소비문학   장학규         허강일의 경우   세상을 아주 수헐하게 살아가는 사람이 있다. 허강일이라는 이름의 사나이이다.  허강일이라면 적잖은 사람들이 머리를 갸우뚱할지도 모르겠다. 누구지? 듣도보도 못한 사람인데 뭐하는 사람이지? 그럴 가능성도 없지 않아 있다. 그러나 눈썰미 좋고 기억력 좋고 거기에 세심한 사람이라면 아 그 친구를 말하는구나 하고 머리를 끄덕거릴 것이다.    허강일은 1964년 11월 길림성 화룡시에서 3남1녀 중 세째로 태여났다. 연변대학 조문학부 자비반을 졸업하고 화룡시 로과진 공청단서기로부터 시작해 두루 연길시조선족구연예술단, 연변인민방송국, 연변일보 등 직장을 전전하다가 현재는 연변일보 청도주재기자로 일하고 있다.     허강일은 어려운 년대에 힘들게 살았던 것은 틀림 없었으나 그래도 유복하게 세째로 태여나 아궁이 불도 몇번 지펴보지 못했을 정도로 고생이란 걸 모르고 살아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던 그가 어느날부터 앞치마를 두르고 주방에서 서성거리기 시작했다. 기름, 간장, 소금부터 하나하나 터득하면서 료리에 재미를 붙이던 그는 가족식구들의 칭찬을 등에 업으면서 제법 그럴 듯한 료리를 해내기 시작했다. 이제는 한다 하는 주부들도 두손두발을 다 든다. 그가 만든 초두부와 고추순대, 구운 계란은 주변 친구들한테서 대단한 인기를 끌고 있는 브랜드 료리이다.    솔직히 허강일은 배움에 엄청 게으른 사람이다. 아니, 배움에 게으르다기보다는 선생을 따로 모셔서 배우려고 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뭐나 저절로 터득하는 타입이다.  무사자통(无师自通), 바로 그 말이다.    허강일이네 집에 가보면 벽에 서예작품들이 걸려있는 것을 보게 된다. 명가의 작품이 아니라 그 자신이 쓴 것들이다. 얼핏 보기에 그럴 듯 하다. 자세히 봐도 대개 무난하다. 그러나 정작 그 붓글 쓰는 자세를 보게 되면 정말 감긴 눈도 더 감겠다고 할 지경이다. 일단 붓을 빗자루 잡는 자세로 틀어쥔다. 그건 서예 기본도 모르고 있다는 말이다. 고급 선지도 없고 정품 벼루도 갖추지 못했다. 무턱대고 먹통에 싸구려 먹을 쏟아놓고 그 투박한 손으로 글이랍시고 휘갈겨 쓴다. 그런데 희한하게도 문외한들의 눈에는 그럭저럭 글 같아 보이는 작품이 탄생한다.    허강일이는 또 괜찮은 탁구 실력을 자랑한다. 평소에 일에 쫓겨 탁구장에 다니지도 못하지만 시합만 붙으면 결코 만만한 상대가 아니다. 멋진 스매시를 날린 후 상대를 약 올리려고 뒤짐 지고 운동장을 한바퀴 돌며 으시대는 모습은 허강일만의 캐릭터이기도 하다.    악기도 역시 마찬가지이다. 새장구든 전자풍금이든 피리든 손에 잡기만 하면 곡을 맞춘다. 프로들 보기엔 어떨란지 모르겠지만 한량들 소일거리에는 든든히 한몫 막는다. 그렇게 세상을 모르고 흥에 겨워 두드리고 불어댈 때면 풍류가 따로 없어보인다.  허강일은 청도 바닥에서 한다하는 사회자로 통한다. 얼음에 박밀 듯 구수한 입담에 아마츄어 가수로서는 넘쳐나는 노래 실력을 발휘할 때면 행사장 여기저기서 감탄의 목소리가 들린다. 한때 연변방송국 MC를 력임하면서 사회하는 법도는 어느만큼 터득했을법도 하겠으나 노래는 정말 누구한테 배운 적 없는 순수한 자기 것이라고 뽐낼 때면 그저 기가 질린다.     허강일은 대강 이런 사람이다. 많은 경우 정규 훈련을 거치지 못한 “유격대” 스타일이다. 그를 마주하고 보면 도대체 이 사람이 모르는게 무엇일가 궁금해진다.  그렇게 허강일은 다재이다. 흔히들 다재는 무재라고 말한다. 일반적인 경우 진리에 가까운 맞는 말이다. 그런데 그 “다재”를 문학이라는 특수한 범주에 대입해보면 참말로 다행한 일이 아니라고 할 수 없다. 문학에서는 다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허강일은 문학에서도 일상생활을 영위할 때처럼 여기저기 다 기웃거리고 이거저거 모두 건드려본다. 스스로도 인물의 성격이요, 시대특성이요, 전형화요 형상화요 따위를 하나도 모른다고 공공연히 선언한다. 문학작품의 유일한 진리는 재미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물론 우아하지도 점잖지도 못해서 자기 작품은 절대로 상을 탈 수 없다고 “뽐”내기도 한다. 재미로 쉽게 하는 문학, 이제 허강일의 문학세계에 들어가보도록 하자.    소품의 경우   허강일은 소품으로 세상에 두각을 나타냈다. 그는 연변의 설맞이 야회에 소품을 가장 많이 출품한 작가로 알려져 있다. 텔레비죤이 희귀했던 시절에 산재지구에서까지 그의 작품이 회자되였던 걸 미루어보면 이 방면에 대단한 소질이 있었던게 분명하다.    허강일의 첫 소품작품은 그가 만 22세가 되던 1986년에 발표한 “깨여진 사랑의 꿈”이다. 당시 화룡시농촌경연대회 참가 작품으로 창작된 이 작품에서는 말더듬이 총각이 공원에서 미모의 처녀에게 사랑 고백을 했다가 퇴짜 맞는 사건을 쓰고 있다. 작자 자신이 감독과 배역까지 겸하면서 자그마한 센세이숀을 불러일으켰고 화룡시예술단에 의해 전국순회무대에도 올랐었다.    특히 강조해야 할 것은 이 작품이 “떼떼”라는 조선산 인물이 중국에 정착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을 받는 것이다. 당시는 조선텔레비죤을 많이 시청하던 때라 조선의 풍자극에 “떼떼”라는 인물이 자주 등장했다. 허강일은 이 작품에서 그 인물을 모방하여 말을 더듬는 청년의 사랑이야기를 엮어서 성공을 거둔 것이다.  이어 두번째로 선보인 소품 “기자가 오던 날”은 소품계에서 허강일의 립지를 굳힌 작품이였다.  이 작품의 경개는 간단하다. 기자가 마을 치보주임의 선진사적을 취재하러 왔다가 우연히 치보주임의 안해와 조우하면서 숱한 웃음거리를 만들어내다가 나중에 치보주임의 열다섯살날 딸애가 난산으로 생명이 경각을 다투게 된다는 웃지도 울지도 못할 결말로 막을 내린다.  이 작품 역시 작자가 감독과 배역을 겸하여 화룡시문예경연대회를 들썽케했고 화룡시예술단과 연길시구연단에서는 전국순회공연 절목으로 올렸으며 연변인민방송국에 의해 록음테프에 수록되기도 했다. 더불어 국경 40돐맞이 연변주구연콩클에서 창작 1등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따안았다.  이로 인해 허강일은 20대의 나이에 연변희극계와 구연계의 주목을 받게 되였으며 연변일보, 길림신문, 텔레비죤신문 등에 보도되기도 했다.    물론 허강일 하면 1991년에 창작한 “돼지약”을 빼놓을 수 없다. 전국성적인 명성을 얻은 이 작품으로 하여 허강일은 ‘성해컵’전주전업예술단체소품콩클에서 대상을 수상한데 이어 ‘신력보컵’ 연변티비소품콩클에서도 대상을 거머쥐면서 그해의 쌍관왕이 되였다.    이 소품도 이야기 줄거리는 간단하다. 거리에서 돼지고기를 파는 박철호 총각에게 동네 아주머니가 손에 “돼지회충약”을 들고 황급히 찾아온다. 집에 돼지가 이틀째 똥물을 쏜다면서 이 약이 똥물 치료약이 맞냐고 문의하는 것이다. 민병련장까지 했던 박철호라 의례 박학다식할 줄로 믿은 것이다. 그런데 한자라고는 전혀 모르는 박철호는 체면에 모른다고 할 수 없어 “돼지 똥물싸개 물약”이 맞다고 능청을 떤다. 결국 돼지회충약을 통채로 먹은 아주머니네 돼지는 곧 죽게 되고 박철호는 톡톡히 망신하게 된다.  상기 작품들을 보면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는바 스토리가 간단하고 큰 기복이 없다. 주로 위트 있는 대화를 통해 웃음을 자아내고 그 웃음에서 어떤 계발을 받게 유도하는 것이다.    “말먹쟁이라도 돈이 어찌나 많은지 코를 풀어도 10원짜리 돈으로 푼다야.” (“깨여진 사랑의 꿈”에서) “헌법은 낡은 법을 헌법이라고 합니다” (“기자가 오던 날”에서) “형들이 동생을 마음대로 때리지 못하게 하기 위해 만든 것이 형법입니다” (“기자가 오던 날”에서) “우리 딸이 열다섯살 때부터 남자친구와 같이 련애를 해도 혼인법의 위대한 가치를 높이 들고 가만 둬두는데…” (“기자가 오던 날”에서) “돼지란 천생적으로 태시없는 짐승이라 제가 먹고 싶어 하는 대로 먹이라.” (“돼지약”에서) “산속의 호랑이는 어째서 산 속의 약한 짐승들을 하루에 다 잡아먹지 않는가? 돼지란 넘도 이 한병사리 다 줘도 자기가 먹을 만큼 알아서 먹는다.” (“돼지약”에서)   장소 변경이 안되고 시간과 인물 수가 제한을 받는 소품의 특징상 대화가 사건 전개의 매개물인 것은 틀림 없다. 허강일은 이 점에서 타고난 재능을 가졌다고 말할 수 있다.    현재까지 허강일은 장막 연극 2부와 100여편의 소품을 창작했으며 2000년에 연변티비 20세기연변소품력사총결산에서 소품창작대상을, 길림성 희곡소품 2인전 콩클에서 대상을 수상하는 등 많은 영예를 따안았다.    그런데 여기에 하나의 문제가 있다. 소품을 문학으로 볼 수 있느냐 하는 문제이다. 혹자는 소품은 무대예술로서 문학으로 대우하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하긴 일리가 없는 말은 아니다. 문학은 언어를 유일 재료로 하는 예술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허강일의 문학세계를 해부한다면서 우선 먼저 “소품의 경우”부터 언급하게 되는 리유는 뒤에 나오는 허강일의 모든 창작 종류나 스찔이나 방법들이 그의 소품과 너무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어서이다. 어쩌면 소품에서의 경험과 성공이 없었다면 허강일의 문학창작은 불가능했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물론 필자는 개인적으로 소품도 문학의 범주에 넣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적어도 무대에서 극으로 재생되기 전에 언어로 창작된 그 부분은 문학으로 쳐주어야 하지 않을가 하는 생각이다.  사실 중국문학사에서는 그렇게 해왔다. 곽말약의 력사극과 조우의 희곡 등이 당당히 문학사에 올라있다. “백모녀”는 더욱 경전으로 알려져 있다.    소설의 경우   아이러니하게도 허강일의 첫 소설작품은 장편소설이다. “장백산”잡지 2014년 제4호부터 련재로 발표된 장편소설 “어둠의 장막”이 그것이다.  허강일은 평소 환담을 할 때면 자신은 글쓰기를 소설로부터 시작했다고 자주 말한다. 아무리 쓰고 써도 발표가 되지 않아 소품으로 전향했다고 우스개소리를 하기도 한다. 아마 그런 남모르는 노하우가 있었기에 첫 발표작을 아름차게 장편으로 장식하지 않았을가 하는 생각이 든다.    허강일이 “어둠의 장막”을 쓰게 된 동기에는 재미있는 에피소드가 있다. 어느 한번은 동생벌되는 친구가 찾아와 위챗에 련재할 글을 써달라고 부탁했다. 노이즈마케팅을 잘만 하면 괜찮은 사업이 될 것이라는 말에 시작했다. 그런데 1만자 정도 썼을 때 동생이 맥빠진 소리로 사업은 가망이 없을 거 같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이미 쓰기 시작한 글을 멈추기 아까워 구상대로 계속 써내려갔다. 한달반만에 10만자 이상 부지런히 내려쓰면서 초학자 시절에 퇴고 맞던 기억이 되살아나면서 이걸 누가 내줄가 걱정도 많았다. 다행스럽게 주변 문우들이 돌려보고서 재미가 있다는 평판을 해주어 용기를 얻고 마무리 지어서 투고한 것이 덜컥 련재로 발표된 것이다.     이 소설은 개혁개방의 선두도시 청도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조선족 만도와 미나, 그리고 한국인 민호의 사랑이야기를 줄거리로 하고 있다. 슈제트의 기교나 인물형상의 다채로움보다는 약세군체들이 주류사회에서 생존해나가는 실태를 핍진하게 그리고 있어 시사하는 바가 크다.    만도는 혼자서 10여 명 깡패를 상대할 만큼 주먹세계에서 한다하는 사람이지만 돈을 앞세우는 민호와 암흑세력을 달고 다니는 공안국 왕부국장과 장소장의 간계에 빠져 감옥에 들어가고 미나를 민호한테 빼앗기고만다. 소설은 만도가 출소한 후 복수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지만 개인영웅주의보다 경찰 출신의 의형제 종수와 그 종수의 동창생 왕형사라는 매개물을 통해 정의를 실현한다는 쪽에 무게를 더하고 있다. 작자가 현실에 너무 집념한 나머지 사회악에 대한 일반 리해에 멈췄지 않았나 하는 아쉬움도 없진 않지만 우리문단에서 쉽지 않게 깡패세계를 다루었다는 점과 조선족의 연해진출 과정이 그토록 치렬했다는 력사를 까밝혔다는데서 높은 점수를 주게 된다.  그러나 본 평론에서는 내용에 대한 해부를 더 깊게 할 생각이 없다. 어차피 문학사적의의를 다루려는 것이 아닌 만큼 적당한 언급에 그치는 것이 맞을 것이다.    평자의 앵글은 언녕부터 소비문학으로서의 허강일 소설의 경우는 어떤 특징을 나타내고 있냐에 맞추어져 있다.    우선은 간결성이다. 전반 작품에는 복잡한 인물 설정이 없다. 심리묘사도 거의 없고 감정선도 간단하며 성격 부각도 결여되여 있다. 또 단락을 살펴보면 거의 한마디가 그대로 한단락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두마디 이상의 단락을 찾아보기 어려울 지경이다. 그리고 스토리도 복선이 없고 쭉 단선으로 진행된다.    다음은 대량적인 대화의 사용이다. 이 점에서 소품의 영향이 퍽 진하게 묻어난다. 대화로 사건을 전개하는 소품을 쓰던 습관을 소설에 옮겨와 인물형상 창조에 활용하는 것은 물론 슈제트 역시 대화로 풀어나가는 경우가 허다하다.    세번째는 소품 형식을 액면대로 차용한 경우이다. 장소가 변경될 때마다 첫머리에 “xx식당”, “xx노래방”  이렇게 이야기 전개 마당을 명찰 달 듯 밝혀놓고서야 이야기를 이어간다.    끝으로 렵기성을 들 수 있다. 허강일은 신기하고 자극적이고 희소성인 것에 집념하는 모양새다. 그것을 듣기 좋게 “읽을 재미”라고 발뺌한다. 그런 거라야 독자들이 흥취를 가지고 들여다본다는 억지와 같은 주장이다.    두번째 발표작인 중편추리소설 “흉수는 바로 그놈이였다”도 “어둠의 장막”처럼 비슷한 프레임으로 짜여져 있다. 작자 스스로는 중국 조선족의 첫 추리소설이노라고 강조하지만 솔직히 거기에 의미를 두기보다 지루했던 시간을 손쉽게 보낼 수 있다는 안도 같은 게 더 좋았지 않았나 싶다. 복잡한 언어구조를 머리 써가면서 파악하기에 앞서 쉽게 이야기 속에 몰입하여 주인공과 함께 움직일 수 있는게 무엇보다 중요했던게 틀림없다.  중편소설 “향에는 점심때가 없다”에서는 소품의 풍자와 희극성 수법이 고도로 발휘된 작품이다.  허강일은 이외에도 투고 상태로 있는 미발표 장편소설 2부가 더 있다. 한편은 사전에 미리 흔상했던 고로 아무런 꺼리낌도 없이 “소설의 경우”에 예속시켰다. 물론 아직까지 보지 않은 나머지 한편의 장편도 여기서 별로 멀리 떨어져 있지는 않으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시가의 경우   굳이 “시가”라고 지적한 것은 허강일은 시 창작과 동시에 가사 창작에도 매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사를 문학으로 판단 가능하냐는 문제는 “소품의 경우”와 같다고 보면 된다.  허강일은 시창작에서 많이 즉흥적이다. 화장실에 앉아서 용변을 보면서 시 한수를 만들어낸다. 그래서 “변소칸 시인”이란 별호가 붙기도 했다. 어머니날에는 부모를 쓰고 스승의 날에는 은사를 찬미한다. 그리고 무엇이나 눈에 들어오면 곧바로 시화한다.   누가 여성을/꽃이라고 부릅니까// 드라마를 한시간 보고도/ 세시간을 말 할 수 있고// 만나서/ 세시간 말하고도/ 전화로 또/ 통화하자는/ 막중한 분들입니다// 침대머리에서/ 역사를 바꿀 수 있는/ 마력을 갖고 있는 분들을/ 누가/ 백일도 못 피는/ 꽃이라고 합니까// 얌전하게 다가와/ 최고의 결책자로/ 자동적으로 탈변하는/ 거룩한 분들을/ 누가 감히/ 꽃이라고 부름니까// 여성은 함부로/ 거론할 존재가 아닙니다// 역사이고/ 지구이고/ 우주이며// 더욱/ 중요한 건/ 자식을 낳은/ 위대한 엄마입니다// (“누가 녀성을 꽃이라고 부릅니까?” 전문)   운률은 있을지 몰라도 의인법이나 비유, 과장, 류사한 속성의 매칭 같은 시적 언어 수단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서정이 부족하다는 지적인 듯 싶지만 사실 이 시를 읽다 보면 저도모르게 끌려들어가는 것을 느끼게 된다. 그 매력이 어디에 있냐도 딱히 찍어 말하기 어렵다. 그저 마실하 듯 하는 언어조합인데도 묘하게 흡인되는 것은 독자들 모두가 공감하는 생활의 진실이 부각되였기 때문이 아닐가 짐작해본다.  시 “고향”을 보면 더 직관적으로 맞혀오는 느낌이 있을 것이다.    아름답다/ 안보면// 슬프다/ 가보면// 그립다/ 언제나//   3련6행, 평시조보다도 작은 시이다. 어쩌면 요즘 온라인을 달구는 “디카시”와 비슷해보인다. 여전히 기술함량은 별로 함유되여 있지도 않다. 그런데도 가슴은 싸해난다. 직관적이기는 해도 시적 역할을 수행했다고 말하면 궤변이 될가? 이런 류형의 시들은 제목만 봐도 일목료연하다. “한복을 입었습니다”, “스승의 날, 스승 옆엔 내가 없었다”, “취한 날 인생을 배운다”, “강냉이를 보면”, “고독하면 차잔을 들어라” 등등이다.  물론 가끔 가다 대세나 조류에 합류되는 듯한 시들도 볼 수 있다. 이를테면 “꽃은 웃은 적 없습니다”가 그것이다.    꽃은/ 웃은 적 없습니다// 바람에 속아/ 가슴을 벌리고/ 춤을 추었을 뿐입니다// 꽃은/ 웃은 적 없습니다// 줄기에서/ 쪼개져/ 갸냘프게/ 태여나// 오래도록/ 간직되고 싶어/ 이쁜 모습/ 보였을  뿐입니다// 꽃의 웃음소리/ 들어도 못보고/ 꽃이 웃었다고/ 맘대로 말합니다// 이쁘다는 리유로/ 좋은 말/ 맘대로 가져다/ 찬미합니다// 열매도 못보고/ 사라질/ 기막힌 운명인 것을 알면서도/ 활짝 웃었다고/ 말합니다// 꽃은 웃은 적 없습니다// 피여서/ 피여서/ 피여서// 시한부 생명을/ 살다/ 간/ 운명일 뿐입니다.//    “꽃”을 사람에 비견해 “웃는다”로 형용하면서도 실은 “열매도 못보고” “사라질” 운영이기에 “오래도록 간직되고 싶어” “이쁜 모습”을 보였을 뿐이라는 시적 화자의 능청스러움이 엿보여 슬그머니 미소가 떠오르기도 한다.  허강일은 가사 창작에서도 괜찮은 실적을 올리고 있다. 그가 쓴 가사에 곡이 붙어서 연변인민방송국에서 매주일가로 방송된 노래도 여러 수가 된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해변의 아리랑”이다.   밀려오는 파도에 한몸을 싣고 저 멀리 정처없이 가고 싶다오 구름 따라 흘러가면 내고향 보일가 갈매기 울음소리 구슬피 들리네 아~ 아리랑 해변의 아리랑 목메게 불러보는 해변의 아리랑   막내아들 손잡고 백사장 따라 저 멀리 정처없이 가고 싶다오 이 길 따라 걸어가면 두만강 보일가 백사장 모래우에 망향가 적어보네 아~ 아리랑 해변의 아리랑 목메게 불러보는 해변의 아리랑   고향을 멀리 떠나 연해지역에 자리잡은 나그네의 망향가라고나 할가. 가사이니만큼 글자수를 맞추고 격식을 갖춘 고루함도 엿보이나 누구나 가슴 언저리에 파묻은 말을 직설적으로 피력했다는 데서 공감을 자아내는데는 충분했다는 평가이다.  이 노래는 연변라디오와 연변티비에서 매주일가로 방송했고 설맞이야회에도 올랐으며 노래방 가사 목록에도 올라있다.      시나리오의 경우   허강일은 “문인은 가난하다”는 명제에 항상 억울해하고 불복하는 사람이다. 그래서 문인은 스스로 그 난처하고 난감한 궁지에서 벗어날 방식과 방법을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언제는 중국 주류문단으로 진출하는 것이 하나의 지름길일 것이라면서 청도 주재 조선족교수들을 묶어 자신의 소설을 번역한다고 납뜨더니 후에는 조선과 한국이란 모국에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고 설파하기도 했다. 한마디로 작가가 못산다는 소리를 들어서는 안되며 예전에 문인은 서발 막대기를 휘둘러도 거칠게 없었다는 얘기를 들은 것은 모두 자신들이 못났기 때문이였다는 견해였다.  요즘 허강일은 또 하나의 루트를 발견한 모양새다. 이를테면 영화나 드라마 쪽으로 줄을 대야 한다는 야망이 생긴 것이다.    따져보면 허강일이 이런 생각을 가지게 된데는 원인이 있다. 그의 장편소설과 추리소설이 발표된 후 그것을 드라마로 각색하겠다고 나선 제작사가 있었다. 아직도 검토중이기는 하나 허강일한테는 큰 힘이 된 것이 틀림없었다.    원래 즉흥적이고 무슨 일이나 준비 없이 시작을 하는 허강일은 아예 내가 시나리오를 직접 쓰면 더 좋지 않냐 하는 생각이 들었던 모양이다. 쉽게 생각하는 만큼 쉽게 접어드는 허강일이다. 그래서 요즘 미니 드라마 극본을 하나 창작했다. 물론 제작사의 요청이 전제되여 만든 것이라고는 하지만 출구전략을 고민하는 허강일의 탐색전 겸 시도라고 보아도 무난하다.    시나리오는 소품과 통하는 부분이 많다. 물론 소품의 언어는 대부분 대화이지만 시나리오는 장소와 행동거지 그리고 환경묘사 같은 것이 가첨되고, 또 소품은 하나의 공간에서 진행되지만 시나리오는 시간과 공간이 수시로 변경된다는 차이점은 있다. 그러나 대사가 차지하는 비례와 박스식의 프레임에서는 거의 구별이 없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황금단지”란 제하의 이 시니리오의 등장인물 분석만 봐도 대강 이야기 줄거리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등장인물:  김만복: 허풍쟁이, 황금단지를 발견한 사람, 고추자의 남편, 다단계에 말려들어 빚을 가득 걸머진 사람.  진동팔: 다단계 주모자, 새로운 돈벌이 항목에 미쳐 돌아가는 말 박사. 강수복: 리혼녀,  다단계 피해를 봤던 녀자, 쉽사리 허풍에 넘어가는 숙맥. 최룡국: 총각, 지식은 좀 있으나, 귀구멍이 너른 사람. 온라인판매에 대해 대충 아는 사람, 형세는 잘 아는 것 같지만 아무 것도 모르는 사람.   최로인: 춤꾼. 최룡국의 아버지, 수복의 로모 분녀와 황혼련을 꿈꾸는 관계. 방분녀: 최로인의 무용 파트너. 수복의 로모, 딸이 새 가정을 이루면 출가하려는 늙은 소녀.  김진호: 실사구시적인 상공인, 작은 가게를 차려놓고 열심히 사는 사람.   신지애: 조금은 들뜬 녀인,  김만복이가 추구했던 녀자, 새로운 것을 쉽게 접수. 오서기: 진에서 파견해온 당지부서기, 구체적인 업무는 모르나 실적을 내기 위해 고민하는 사람. 박촌장: 주견과 식견이 없지만 욕심이 많은 사람. 고추자: 성격이 불같고 인간성이 돋보이는 체격이 억대한 녀자, 조호덕에게 끌려 다단계에 망했던 녀자 조호덕:   황금단지 막후 지휘자,  송창남: 지혜로운 공안일군. 시공안국에서 파견되여 온 빈곤부축 일군,  이  슬:   다단계 피해자가족 어린이. 고추자가 입   드라마로 촬영될 경우를 대비해 더이상의 토설을 절제하고 여기서 멈춘다. 단 등장인물에 대한 소개만 보아도 틀림없이 허강일의 장끼인 코믹과 개그 그리고 렵기가 주 흐름일 건 다시 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리고 간단명료한 필치가 여기서 극치를 이루리라는 것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수필의 경우   허강일한테는 수필도 수십편이 있다. 대개는 사회현상을 질타하는 미니수필들이다. 수백자에서 천자가 좀 넘는 글들이 태반이다. 필을 댔다 하면 장편을 끌어내는 허강일이 수필에서만은 필묵을 아끼는 리유를 아직까지 찾지 못했다. 구미에 맞지 않냐고 보면 열흘이 멀다하게 한편씩 뽑아내고 그렇다고 할 말이 태산 같을 거 같은데 답새겨 나온 걸 보면 고작 천자 미만인 경우가 많다. 불가사의란 말을 이런 경우에 쓰는가 본다.  수필에서도 허강일은 직설적인 화법을 구사한다. 기교에 얽매이지 않고 딱 할 말만 하고 거기에 따끔한 침을 놓는 것이 일반적인 수법이다.    얼마 전 월드옥타 청도지회의 전임회장이 인기 정상에서 련임을 포기하고 단체장에서 물러나 화제를 모았다. 그는 산발적이던 단체를 200여명 회원을 거느린 방대한 경제단체로 체계화시켰고 국내외에 청도라는 이미지를 확고히 심어주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그는 련임의 문턱에서 사양했다. 그는 비단 자리에서 물러났을 뿐만 아니라 “회장을 원칙적으로 련임하지 못한다”고  정관까지 고쳐가며 회장 련임에 제동을 걸었다.  리유는 한가지-신진대사는 빠를수록 좋다는 자연을 섭리를 따른 것이였다. 그가 리임하는 날 200여명 회원들은 한결같이 일어나 기립박수를 보내주었다.  “제가 잘한것 같습니까? 저보다 더 훌륭한 분이 분명 있습니다. 말뚝박기 인사는 한 단체의 발전에 득보다 실이 더 많다고 생각합니다. 누가 없으면 안된다고 생각마십시요. 인재가 없는 단체에 무슨 비전이있겠습니까? 저는 수레를 밀어주기  위해 수레에서 내렸습니다.” 그의 의미심장한 말이 귀에 쟁쟁하다. 그는 가장 깨끗한 마무리를 했고 회원들 속에 멋진 신사로, 공신으로 각인되였다. 자리의 매력은 끝없다.사람이 자리를 만드는게 아니라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 설사 그것이 생산대 대장 자리일지라도 매력은 여전하다.  호통 치던 사람이 호통질을 받아야 하는 립장이기에 더구나 그렇다. 방관자가 볼 때에는  “그런 자리”를 지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구사하고 있는 사람들이 한심할 뿐이다. 고인 물이 썩는다고  한 자리에 오래 묵을수록 “탈”도 많고 “말”도 많아진다. 박수칠 때 떠나라! 수레를 밀겠으면 수레에서 내려야 한다.   “수레를 밀려면 수레에서 내려야”라는 수필의 전문이다.  짥막한 글이라 전편을 옮겨놓는 것이 독자들의 리해에 더 편할 거 같아 퍼왔다. 작은 편폭에 큰도리를 담았냐 하면 대서특필도 없고 청산류수도 아니고 미사려구도 찾아보기 어렵다. 할 말만 딱 하고 맞춤하게 “수레”에서 내린 형국이다.  이런 미니수필이 현시대에서 각광을 받으면서 하나의 추세를 이루고 있다. 누구라 없이 바쁜 세상이고 하나같이 여유가 모자라는 판에 미니수필은 문화욕구를 충족해주는 하나의 대안이 될지도 모른다. 물론 이후에 적당한 계기가 나지면 미니수필에 대해서도 한마디 해볼 생각이다.      맺는 말   한 때 우리 문단에 소비성문학에 치우친 작가가 나타났었다. 정통문학계에서는 소일거리, 마실거리에 불과하다고 타매를 받은 대신 일반 독자층의 반응은 상대적으로 뜨거웠던 것으로 기억된다.   허강일 작가가 꼭 그렇다는 말은 아니고 오락성에 치우친 작품을 어떻게 대해야 하냐를 한번 토론해봐야 할 거 같다. 재미있게 읽었는데 책을 놓으면 스토리만 머리에 떠오를 뿐 아무런 여운이나 감동이 없는 소비성 작품, 즉석에서 휘갈겨 써서 던져주면 한번 피끗 보고 씨익 웃은 다음 던져버려야 하는 일회용 작품, 기교보다는 취미성에 더 치중한 유희형 작품들의 존재를 마냥 무시할 수도 없다.    중국 영화계에서는 오래 전부터 허용되고 또 인정받은 것으로 알고 있다.  일례로 풍소강(冯小刚)이 감독하고 갈우(葛优), 왕보강, 범위, 송단단, 성룡, 리영, 량천 등 한다 하는 배우들이 출연한 “개인맞춤제작(私人订制) 은 실생활에서는 이룰 수 없는 욕망을 실현시켜준다는 아이러니를 담고 있다. 대부호가 되고 싶다거나 권세가가 되고 싶을 경우 회사에서 고래등 같은 별장 또는 으리으리한 사무실을 갖추어놓고 한동안 부자 노릇 또는 벼슬놀이를 하게 한다는 황당극이다.  또 문장(文章)이 감독하고 알리바바그룹의 마운과 리련걸, 오경, 홍금보, 황효명, 견자단 등 유명인들이 한꺼번에 나오는 “공수도(功守道)도 무술을 련마한 마운이 세상을 휩쓸다가 나중에 파출소를 무슨 무술의 본산으로 잘못 알고 쳐들어간다는 얼토당토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어차피 소일거리로는 충분하다. 그래서인지 저것도 영화냐고 타매하는 사람도 없는 듯 싶다.    허강일은 자기는 작가가 아닌 잡가로 되련다고 밝힌 바 있다. 문학작품은 첫째도 둘째도 재미라고 왼심을 쓰는 허강일은 자신의 소설을 3천자를 읽어서 볼 재미를 느끼지 못하면 바로 버리라고 충고하기도 한다. 보귀한 시간을 들여 마른 우물을 들여다볼 까닭이 없다는 주장이다.    아무튼 허강일 현상으로부터 소비문학에 대해 한번 점검하고 쟁론할 필요가 있겠다고 생각한다.   
126    산동조선족문단의 주력으로 부상하는 70후들 댓글:  조회:389  추천:0  2019-11-29
  평론   산동조선족문단의 주력으로 부상하는 70후들   장학규     70후는 사각지대일가?   어느 문학 모임에 갔다가 후배문인으로부터 70후가 난청(难听)세대 아니냐는 불평 아닌 불평을 들었다. 60후는 문단의 대표주자라 당연히 주목받고 있고 8090후는 단절이 와서 발굴이요 배양이요 하면서 난시법석을 떨고 있는데 유독 70후에 대해서만은 함구하면서 전혀 배려가 없다는 지청구였다. 기성 문단을 마지막으로 지키는 세대를 이렇게 푸대접해도 되느냐 하는 볼멘소리로 생각하고 넘어가기에는 많이 미안한 구석이 있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솔직히 60후에 대해서는 쟁의의 여지가 없다고 판단해도 무방할 듯 싶다. 나이로 만 50세에서 59세를 아우르는 이 세대는 문학의 전성기를 구가했던 지난 세기 8~90년대를 거치면서 탄탄한 실력을 갖추었을 뿐만 아니라 정력상으로도 한창 최고봉을 자랑하는 세대임에 틀림 없다. 우리 문단을 일구고 이끌고 또 키워왔던 선배문인들은 마침 정년퇴직 년세를 넘긴 분들이라는 점에서 60후가 문단의 중임을 짊어지는 것은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    80 이후의 문인들은 신세대로서 기성문단과의 접목이 잘 이루어지지 못한 아쉬움은 있다. 그러나 개혁개방 이후에 태여난 이들은 상대적으로 글로벌화가 잘 되여진 행운의 세대이기도 하다. 전 세대들이 주어진 공간에서만 움직이면서 제한된 자원에 의지해 문학창작을 어렵사리 진행했던 점과는 달리 이들 신세대들은 전국 각지 나아가서 세계를 안방처럼 들락거리면서 인터넷이나 모바일이라는 뉴매개체로 나름대로 문학세계를 구축해왔다. 물론 여러모로 성숙이 요청되는 세대이기는 하나 추세적으로 시대의 앞장에 서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하지만 70후는 좀 애매한 구석이 없지 않아 있다. 재래문단의 막차에 올라탔던 이들은 미처 날개를 굳히기도 전에 터진 보물 같이 다가온 리향과 출국의 이슈에 매몰돼 터전을 잃고 뿔뿔히 흩어져 각자 도생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전 세대와 같은 견고한 발판을 마련하지도 못했고 후 세대들처럼 네트워크도 제대로 형성하지 못한 채 맹점에 망각되여 고군분투해왔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바로 이러한 력사시대적 배경에 위치해있었기에 70후들은 어쩌면 전 후 세대들보다 더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수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아이러니는 절대 아니다. 이들은 재래식의 기성문단을 나름대로 답습했던 고로 문학수양을 상대적으로 잘 닦을 기회를 가진 동시에 문단과 단절되지 않았으며 60후보다 훨씬 쉽게 신식 매개체와 도킹되면서 자신들의 문학 령역을 넓혀갈 수 있었다.  실제로 오늘날 우리문단은 70후가 “하프”의 역할을 논다고 말할 수 있다. 앞을 받쳐주고 뒤를 끌어주는 “하프”가 70후이다. 또 경제학적으로 비유하면 “중산층”이라고도 부를 수 있겠다. 독보적인 실력을 갖춘 “중산층”이 두터울수록 그 문단은 비전이 있고 미래가능성을 점칠 수가 있다.  이제 이들을 주력이라고 부르게 되는 리유를 산동조선족문단에 견주어 살펴보려 한다.      산동을 문단이라고 부를 수 있을가?   우선 개념 정리가 필요한 듯 싶다.  문단의 사전적의미는 아주 간단하다. 즉 문인들의 사회가 곧 문단이다.  중국의 해석도 별반 다르지 않다. 문단은 “문인의 모임 자리(文人聚会之所)”라는 것이다. 풀이하면 일정한 문인들이 모여서 어울려 활동하면 곧 문단이라는 말이다.  “문인들의 사회”, “문인들의 모임”이란 제기법이 좀 애매하긴 하다. 구경 어느 정도의 규모여야 사회고 모임인지 판단이 모호하다.    일찍 지난 세기 80년대 초반에 흑룡강에서 “북방문단”이란 제기법이 나왔을 당시 문학회의를 하면 모이는 규모는 왕왕 30여 명 좌우가 최고 수치였다. 문단에서 활약했던 작가들도 50명 정도로 손꼽을 수 있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현재의 료녕문단을 보더라도 정기적인 창작활동을 진행하는 작가수는 역시 거기서 거기라고 보아도 무리는 아니다.    산동을 지역적으로 구분하면 청도, 위해, 연태, 기타 등 4개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연변작가협회 청도지역창작위원회로 공식 지정된 청도조선족작가협회의 정식 회원은 55명이다. 이중 위해시에 11명, 연태시에 3명, 제남을 포함한 기타 지역에 2명, 그리고 나머지는 모두 청도시에서 생활하고 있다. 이 회원들은 문학 포럼, 강좌, 탐방 및 회의때마다 참석하는 회원들이고 지면에 자주 이름을 올리는 사람들이다.    이외 청도조선족작가협회 산하의 독서회에서 36명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이 80년대 이후의 세대들로서 일주일에 한번꼴로 모여 독서소감을 나누고 가끔 한두편씩 글을 발표하면서 작가의 꿈을 익혀가고 있다. 협회의 외곽 대오로서 든든한 뒤심이 되고 있다. 한편 200여명을 헤아리는 재청도조선족대학생들도 방대한 지원군이다. 이들은 작가협회의 행사때마다 도우미로 봉사해주면서 문단을 흘끔흘끔 기웃거리고 있다. 여기에 청도 소재 2개 민족학교와 산동 각 대학교 한국어학과의 수백에 달하는 선생님들도 엄청난 파워를 가진 력량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아직까지는 수업과 학문에 여념 없어서 많은 분들이 동참을 망설이고 있지만 언젠가 한번 땅하고 터지면 그대로 황하의 홍수를 이루지 않을가 싶다.    산동에는 또 흑룡강신문이 20여년간 자리를 틀고 앉아 여러모로 문인들을 떠밀어주고 있다. 흑룡강신문 산동지사는 전문 문학면을 내여 산동 문인들의 작품을 집중적으로 발표해주었는가 하면 위챗 계정에 “좋은 글” 코너를 개설하여 4년 여 간 지속적으로 현지 작가들의 글을 내주고 있다.  산동은 또 불행하면서도 다행스러운 일이 하나 더 있다. 자칫 모순 같은 이 말은 산동에서만 성립되는 론점으로 불행한 것은 공식적인 문학잡지가 하나도 없다는 것이고 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경제가 상대적으로 활성화된 지역이여서 국가의 허용범위내에서 비공식 잡지들이 나타난 것이다. 그중에는 전문 문학적인 글만을 고집하는 “해안선”이라는 계간잡지도 있다. 15년 간 46기를 발행하면서 수천 편(수)의 글을 발표했다. 물론 “해안선”의 멤버들이 모두가 청도조선족작가협회 회원인 것은 아니다.    산동의 문인들은 해마다 많은 행사를 치르고 있다. 신년회, 38여성의 날 기념, 여름철 문학탐방, 송년회 등 정기적인 행사 이외에도 출간기념식, 문학세미나, 도서판매 이벤트 등 활동을 자주 조직하면서 문학창작을 격려하고 협회의 위상을 제고시키고 있다.    이보다 더 주목할 일은 해마다 35만자에 달하는 회원작품집 “갯벌의 하얀 진주”를 출간한 것이다. 올해로 9권째에 이르는 이 대형 책자는 회원들의 작품을 점검하고 집대성한다는 의미 자체보다 지역 공식 문학지의 역할을 놀고 있다고 보는 게 더 정확할 것이다. 이처럼 산동은 작가 수, 작품 수, 후비력, 문학진지 등 제반 여건을 미비하나마 갖추고 있다. 문단이라 칭해도 “상상력의 가장자리(想象力的边缘)” 정도로 리해하고 넘어갈 수도 있겠다고 생각한다.      70후 작가와 작품 및 성과 분석   일전 어느 잡지에서인가 연변대학 우상렬 교수가 쓴 “평론도 재미있게 쓸 수 있다”는 내용의 글을 읽은 적이 있다. 무척 공감이 가는 말이다. 펑론이라고 꼭 고리타분하고 고지식하게 문자 유희로 인테리어할 까닭은 없을 것이다. 그래서 이 장절에서는 좀 자유스러운 무드를 만들어보고 싶다.    거두절미하고. 단순 청도조선족작가협회 회원 상대로 분석해보면 55명 회원 중 70후가 15명으로 21.5%를 차지하면서 최대의 년령그룹을 이루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문단에 이름이 알려진 작가들로서 협회내에서도 중요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리더십이 서서히 안착되여 가고 있다.    일례로 리홍철 시인은 2~3대 회장직을 력임한 바 있고 김영분 수필가는 현임 사무국장으로 활약하면서 협회 전반 사무를 도맡아하고 있다. 구인숙 작가는 김영분씨를 도와 행사의 세세한 부분을 도맡아 처리한다. 그런가하면 김국화 시인과 전향미 수필가는 전임 사무국 정, 부 국장으로 자기들끼리는 “정부” 사이라고 롱을 하고 있다. 이밖에 김미령, 윤명해 작가는 협회 부회장 직책도 맡고 있다.  아래에 한사람 한사람씩 거론하면서 그들의 면면을 소개하도록 하자.    우선 리홍철 시인이다. 1972년에 화룡시 룡문촌에서 출생한 리홍철은 “화룡치”로 통한다. 선배인 허강일 작가와 같은 고향이라고 해서 스스로들 “화룡 2천재”라고 부른다. 둘 다 하늘이 내린 재간둥이인지 아니면 재앙투성이인지는 옆에서 알 바 없다. 아무튼 주변에서는 “낡회”라고 칭한다. 새 회장에 비해 낡은 회장이란 뜻으로 “낡회”란 약칭이 붙어진 것이다. 요즘에는 청도서 “줘마네 목장”이란 식당을 꾸리고 청해성 서녕시 주변 장족목장의 청정양고기를 공수해온다고 “홍사장”이라고 개칭되였다. 역시 리홍철의 가운데 글자를 따서 달아진 호칭이다. 이 친구는 화룡 골안에서 호랑이를 애완묘(宠物猫)처럼 키워오면서 이쑤시개가 필요할 땐 호랑이 꼬리에서 털 한대씩 뽑아 이를 쑤셔왔다는 뻥쟁이로 말도 엄청 빨리 해서 귀를 도사리지 않으면 도대체 무슨 말씀을 하고 있는 건지 전혀 알아들을 수 없다.  리홍철은 입이 빠른 만큼 데뷔도 무척이나 일찍했다. 열여덟살 나던 1989년에 벌써 연변일보에 시 을 발표하면서 등단한 리홍철은 한번 대디딘 걸음이 걷잡을 수 없이 일사천리로 내달리면서 지금까지 시, 수필, 소설 등 작품을 450여편(수)를 발표했다. 그간 연변일보 대성상을 포함 해외문학상, 동포문학상 등 굵직한 수상경력을 자랑하면서 문단 중견의 위치를 굳히고 있다.  리홍철의 작품에서 소설이 차지하는 분동은 작지만 무게는 상대적으로 크다. 작가가 직접 겪은 서부생활 배경의 소설들 때문이다. 우리에게 많이 생경한 만큼이나 신비한 면사포를 쓰고 다가온 리홍철의 소설들은 문단에 생신한 바람을 불어넣어주었다. 그중 대표작이 이다. 일망무제한 초원의 장막에서 길가는 행객들과 부딪치면서 “줘마”는 바깥세상을 동경한다. 그러나 종당에는 성공하지 못하고 장막으로 되돌아간다. 혹자는 결말이 비극적으로 처리되였다고 비판한다. 그건 타민족의 문화를 모르고 하는 얘기이고 문학의 사명을 제대로 리해하지 못한 판단이다. 자기의 자대와 시각으로 함부로 타민족의 모습을 저울질한 우를 범했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이 소설은 리홍철의 현재까지 작품 중에서 최고의 수준을 자랑하고 있으며 리홍철의 문학적 평가에서 빠질 수 없는 작품이 될 것이라 믿는다.    1975년 길림성 영길현에서 태여난 김영분은 얼핏 첫인상에도 조용한 스타일이다. 가깝게 지낸다는 언니 문인 김신자씨의 말을 빈다면 맏며느리 같은 형상이다. 무던하고 다심하고 주변을 잘 챙겨준다. 풍편에는 말을 꽤나 잘한다고 들리는데 정작 모임때에는 긴 말을 하는 것을 볼 수가 없다. 얼굴이 찡그려질 때가 없고 항상 얼굴에 웃음을 떠올리고 “아, 그렇네요. 맞아요.” 그렇게 짤막하게 반죽을 쳐주어서 사람을 기분 좋게 만들어준다.  김영분은 속성파(速成派)에 속한다. 2016년에 료녕신문에 처녀작 을 발표해서부터 짧디짧은 2년반 사이에 50여 편 작품을 각 문예지에 발표하고 글쓰기를 시작해서 1년 만에 연변작가협회 회원증을 따낸 실력파이다. 가방회사를 운영하고 있는 바쁜 와중에도 끈질기게 한달에 꼭꼭 한편 이상 글을 쓰는 근면함이 있다.  칭찬할라치면 “정말로? 이 정도가 부지런한 거예요?”하고 기업인다운 반문이 나온다.  이미 문단에 발을 붙인 김영분의 작품은 성격과 직업의 영향을 받아서인지 한결 성숙미가 있다. 일례로 수필 를 들 수 있다. 파워와 결단력을 가리키는 “카리스마”를 우리말로 “칼있으마”로 변형시켜놓고 “칼”의 속성을 끄집어내여 “이루고저 하는 것에 열정을 집중해서 하나하나 실천해나가는 성실하고 꿋꿋한 모습”이 “칼있으마”라면 지금 여러가지를 시도하면서 새롭게 인생에 시동을 거는 자신도 그걸 가지고 있다고 역설한다. 이 글은 제목부터 내용, 그리고 구조까지 새롭게 안겨오는 좋은 글이다.    리화는 한번 연구해볼만한 대상이다. 실제 발표작품은 많지 않으면서도 문단에 잘 알려진 케이스이다. 10여년전 처음 협회 활동을 나와서 지금까지 발표작이 50여 편이다. 가히 많다고 할 수 없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라지》잡지 ‘장락주문학상’에 흑룡강신문 ‘랑시문학상’을 거머쥔 베테랑이다. 그리고 편집들로부터 원고 청탁을 자주 받는 작가중의 한사람이다.  리화는 1979년 길림성 안도현에서 출생하여 연변대학을 졸업하고 흑룡강신문사에 입사한 학원파이다. 남과의 대화에서 거의 토를 달지 않고 태클을 전혀 걸줄 모르는 성격이다. 작은 가슴에 큰 용암을 품어서인가, 리화는 자기의 속심을 술로 푼다. 술을 억수로 좋아하는 타입이고 술상에서 먼저 일어서는 법이 극히 드물다. 비단 술을 즐길 뿐만 아니라 술을 맛나게 마실 줄도 안다. 취기가 올라도 전혀 흐트러지는 말이나 행동이 없고 술잔을 굽낼 때마다 “캬, 맛좋다”하며 제법 호매롭고 무드를 살릴 줄 안다. 애리한 외모에 말쑤가 적은 반면 글은 생각밖으로 기세가 당당하고 스케일이 크다. 그래서 실제 인물과 글을 이어주기가 쉽지 않다. 리화의 글에서 풍겨나오는 남성적인 파워와 한량다운 풍류는 다른 사람이 절대 흉내낼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인지 리화의 글에는 술이 특히 많이 등장한다. ‘장락주문학상’ 우수상 수상작인 는 제목부터 향기로운 술냄새가 풍긴다. 그림처럼, 시처럼 떠오르는 이런 제목의 재생적 효과는 그저 기가 막힐 뿐이다. 물론 글 속 주인공의 초탈한 움직임과 심리적 발로는 그대로 일품이다. 모름지기 이 수필은 언제까지도 계속 회자될 것이라 믿는다.    전향미는 70후 중에서 맏언니 격이다. 열정이 넘쳐나고 마음이 뜨겁다. 불의에 참지 못하고 할 말은 꼭 하고 사는 사람이다.  1971년 길림성 서란에서 출생한 전향미는 장춘중의학원을 졸업했다. 흔히 문학과 의학은 서로 통한다고 한다. 의학은 인간의 신체를 다루고 문학은 인간의 령혼을 연구하는 리유때문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두 직업은 물과 불만큼이나 성격이 다르다. 로신이 문학과 의학 사이를 넘나들면서 차거웠다 더웠다 하자니 너무 힘들어서 의사를 때려치웠다는 것처럼 전향미도 의료계를 떠난 지 이슥하다.  아무튼 전향미에게는 태생적으로 문인의 끼가 다분히 슴배여있는 듯 하다. 전향미의 글은 흥분점이 많고 즉흥적인 모습이 진하다. 가히 달필이라 할 수 있을 만큼 얼음에 박 밀듯 파죽지세를 이룬다. 전향미의 글은 꼭 어느 한편을 대표작이라 뽑아놓고 해석하기 어려운 특성이 있다. 세부적인 특색이 강한 리유때문이다.    으슬으슬 추운 날엔, 따끈한 구들장에 엉덩이 지지며 둘러앉아 부컬짝 요란스레 두들겨보자. 소리치다 배고프면 김치국에 밥 말아 먹고 된장국에 밥 비벼 먹자.( 에서) 내가 뒤따라 나가면서 “우리 집 개고기 어떻습니까”하고 묻자 “개고기 좋아. 그런데 로반냥 사람이 더 좋아”라고 하신다. 어깨가 으쓱해져서 “사람이 개보다 더 좋단 말씀입니까?”했더니 하늘을 향해 꺼이꺼이 웃어제낀다. 아무렴 그렇겠지. 개와 PK를 한다면 내가 낫겠지. 이 얘기를 남편에게 했더니, 웃지도 울지도 않는다. 조본산의 소품 볼 때 웃지 않는 사람이 바로 이 남자다. 개도 표정이 무궁무진하다고 했거늘.(에서) 딸애 방 문에는 “전씨성을 가진 녀자 환영하지 않음”이라는 종이장이 붙어있다. 그리고 그 밑에는 남편의 오케이 싸인이 능청스레 웃고 있다. (에서)   웃음을 질질 흘리면서 내려보지 않을 수 없는 능란한 필치가 돋보인다.  전향미는 짧은 경력에도 흑룡강신문 ‘록환문학상’ 대상을 거머쥐는 등 등단 6년에 수차 상을 타면서 승승장구하고 있다.    권연이는 연변대학과 한국 국민대학의 쌍석사 출신이다. 1978년 태생인 권연이는 길림성 교하시에서 태여났으며 70후에서는 늦깍이에 고학력자에 속하나 스스로 자꾸 정신줄이 없다거나 자신감이 떨어진다고 푸념한다. 규모가 엄청 큰 학교에서 한개 부서를 책임지고 있는 신분이라 바쁜 업무에 쫓기다 보면 뭐나 다 챙기기 어려우면서도 언제봐도 그럴듯한 핑계를 만들지 않고 항상 자기 몸에서 문제점을 반성하는 겸손한 태도를 가지고 있다.   이미 80여 편(수)의 작품을 발표하여 기성문인의 반렬에 들어선 권연이는 중국조선족교원수필 최우수상을 비롯해 수차 수상의 영예를 지녔고 수필 는 2017년 《송화강》문학상 대상 후보작에 오르기도 했으며 시 , , , 등 4수는 《민족문학》잡지에 전재되기도 했다.   사랑한다고/ 숨막히도록 껴안고/ 죽어도 놓지 않을 듯 하더니/ 한줄기 새벽 찬비에/ 무더위도 사랑도 질식해버리고 말았네/ 빈허울만 남겨놓고/ 여름은 그렇게 식어버렸네/ 금세 돌아서서 떠날 차비를 하고 있네// 나는 잡지 않기로 했다네/ 기어이 떠나려는 여름을 잡지 않기로 했다네/ 저 산너머에서/ 까치발하고 서성이는/ 내가 부르면 언제라도 달려올/ 가을이 기다린다네// 나는 가을을 부를 거네/ 나는 가을로 갈 거네// (시 전문)   뿌리 깊은 나무는 쉽사리 흔들리지 않는다고 하던가. 그만큼 권연이는 사람도 듬직하여 쉽게 드놀지 않는다. 자신감이 부족하다는 사람 치고 거짓말 같이 글이 태평무사하고 느끗하다.    구인숙은 1972년 료녕성 심양시 소가툰에서 출생하여 료녕사범대학 외국어과에서 일본어를 전공한 엘리트이다. 외견에서도 지적미와 세련미가 확연히 드러나는 구인숙은 문장을 다듬을 때 글자 한자도 꼼꼼히 따지는 성미이다. 글을 봐달라고 보내온지 얼마 안되여 어느 단어를 수정했다면서 재다시 보내오는 수고를 마다하지 않는다. 단어 하나를 두고 인터넷을 검색하면서 경상도와 함경도의 부동한 발음과 리해를 분석하는 신고도 아끼지 않는다. 커피숍 사장님이여서 손님(독자)에게 배려를 돌리는 세심함이 일견에도 느껴진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또한 덜덜한 모습도 보인다. “뭐 그럴 수도 있겠죠. 괜찮을 거예요.”, “그렇게까지 심각하게 생각하지 말고 단순하게 지나칠 수도 있는 거잖아요.” 하는 식으로 주변에서는 꽤나 신경을 모으는 일에도 가볍게 넘어갈 줄 아는 센스가 있다. 그러기에 구인숙의 글에는 , 와 같은 소탈하고 어찌보면 속세에 때묻은 듯한 글들도 더러 있다. 그러나 대부분은 정제되고 질서적인 글들이다. 요즘 《민족문학》잡지에서 구인숙의 수필 을 전재한다는 희소식이 날아왔다. 이제 서서히 날개를 펼 시점인 거 같다.      1970년에 흑룡강성 탕원현에서 태여난 리길룡은 일단은 먼저 기업인이다. 일찍 청도에 진출하여 컴퓨터학원을 꾸렸다가 지금은 무역업에 올인하고 있다. 20여년을 경제사회에서 굴렀던 만큼 장사군 기질이 다분하다. 2000년도에 사업건으로 현지 진출 민족신문사에 들린 것이 계기가 되여 흑룡강신문에 이란 글을 발표하면서 중단편소설 수십편을 발표했다. 목단강사범학교를 나온 것이 큰 밑천이 된 것이다. 고참 청도조선족으로서 그의 글에는 조선족들의 눈물겹고 피어린 정착사가 아프게 기록되여 있다. 중편소설 를 비롯해 대부분 글들이 초창기의 어두운 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깡패, 마약, 매춘, 칼부림, 살인 등 그 시절의 아픈 상처가 주를 이루고 있다는 말이 되겠다. 2017년에 중단편소설집 를 출간한 리길룡은 지금 장편을 완성하고 수개중에 있으며 동시에 본인이 익숙한 인터넷 공간에서 줄기차게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1974년 범띠인 김미령 역시 료녕성 사람으로 무순에서 태여났다. 일찍 1997년에  등단한 김미령은 수필 으로 《은하수》잡지 2등상, 수필 가  한국 KBS방송국 우수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인생경력이 굴곡적이였던 만큼 글에서는 진한 아픔이 비쳐지고 있다. 글을 처절하게 다루는 전형으로 , , 처럼 제목부터 온통 상처다.    김염화는 1977년에 길림성 룡정시에서 출생하여 연변대학 석사과정을 졸업한 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수여받고 현재 청도농업대학 한국어학과 학과장으로 사업하는 학자형 작가이다. 키가 웬간히 큰 남자도 김염화 옆에 서면 해발고도를 의심해야 할 정도로 인물 체격이 쭉 빠진 사람이다. 줄곧 순탄하게 엘리트 길을 걸어온 거 만큼이나 글을 자로 잰듯 모나게 쓴다. 김염화의 평론 을 보면 전문학자의 흔적이 대번에 보인다. 소설의 인물형상을 관계도를 그려서 보여주는가 하면 사건의 시공간적 구조를 파헤치는 프로다운 솜씨도 나타낸다. 인물형상부터 스토리 전개까지 어느 하나 놓치지 않고 살피고 조명했다. 흔히 독후감 형식의 평론에 치우치는 것과는 격이 다르고 프레임 자체가 한차원 업그레이드되여있다. 평론인이 결핍한 산동문단에는 가뭄에 단비요 혜성 같이 나타난 존재가 아닐 수 없다.    이외에 연변문학에 발표된 단편소설 으로 얼굴이 알려진 윤명해 소설가(1975년생), 20여년 간 수필만 고집하면서 수십편 작품을 발표한 김명숙(1973년생), 그리고 김국화(1970년생), 리숙(1974년생), 림복화(1973년생), 최영란(1974년생) 등이 아직 있으나 지면상 관계로 더 전개하지 않는다.   리더가 수요되는 세대   얼핏 보기엔 좋은 소리만 해서 허물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70후 역시 더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한 세대를 이끌어갈만한 리더가 아직까지 보이지 않는다. 윤림호선생이 북방문단에서 거목으로 자리매김했을 때가 30대 후반, 40대 초반이였다. 조광명선생이나 한영남선생도 30대에서 느끗하게 한몫을 담당했었다. 70후면 만 40세에서 49세 사이로 문단에서 한 목소리를 낼 때가 틀림없다. 어쩌면 60후보다 더욱 날파람이 있어야 할 시기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럼에도 크게 뚝 부러질 인물은 나타나지 않았다. 문학을 취미로 한다거나 생계가 우선이라거나 업무가 바쁘다거나 하는 핑계도 얼마든지 일리가 있고 설복력이 있다. 그러나 반론적으로 문학은 그런 경우에 해야 제맛이다. 할 말이 많은 사람이 문학을 하는 것이지 팔자 좋고 똥집이 편한 사람은 글을 쓰지 못한다고 말하면 억지고 궤변이 되는 것인가.    그리고 언어수련을 좀 더 해야 하지 않을가 생각한다. 전세대들은 참말로 어려운 여건속에서 문학창작을 해왔다. 볼 것이 제한되여 있는데다가 봉페된 환경에서 들은바도 많지 않았다. 신문마저 희귀했던 그 시절 갖은 방법과 수단을 동원하여 독서했고 오로지 쓰고 또 쓰면서 문학수양을 쌓았다. 요즘 세상은 책이 도처에 널려있고 티비나 인터넷을 통해 지식이 쓰나미처럼 전달된다. 마음만 먹으면 어떠한 정보도 섭취할 수 있다. 사람하기에 달렸다는 말이다.    자주 하는 말이지만 글을 발표해서 30편에서 50편 사이가 관건적인 시기이다. 이때는 경험적인 이야기가 바닥이 나는 대목이고 스스로도 자기 글을 판단할 수 있는 시점이다. 아이구 이젠 쓸게 없소, 못 쓰겠소 하고 맥버리면 바로 끝장이다. 그리고 그 3~50편 글을 가지고 평생 문인입네 하고 자랑하고 만족하면서 살게 된다. 지금 대개의 문인방에서 살판치고 다니는 사람들 대부분이 그런 류형에 속하는 사람이라면 맞아죽을 지도 모르겠지만 그러나 그게 현실이다. 문학엔 지름길이 없다. 오직 꾸준한 노력과 지구력만이 성공의 지름길이다.                                                2019년 3월 22일  
125    갈림길 댓글:  조회:633  추천:0  2019-02-05
신구의 갈림길  2019년 벽두에    한사람이 비여저 펑 구멍난 가슴이 차분히 잠들도록 자비를 베푸소서   자정이 새벽을 부르는  혼돈의 터널에서 석 삼번 끌어내는  마귀의 폭죽소리를 사탄의 이름으로  핑계를 달지 마옵소서   저 어마한 소음이 그 허망한 낭비가 치사한 너그러움으로만  감쌀 수는 없으리다    태초에 마지못해 걸친 수치심을  다시 벗어버린  영혼의 실락원에 선악과를 하사하소서   그리하여 마침내 새인간으로 거듭나게 구원해 주옵소서
124    수필을 위한 수필 댓글:  조회:724  추천:0  2018-09-21
수필   수필을 위한 수필   장학규     조선족이 쌀에 뉘만큼도 아니되는 청도에서 있은 일이다.   하루는 회사의 몇몇 친구들과 함께 술집에서 늘어지게 술을 퍼먹고 왁작 고아대며 밖으로 나오는데 저만치에서 길 가던 웬 청년이 불시에 백미터 속도로 달려오는 것이었다.  “싸우자는 건가?”   “누가 원쑤를 졌게?”   타관땅이라 언제나 원시적인 본능을 앞세우는 우리였다.   발걸음을 멈추고 전투태세로 기다리는데 헐레벌떡 달려온 그치가 뜻밖에도 “조선사람들이구만. 어디서들 왔소? “하고 우리말로 묻는 것이었다.   초면에 ‘하오’를 들이대는 것이 좀 방자하고 덜돼먹어 보였지만 같은 민족이라는 동질성때문에 서로 반갑게 “나는 아무 곳의 아무개요”하는 식으로 인사수작들을 나누었다.   그 차례가 나한테로 돌아와 막무가내로 ‘나는 해림의 장학규란 사람이요”라고 하니깐 글쎄 이치가 대번에 다른 친구들은 싹 젖혀놓고 나한테만 살갑게 대하는 것이었다.   “나도 문학을 하오. 어 반갑소.”   자신의 능력을 검열해볼겸 생활체험도 할겸해서 객지에 나온 나로 보아도 외딴 청도땅에서 문학동료를 만나는 것이 역시 싫지 않은 일이었다. 그래서 그후로 사나흘에 한번씩 전화 연계를 가지고 또 서로 자주 찾아다니며 문학을 담론했다.   하루는 이치가 수필 명색을 써가지고 찾아왔다. 손톱만큼한 의견이라도 제기해달라는 겸손한 목적에서였다. 그런데 그 글을 거퍼 두페이지도 읽어내지 못하고 막 하품이 나가는 것을 어쩔 수 없었다. 인생이 이렇고 생활이 저렇고 사랑이 어쩌구 행복이 저쩌구... 여하튼 그러루한 설화가 절편에 관통되어 있었다. 종래로 체면치례를 잘하던 나도 그만 참을 줄이 끊어진 것이다.   “아, 뒤가 무거워 오는군. 치질인가?”   그렇게 화장실에 한번 갔다가 돌아와서는 아예 그 글을 다시 집어들념을 않고 자질구레한 일화들을 꺼내기 시작하였는데 둬마디 안짝에 다시 볼 것을 성화같이 재촉해와서 나는 울며 겨자 먹기로 또 그것을 집어들었으나 한페지도 채 보지 않고 화장실 출입을 거듭했다.   “미안하지만… 이것 참 실례인데…”   이번에는 그 친구도 나의 회피술에 어쩌지를 못했다.   나에게는 ‘성경전서’가 있지만 8년이 되도록 그것을 다 읽어내지 못했다. 그러한 나더러 선견지명을 가진 건교사마냥 따분한 설교만을 일삼는 그따위 글을 읽으라니 어처구나 없는 일이 아니고 뭔가?   우리의 수필이 모두가 이런 것은 아니다. 그러나 상당수의 수필들이 이런 유인 것만은 사실이다. 남들이 다 알고 있는 간단한 도리를 미사려구로 지루하게 내뿜는 것이 바로 우리 수필문학의 주류이다. 편집들이 모름지기 그런 입맛에 굳어져버렸고 그에 덩달아 작가들도 알량한 문자놀이에 재미 들이고 있다. 어찌나 비비고 꼬았는지 도무지 무슨 소리를 하려고 했는지 분간할 수 조차 없다. 옛날 선비나부랭이들처럼 사회와 시대의 아픔을 외면하고 풍월 읊기에만 열을 올린다. 글은 확실히 글로 되었으되 읽고난 후에는 별로 남는 것이 없다. 장학규 같이 까다로운 사람을 만난다면 비단 남는 것이 꼬물도 없을뿐만 아니라 도리어 하품을 하고 치질을 앓는 몹쓸 병이 도지게 될뿐이다.   문학은 종교책이 아니다. 철학책도 아니다. 수필도 문학이지 이론문장이 아니다. 인생이나 무엇이나 그 본체적 뜻은 한두마디면 해석이 되는 것이다. 지지콜콜 캐고들 필요가 없는 것이다. 슴슴하기 짝이 없는 노릇이니까. 그런 책임은 철학가나 종교가나 혼인전문가에게 맡겨버리는 것이 현명한 처사일 것이다.   나는 절대적인 부정주의자가 아니다. 내가 즐기지 않는다고 다른 사람도 보지 말라는 이유와 억지는 없다. 이 세상에서 예수교의 묘리를 터득한 사람들이 많은 것처럼 선교사적수필에서 참된 인생수업을 받는 독자도 드물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고 우리의 수필애호가들을 한사코 그 한곬으로만 몰아가려는 것은 백가쟁명, 백화만발의 원칙에 부합되지 않는다.   그 어떤 한정된 틀을 세우지 않고 술술 써내려 갈 수 있다고 해서 수필이라 하지 않았는가 싶다. 다른 문체보다 상대적으로 자유롭다고 수필이라 하지 않았을까? 생각나는대로 적고 말하고 싶은대로 써서 하나의 이치나 자세를 보여주었다면 곧바로 훌륭한 수필이 아닐까. 여기서 한조목 끌어오고 저기서 한단락 베껴오는 것보다 사소한 인물이나 사건속에서 보편적인 진리를 더듬어내는 것이 퍽 실용적이라고 나는 인정한다.   이 점에서 ‘천지(지금의 연변문학 전신)’ 잡지 1994년 4월호는 선두자적 역할을 보여주었다. 김양금 선생의 두편의 수필은 똑같이 설교가 없다. 그중 ‘인생의 초불’은 천자도 안되는 간단한 체험이었다. 이상각 선생의 ‘윁남에서의 하루’는 그대로 기행문에 접근하고 있었다. 그렇다고 수필됨에 손색되는 것도 아니었다. 물론 “이따위는 신문사의 종합면에나 보낼게지”따위로 이해하면 곧바로 쓰레기통에 들어가기 십상이기도 하다.   모름지기 수필문학의 번영발전은 우리의 존경하는 편집들의 혜안에 기대를 걸어야 할 것 같다.                                                                                                                                           1994년 4월
123    불여우를 키우고 있습니다 댓글:  조회:835  추천:0  2018-09-19
수필 불여우를 키우고 있습니다 장학규   금요일 오후이다. 딸애가 학교에서 돌아오는 날이다.   이번 학기부터 딸애는 학교 기숙사에 들어갔다. 반급 애들 태반이 학교에서 주숙한다면서 한사코 우겨 마지못해 동의했지만 솔직히 우리 부부는 별로 마음에 내키지는 않았다. 늦자식으로 키워서 처음으로 애를 집밖에 내놓기 때문이었다.   이 한주일을 어떻게 이겨냈는지 모른다. 마누라는 언제든 내놓을 자식인데 지금부터 단련시키는 것도 좋다면서 대범한체 했지만 가끔 창밖을 넋잃고 내다보기가 일쑤였다. 나는 나대로 말동무가 없어서 서운했다. 부부가 오래 같이 살면 할 말도 거의 없다. 몸으로도 눈길로도 상대가 할 말을 알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나는 딸애가 옆에서 재잘거리면서 나와 싱갱이질해주기를 더 바라는지 모른다. 그만큼 나는 딸애와 토크쇼삼아 입씨름하는게 마냥 즐겁기만 하다.   학교 기숙사에 들어가는 개학날도 그랬다. 아내가 새벽부터 일어나 땀을 벌벌 흘리면서 딸애가 한주일간 갈아입을 옷들과 생활필수품을 트렁크에 챙겨넣는데 딸애는 거기에는 별로 관심이 없는 듯 애완견과 영문 모를 대화를 하고 있었다.   “나 없으면 아빠한테 많이 맞을 거야. 그래도 누나가 올 때까지 참아야 한다. 알겠지?”   애완견은 마치도 알아들은 듯 우리안을 부지런히 오가면서 불안하게 캐갱거렸다. 그넘은 포메라니안으로 딸애의 성화에 못이겨 반년전에 사온 것이다.   “나를 보고싶으면 어쩔 거지? 응, 그렇게 울면 돼. 내 들을 수 있어.”     나는 듣다 못해 한마디 시까슬렀다.   “엄마 아빠가 너를 그렇게 귀하게 키웠어도 이제 보니 강아지만 못하구나.”   “아빠 지금 베이베이랑 질투하는 거지?”   “그게 질투랑 다른 문제야. 사실 우린 서운하거든.”   “그럼 아빠 엄마도 잘 있어.”   “성의 꼬물도 없구나. 그런 인사 어디 있어? 이제 니가 집에 다시 돌아올 즈음에는 베이베이가 집에 없을 줄 알아. 남한테 줘버리고 말테다.”   우리 부녀간은 심심하면 이런 식의 대화를 한다.     솔직히 나는 강아지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동북 고향에서 살때 곱게곱게 키우던 토종개를 어느 술군들이 한밤중에 가만히 훔쳐가서 술추렴을 한 다음부터 거의 강아지에 정을 끊고 살았다.   청도에 와서도 마찬가지였다. 아파트 생활때문에 불편한 원인도 있었지만 왠지 자꾸 예전의 일이 조건반사적으로 생각나 강아지란 동물에 알레르기식 반응이 생겨나군 했다.   그런데 딸애는 아니였다. 길을 가다가도 강아지만 보이면 무서운 줄도 모르고 무작정 다가가 안군 했었다.   한번은 기업하는 친구가 놀러오면서 애완견 한마리를 안고 왔었다. 보숭숭한 하얀 털이 온몸을 감싸고 있는 귀여운 놈이었다. 회사에서 키우던 놈인데 경비가 갑자기 사직하면서 돌볼 사람이 없다는 것이었다. 난 친구가 딸애를 배려해서 가져온 것이란 걸 잘 알고 있었다. 물론 딸애는 하늘이 낮다고 퐁퐁 뛰면서 기뻐 야단이었다. 말릴 수도 없는 상황이 되어버렸다.   그날부터 딸애는 눈만 뜨면 애완견을 안고 못살게 굴었다. 좋다는게, 곱다는게 강아지를 정신 잃게 휘둘러놓거나 아니면 숨막힐 정도로 힘주어 끌어안는 것이었다. 그바람에 발악하는 애완견한테 허비어 광견병 백신을 두번이나 맞기도 했다.   물론 나에게는 생각밖의 일들이 많이 생겨났다. 애완견 식량 마련은 물론 똥오줌을 청소하고 목욕 시키고 발톱을 깍아주고 모든 일이 고스란히 강아지를 제일 싫어하는 나한테 차려졌다. 좀만 청소가 늦어지면 온 바닥에 흰 서리같은 털이 한층 쭉 깔리군 했다. 거기에 애가 백신을 두번이나 맞으면서 나의 인내심은 한계에 다달았고 마침내 그렇게 아내의 회사로 쫓겨나간 강아지를 어느날 누군가 안아가버렸다.   그뒤로 딸애는 시도때도 없이 나때문에 애완견이 잃어졌다며 똑같은 걸로 사내라고 조르군 했다. 2년이란 질긴 마라톤식의 줄다리기를 하다가 결국 내가 져서 정말로 똑같은 포메라니안을 다시 사온게 이제 반년정도 된 것이다.   딸애는 학교에 가면서도 그넘을 잊지 못해했고 나는 나대로 딸애가 강아지에 너무 많은 마음을 주고 있다고 서운해했다.   아닌게 아니라 첫주일의 기숙사생활을 마치고 집에 돌아온 딸애가 첫마디에 애완견을 찾았다.   “아빠, 베이베이가 잘 있어?”   “남한테 줘버린다고 했잖아. 벌써 남집에 갔어.”   “거짓말!”   그래도 혹시나 해서 성급하게 집안으로 뛰어들어간 딸애는 자기를 반갑게 맞아주는 베이베이를 보더니 그대로 끌어안고 좀체로 놓아줄념을 하지 않았다. 키스를 하고 등에 업기도 하면서 야단법석을 떨었다.   한옆에서 지켜보는 우리부부는 그저 착찹한 심정이었다. 자식이라고 애지중지 키워봤자 뭐하냐싶었다고 할까. 아무튼 마음이 텅 비어지는 느낌이었다.   하긴 양로원에 있는 어머니를 보러 갔다가 강아지 밥 줘야 한다면서 얼굴 보기 바쁘게 급히 집으로 돌아간 어느 후레자식의 뉴스도 듣긴 했었다. 사람을 물려는 강아지를 때렸다고 주인과 길손이 칼들고 피박나게 싸웠다는 레전드도 화제를 모으긴 했었다. 그리고 파트너 대신 강이지와 의지해 살아간다는 이야기도 이슈가 되긴 했었다.   그래도 이건 아닌 듯 싶었다. 아직은 부모한테 의지해서 자라야 할 어린 자식한테 부모가 개밖의 관심사로 윤락해서는 아니된다는 절박함이 앞섰다.   저녁식사 후 나는 조용히 딸애를 불러앉혔다. 철부지는 분명하더라도 열두살이면 분별능력은 어느 정도 가질법 했다. 나는 아주 가벼운 톤으로 부모자식 간의 인연을 얘기했고 자식의 도리를 설명했다. 아닌게 아니라 딸애의 눈에 금세 눈물이 고이기 시작했다. 나는 딸애가 충분히 자신을 반성하고 있다고 믿었다. 딸애가 마침내 입을 열었다.   “첫날밤 침실애 셋이 모두 울었어. 엄마 아빠가 너무 생각나서말이야. 엄마가 제일 보고싶었고 그다음 아빠였어. 베이베이는 머리에 떠오르지도 않았어.”   “그건 속심말이 아니잖아? 그런 니가 오자마자 베이베이부터 안고 난시쳤어? 우리가 얼마 낙담했는지 알아?”    “부모랑 베이베이랑 어떻게 같은 레벨이야? 베이베이는 즐겁게 가지고 노는 물건일뿐이잖아. 그러나 부모는 생각하면 지금처럼 눈물이 나오는 존재란 말이야.”   너무 어른스러운 말에 나는 한동안 질식할 듯한 침묵속에서 허덕여야 했다. 말을 기가 막히게 조리있게 하는 애이다. 장편소설을 쓴다고 납뜨는 애고보면 철리적인 말이 나오는 것도 이상할 건 없다.   눈물이 나오는 존재인 부모를 눈물이 나올까봐 의식적으로 외면했다는 그 말은 그대로 충격이 아닐 수 없었다. 어쩌면 그렇게 내색 한번 없이 천연덕스럽게 태연한 퍼포먼스를 할 수 있을까싶기도 하다.   그러고보니 먼저번 애완견이 잃어졌을 때 딸애는 징징거리기는 했어도 지금처럼 울지는 않았었다.   벌써 애가 이렇게 커버렸다. 자기를 억제할 줄도 감출 줄도 아는 불여우같은 요사함을 지닌 진정한 사람으로 성장을 하고 있는 것이다.   암, 그렇구말구. 그게 사람이지. 겉과 속이 같다고 떠벌이는 건 절대 사람이 아니야. 사람일 수 없어. 사람은 객관에서 쉽게 판단할 수 없는 다변성과 다중성을 가졌어. 어차피 불여우같아야 해. 불여우는 오명을 뒤집어쓴게 분명하거든. 자신을 보호하려는 본능과 미지의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를 소유했을뿐이야. 사람도 그런 삶을 살아가게 디자인되어있단다. 그게 또한 진실한 인성이야. 그래야 인간세상이 다채롭고 다양하고 비로서 다분하게 살멋과 살맛이 나는 거야.   불여우같은 딸애를 키우고있는 아빠는 선택된 아빠일 것이다.                                                                                                                 2017년 2월 18일
122    개미 투 댓글:  조회:831  추천:0  2018-09-10
단편소설   개미 투   장학규    “교육국 장처장이랑 미팅을 잡았어. 어렵게 만든 자리니까 다섯시까지 꼭 와야 해.”   문걸이가 전화를 걸어왔을 때 창학이는 마누라와 함께 한창 이사짐을 정리하고 있었다. 점심 시간을 한참 지난 시점이였지만 그들 부부는 먼지를 뒤집어쓴채 배를 촐촐 굶으면서 일에 열중하고 있는 중이였다. “?”     창학이는 퀭해진 눈으로 안해를 바라보았다. 스마트폰 스피커를 열어둔 상태로 통화했기에 안해도 통화 내역을 다 들은 것이다. 안해는 말없이 고개만 끄덕이였다. “알았어. 제시간에 도착할게.”   그들은 달포전에 살던 집을 팔아버렸다. 아무리 생각해도 이 시골동네에서 경이를 공부시킬 자신이 없어서였다. 아파트가 속한 학교에 헛일삼아 가보았다가 창학이는 그만 초풍할 지경으로 놀라고 말았다. 단층집 십수채가 촘촘히 들어앉은 가운데 반급마다 6~70명씩 꽉 들어차서 벌집처럼 왕왕거렸었다. 주변에 하루가 멀다하게 일어서는 고층빌딩만 아니였어도 이게 정말 청도라는 동네에 있는 학교가 맞는지 의심할 정도였다.   그날로 창학이는 조금도 주저없이 아파트를 복덕방에 내걸었다. 그리고 롱담같이 며칠도 안되여 팔려나갔다. “벌써 그 집을 기다린 사람이 있어요. 조손 삼대가 사는 가정인데 방이 세개이상인 큰집을 내놓으라고 해서 애먹었어요.” 태평양이라는 굉장한 이름의 복덕방 주인은 희미한 웃음을 지으면서 요새는 둘쨰를 마음대로 낳게 하는 바람에 큰집이 대세라고 주절주절거렸다. 그리고 사나흘도 되지 않아 주인이 나졌으니 빨리 복덕방으로 나오라고 재촉했다.   진씨 성을 가진 구매자도 외지인이였다. 애가 둘이 딸린 젊은 부부였는데 자기네는 시내에서 집 사서 애들을 공부시킬 게제가 못된다면서 마치도 집 파는 창학이에게 큰 잘못을 저지른듯 두손을 애매하게 비벼대기도 했다. 그러는 그들을 보면서 창학이는 까닭없이 우월감같은 것이 생겨나기도 했다.   그런데 그때까지도 창학이는 자기 주변에서 대형 쓰나미가 형성되고 있다는 것을 전혀 눈치채지 못하고 있었다.   처음부터 좀 심상치 않긴 했었다. 아파트 매매 계약에 따라 선불금 30프로를 받은 창학이는 닷새만에 이번에는 마야라는 다른 이름의 복덕방을 통해 중점중학교가 위치한 부근의 한 작은 아파트를 계약했다. 원래 살던 집보다 면적이 절반밖에 되지 않았고 지은지도 근 20년이 되는 낡은 아파트였으나 학교를 끼고 있다는 리유로 값은 엄청나게 비쌌다. 그나마 큰 아파트를 판 덕분에 위치 좋은 작은 아파트의 선불금은 그런대로 맞출 수 있었다.    문제는 재래시장에서 배추를 사고파는 것도 아닌데 복덕방에 사람이 개미처럼 바글바글거린다는 점이였다. 이게 웬 시추에이션이지 하면서도 세상사에 많이 무감각해진 창학이는 심드렁하게 자기 할 수속에만 전념했다. 집 판 잔금을 받기로 한 시간대를 맞추어 좀 더 여유를 가지고 한달반내에 새집 대금을 일시불하기로 약속했다.   새집에서 남은 대출을 상환하기를 기다리는 사이에 어느덧 두주일이란 시간이 훌쩍 지났다. 그로부터 다시 이틀이 더 지나 앞선 태평양복덕방에서 전화가 걸려왔다. 정월 대보름 휴가때문에 진씨의 새 신분증이 며칠 늦게 나오게 된다는 것이였다. 진씨의 신분증이 유효기를 넘겨 새로 만들어야 한다는 건 창학이도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이였다. 예상보다 열흘쯤 늦어질 거 같다고 했다. 신분증이 도착하면 바로 은행대출을 신청하면 보름내에 돈이 나올 거라고 아주 은행이 자기가 꾸린 것처럼 수헐하게 내뱉었다. “아주 꼴깝을 떠세요.” 전화를 닫고 창학이가 중얼거리는데 어느새 그 소리를 들은 안해가 오래간만에 얼굴을 풀고 맞장구를 쳤다. “글쎄요. 지랄도 잔치처럼 하네요 호호” 딸애의 진학이 큰 골치거리였던 안해는 학군내에 집을 샀다는 것만으로도 만시름을 풀 놓는 눈치였다.   얼마후면 무난하다던 진씨의 신분증이 아직 나오지 않은 대신 새집의 대출이 먼저 풀렸다. 일이 이대로 진행된다면 자칫 량쪽의 수속이 동시에 마무리될듯 싶었다. 앞뒤로 뛰여다니기 귀찮겠다고 투덜대고 있는데 마침 새집을 맡은 마야복덕방에서 다급히 호출했다. “지금 당장 모든 서류를 빠짐없이 챙겨가지고 오세요.”   초봄인지라 오후 다섯시가 넘기 바쁘게 날이 어두워졌다. 퇴근을 서두를 때에 사람을 부르는 것은 무언가 심각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는 징조였다. 창학이네 부부는 서류봉투를 가지고 황황히 집문을 나섰다. “내부소식인데요. 새로운 아파트 구매제한정책이 내일 저녁 열두시부터 발효한다고 합니다. 외래인은 어떤 경우에도 집 두채를 구매할 수 없게 됩니다.” 덜 밉게 생긴 복덕방 매니저 아가씨가 불안한 목소리로 급촉하게 말했다. “저희들은 집이 한채인데요.” “아니, 저쪽 집 아직 명의 이전이 되지 않았잖아요?” “그건 그렇죠.” “그러니까 결국 이 집이 두번쨰 집이 되는 셈이예요. 내일이 지나면 이 집을 살 수가 없게 된단 말입니다.” 그러고보니 늦은 시간대임에도 불구하고 복덕방에는 서류봉투를 들고 달려오는 고객들이 그치지 않았다. 창학이네 부부는 불안한 마음에 뭐가 뭔지도 모르면서 매니저가 시키는대로 여기저기에 손도장을 찍고 싸인했다.   흔치는 않지만 창학이는 문뜩문뜩 자신이 거리바닥에 내몰린 개미같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었다. 여기 치이고 저기 밀리면서 간신히 생존해나가는 미물같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특히 안해의 상태가 더 말이 아니였다. 지난해부터 반쪽이 된 얼굴이 어느새 시꺼멓게 죽어있었다. 창학이는 조이면 당장 부러질 거 같은 안해의 처량한 어깨를 가볍게 쓸며 어르듯 말했다. “여보, 우리 우유 먹고 좀만 버티자.” 힘내자는 말이였지만 스스로 듣기에도 맥빠진 소리였다.   이날따라 하늘에서는 때아닌 비방울을 흩날리고 있었다. 이제 싹이 돋아나기 시작한 가로수들은 바다바람에 앙상한 가지를 흔들며 애처로운 소리를 내고 있었다. 원래 심성이 예민한 안해는 양꼬치를 먹고 들어가자는 창학이의 제의를 무시하고 한사코 호프집을 찾아들어가더니 맥주 두잔에 그만 녹초가 되여버렸다. “우리 둘… 말이예요. 똥과 설사가 합친… 격이예요. 묽은~ 똥이잖아요.” 집에 돌아와서도 횡설수설하는 안해를 겨우 다독여 눕히고 긴밤을 거의 뜬눈으로 보내다싶이 한 창학이는 날이 밝아오기 바쁘게 진씨에게 전화를 걸었다. 진씨는 자기가 아직도 고향인 하남성에 있다고 느릿느릿하게 말했다. “그런데 무슨 신분증 수속이 그렇게 오래 걸려? 임시신분증은 이틑날로 나오는데 지금 나를 엿먹이는거요? 당신까지 사람을 업신 여기는 거요?” 막다른 골목에 이르면 나이가 명함이라고 창학이는 나이차가 한돌개는 되는 진씨에게 말이 나가는대로 내뱉었다. 그러자 허우대가 멀쩡한 진씨가 생각밖에 비굴하게 죽어들어갔다. “형님, 미안합니다. 사실은 그 사이 회사에 급한 일이 있어서 급히 출장 다녀오느라고 늦었습니다. 이미 온바하곤 진짜 신분증을 만들어가야잖아요. 곧 나오게 됩니다. 며칠만 기다리십시요.”   이날 오후 느즈막에 관방 뉴스에 새로 제정된 아파트구매제한정책이 공포되였다. 신통력이 어디까지 미칠지 모를 복덕방의 “내부소식”이 현실로 다가온 것이다.  당지 호적을 가진 시민 가정은 두채까지 가능하나 비호적 주민은 1채로 제한했다. 그것도 연속 12개월 개인소득납세증명이나 사회보헙납부증명을 제출해야 했다.   창학이는 속이 철렁했다. 10여년간 줄창 사회보험을 납부해오긴 했으나 털면 먼지가 나지 않는 법이 없다고 또 무슨 건덕지가 잡힐지 알수 없었기 때문이였다. 창학이는 안해가 이 소식을 알면 또다시 쇼크를 받을가봐 입을 함구하고 크게 숨도 내쉬지 않았다.   그러나 안해는 어느새 벌써 알고 있는 눈치였다. 평시의 초조하고 긴장된 모습과 달리 코노래까지 흥얼거리면서 저녁을 짓고 있었다. 창학이는 그만 오리무중에 빠져버렸다. “당신 어제 맥주 둬고뿌하더니 더위까지 먹은겨? 아직 날씨가 이른거 아니오. 삼계탕 사다드릴가?” 안해는 그를 흘끔 돌아보며 가볍게 웃었다. “계속 우려먹는 사골곰탕이잖아요. 금방 풀릴 거예요. 그리고 우리는 조건에도 부합되니 괜한 신경 쓰지 말아요.” “나 그럼 시름놓고 공원 가서 장기나 둘가보다.” 창학이는 그러는 안해가 오히려 고마워 간만에 빈정거리는 어투로 대꾸했다. 따로 국밥이라고 딸애의 중학교 진학문제가 대두해서부터 안해와 한 채널에 들어보지 않기는 이번이 처음이였다. “뭐 그러세요. 사마귀가 수레바퀴에 맞서봤자 짓이겨질 일밖에 있겠어요. 장기 두던 장기 바치던 마음대로 하세요.” 그날 마야복덕방에서는 아무런 소식도 없었다. 이틑날도 역시 꿩구워먹은 자리였다. 사흘이 되여 창학이의 인내심이 한계점에 거의 도달할 무렵 뜻하지 않게 진씨가 새 신분증을 가져왔으니 복덕방에서 만나 명의 이전 수속을 하러 가자고 전화가 왔다. “우리도 일 있다고 며칠 끌자구요.” 안해는 창학이가 진씨라도 되는듯 째려지게 흘겨보며 퉁명스럽게 내뱉었다. “지금 그 말씀 웃기시려고 하신 겁니까? 당장 5월이면 애 중학교 신청을 해야 하오. 어디 남들처럼 배포유할세 말이지.” “그래도 그렇지, 우리가 여직껏 속을 태운 걸 생각하면 일년정도 속태워줘도 과할 것 같지 않아요.” “그건 넌센스야. 얼른 준비하고 가보기오.” “정말이예요. 우리가 명의 이전을 해주면 이 집은 진씨거가 되잖아요. 그런데 저쪽 집이 지금처럼 계속 풀리지 않는다면 우리는 그만 한데 나앉아야 하는게 아니예요?”   창학이는 불시에 이마를 탁 쳤다. 옳거니, 맞거니. 왜 그 생각은 못했을가 싶었다. 악수 뒤끝에 비수라고 진씨가 일단 잔금을 내고 명의 이전을 마치면 그날로 집을 내라고 할지도 모를 일이였다. 창학이는 냉큼 핸드폰을 꺼내 새집을 주선한 마야복덕방을 연결했다. 지금껏 그렇게 민첩한 동작을 해본적이 없었다. 그들을 전문 책임진듯 전번날 만났던 덜미운 매니저 아가씨에게로 전화가 이어졌다. 매니저는 창학이의 말을 듣더니 다분히 애교가 섞인 목소리로 서류는 그날로 부동산교역센터에 제출되였지만 관련 정책에 따라 잠시 스톱된 상태라고 설명한 후 다시 사회보험을 납부했냐를 확인하더니 그러면 문제 없을 거 같으니 저쪽 요구대로 진행하라고 말했다. 원래 설겆이 많이 하는 사람이 그릇을 자주 깨는 법이라 매니저의 말을 액면 그대로 다 믿을 수는 없었지만 이미 엎지른 물이니 어떡할 방법이 나지지 않았다. 하늘에 운수를 맡길 수밖에 없었다. 복장공장을 꾸리는 진씨는 납세증명만 한묶음 들고 왔었다. 그것을 본 은행 경리는 입을 딱 벌리더니 연신 고개를 끄덕였다. “이거면 아무런 문제가 없어요. 열흘 정도면 대출이 내려올 거예요.” 은행 경리는 복덕방 주인과 많이 가까운 듯 서로 눈웃음을 나누었다. 진씨는 히로뽕을 주사 맞은듯 금세 흥분해서 교복만 5년여를 만들어왔다면서 청도에서 학교 다니는 학생들이 자기가 만든 옷을 안 입어본 애가 없을거라고 희떠운 소리를 늘여놓기 시작했다. 대출 수속을 마치고 복덕방 주인이 이참에 부동산교역센터에 가서 명의 이전을 하자는 걸 창학이의 안해가 잔금을 아직 받지 못했는데 어떻게 명의 이전을 하냐고 단마디로 거절해버렸다. 그리고 얼마후 대출이 예정대로 내려왔고 창학이네는 울며 겨자 먹기로 명의 이전 수속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바로 어제 일이였다. 집을 일주일내로 내주기로 했지만 저쪽 집은 여직 소식이 없는 상태였다. 아침에 일어나자바람으로 막무가내로 이사짐부터 짜면서 부부는 오래동안 토론해온 화제를 또다시 꺼내면서 갑론을박했다. “아예 이 동네에서 대수 몇달 살 집을 구할가요?” “그럼 학교는 어떻게 붙이구?”   “당신 지금 운전 배우지 않아요. 면허 따내면 차로 데려다주면 되잖아요.”   “누가 데려다주는 일을 말하는 거요? 여기서 살아도 학교에 붙을 수 있었다면 왜 집을 팔았겠소. 머리만 잔뜩 길어가지고 우우” 창학이는 운전면허 얘기만 나오면 까닭없이 울화가 치밀군 한다. 자가용을 갖춘지는 여러해가 되였다. 시내 변두리에서 살다보니 출퇴근이 문제여서 차를 사기는 했어도 창학이는 사업상 관계로 매일 술상이 생겨 감히 차를 몰 엄두를 내지 못했다. 대신 안해가 면허를 받고 여직껏 몰고 다녔었다. 아마도 새로운 부동산정책이 곧 나올거라는 소식을 들은 이틑날일 것이다. 그랬다. 맥주 두 컵에 만취가 되였던 안해가 아침에 일어나자바람으로 창학이를 끌고 자동차운전학원으로 달려갔다. “이제부터 애를 학교까지 데려가고 데려올지도 모르니 당신 이번에는 아무런 소리도 말고 운전 배워요.” 하는 생각이 언제나 액션수준이여서 그렇겠거니 하고 창학이는 안해가 하는대로 내버려두었다. 학원 비용이 저그만치 5천원이 넘었다. 창학이의 한달 로임에 맞먹었다. 그보다 더 큰 문제는 양씨 성을 가진 코치라는 량반이였다. 생긴 것도 우락부락한데다가 텁기도 말이 아니였다. 마치도 십년 묵은 빚을 갚지 않았다는듯이 언제봐도 소에게 물린 상통을 하고 있었다. 안해의 스승이기도 한 양코치는 첫 며칠은 아주 살뜰하게 창학이를 대해주었다. 후에야 안 일이지만 안해는 떠나면서 창학이 몰래 양코치에게 2백원을 질러주었었다. 그런데 그 약발이 겨우 3일밖에 가지 않았다. 첫 필기시험이 끝나서부터 양코치는 배워주라는 차는 고스란히 세워두고 학원들을 모아놓고 연설을 일삼았다. 항상 포인트를 못잡고 설왕설래하는 특기가 부럽기도 했다. 그러나 모든 얘기를 한데 묶어놓으면 딱 한글자, 즉 돈이였다. 어느 코치네 학원은 2백원 내고 시험장을 두바퀴를 돌면서 연습한 것이 주효하여 시험에 단번에 넘어갔다느니, 어느 친구는 2백원을 옆자리에 앉은 시험관에게 질러준 덕분에 시험내내 그 코치의 암시를 받으면서 겨우 넘어갔다느니 하는 말들이였다. 모두들 그 말뜻을 알아듣고 슬그머니 양코치의 주머니에 마니를 질러주었던 모양이였다. 그러나 창학이만은 아니였다. 안해가 먼저 상납한 것도 있지만 사실 운전에는 자신이 있었기 때문이였다. 집에 차가 있으면서부터 틈날 때마다 운전해온 터여서 웬간한 주차나 후진에는 5~6년 운전경험을 가진 안해보다도 나았다. 그러자 양코치의 심술이 노골적으로 터지기 시작했다. 차를 연습해도 웬간해서는 창학이를 부르지 않았고 어쩌다 오르게 해도 소태 씹은듯 쓰거운 표정으로 노려보군 했다. 좀만 실수를 하거나 자기의 요구대로 하지 않으면 바로 고성이 터지군 했다. “너 돼지니? 그 미련한 머리 가지고 무슨 차운전을 배운다고? 집 돌아가서 똥바지 벗고 자던가.” 그래도 실기시험을 창학이는 무난하게 넘어갔다. 다섯명이 가서 두명만 합격된 것이다. 양코치는 더욱 야료를 부렸다. “너 잘하잖아. 배울 필요 없어. 절로 가서 시험치라구.” 그날부터 지금까지 창학이는 한번도 운전대를 잡아보지 못했다. 여러가지 일이 한데 겹쳐서 정신없이 돌아친 원인도 있었지만 양코치가 전혀 불러주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했다. 자동차운전학원은 그게 률이였다. 코치가 어느날 오라고 해야 가서 배울 수 있기 때문이다. “동영상을 보면서 배워요 까짓꺼. 기술은 문제 아니잖아요. 주행시험은 세부적인 순서문제이니 인차 배워낼 거예요.” “그럼 학원비는 헛판게 아니요. 어떻게 해서라도 그넘의 양코치인지 양꼬치인지 하는 작자를 이겨야지. 하다못해 본전이라도 뽑아야 해. 이렇게 당하지만은 않을거야.” “됐어요. 탱크앞에서 돌도끼 휘두르는 격이예요. 우리 경이 일에나 신경 써요.” “저녁에 교육국 장처장이랑은 어쩔가? ” 가까운 친구인 문걸이앞에서 경이의 진학문제를 두고 속탄 얘기를 자주 했었다. 문걸이가 그걸 기억해두고 있다가 용케 장처장을 모셨다는 걸 창학이는 잘 알고 있었다. “가요. 애가 여직껏 타온 모든 증서를 다 가지고 가서 우리 경이가 얼마나 훌륭한 애인가를 알립시다.” 부부가 약속 장소인 해란강민속궁에 가니 거기에는 벌써 문걸이와 장처장이 와서 기다리고 있었다. 나름 먼저 가서 기다린다고 일찍 떠났는데도 늦어서 여간 난감하지 않았다. 미안해 어쩔줄 모르는 창학이에 비해 장처장은 문걸이가 미리 푹 고아놓은때문인지 오히려 제쪽에서 손님을 맞이하듯 일어나 자리를 권했다. “어서 여기 앉아요. 이제보니 알만한 친구네요.” 창학이도 웬지 장처장이 낯익었지만 구경 어디서 보았던지는 아무리해도 생각나지 않았다. “저도 많이 본듯한 모습인데요.” “왜 벌써 잊었어요. 접때 벽산학교 새청사 준공식에서 만났었잖아요. 저녁에 술도 함께 먹고 그랬었는데요. 수록원에 집 있는데 그걸 팔고 시내로 들어오련다고…” “아, 처남이 역시 수록원에 세집 들어있다고 그랬던가요?” “맞아요. 어때요? 집 팔고 샀어요?”   “네, 사긴 샀는데요. “ 창학이는 잘되지 않는 중국말에 손짓발짓까지 해가면서 여의치 못한 일에 대해 장황하게 설명했다. 장처장은 용케도 말 한마디 삐치지 않고 그대로 다 들어주었다. “그러면 일단 새집주인과 세입계약을 작성하십시오. 지금은 말입니다. 학교 주변에 세집을 얻어 살아도 입학이 가능합니다. 물론 다섯번째 순서로 명액이 남아야 되겠지만 역시 기회는 있습니다.” 그 정도의 정보는 창학이도 알고 있었다. 그러나 대체로 외래인이지만 학군내에 자기 집을 가진 네번째 순서의 애들도 겨우 턱걸이할지 말지라고 알려져 있었다. 세집에 사는 다섯번쨰 순서의 애들은 거의 도태되는 운명이란 것은 비밀도 아니였다. 창학이는 대화 와중에도 자꾸 등허리를 지르는 안해의 성화에 못이겨 옆구리에 끼고 있던 봉투를 식탁우에 올려놓았다. 그것은 경이가 소학교 6년간 받은 3호학생 증서 12장과 전국성적인 콩클에서 받은 작문상, 성악상장들이였다. 그런데 창학이가 미처 설명도 하기 전에 장처장은 피끗 곁눈질해보더니 툭 잘라 말했다. “걷어넣으세요. 그런 증서 꼬물도 소용없어요. 학교에서는 호적과 집, 납세와 사회보험 여부 그런것만 본답니다. 우리 술이나 먹어요.” 창학이는 술 먹는 내내 허파에서 바람이 새여나가는 느낌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장처장이 어쩌면 연기를 하는 거 같기도 하고 몽니를 부리는 것 같기도 했다. 슬그머니 문걸이에게 저 자식 돈 좀 질러줘야 하는게 아니야 하고 묻는데 어느새 조선말을 꽤나 익힌 장처장이 귀동냥해 듣고서 대번에 손사래를 치더니 목이 잘려나가는 흉내를 냈다. 더이상 어떻게 말을 붙여볼 수 없었다. 술상은 멋없이 인차 끝났다. 더이상 미룰 수 없었다. 4월에 막 접어들었고 이제 5월부터는 인터넷 신청을 해야 했다. 들리는 소문에는 세입계약도 두달전이여야 유효하다고 한다. 이틑날 창학이네 부부는 아침 일찍 새집으로 향했다. 장처장이 별방법이 없다면 그들로서는 더 속수무책일수밖에 없었다. 길고 짜른 건 대봐야 안다고 우선 장처장의 충고대로 세입계약서라도 만들고 볼 판이였다. 그런데 새집은 아무리 문을 두드려도 응대가 없었다. 전화를 걸었더니 과부로 홀로 사는 녀주인의 잠꼬대같은 소리가 들려왔다. “저 새집 사서 나왔어요. 그 집 비워두었으니 급하면 먼저 들어도 돼요.” 창학이는 하마트면 하늘로 솟구칠번 했다. 세상에 어디 이런 떡이 있나 싶었다. 호박이 넝쿨채로 굴러온셈이였다. 창학이는 흥분을 참느라고 무지 애썼다. 녀주인은 한시간 후에 복덕방에서 집열쇠를 넘겨주겠다고 선선히 대답했다. 그들이 복덕방에 도착했을 때는 녀주인은 아직 오지 않았고 그들을 맞아준 것은 여전히 그 덜미운 매니저 아가씨였다. “마침 잘 오셨네요. 그렇지 않아도 전화를 드리려고 했어요.” “웬일이죠?”   “집문제가 해결되였어요. 새정책을 출범하자마자 즉시 발효되다보니 합리성이 없어 많은 문제를 야기했던가봅니다. 그래서 정부에서는 새 정책이 발효되기 전에 이미 부동산교역센터에 교부된 사안들은 원 정책대로 진행하기로 결정하였대요.” 뒤미처 들어온 녀주인도 그 말을 듣더니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창학이는 이 하루를 어떻게 보냈는지 모른다. 멀쩡한 자기 집을 가지고 세입계약을 맺으려 했다가 열쇠를 받으려 복덕방에 가고 다시 거기서 매니저를 따라 부동산교역센터에 가서 일사분란하게 수속을 마쳤다. 나중 은행에 가서 잔금을 녀주인에게 이체하고보니 제법 길어진 봄날도 많이 저물어가고 있었다. 5월에 창학이는 인터넷으로 신청서를 제출했다. 다행히 새로 제작된 부동산권리증을 가진 덕분에 네번쨰 순서에 자리잡게 되여 그나마 마음이 든든해졌다. 이제는 하늘에 운수를 맡길 수밖에 없었다. 주변에 차문해보니 네번째 순서의 아이들까지는 그래도 입학이 문제 없다고 했다. 이달에 창학이에게 또 한가지 호소식이 있었다. 호구포인트제에 창학이가 합격된 것이다. 지난해 1점에 목맸던데 비해 올해는 2점이 넘쳐난 것이다. 나이 점수 1점이 깎인대신 사회보험 1년이 늘어나면서 3점이 가산되였고 거기에 헌혈 1점이 추가되였던 것이다. 여전히 지난해의 그 메주같이 생긴 처녀가 서류를 접수했고 먼저번과 완연히 다른 깎듯한 태도로 묻는 말에 차근차근 대답해주었다. 바로 이 처녀가 기자증, 작가증, 수상증서들을 쓰레기인듯 테이블우에 던지던 그 당사자였다. “이런 건 쓸데 없어요. 다른 자격증은 없어요? 용접공 자격증이라든가 아니면 하다못해 전기수리공 자격증이라든가 하는 거 말이예요.” 그때 느꼈던 모멸감을 창학이는 지금도 잊지 않고 있었다. 하마트면 신문사를 때려치우고 용접기술을 배울러 갈번 했었다. “집이 아무리 커도 중고주택이면 포인트 얼마 챙기지 못해요. 그집 팔고 새아파트 사는 방법도 있어요.” 그렇게 시까스르기도 했었다. 그런데 이번에는 아주 곰상해져서 아닌 아양까지 떨어주었다. “점수선을 넘었어요. 미리 축하해요.” 그러나 창학이는 심드렁했다. 경이의 중학교 입학이 거의 기정사실화된 마당에 굳이 호적을 올릴 필요를 느끼지 못했다. “그래도 해놓읍시다요. 또 어떤 어처구니없는 일을 당할지 누가 알아요. 호적때문에 고생한 걸 생각하면 진저리가 나요.” 안해가 창학이보다 더 적극적이였다. 몇년간 호적 없는 서려움을 너무 많이 겪어왔기 때문일 것이다. 여하튼 그렇게 수속이 시작되였고 7월 초순에 희소식 두개가 한꺼번에 날아들었다. 심사를 거쳐 호적을 올리는데 동의한다는 통지와 심사를 거쳐 경이의 중학교 입학이 허락되였음을 알리는 통지였다. 창학이네 부부는 처음으로 퍼런 대낮에 서로 부둥켜 안고 미친듯이 키스를 하고 또 했다. 그런데 호적 등록을 하려고 파출소에 갔다가 창학이는 뜻하지 않게 운전학원의 양코치를 만났다. 알고보니 그도 외래인이였다. 이번에 어렵사리 포인트 적립이 되여 20년만에 청도시민이 되였다면서 너무 반가운 나머지 창학이를 괴롭혔던 자신을 잊고 오랜 친구를 대하듯 창학이를 끌어안기도 했다. “왜 차 배우러 나오지 않지? 새로 실시되는 주행시험이 좀 까다롭긴 해도 당신처럼 운전경력이 있는 사람은 요령만 터득하면 쉽게 넘어갈 수 있어. 다음주부터 나오라구.” 며칠 후의 학교입학신청확인현장에서는 우연하게 진씨와 장처장을 만났다. 그들은 창학이를 발견하지 못하고 저들끼리 웃고 지껄이면서 교무실로 들어가고 있었다. 그떄서야 창학이는 진씨의 큰아들애가 경이와 비슷하게 컸었다는 현실이 돌이켜졌다. “우리 처남이 수록원에 세집을 잡고 있어요.” 처음 만났을 때 창학이가 자기 사는 아파트를 말하니 장처장은 그렇게 말했었다.  “벌써 그 집을 기다린 사람이 있어요…” 태평양 복덕방의 말 많은 매니저의 한 첫마디가 이랬었다. 그렇다면 저 둘이 그 처남매부간이였단 말인가? 세상에 이런 요지경이 어디 있단 말인가? 교무실의 열려진 문으로 학교 책임자인듯한 번대머리 남자가 허리를 굽석이면서 장처장에게 인사를 올리고 있었다. 길게 늘어선 학부모들 뒤를 따라 확인 수속을 하러 교실로 한발작한발작씩 움직이면서 창학이는 지루하고 답답한 느낌만 들었다. 가슴이 무엇엔가 짓눌려 곧 터질 것만 같았다. 아니, 미칠 것만 같았다. 조건에 부합되여 새로 입학하게 되는 학생이 저그만치 850명이나 된다고 한다.  늦게 온 학부형들은 관리인들에 의해 쫓겨나고 있었다. “이 부분까지예요. 나머지 분들은 내일 오세요. “ 한여름 물쿠는 날씨로 인해 복도까지 열기가 뜨거웠다. 차례를 기다리며 손으로 쉴새 없이 흐르는 땀을 훔치던 창학이의 눈에 신문 한장이 비집고 들어왔다. 새로 온 신문인듯 아까 관리인이 앉았던 책상우에 놓여져 있었다. 그건 이 동네에서 발행량이 가장 많은 신문인 반도도시보였다. 관리인은 꾸역꾸역 계속 몰려오는 학부형들을 말리느라고 찌는듯 무더운 밖에 나가 있었다. 창학이는 궁금해서보다 심심해서 그리고 부채삼아 바람이라도 일궈볼려고 신문을 집어들었다. 마침 커다란 톱기사 제목이 유표하게 확 안겨왔다. 테마당답게 표제가 석줄로 되여있었고 신문면 거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었다. 새로운 호적 정책 출범! 조건 대폭 완화 간소화 대출, 신구 여부와 관계없이 90평이상 아파트를 구입했을 경우 호적 취득 가능  
121    나발 불지 마 댓글:  조회:759  추천:0  2018-09-01
수필 나발 불지 말라 장학규     "나발 불지 마!"   퍼그나 도전적이고 전투적인 이 문구는 나의 발명이 아니다. 중국의 어느 위인의 시구 중의 한 대목이다. 그 해의 인민일보 톱기사로도 실린 시이다. 일생을 치렬하고 피어린 투쟁속에서 지낸 위인은 말을 하거나 글을 쓸 때 속심을 직설적으로 토로하기를 즐겼었다.      "나발 불지 마!"   이 한마디에서도 우리는 위인의 대범하고 솔직하며 두러움 모르는 성격을 보아낼 수 있다. 강유력한 핵무기를 소유한 미국을 종이범에 비유한 것은 위인만의 발상이고 언행이라 하겠다.     "나발 불지 마!"   그러나 필자가 이 말에 현혹된 것은 결코 과격하다거나 유모아적으로 되어 있다는데 있는 것이 아니다. 유머가 결핍하고 소심하기까지 한 필자가 이 말에 흡인되고 매료된데는 나름대로의 이해가 있기 때문이다.       새로 반듯하게 닦아놓은 301국도를 달리다보면 길 양옆에 알락달락한 광고판들을 발견하게 된다.달리는 차에서 쉽사리 보라고 집채만한 철판들로 세운 것들인데 설계가 자유분방하고 색상이 환해서 보는 이들을 즐겁게 해줄 뿐만 아니라 도로 미관에도 큰 도움을 주고 있었다.   그러나 모든 광고들이 다 그런 것도 아니었다.구역질이 나도록 어처구니 없는 광고도 있었다.   그 하나를 실례든다면       *** 병원의 임직원 일동은 손님 여러분들의 여행이 즐겁고 순조롭기를 기원합니다.   주소:***   전화:***      언뜻 보기엔 호의여서 타매하기 어렵다."여행이 즐겁고 순조롭기"를 기원하는데 어디 대고 욕을 한단 말이? 망녕이 들어도 분수가 있지...허나 그 이면을 살펴보면 엉큼한 속마음이 통채로 드러나 무척 기분이 잡친다.       병원은 아픈 사람을 고쳐주는 것으로 살아가는 곳이다. 누구나 다 즐겁고 순조로우면 병원은 곧바로 망하고 말며 중국 땅에 몇백만명의 실업자가 하루새에 불어나게 된다.바꾸어 말하면 (극단적인지는 몰라도) 병원은 아픈 사람이 많으면 많을수록 좋은 것이며 생존의 길이 더 넓어지게 된다. 그러니까 병원의 입장에서는 적극적으로 자기가 어떤 면의 치료에 뛰어나다는 설명으로 자기를 흥보해야 시장법칙에 부합된다는 말이다.      "손님 여러분의 여행이 즐겁고 순조롭기를 기원합니다."    마치도 차사고를 낼 것을 기원하는 것 같아 꺼림직하지 않는가? 도둑눔이 소매치기 당하는 사람더러 "좋은 꿈을 꾸시오"하는 것과 무었이 다른가? 이런 현상을 두고 "나발 불지 마!"해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일본은 자살률이 아주 높은 나라이다.그래서 공익광고도 남달리 많이 해야 하는 나라이다. 이를테면 소위 "자살 방지 광고"도 해야 한다는 말이다. 그렇다고 우리처럼 "인생은 아름답고 생활은 보람차다"는 식으로 절대 쓰지 않는다. 마치도 여행이 즐겁고 순조로운 사람이 병원 주소 따위를 볼리 만무한 것처럼 아름다운 것을 보고 보람을 느낀 인간은 결코 자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자살하기 쉽고 또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자살한 그런 곳들에 일본인들은 "죽음을 결행하기전에 10분만 지나온 인생을 돌이켜보시오"라는 뜻의 피켓을 세워둔다고 한다. 그래서도 죽겠다는 사람은 별수 없다는 말이겠다. 하지만 그 10분 동안에 사신의 유혹에서 벗어난 사람이 많다고 하니 어쨌던 유효적인 방법이랄밖에..      그런데도 우리는 지금까지 눈 감고 아웅 하는 놀음을 놀고 있다. 거리에 나가 프랑카드를 보면 세상 없는 지상낙원이 중국이라는 감각이 든다. 상점에 들어가면 "손님은 하느님"이라는 글발이 맞아주고 사거리에는 "어려움이 있으면 경찰을 찾으라"는 표어가 새겨져 있다. 이외에도 듣기 좋은 말들이 많이 보이지만 그저 듣기 좋고 보기에 좋은 것으로 그쳐야지 그것을 진짜로 믿었다간 큰 코 다치기가 십상이다. 천하없는 호사군이라도 "허, 또 '나발'을 걸어놨군"쯤으로 생각해야지 정식으로 대들어다간 된 욕을 치르기가 보통이다.      일전에 출장 갔다가 그런 봉변을 당했었다. 돌아오기 이틀전에 "인민의 철도는 인민을 위한다"는 간판을 내건 역전의 매표구에 찾아가서 침대권을 사게 되었는데 호박같이 생긴 매표원은 차겁기가 꼭 얼음 같았다. 철도가 인민의 것이 아닌 자기 집 소유인 것처럼 험악한 얼굴을 하고 이 차도 없다, 저 차도 다 팔렸다, 3일 후도 거덜났다, 5일 후도 매진되였다면서 묻는 말에 쏘아붙이더니 불시에 "썩 물러가!" 하고 돼지 멱따는 소리를 내지르는 것이었다. 바로 매표구우에는 "여객에게 최대의 편리를 제공하는 것이 우리의 천직이다"란 새빨간 글이 붙어 있었다. 이거야말로 새빨간 거짓말이 아니고 무엇인가?   함께 동행했던 동료가 "저년이 히스테리가 들렸나?" 하며 혀를 차는데 여기저기서 기커먼 자식들이 어슬렁 어슬렁 기어들면서 "침대권 살려나? 여기 있다구..." 하며 치근덕 거리는 것이었다. 보나마나 매표원과 한통속들이었다. 괘씸해서 모두 방색하고 이틀후에 다시 찾아갔더니 없다던 당날의 침대권이 무더기로 생겨났다.통속이 고가로 팔다가 다 못 판 것을 급급히 처리하느라고 태도도 한결 부드러워졌다.    "저년의 히스테리가 쏙 들어갔나?"   동료가 못내 신기해 하기에 내가 매표구우의 구호를 가리키며    "아니야.이떈 저 '나발'이 구린내를 풍길 수 없기 때문이야."했더니 그제야 깨도가 된듯 머리를 끄덕이는 것이였다.      언행불일치가 중국의 일대 특색이 되어진데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일가독처로 시장이 농단되어 있는데다가 든든한 쇠밥통들을 괴춤에 차고 있어 세상 무서울게 없는 것이 중국 공무원들의 팔자이다. 한번 일터란데를 차지하면 죽어서 문드러질때까지 그 자리를 깔아앉아 허세를 부린다. 일을 잘해도 그만, 못 해도 그만, 안해도 그만이니깐.오히려 일을 하지 않고 입방아를 찧는 자들이 더 잘 되어가는 판이니깐.   그래도 민주는 발전시켜야 하고 발전은 도모해야 하기에 모순체들이 충돌되더라도 어차피 울며 겨자 먹기로 사후에 "나발'이 되어질 것들을 제출하고 내걸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철저한 변혁과 개혁을 시도하지 않는 한 텅텅 빈 구호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고 곁과 속이 다른 선전은 반감밖에 살 수 없다는 것을 모르는 이는 없을 것이다.                                                                                                                                                                                   2000년 1월  
120    인생의 길잡이 리묵 선생 댓글:  조회:815  추천:0  2018-05-15
  인생의 길잡이 리묵선생 장학규     1986년 4월, 북방 특유의 맵짠 봄바람이 불어치는 어느날, 마을 확성기에서 느닷없이 나를 찾는 소리가 들려왔다. 신문사에서 온 분이 찾고 있으니 속히 촌사무실로 나오라는것이였다.  (허, 내가 언제 인기인물이 되었나?) 집구석에 처박혀 잘 되어지지 않는 글을 한창 긁적거리던 나는 오리무중에 빠져 문을 나섰다.  웅장한 체구에 풍채 늠름한 분이 나를 반갑게 맞아주는데 세상물정에 눈 어두운 나는 되려 서먹서먹해서 간신히 “누구신지요?” 하는 물음만 겨우 내뱉었다.  “이장수라고 부르오.” 선생은 나의 과문(寡闻)을 별로 탓하는 눈치가 없이 시원스레 대답하며 명함장을 내주는 것이었다. 눈은 있어도 망울이 없는 격이지. 내가 당황하여 관청에 잡혀간 촌닭 같이 어색하게 명함장을 받아서 대강 훑어보고 또 멋없이 되돌려주는데 선생은 빙그레 웃으며 가지라는 것이었다.  (행운의 신이 드디어 추파를 보내는 건가? 간밤에 꿈자리가 좋더니…) 나는 꿀 먹은 벙어리 같이 헤벌쭉해서 누가 그것을 빼앗기라도 하듯 명함장을 바삐 호주머니에 쑤셔넣었다. 땅콩을 공짜로 주어먹는 심정이었다.  이런 재치있는 에피소드를 만들고 선생과 마주 앉은 그 자리에서 나는 톡톡하게 ‘욕’을 얻어먹었다. 눈알이 툭 튀어나오게 ‘욕’을 얻어먹었다.  보아하니 필력은 약간 있는 것 같은데 알맹이가 전혀 없다.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 건가? 초중도 졸업하지 못하고 그것도 절반은 한족학교에 다니고서 어떻게 글을 쓴단 말인가? 예리한 분석력, 힘있는 필력을 갖추자면 반드시 대학공부를 해야 하는 거다. 지금 연변대학에서 통신생을 모집하니 대학공부를 하라. 대개 이러루한 ‘욕’이였다. 아니, 충고였다. 위가 아파 시달리고 있는 리묵선생이 ‘욕’할 상대가 없어 시골벽지로 어슬렁 찾아온 것은 결코 아니었다. 초학자에 대한 뜨거운 관심과 사랑이 병중의 몸으로 8리 길을 걸어오고 또 걸어가도록 촉구하였던 것이다.  (그러기에 글이 잘 안되는 것이었구나.) 나는 눈앞이 탁 트이는 느낌이었다. 그리고 여러 해를 두고 응어리졌던 마음속 의문이 싹 풀어지는 순간이었다.  불행중 다행이랄까. 나에게 천재일우의 기회가 차례졌다. 바로 그해의 한여름에 우리 집 문앞에 연변대학의 자비반이 세워져서 나는 일면 농사를 지으면서 일면 지식의 바다에서 서툰 자맥질이나마 답습할 수가 있었다.  지금도 문득문득 그날의 그 정경을 돌이켜보면 저도 모르게 한없는 자격지심이 드는 것을 어쩔 수 없다. 점심을 잡숫고 가시라는 말씀도 여쭙지 못하고 자전거로 모셔갈 궁리는 더더욱 하지 못했던 나였으니깐. 몰인정해도 유분수이지. 나는 그렇게 철부지였다. 세상을 통 모르고 살았다. 그래도 리묵선생은 틈틈히 시간을 짜내어 편지를 보내와 나를 고무하고 격려해주었다. 문학뿐만 아니라 여러모로 깨우쳐 주었다. 그리고 여러 장소에서 나를 꽤나 추었던 모양으로 많은 문우들이 나와 선생과의 관계를 문의해오기도 했다. “나의 선생님입니다.” 직접 학문을 전수받은 것도 아니지만 어쩐지 그렇게 대답하고픈 마음이었다. 높은 가지에 매달리자는 약은 수작은 절대 아니다. 나로 하여금 우물안 개구리 신세를 면하게 했다는 의미에서 (엄격히 말해서) 나의 스승임에 틀림없다.  이런 것을 두고 옛사람들이 흔히 말하던 ‘지우지은은 영생불망이라’는 것이 아닐까. 여하튼 내 마음속에 건드릴 수 없는 우상으로 남겨진 선생님이시다. 이름난 평론가 리묵 선생에 앞서 우선 살뜰한 부형과 같은 존재로 나의 마음속에 살아있는 것이다.  그후로 여러번 리묵 선생과 접촉할 기회가 있었다. 그래서 엄숙하지만 유머가 결핍하지 않고 겸손하면서도 칼날 같은 성격을 소유한 선생을 잘 알게 되었다. 그리고 술은 썩 잘하나 담배는 입에 대지 않는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문인치고는 퍼그나 드문 현상이었다.  ‘은하수’잡지 창간 100호 기념모임에 참가했을 때다. 그때 리묵 선생은 신문사 일을 계속 보면서 목단강 모 기업에 잠간 몸을 붙이고 있었다. 회의 기간에 약간의 틈이 생겨서 나는 선생을 따라 그의 사무실에 갔었다. 이심전심이랄지 선생의 뜨거운 사랑에 감사를 드리고픈 마음이 불시에 생겨서 도중에 괜찮다는 담배 한곽을 사서 드렸었다. 딴에는 가장 통크게 논셈이었다.  “여직 몰랐어? 나는 담배를 안하는데.” 그러면서도 나의 마음을 상할까봐 그러는지 받아두는 것이었다. 타인을 어떻게 존중해야 되는가 하는 생동한 교육을 나는 받았다.  그날 선생은 처음으로 많은 말을 했다. 기업에 몸을 묻게 된 연유로부터 문학과 경제의 관계, 그리고 인생에 대한 투철한 이해들을 이야기했다.  어찌보면 그번의 상면이 또 한번 나의 인생에 큰 충격을 준 것이 틀림없었다. 내가 오늘날 거듭되는 실패와 좌절앞에서도 힘을 잃지 않고 또다시 끈질기게 새로운 도전에 맞설 수 있고 또한 얼마간 성숙될 수 있은데는 리묵 선생의 장자답고 지성인다운 가르침이 있었기 때문이다. 하긴 그때문에 선생과의 거래가 중단된 상태이지만도. 내가 바삐 돈다는 실정만으로도, 당연히 그래야 한다고 말씀할 거라는 믿음만으로도 나는 리묵 선생께 부끄럽지 않고 미안하지 않다.  청도에서 리광수 선생을 우연히 만나 리묵 선생께서 부교수급으로 진급된다는 소식과 평론집을 출판하였다는 반가운 소식을 우연히 듣고 오래동안 흥분되었었다. 따라서 너무 멀리 떨어져서 그 책을 구할 방도가 없어 여간만 섭섭하지 않았다.  그만큼 언제, 어디서나 선생의 따스한 가르침을 받고픈 마음이다.   
119    말이 험담으로 변하면 댓글:  조회:1219  추천:0  2017-12-07
수필 말이 험담으로 변하면 장학규     이맘때가 되면 각 단체마다 송년회요 신년회요 하면서 야단법석이다.    청도는 다른건 몰라도 이 한가지만은 대단하다. 지연, 학연은 물론 연령별, 흥취별, 직업별, 신분별로 여러 단체와 모임이 만들어져있다. 대수 손꼽아보아도 3~40개는 되는거같다.    정부차원의 주선이 없어도 자기들끼리 알아서 잘들 놀고있다. 어쩌면 조선족의 최대 웃점이 이 점이 아닌가 싶다. 나약한거 같으면서도 모름지기 강하고 흩어진양 보이면서도 결집되여있는 이런 모습에서 조선족만의 특유의 기질이랄까 아니면 조선족들의 생존철학이랄까를 보아낼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때는 또 말썽이 참말로 많은 계절이기도 하다. 이 시기엔 누구나 다 입을 열게 된다. 엄마 모임까지 있는 동네이니 특별히 세상과 담을 쌓고 사는 가정주부는 없어보이고 어린이들을 대동하는 단체도 있어 어린이들의 견해 역시 반영되는 양상이다.    사람이 모이면 자연 말이 많아지기 마련이다. 한해를 총화짓다보면 이런저런 부족점이 있게 되고 그것을 꼭 짚고 넘어가야 직성이 풀려하는 사람은 모임마다 있기 마련이다.    임기란것도 대략 이때에 바뀌게 되니 회장단이나 운영진의 인선을 두고 견해차이도 보이게 된다. 그래서 티격태격하는 것은 가히 자연스럽고 정상적이라 해야겠다.    문제는 호사군들이다. 그렇지 않아도 일년내내 여기저기 쏘다니며 말썽을 만들어 즐겼었는데 이때는 진짜 물 만난 고기처럼 제철 한번 잘 만났노라고 야단을 떤다. 남 잘되는건 죽어도 보아주지 못하겠다는 속셈을 아주 그럴듯하게 멋진 포장까지 해가면서 썰어대는 이런 설치류들은 어느 모임에나 한두사람은 꼭 있는거 같다. 얍삽한 꾀를 부리는데는 조조 량반 저리 가라 하는 이런 인간들때문에 단체들마다 바람 잘 날이 거의 없다.    세치 혀끝이라는 성구처럼 이 세상에서 제일 무서운 무기가 바로 일명 말이라는 허울을 쓴 “험담”이란 물건이다. 험담은 형체가 없어도 사람을 쉽게 가볍게 죽일수 있는 날카로움이 있다. 험담은 공기와 같은것으로서 도무지 막아낼 방법이 없다. 험담이라는 주사위는 일단 던지면 그물을 쳐서 잡을수 있는것도 아니고 벽을 쌓아서 저지할수 있는것도 아니다. 그리고 사람의 요해를 찌르는 방식도 각각이다. 바로 덮치는가 싶다가도 어느새 에둘러 공격한다. 험담의 공세는 종래로 예약되여 있지도 고정되여 있지도 않다. 수시로 달려들수 있고 어디서나 조준이 가능하다.    대뇌를 거치지 않고 마음 내키는대로 대수롭지 않게 내뱉는 말 한마디도 사람에게 영원히 아물수 없는 아픈 상처를 주는 경우가 있는데 하물며 자로 재듯이 치밀하게 계산하고 바람처럼 달려드는데야 누가 당해낼수 있단 말인가.   그래서 험담을 “업”으로 일삼는 사람들이 공포의 대상이 된다. 정력이 딸리고 배포가 부족한 사람이 운수 사납게 입으로 인생을 살아가는 그런 사람을 만나게 되였다면 되도록 멀리 피해버리는게 상책이다. 괜히 니전투구로 섞여서 리익될게 하나도 없다. 그런 사람들에게 낚시 미끼처럼 어떤 말미를 던져주는것만큼 아둔한 일은 다시 없다. 상대해주지 않으면 모름지기 저절로 문드러지고 떨어져나가게 되여있다. 자꾸 응수를 해주면 문제는 점점 불어나고 모순도 실타래처럼 엉켜 전혀 풀어지지 않는다.   심은만큼 거둔다는 말이 있다. 심은것만큼 돌아온다고도 한다. 이 말은 결코 신근한 노력이 풍성한 성과를 거두게 된다는 적극적인 의미로만 쓰이는것이 아니다. 콩 심으면 콩이 나고 팥 심으면 팥이 나오게 되는것이 인간세상이라면 좀 더 형상적이 될지도 모르겠다. 어떤 일을 행했으면 그에 상응한 대가를 지불하게 되는것은 천고불변의 진리란 말이다.    험담이란 양면의 칼과 같다. 자칫 남을 찌른것만큼 자기도 다치게 된다. 상대방에게 치명타를 입혔다고 착각하면서 오버액션에 취해있던 사람도 홀로 남은 공간에서는 덕지덕지 딱지가 앉은 마음을 부여잡고 고통속에서 헤매인다. 결국 자기가 입은 상처가 상대보다 가볍지가 않기 때문이다. 험담을 일삼느라고 허구헌날 아무 일도 이루지 못하고 허송세월한 인생 역시 보상받을 방법이 없다.    어쩌면 말은 씨앗과 같은 존재라고 볼수 있다. 악을 심었으면 원망이 발아되고 미움이 줄기쳐서 증오가 맺혀질수밖에 없다. 거기서 선의 과일이 맺어지기를 기다린다면 참말로 어리석은 사람이다.    그래서 옛 성현들은 사람들에게 입을 합부로 놀리지 말라고 가르쳐왔다. "일 하기전에 사람이 먼저 되고, 마음을 다스리기 전에 먼저 입을 다스려라(做事先做人,修身先修口)"고 인격을 접목시켜 잘 다듬어낸 말은 존귀한 귀부인이나 수양있는 젠틀맨 같이 주위에 기쁨과 행복을 가져다준다. 반대로 외곡을 장착한 험담은 세상을 암담하게 만드는 죄악에 다름 아니다.    글로벌시대에도 농경문화의 악습을 답습한다면 꼴불견이다. 이제부터라도 늦지 않으니 좀 스마트하게 인생을 영위하면 아니 좋을가.
118    손바닥으로 문학을 보다 댓글:  조회:912  추천:1  2017-11-19
평론 손바닥으로 문학을 보다 박일 선생의 오백자소설 묶음을 읽고   장학규       올 하반년 들어 흑룡강신문 문학면이 갑자기 볼거리가 더 늘어났다. 박일 선생이 느닷없이 벽소설 묶음을 들고 나타난 것이다.  뭐 별거 아닌 걸 가지고 괜스레 오두방정을 떠냐 그럴 사람들이 많을 거 같다. 하긴 새삼스럽지는 않다. 벽소설 하면 모르는 사람도 없을 거고 또 우리 문단에서는 대접도 잘하지 않는다.    요즘 좀 평론인의 구실을 해보려고 간만에 근간에 출간된 “중국조선족”이란 어마어마한 타이틀을 달고나온 소위 “우수작품선”들을 뒤져보니 례외없이 벽소설은 전혀 취급이 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솔직히 놀라지는 않았다. 그럴려니 하고 미리 마음속으로 짐작하고 있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그런데 이번은 좀 다른 거 같다. 그저 벽소설이였다면 아마 필자도 대개의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자칫 지나쳐버렸을 것이다. 문제는 박일 선생이 “오백자소설”이란 “아이콘”을 들고나온 것이다.    오백자소설?   오백자소설!     벽소설에는 명칭이 엄청 많다. 서양에서는 플래시 픽션이라고 하고 일본에서는 손바닥소설이라고 부른다. 중국에서는 소소설 또는 미형소설이라고 지칭하는 반면 우리는 여직껏 벽소설로 더 익숙한 거 같다. 오백자소설이란 명칭은 그만큼 많이 생경하다.    압축성이 강한 표의문자인 한자에 반해 표음문자인 한글은 서술적으로 길어질수밖에 없는 특성을 가진다. 오백자는 많은 경우 배경을 깔기에도 채 미치기 어려운 분량이다. 거기에 사건의 기승전결과 인물의 심리 갈등을 내포하자면 아무리 언어의 고수라 해도 결코 쉽지 않은 도전이다.    박일 선생은 우리문단에서 널리 알려진 벽소설 대가로 현재까지 200여 편의 작품을 발표했으며 벽소설집만 이미 3권을 출간했다. 다년간 벽소설 창작만 고집해오면서 나름대로 새로운 기법을 시도하며 문단에 벽소설이란 쟝르를 정착시키려고 갖은 노력을 해왔다. 평생 신문업에 종사해오면서 터득한 신문의 특성과 벽소설의 기술을 접목하여 한때 “신문소설”이란 타이틀을 달고 10여 편의 작품을 발표하기도 했었다. 예를 들면 사스가 한창 살판칠 때 “요즘 녀자들”이란 제목으로 사스에 관한 벽소설을 내놓았으며 신문에서 사람들이 물에 빠진 사람을 구경만 하고 구하지 않았다는 기사를 보고 “?”란 신문소설을 발표하기도 하여 작품이 시대와 밀접히 다가섰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번 오백자소설도 우리문단에서는 처음 있는 일이다. 당연이라는 표현도 생략하는 리유는 박일선생이 우리문단에서 벽소설가로는 유일무이한 존재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물론 5백자도 세계적으로 보면 긴 픽션일지도 모른다. 일례로 여섯 단어로만 이루어진 헤밍웨이의 “아기 신발을 팝니다. 한번도 안 신었어요”가 유명하다. 언어를 통한 재창조가 문학의 속성이라고 할때 이 소설은 많은 상상이 가능하다. 하지만 팩트는 아니다.    그러므로 작자가 독자에게 전달하려는 주제를 완벽하게 소화한것이 이번 오백자소설의 묘미라고 할 수 있다.    우선은 얽음새에서 소설의 프레임을 구성한것이 먼저 돋보인다.    “그때 그 할머니”는 20년이라는 시간과 공간을 오백자내에 담아내고 있어 놀라움을 자아낸다. 딸애의 고중시절 학부형 회의에 참석했다가 주석대에 앉은 할머니의 자식교양담을 듣게 된다. 두 아들을 모두 청화대학을 졸업시키고 박사로 키워 해외로 진출시킨 할머니의 경험담은 “못난 나무가 산을 지킨다고 수수하게 공부를 하는 자식들이 부모곁에서 효도를 한다”였다. 그 소리를 듣고 허탈에 빠진 학부형들이 교장을 찾아 항의하기도 한다. 그런데 20년후 “나”의 딸도 명문대를 나와 독일류학을 떠나 그곳에 정착하면서 외손주가 열살이 되도록 두번밖에 만날수 없는 현실에 그때 그 할머니의 감수를 체험하게 된다.    “어떤 부부”는 가히 최고의 액션이라 부를만 하다. 이 소설은 아라비아수자 1,2,3,4,5까지 동원하여 다섯장으로 단락을 나누어 주식시장에서 거금을 날린 안해가 속이 재가 되여 담배를 입에 붙이게 되는 속사정과 안해의 동창생인 “애금”이와 단둘이 두번이나 술을 마신 남편의 죄의식을 모순의 단초로 만들어 핍진하게 기술했다. 오백자소설로서는 한계에 도전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류형이나 특성의 글은 이외에도 반년간 운남에 출장 갔다가 에이즈에 걸려 돌아와 마침내 심리적인 고통을 이겨내지 못해 속세와 담을 쌓았다는 “출가”, 대학 다닐 때 친구의 밥을 훔쳐 먹기를 일삼던 “진규”가 후에 대성하여 큰 연구단위에서 수석연구원으로 일한다는 “게으른 친구”, 평소 수자도 쓸줄 모르는 네살난 딸애가 인터넷 쇼핑에 빠진 엄마를 지켜보다가 어느날 인터넷으로 우산을 샀다는 아라비안나이트같은 사연을 다룬 “인터넷 쇼핑” 등을 들수 있다. 이 소설들은 하나같이 생활의 편린이나 단면을 카트에 담을수밖에 없겠다는 벽소설에 대한 일반적인 리해 또는 상식을 깨드린 공동성을 가지고 있다.   다음은 묘한 결말로 앞의 서술을 한꺼번에 커버해버린 작품들이다.    “랭동실”은 수산물회사 김과장이 랭동실에 들어갔다가 갇히면서 동사한 사건을 쓰고 있다. 령하 30도에서 꼼꼼한 김과장은 문이 열리지 않아 밖으로 나갈수 없다. 추워서 입술이 떨리고 온몸이 오그라든다. 손가락마저 얼어서 글을 쓸수 없다고 얼어죽는 과정을 상세하게 기록한다. 그런데 사실은 그날 전기 고장으로 랭동실은 작동을 멈추었고 동태상자들이 오히려 녹아버렸고 김과장의 시체도 전혀 얼지 않았다. 이 소설은 인간의 자기 최면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가를 알려주고 있다.    “명약”도 비슷한 루트다. 삼복철에 로인협회에서 잡은 개고기를 방아집 할머니만은 전혀 드시지 못한다. 그런데 며느리가 한번 다녀간 후 방아집 할머니는 갑자기 흥분제를 주사 맞은듯 입맛이 살아나 “국에다 밥을 말아 한사발을 다 잡숫더니 반사발 더 달라”고 한다. 며느리가 틀이를 가져오면서 맛갈스러운 보신탕을 들게 되였다는 시나리오이다.    이와 류사한 소설로 길에서 만난 두 로인이 전혀 동에 닿지 않는 대화를 서로 주고받다가 그중 한 사람이 보청기를 끼지 않았다고 사죄하면서 오해가 풀리는 “두 로인”, 출장 갔던 아들이 어머니를 주려고 사온 목도리를 할머니, 안해, 손녀가 모두 손녀의 선물로 잘못 알면서 서로 다른 감수를 느끼는 “목도리”, 평생 남편에게 10원이상 술을 사준적이 없는 안해가 조카들의 타발에 큰 마음 먹고 100원짜리 술을 사다주지만 언녕 길들여진 남편의 입에는 8원짜리가 더 좋다는 “말자선생” 등이 속한다.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닌것처럼 상식도 어떤 때는 외곡이 된다는 설명이다.    세번째로는 작가의 의도가 파묻혀 거듭 읽으면서 사색을 하게 만드는 소설들이다.    “돌”은 딸애가 김의사네 진렬대에서 “사랑”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돌을 가만히 가져오는 이야기를 서술하고 있다. 그 돌은 딸애가 김의사의 아들 천식이가 군에 가기전에 선물했던 것이다. 왜서 그 돌을 딸애는 되찾아왔을가? 작가는 설명하지 않았다. 그래서 독자들은 여러가지 해석이 가능해졌다. 젊은 남녀 사이의 관계가 틀어졌을거다. 아니면 처녀가 너무 총각이 그리운 나머지 가슴에 품고 자려고 가져왔다. 또는 소중한 사랑의 상징물이 오가는 사람들의 구경거리가 되는게 싫어서였다. 여러 각도로 읽힐수 있다.    “잘못 온 문자”는 개그맨 친구 흥수한테서 온 위챗 문자로부터 시작된다. “흥수”는 “태수”인 “나”를 “진수”로 잘못 알고 “나”의 흉을 본다. “내”가 돈 오백원을 꾸고 갚지 않았다면서 그런 실속없는 “나”와 사귀는 녀동생을 잘 단속하라고 “진수”에게 주의를 준다. 이 위챗 문자가 정말로 잘못 온것인지 아니면 “흥수”가 묘하게 연출한 극본인지는 작자가 밝히지 않았기에 알바 없다.    이 부류에 속하는 소설로 비행기에서 흑인청년으로부터 성희롱을 당하면서도 잠을 자는지 반항이 없는 서양처녀를 묘사한 “비행기에서”, 한국에서 귀국한 친구를 미국에 있다면서 만나러 오지 않는 사연을 다룬 “전화” 등이 있다.    끝으로 생활 일반사를 그린 소설들로 남의 흠만 잡고 자기 잘못은 모르는 “동료사이”, 다 키워놓았더니 이제는 부모를 외면하고 남자친구 말만 듣는 딸애의 인지상정을 묘사한 “못난 계집애”, 앞으로 의사가 될 딸애더러 하모니카를 계속 불고 춤도 더 배워 환자들에게 기쁨을 가져다주는 천사가 되라는 “의사”, 시골총각들의 지꿋은 장난질을 지혜롭게 막아냈다는 “천식이” 등이 있다.    시험성을 띤 동기치고는 20편에 가까운 분량은 별로 방대해보인다. 내용은 물론 형식도 각각이다. 례사롭지가 않다. 꼭마치 하나의 프레임으로 굳히고싶어하는 눈치이다.   평자가 주목하는 부분도 바로 이 점이다. 평론이니만큼 작품에 대한 조명에 많은 필묵을 들였지만 사실 미안하게도 평자의 관심은 작품의 내용에서 언녕 떠나있었다. 내용에 대한 리해는 적당한 선에서 그치면 그만이다.    솔직히 디지털 시대를 맞으면서 문학의 재편성은 불가피해졌다.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위챗의 부상으로 말미암아 어떤 형식의 작품이 독자들에게 더 빨리 다가가고 접수되냐를 분석해보지 않을수 없다. 이런 의미에서 오백자소설이 좋은 표본 역할을 한다고 생각해본다.   생활절주가 빨라지면서 요즘 사람들은 두터운 책을 듬직하게 들여다보기에는 무리까지는 아니더라도 좀 여유가 적은 것은 사실이다. 일을 나가서는 식사도 스낵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물론 손님 접대나 쉽지 않게 회식이 차려져 포식에 만취하는 상황도 없지는 않다. 글 읽기도 대체로 비슷하다면 억지는 아닐것이다. 분주히 동서남북을 오가야 하는 현대인에게는 함께 이동하는 스마트폰이 전부일지도 모른다. 거기에 문학을 접목하여 스낵처럼 틈틈의 시간을 타서 소비하고 소화하게 하는것이 요즘 문학의 사명이라면 또다른 궤변이 될가?!   그래서 오백자소설이 하나의 대안이 될거라고 판단해본다. 나중 이불속에 들어가 책을 들거라는 섣부른 믿음보다 일단 먼저 독자들의 핸드 즉 손바닥에 문학을 심어야 할 것이다.    박일선생만이 할수 있는 선구자적 노력에 감사하고 박수를 보낸다. 부록 박일 오백자소설 3편 어떤 부부         1  안해는 담배를 피우기 시작했다.         2  -왜 피워?  -그저!  안해의 입에서는 대답대신 뽀얀 담배연기만 나왔다.         3  그러다가 안해는 몸져누웠다.  동창생 애금이가 보러 오겠다고 전화오는걸 안해는 “오지 마!”하고 소리를 질렀다.  남편은 속이 꿈틀했다. (정말 귀신같은 녀자네. 내가 애금이와 단 둘이 딱 두번 술을 마셨는데 그걸 어찌 알가?)        4  -담배를 끊어!  -왜요?  -미안해! 잘못했어!   -호- 당신이 미안하다구?  5   안해는 요즘 주식에서 련속 곤두박질 했다. 부부가 아글타글 모은 돈 이십만원을 몽땅 밀어넣고도 동창생 애금이한테서 꾼 십만원마저 허리를 뭉청 날려버렸다. 그래서 속이 타 담배까지 피우고 있는데…     그때 그 할머니    딸애가 고중 다닐 때다.  어느 하루, 나는 학부모회의에 참가하게 되였는데 주석대엔 할머니 한분이 있었다. 교장선생은 십여년전 이 학교를 졸업한 할머니의 두 아들은 모두 청화대학을 나왔고 박사가 되였는데 현재 큰 아들은 미국에, 작은 아들은 캐나다에 있다고 소개를 한후 할머니의 경험담을 경청한다고 했다.  그런데 할머니 말은 엉뚱했다.   -에그, 자식은 공부는 잘 하지 못해야 좋수다!  -제가 제일 후회하는게 뭔지 아세요? 두 자식 공부 너무 시킨겁니다. 제가 부러워 하는 사람은 공부를 잘 못하는 자식을 둔 부모들입니다. 못난 나무 산을 지킨다고 공부를 수수하게 하는 자식들을 보면 거의가 부모곁에있더군요.    -저런 허튼 소릴 들으라고 우리를 불렀나?   그날 나와 여러 학부모들은 교장선생을 찾아가 항의 했다.   20년이 지났다. 그사이 내 딸도 명문대를 나와 독일류학을 갔었고 후에는 그곳에 남아 독일 사람과 결혼을 하였다.  그런데 멀리 있으니 친 딸이 아니라 그저 반가운 “해외동포” 같았다. 이젠 외손주도 열살이나 되는데 그사이 딸네가 한번 놀러왔고 우리 부부가 한번 놀러가니 그만이였다.   언제부턴가 그때 그 할머니가 생각났다...      출가    명수는 갑자기 출가하여 까까머리 중이 되겠다고 했다.   “당신 미쳤어요?”   안해는 하늘 땅이 맞붙는것 같았다. 너무 울어서 목도 쉬였다.  “아빠, 가지 말아요!”   유치원에 다니는 딸애도 엄마따라 울어서 얼굴이 통통 부었다.  회사일로 반년남짓 운남에 가있는 사이도 안해가 외로워 한다며 밤마다 전화 한통씩 걸어오던 살뜰한 남편이 아니던가? 귀여운 딸애가 눈에 밟힌다며 만화책이며 놀이감이며 사흘이 멀다하게 부쳐보내던 자상한 아버지가 아니던가?   “당신 밖에 다른 녀자 생겼어요?”  “아니...”  “그럼 혹시 사람을 죽였거나 무슨 큰 죄를 지었어요?”  “아니...”  “그럼 도대체 왜요?”  “... ...”  명수는 묵묵 부답이였다.  그러던 어느날, 명수는 또박또박 글을 쓴 메모 한장 남겨놓고 끝내 떠나갔다.   -여보, 미안하오! 사랑하는 당신과 딸애 곁에 더러운 에이즈병이 있어서야 되겠소...    
117    문단편견 댓글:  조회:663  추천:0  2017-11-19
잡문 문단편견 장학규   문단의 편견이란 참말로 무서운 것이다. 도무지 어떻게 형용할 방법이 없다. 분명히 능력이 있는 사람도 그 가정출신이 나쁘거나 혹은 그 사람이 좋지 못한 전과가 있거나 또는 든든한 뒤심이 없게 되면 무시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 어떤 한정된 틀이나 테두리를 만들어놓고 그속에서 자작자의하는 것을 보면 나는 막 골머리가 아파서 견딜 수가 없다.   “우리글은 도무지 볼 멋이 없다니까!”   전에 이렇게 흰소리를 치는 문인을 만난 적이 있었다. 세상 사람들이 쓰는 글이 글 같은 것이 없어서 자기의 글밖에는 읽지 않는다는 호기스런 문인이였다.   “나를 따를 사람은 하나도 없어.”   이렇게 편견의 울타리를 세워놓고보니 아닌게 아니라 세계명작은 자기 혼자 써내는 것만 같은 감각인 모양이였다.   “아무렴 그렇겠지. 이거 내가 뭐 레브 똘쓰또이나 되는 것이 아니냐?”   자아감각이 훌륭하니까 이런 망상이 드는 것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그런데(이런 과도구를 쓰고싶지 않지만) 레브 똘쓰또이 역시 “문단편견”의 피해자임을 남의 글을 보지 않는 그런 사람으로서는 영원히 알 수 없을 것이다.   한번은 우리의 존경하는 레브 똘쓰또이님께서 늘그막 잔꾀를 부린 적이 있었다. 위대하고도 성스러운 “레브 똘쓰또이”를 들이대니까 글이 너무 수월하게 발표되였었다. 그래서 생소한 이름을 도용할 생각을 하였다. 그래도 발표해줄가? 알수 없는 일이였다.   하여 글 한편을 잘 다듬어서 투고를 했는데 꿩 구워먹은 자리랄가. 물에 던진 돌이랄가. 아무리 기다려도 종시 소식이 없었다. 제딴에는 여느 작품보다 더 잘 다루었던 걸로 믿었던 만큼 곧장 지팡이를 짚고 편집부로 어슬렁어슬렁 찾아갔다.   “아, 그 원고 말씀입니까? 미안합니다만…”   편집은 썩 달가와하지 않는 눈치였다. 이마살을 잔뜩 찌프리고 래방자를 아니꼽게 흘겨보며 도리머리를 저었다.   “이제 글을 써서 될가요? 로인님의 년세면 마땅히 레브 똘쓰또이만큼의 수확이 있어야 하는 겁니다. 전에 더러 습작은 해보셨는가요?”   “네, 더러 해보았습니다만… 이를테면 ‘부활’이라든가 ‘안나 까레니나’라든가 ‘전쟁과 평화’라든가…”   하회는 더 말치 않아도 뻔한 일이다.   편견이 사람을 죽인다는 말도 이래서 생겨난 것이 아닐가. 문학작품은 다른 무엇과 달라서 그 우렬판단은 흔히 편집자의 “정세(定势)에 관계된다. 객관적인 표준이 그만큼 희미하고 몽롱한만큼 주관적인 자세에 많이 치우친다는 말이다.   레브 똘쓰또이의 작품이 아니더라도 훌륭하다면 응당한 대접을 받아야 할 것이지만 (초학자가 쓰면 어느만큼 쓸가?) 이렇게 마음을 가지고보면 전혀 글같이 보이지 않을 때가 드물지 않다. “부활”도 그렇고 “안나 까레니나”도 그렇고 “전쟁과 평화”도 마찬가지이다. 흠집을 찾자면 많고도 많다. 일개인 사유의 산물인만큼 추호의 빈틈도 없다고 여기는 그것 자체가 편견이다. 그렇다고 그것들이 명작으로 되기에 손색이 있다고 여기는 것 역시 편견이다.   이런 례는 적지 않다. 크랜데가 쓴 ‘아프리카사람”은 1967년에 출판되였으나 “창해속의 작은 구슬”로 되였다. 10년이 지나서 약삭바른 알렉스 헤이리가 깜찍하게 “뿌리”라고 제목을 고쳐서 다시 발표하였는데 우습게도 “플리처”문학상을 받았을뿐만 아니라 전 미국의 열가지 거작중의 으뜸으로 되는 책이 되였다.   전에 필자는 소설 명색의 글을 써서 모 잡지에 투고하였다가 당연한 퇴고를 받았다. “당연”이라는 표현이 약간 우습강스럽긴 하지만 그 평가가 그랬다. “장면이 적고 서술이 많다. 미안하지만…”   그래서 봉투만 바꾸어서 그대로 다른 잡지에 보냈는데 뜻밖에도 “장면이 많고 서술이 적다. 미안하지만…”이였다.   사람이 복통이 아니 터진다면 궤변이다. 초학자를 보는 우리의 시각이 그저 이 정도니깐.   후에 “흑룡강신문”에서 나의 그 소설을 발표해주었다. 1년이든지 반년이든지 세월이 흐른 뒤 선후로 상기의 두 잡지 편집을 만나는 영광이 차례졌었는데 분명히 내 작품을 취급했던 당사자임에도 불구하고 한사코 그 작품을 올리춰주는것이였다.   나는 그 누구를 욕하자는 것이 아니다. 어느 글에선가 성명했던것처럼 내 필봉의 초점은 언제나 개인에게 돌리지 않고 현상에 돌린다는 것이다. 세계도 그렇고 중국도 그렇고 중국조선족도 역시 마찬가지로 문단편견이란 근치가 될 수 없다는 얘기이다.   좀 다르다면 우리 문단이 약간 지나칠 지경으로 과열되고 팽창되였을뿐이라는 것이다.   재래로 우리 잡지들은 기성작가들의 놀음판이였다. “흑룡강신문”처럼 초학자들을 포섭할 능력과 흉금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고도 로신이나 모순 같은 작가가 나오지 않는다고 아우성질이다. 문학토양이 경직되고 퇴화했는데 그런 기대를 건다는 자체부터 잘못되여도 한참이나 잘못된 것이 아닐가.   그리고 곰곰히 따져보면 해결책이 없는 것 같기도 하다. 서로 면목이 가려울 지경이니까. 일부 편집들이 서로 내 글을 내주지 않으면 네 글도 아니 내주는 판국이니깐. 그래서 죽어나는 것이 초학자들뿐이다. 보복당할 념려도 없고 글을 보내주지 않는다고 잡지의 품위가 내려가는 것도 아니고 여하튼 세상 좋게 만만한 개살구들이다. 지면을 약간만 드텨주어도 만족하고 상이 차례진다는 것은 하늘의 별따기고 작가협회 같은데 들어간다는 것은 어림도 없는 일이다.   “재야문인”들은 말 그대로 불쌍한 족속들이다. 편집들은 글 둬편만 긁적거리면 곧바로 시인, 소설가, 평론가이지만 야문인(野文人)들이야 어찌 그것을 바랄 수 있으랴. 글을 내주는 것만으로도 하느님의 은혜 같은데 분에 넘친 욕심을랑 아예 걷어치워야지.   나의 한 문우도 이렇게 끝장나버렸다. 삼십미만에 2백여 수의 시를 써낸 천재적인 “화랑”이였지만 작가협회 회원은 물론 시인 소리 한번 제대로 듣지 못하고 곧바로 타락의 길로 들어섰던 것이다. 가령 그에게 응당한 대접이 차례졌더라면 오늘의 참상이 눈앞에 없었을지도 모를 일이다.   이보다 더 한심한 일은 문학사를 정리하고 기록해야 할 소위 전문가들마저 학자의 량심과 도덕을 내팽개치고 이런 문단의 못난 폐단에 편승하여 자신의 호불호에 따라, 친소 관계에 따라 마구 락서하는 일이다. 대강 한자리 하거나 글을 내줄 사람이거나 얼굴이 가려운 사람이면 그가 글 몇개 썼든, 어떤 성과를 냈든지를 막론하고 무작정 유명작가 타이틀을 걸어주고 대표주자란 뱃지를 달아준다.     모름지기 사설이 길어진듯싶다. 소정의 3천자가 넘은 것 같다. 아무렴 시장경제시기에 맞다들었으니 문단편견도 따라서 없어지겠지. 누구를, 무엇을 망치자고 그럴수가 있을라구.
‹처음  이전 1 2 3 4 5 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