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jingli 블로그홈 | 로그인
강려
<< 4월 2024 >>
 123456
78910111213
14151617181920
21222324252627
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블로그

나의카테고리 : 문학사전

이미지즘(Imagism)
2019년 03월 07일 14시 07분  조회:2068  추천:0  작성자: 강려
이미지즘(Imagism)

현대시 운동, 1910년대에 영국·미국에서 전개된 반(反)낭만주의 시운동,사상주의(寫像主義)라고도 한다.

이미지즘(Imagism)은 20세기 초 영미시인들의 합작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시운동이다.확고하고 선명하게 그리고 명확한 이미지를 사용할 것을 주장하는 흄(T.E.Hulme)의 영향을 받아서,1차 대전 직전에 런던에 거주하던 에즈라 파운드(Ezra Pound)가 촉진시킨 이미지스트 운동은 시에 있어서 낭만주의의 애매성과 안이한 주정주의에 대한 반명제로 나타난 것이다.

이 운동은 대서양의 양편에서 동시에 진행되었고, 그 초기의 회원으로는 아미 로우얼(Amy Lowell).리차드 올딩틴(Richard Aldington).힐다 둘리틀(Hilda Doalittle).존 굴드 플레처(John Gould Fletcher). 그리고 플린트(F.S.Flint)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운동은 단명하였고, 이 운동에 관계한 시인의 수 역시 얼마되지 않았지만, 그들의 시와 시론이 현대시에 끼친 영향은 대단히 큰 것이다.

플린트가 1913년 3월에 발표한 <이미지즘>(Imagism)에도 설명되었듯 이 "사물을 직접적으로 다룰것, 이미지 표현에 도움이 되지 않는 말을 절대로 쓰지말 것, 연속되는 음악적 문구로 리듬을 창조할 것"등은 무엇보다 정확한 이미저리와 자유로운 리듬을 강조한 것으로서,그들로 하여금 종래의 애매하고 안이한 시와 구분짓게 하는 현대시의 가장 뚜렸한 징표가 되어준다.비록 그들의 시세계가 각각 그 내용을 달리하고 모두가 현대시로서 성공한 것은 아니지만,그러나 그들은 다양성 속에서 어떤 통일성을 지향하는 공동목표를 가지고 있었던 것만은 틀림이 없다.특히 그들의실지 시작품에서 보다 오히려 그들이 내세운 시론,이른바 이미지를 강조하고 시는 존재하여야 한다는 주장은 현대시 운동의 이론적 바탕이라는 점에서 크게 주목할 만한 것이다.

그들의 관심은 주로 종래의 개념화 내지 감정화의 낭만주의적 예술관을 거부하고 고전주의적 예술관을 모색하는 일이다.말하자면 그들은 낭만주의의 막연한 정신편향, 센티멘탈리즘에 반대하고,벽돌을 쌓아올리는 듯한 정밀함과 억제력을 요구하는 고전적 태도를 한결같이 지향한다.그만큼 시의 특색을 선명하고도 적절한 이미지와 질서에서 구하였다.
 
이미지즘의 배경과 특징

이미지즘이 하나의 시운동으로서 19세기 영.미詩의 전통을 청산하고 현대시의 시대로 넘어오는 결정적 계기가 되고, 그 이후의 詩에 많은 영향을 끼친것은 그들에게 우수한 지도자가 있었고, 이를 뒷받침하는 견실한 이론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형이상학파 T.E.흄과 애즈라 파운드의 중세문학과 동양시에서 영향을 받은 의(Neo)고전주의 시론이 바로 그것이다. 거기에다가 프랑스 상징파 시운동의 영향도 외면할수 없다.

이미지즘의 이론적 배경이 되었고 세계 1차 대전에서 전사한 젊은 철학자 T.E.흄은 종래 낭만주의 문학의 주관주의와 모호성을 공격 하였으며,일반 에술에 있어 객관성과 지적 훈련은 물론 시에 있어서의 'dry(건조하고) hard(견실한) 이미지를 강조 하였다. 흄 은 자신의 논문집 "思索錄(speculation)"에 수록한 '낭만주의와 고전주의' 에서 그는 낭만주의가 한숨과 눈물을 동반하여 흐리고 축축한 것은 시인들이 현실을 인간 중심으로 생각하여 인간에게 절대적 권위를 부여 한데서 기인 한다고 말하고, 이제 새로운 시대의 문학은 그러한 인간중심의 현실안목 에서 벗어나 다시 고전주의적 현실 안목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주로 시각적인 이미지와 언어의 긴축미,새로운 음율을 내세웠고,또한 그것 자체가 자족적인 가치를 가진것으로 생각하였다. 이미지는 시각적이고 구체적인 언어이기 때문에 그는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것을 거부한다.그래서 그는 시의 세 가지 목표로서 정확.정밀.명확을 내세운 것이다.그리하여 그는 "사물의 정확한 윤곽을 얻기 위하여는 시각적 이미지를 구사해야 한다"고 강조한다.시는 결국 이미지와 메타포로 바꾸어 놓음으로써 의미의 정확한 전달이 가는하다는 것이다.흄에게 있어 시의 이미지는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직각적 언어의 정수"(the very essence of an intuitive language)이다.


가을 밤의 싸늘한 感觸-
나는 밖을 걷고 있었다.
그래서 붉은 달이 생나무 울타리에 기댄 것을 보았다.
마치 얼굴 붉은 農夫처럼
나는 말은 안 했지만 고개를 끄덕였다.
그 주변엔 무엇인가 바라는 것 같은 별들이
도시의 아이들처럼 흰 얼굴을 하고 나와 있었다.


a tauch of cold in the autumn night-
I walked abroad,
and saw the ruddy moon lean over a hedge
Like a red-farmer.
I did not spead, but nodded,
and round about were the wistful stars
With white faces like town children.

----<가을> 에서

<가을>(Autumn)이라는 이 시는 이미지즘 시의 대표적인 것 중의 하나다.시의 내용은 간단하나 그 기교와 태도는 전혀 새로운 것이다.그만큼 흄은 흐리고 축축한 낭만주의적 색채를 일소하고 '드라이하고 단단한'이미지 위주로 시를 쓰고 있었다.흄의 마음 속엔 달이 '붉은 달'로 보였고,별은 '도시의 아이들 처럼 흰 얼굴'로 떠 오른 것이다.T.S.엘리어트(Eliot)가 이 시를 영어로 쓰여진 가장 아름다운 시 중의 하나라고 격찬한 것은 이 때문이다.

무엇보다 시의 대 목표로 내세운 이러한 흄의 정확.정밀.명확의 시론은 그 후 E.파운드의 시론과 대체로 일치한다.그도 또한 시에서 막연하고 부정확한 낭만적 요소를 배제하고 좋은 산문처럼 간결하고 견실한 표현을 목표해야 한다고 하였다.'간결하고 견실한 언어' '리듬과 의미의 일치''틀에 박힌 文句나 관용적 표현의 거부'.형용사는 장식이 아니고,바로 내용' 등이 그의 이미지즘 詩論의 핵심이 되어준다. 특히 그는 시가 이미지로써 그것도 기능적 이미지로써 표현되었을때,그것은 좋은 산문처럼 간결하고 정확해진다고 하였다. 그는 객관성과 정확성을 무엇보다 강조한 시인이다.

군중들 사이에서 홀연히 나타난 이 얼굴들,
축축한 검은 가지의 꽃잎들.

The apparition df these faces in the crowd;
Petals on a wet, black bough

이 시는 파운드의 시집 <假面>(Personae)에 실린 <지하철 정거장에서>(In a station df the metro)이다.파리의 지하철 정거장에서 차를 타려고 기다리는 군중들 사이에서 뚜렷이 드러나는 아름다운 얼굴들의 인상을 컴컴하고 축축한 정거장을 배경으로 피어난 꽃잎에 비유하여 이미지를 조소하여 놓았다.이때 꽃잎은 이 때 꽃잎은 그 때 시인이 지하철 정거장에서 직접 느꼈던 정서의 등가물로서 엘리어트의 이른바 객관적 상관물과 비슷한 것이다.
파운드는 스스로 이 시를 두고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3년전에 나는 파리의 라 꽁꼬르드에서 지하철에서 내려 갑자기 한 아름다운 얼굴, 그리고 또 다른 얼굴,그리고 또 다른 얼굴,그리고 한 아름다운 어린 아이의 얼굴,그리고 또 다른 아름다운 부인을 보고서, 그날 종일 그 인상 받은 것을 나타낼 말을 찾고자 애썼지만, 그 돌연한 감정만큼 가치있고 아름다운 말을 찾을 수가 없었다.....나는 30행의 시 한편을 썼지만 그것을 찢어버린 것은, 그것이 이른바'강열도 제2위'의 작품이었기 때문이다.6개월 후에 그 반 정도의 길이의 시를 썼고 1년 후에 2행의 글귀를 지었다.
우리가 어떤 사상의 맥락 속으로 흘러 들어가지 않고서는 그것이 무의미 하리라고 생각한다. 이런 종류의 시에서는 외부적.객관적인 것이 내적.주관적인 것으로 변하거나 그 속으로 투사되는 정확한 순간을 기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파운드는 현대시란 언어의 기능을 새로 개척하여 과거와는 다른 방법으로 언어를 구사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흄과 마찬가지로 이미지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점.그리하여 그는 흄과 마찬가지로 이미지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점,시의 언어는 정확하고 구체적이어야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그것은 그후 T.S.엘리어트에게 영향을 끼쳤으며,1917년에 발표된<전통과 개인의 재는>이라는 그의 논문에 반영되고 있다.파운드의 이미지즘 시론은 그가 주로 공부한 중세 라틴문학,한시에서 영향받은 바 크다.특히 상형문자로서의 한자는 '나무'나 '산'같은 객관적인 물건이 직접 취급되어,거기에 글 쓴 사람의 주관적인 설명이 없이 그 물건들의 의미가 암시되어 있다.파운드는 이렇듯 객관적이고 간결한 표현에 매혹되어 그 한자로 쓰여진 한시의 영역을 시도하기도 했다.李白의 시에서 보는 바와 같은 두드러진 시각적 요소와 상징성을 통하여 그는 선명하고 간결하고 고담한 형식 즉 시의 현대성을 찾았던 것이다. 그가 한자와 한시에 매력을 느끼고<中庸>.<大學>등 많은 중국의 고전을 번역한 것은 이 때문이다.
 
*요약*
 
1. 개념 : 1912년경 흄(T.E. Hulme)과 파운드(Ezra Pound) 등을 중심으로 한 영미 시인들에 의해 주창된 새로운 이론이다. 이들은 조지 왕조시대의 운문들의 무의미하고 형식적인 조사법(poetic diction, 시어법)과 형태들에 직접적으로 반발하여 각개의 이미지 표출에 있어서 완전에 가까운 정확성을 주장했다. 또한 그들은 균형 있는 자유시의 개념으로 음악적인 구절의 운율과 억양을 주장했으며, 예리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간략하면서도 본질적인 은유에 의한 단시를 그 특징으로 했다.

2. 발생 : 상징주의 시가 현대시에 영향을 끼치고 있을 대에 미국에서 영국으로 건너와 활동하고 있던 Pound를 중심으로 침체에 빠진 영국시의 전통에 새로 활기를 불어넣기 위한 방법으로 이미지즘 운동이 일어났다. 이 운동은 1909년에 발생하여 1917년에 끝난 현대시 운동이다. 사회적․역사적으로 세계 제1차 대전과 경제 대공황을 겪는 혼란이 있었으며 인간의 생존이 위협되는 어려운 시기였다. 그러나 이 시기에 문화적으로는 19세기 예술에 대한 결별이 이루어지고 현대문학의 새로운 기틀이 형성되었다. 영국의 철학자 T.E Hulme은 19세기의 낭만주의 사조를 거부하고 예리한 통찰력과 직관으로써 미술과 문학 등 문화 전반에 걸쳐 새로운 이념을 제시했다.

3. 주장 : 이러한 이미지즘은 기원을 살펴보면 고대 문학과 현대 문학에 관련된다. 고대 문학이라 함은 주로 희랍 문학과 라틴 문학을 말하는 것이고 거기에 중국 문학과 일본 문학을 더 끼워 넣는다. 그리고 현대 문학이라 함은 프랑스 현대 문학을 말하는 것이다. 모든 새로운 문학운동이라는 것이 과거의 것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것과 같이 이 새로운 시운동도 19세기 영국과 미국의 시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것이다.
 
이 운동의 목표는 ① 일상어의 사용, ② 새로운 리듬의 창조, ③ 제재의 자유로운 선택, ④ 명확한 사상(이미지)을 줄 것, ⑤ 집중적 표현을 존중할 것 등이다.
 
*Ezra Pound(에즈라 파운드)- (동아일보)*
 
조국(祖國)의 법정에서 반역죄로 재판을 받고 정신병원에 수용되어야 했던 시인.
이미지즘 운동을 촉발하며 현대시의 위대한 시대를 살았지만 이탈리아의 파시스트 정권을 옹호함으로써 반역사적인 범죄에 가담했던 시인 에즈라 파운드.

그는 1908년 자신이 태어난 ‘반은 야만스러운 나라’ 미국을 떠나 영국 런던에서 왕성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파운드의 주변에는 T S 엘리엇, 제임스 조이스 같은 20세기 영미문학의 거목들이 모여들었다. 그는 ‘시인들의 시인’답게 젊고 재능 있는 예술가들을 격려하고 집필을 거들었다. 엘리엇의 ‘황무지’ 초고를 반으로 쳐낸 것은 그였다.

그의 시의 자양(滋養)은 자연에서 건져 올린 생태학적 상상력이었다. 그는 예술가를 곤충의 촉수(觸手)에 비유하며 언어의 정확성과 명료성을 강조했다. “나쁜 예술은 부정확한 예술이다. 그것은 그릇된 보고서를 작성하는 것이다.”

파운드는 1920년 ‘맛이 다 간 창녀’와도 같은 런던을 떠나 이탈리아에 정착한다.
이곳에서 무솔리니를 만난 파운드는 그가 “이탈리아에서 생산 문제는 해결되었다”고 선언하자
드디어 분배의 정의를 실현하려는 정부가 출현했다고 섣불리 판단했다.
그는 무솔리니를 토머스 제퍼슨에 빗대면서 “정신적이든 물질적이든 일종의 다이너마이트와 같은 형태로 충전된 천재”라고 찬사를 보냈다.
그는 2차세계대전 중 파시즘을 찬양하는 일련의 라디오 방송을 내보내는데 이런 말도 있었다. “어떤 천재가 있어 유대인을 몰아내려 한다면 그것만으로도 그를 지지해야 할 충분한 이유가 된다.”
1945년 그는 미군에 체포됐다. 재판에서 정신병 환자로 판정받은 그는 12년 동안이나 병동에 갇혀 있다 엘리엇의 구명운동으로 풀려난다. 엘리엇을 세상에 알린 것은 그였지만 그를 다시 세상에 내보낸 것은 엘리엇이었다.
전시에 공공연히 적국을 찬양한 파운드. 그는 변명의 여지없는 반역자였으나 그의 시는 여전히 미국의 교과서에 실리고 있다.
 
출처,theple블로그,hoon0140님



자료 2

이미지즘 
 
이미지즘은 현대시의 문법강좌와도 같은 사조이다. 
현대시가 지녀야할 가장 기본적인 원칙들 가르치고, 연마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어느 정도의 과장을 용서한다면, 제1차 세계대전 직전의 몇몇 현대시 운동 중에서, 
미국 시인들의 문체에 이처럼 특별한 영향을 미친 흐름은 아마도 없었을 것이다. 
 
물론 거기에는 이 운동을 주도하면서, 파운드(E. Pound)와 (그 후에는) 에이미 로웰(Amy Lowell)이 보여주었던, 주도면밀함이 한 몫을 하였고, 또 이미지즘의 강령과 선언들이 주장하는 명료한 이론들과 독특한 지침들의 힘도 적지 않았다. 
 
이미지즘 프로그램이 여타의 다른 지배적인 사조와 쉽게 연합할 수 있었던 것도 부분적인 이유이다. 
이미지즘 운동은 표현주의(Expressionism)의 엄정하고 엄격한 표현법을 채택하였고, 
중국과 일본의 시에 관심을 보여, 하이쿠(haiku) 등의 절제되고, 
암시적이고, 시각적인 이미저리를 도입하였으며, 1890년대의 회화와 조각 등 여타의 공간 예술과, 
상징주의 시의 이미저리 기법에도 귀를 기울였다. 흄(Hulme)의 이론도 큰 힘이 되었다. 
 
이미 흄은 시에 있어서의 정확한 구문 사용을 요구하였고, 정교한 시를 위한 유일한 방법이 비유(metaphor) 밖에 없다고 선언한 바 있었다. 
자유시의 발전과, 시어(poetic diction)와 수사학(rhetoric)의 거부, 관용어(the idiomatic)와 구어체적 표현의 개발 등도 역시 흄의 도움으로 가능한 것이었다. 
이미지즘의 시를 읽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게다가 파운드가 더 이상 자기 원칙을 강요할 수 없게된 1914년 이후에는, 쓰는 것조차 쉬운 일이 되어버린다. 
 
결국 이미지즘은, 영국의 죠지안(Georgian)이나, 미국의 매스터즈(E. L. Masters)와 샌드버그(C.Sandburg)의 "사실주의 realism"와 같이, 새롭고 근대적인 시운동에 접근하기 위한 
다양한 여러 방법 속에 매몰되어 버리게 된다. 
 
이미지즘 운동 
 
이미지즘의 출발은, 1912년 봄, 켄싱턴(Kensington)의 어느 찻집에서였다. 
그곳에서, 작은 롤빵을 먹으며, 두 명의 젊은 시인인, H. D.와 리차드 엘딩턴(Richard Aldington)에게, "너희들이 바로 이미지스트(Imagists)야"라고 외치는 파운드의 목소리가 들렸다. 
그때 그 말이 어떤 의미였는지는 알 수 없지만, 10월이 되자, 반쯤은 진지하고 반쯤은 장삿속으로, 
이미지즘 학파의 소식이 전해지기 시작하였다. 당시는 "이즘 ism"이 판치던 세상이었다. 
1912년 8월 『시평 Poetry Review』지에 현대 프랑스 시를 다룬, 플린트(F. S. Flint)의 논문 한 편이 
수록되었는데, 그 속에는 충동주의(Impulsionisme), 발작주의(Paroxisme) 등의 용어들이 난무하였다. 마리네띠(Marinnetti)도 예전부터 미래주의(Futurism) 
운동을 이끌고 있었고, 마리네띠 이전에, 예이츠(Yeats)와 시몬즈(Symons)는 상징주의 운동(symbolist movement)의 옹호자들이었다. 
그리고 영국에서는 죠지안 학파(Georgians)의 자생적인 운동이 성장하고 있었다. 
 
10월이 되자, 파운드는 『반론 Riposte』지를 창간하고, "흄 시선집 The Complete Poetical Works of T. E. Hulme"을 부록으로 수록하였다. 물론 다섯 편의 단시가 고작이었지만, 
그 논문에는 파운드의 짧은 서문이 붙어있었다. 그는 "이미지스트들 Les Imagists"(그는 문학운동을 설명할 때 습관적으로 불어를 사용한다) 운명이 그 운동의 영속성에 달려 있으며, 
그들이 지금은 잊혀진 1909년 당시의 "이미지 학파 School of Images"의 후손이라고 주장하였다(아마도 소호(Soho)의 레스토랑 에펠탑에서 흄과 만났던 일단의 시인 그룹을 가리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파운드는 다시 그 용어를 헤리엇 몬로(Harriet Monroe)에게 보내는 편지에 소개하였는데, 
그녀는 이 새로운 학파를 『시 Poetry』의 11월 호에 소개하였다. 1913년 1월호에는 H. D.의 
시 다섯 편이 수록되었는데, 그 시에는, 파운드의 고집대로, 이미지스트 H.D. 라는 사인이 붙어 있었다. 파운드의 주석도 볼 수 있었다. 
"런던에는 젊은 이미지스트들의 학파가 있으며, . . . 그들의 강령은 바로 "정교함"이다.
" 1913년 3월, 『시』는 그 유명한 이미지즘의 원칙들과 정보들을 짤막하게 소개하였다(아이러니칼하게도, 이는 파운드가 『시』지에 대한 비판으로 작성한 것이었다). 
어쨌든 이 원칙들, 그리고 H. D.와 알딩턴의 예시를 통해, 운동은 성공적으로 미국의 풍토에 
심어질 수 있었다. 
 
파운드는 이미지즘의 시선집(anthology)을 출간하기로 결심한다다. 
그리고. 1913년 여름에 엘딩턴, H. D. 그리고 자신의 시들을 선별하고, 스킵위드(Skipwith), 캐널(Cannell), 에이미 로웰(Amy Lowell), 윌리암스(W. C.Williams), 죠이스(Joyce), 휘퍼(Hueffer), 
알렌 업워드(Allen Upward), 죤 쿠르노스(John Cournos)의 시를 각 한 편씩 추가하여, 
두꺼운 책을 꾸려내었다. 이 선집은 바로 뉴욕의 케림보그(Alfred Kreyborg)에게 보내져, 
『이미지스트 시선집 Des Imagistes: An Anthology(1914)』이라는 이름으로 출간되었다. 
 
그러는 동안 보스톤의 에이미 로웰(Lowell)이 이 운동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헤리옷 먼로((Harriet Monroe)의 말에 의하면, 로웰은 『시』의 1913년 1월호에서
 "이미지스트 H. D.의 시 몇 편을 읽었고, 갑자기 이렇게 외쳤다. 
"맞아, 나도 이미지스트야!" 
그해 6월 배를 타고 런던으로 건너가는 그녀의 손에는 먼로의 소개장이 들려있었다. 
파운드는 그녀의 시를 읽어보고 합격점을 주었다. 
 
다음 해 여름에 런던에 다시 나타났을 때, 그녀는 옛날처럼 고분고분하지 않았다. 
『시』지 4월 호에 자신의 시(대개 자유시) 8편이 첫머리를 장식하였고, 
두 번째 시집인 『칼날과 양귀비 씨앗 Sword Blades and Poppy Seed』이 교정 중에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녀는 이미지스트들의 시선집이 죠지안들의 성공을 능가할 것이라고 확신했고, 
향후 5년간 매년 시선집을 출간할 것을 이미지스트들에게 제안하였다. 
그녀는 필요하다면 출판비를 지불하겠다고까지 덧붙였다. 
하지만 첫 출간된 시선집에 자신의 시가 단 한 편밖에 실리지 않은 것을 알고는 발끈했다. 
 
그녀는 다음 시선집은 민주적이어야 하며, 필자들에게 동등한 지면을 할애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파운드에게는 어림도 어림도 없는 소리였다. 
예술은 결코 "민주적인 노천 까페"가 아니라는 것이 파운드의 생각인 것이다. 
하지만 불행히도, 에이미의 제안은 받아들여졌고, 1915년에 출판된, 『이미지스트 시인선』에는, 
알딩턴, H.D., 플린트, 에이미 로웰, 풀레쳐(John Gould Fletcher)그리고 D. H. Lawrence의 시가 
몇 편씩 실렸다. 이미지즘 운동은 이제 공식적으로 성공한 셈이 된 것이다. 
 
로웰양이 "민주적인" 시선집으로 스승을 괴롭히기는 했지만, 그 해 여름에 그녀와 파운드가 
헤어질 때의 분위기는 좋은 편이었다. 
하지만 앙금은 남아 있기 마련이다. 파운드는 그녀에게 재능이 부족하다고 생각했고, 
그녀 역시 그를 향해 냉소를 품고 있었다. 
그해 가을, Macmillan은 그녀의 시집, 『칼날과 양귀비 씨앗』을 출간하면서, 
다음과 같은 광고를 덧붙였다. "흥미롭고 독창적인 시를 지향하는 쓰는 현대시인 중에서, 
에이미 로웰보다 더 감동적이고 특별한 존재는 없다. 예이츠. 에즈라 파운드, 휘퍼를 포괄하는 
이미지스트 중, 그녀는 단연 독보적인 인물이다." 파운드는 이런 "개소리"를 그냥 넘길 수 없었다. 
 
그의 항의 편지는 단호하였다. "더이상 자신을 이미지스트 범주에 넣지 마시오." 
로웰양은 사실 그 광고에 개의치 않았다. 그녀의 답장은 간단하였다. 
"그것은 책을 팔기 위한 출판사측의 전략이었을 뿐입니다. 이곳에서는 흔한 일이지요." (그녀는 나중에 다시 편지를 썼다. "자신을 이기는 방법에 대해 당신이 알고 계신 건 완전히 꽝이네요.") 
시간이 흐를수록, 파운드의 눈에 이미지스트들의 시는, 점점 규범을 어기고, 감상적이며, 
느슨해져만 가고 있었다. 그는 그들을 에이미지스트(Amygists)라고 비난하였다. 
로웰의 입장에서 볼 때, 이제 자신과 파운드 사이의 적대감은 이제 어쩔 수 없는 것이었다. 
파운드가 비록 그녀의 시를 조잡하다고 평가하기는 하였지만, 
개인적으로는 그녀를 싫어한 것은 아니었다. 
적어도 엘리옷(Eliot)을 위한 재정지원 계획에 대한 기부를 그녀가 거부한, 1922년 전까지는 그랬다. 
 
그는 그녀에게 다음과 같은 편지를 보냈다. "이런 제기랄, 너 완전히 돈 거 아냐? 망할 년!" 
1928년에 그는 이미지스트들을 "돌대가리 집단"이라고 싸잡아 비난하였다. 
1914년 이후, 이미지즘 운동은 로웰이 주도하였다. 
『이기주의자 The Egoists』의 편집자인 리차드 엘딩턴은, "이미지스트 원년"(May 1. 1915)을 기재하는 것으로, 그 운동에 대한 지지를 표현하였다. 
같은 해 로웰은 뉴욕의 보수적인 영미시 학회에 이 새로운 학파를 소개하였고, 
그로 인해 그녀는 전투태세를 갖추어야 했다. 
그녀는 독서회를 개최하고, 강좌를 열고, 편집자, 평론가, 시집 출판업들을 교육시켰다. 
 
『신공화국 The New Republic』, 『시카고 이브닝 포스트 Chicago Evening Post』, 
『국가 Nation』, 『월간 대서양 Atlnatic Monthly』 등, 보수적인 잡지를 통해 
이미지즘에 대한 공격이 쏟아졌고, 그녀의 혈압도 올랐다. 하지만 그녀는 그들을 비난하지 않았다.
 "그래? 반대파는 어디에나 있잖아?" 독서회에는 로웰을 자주 이런 말을 하였다. 
"어떤 일이든 좋아요. 뭐든지 하세요!" 비판적인 공격은 변호를 낳았고, 
또 그 덕분에 이미지스트들의 이름은 어느 때보다도 유명세를 탈 수 있었다. 
1916년과 1917년에 이미지즘의 시선집이 연속으로 출간되었다. 
안타까운 것은 그걸로 끝이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비평가들이 현대시를 논할 때면, 이미지즘 학파는 곧잘 중요한 단계나 경향으로 평가되었고, 
이미지즘 류의 시들도 끊임없이 쓰여졌다. 
물론 세월이 흐르면서 이미지즘이 정확히 무엇인지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없어졌지만 말이다. 
 
이미지즘의 강령 
 
이미지즘의 원칙이 처음 공표된 것은 1923년 3월, 『시 Poetry』에 의해서였다. 
파운드가 작성한 그 원칙은 플린트의 이름으로 발표되었는데, 
이미지스트들을 인터뷰하는 과정에서 다음의 3가지 원칙을 발견할 수 있었다고 말하고 있었다. 
 
1. 주관적이든 객관적이든, 사물을 직접 다루어라. 
2. 주제와 관계없는 어떠한 시어도 사용하지 말라. 
3. 리듬은 메트로놈의 반복이 아닌 음악적 반복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목록으로 미루어 볼 때, 이미지즘이란, 파운드의 말대로, 
어떤 특정한 유파의 시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1908년에 런던에 온 이후, 
파운드가 (흄, 휘퍼, 예이츠 등에게서) 배운 "작시법"에 대한 명칭 같은 것이었다. 
예를 들어, 1916년에, 모든 시문학은 (이미지즘에 대한 어떠한 언급 없이) 다음과 같이 분류되었다. 
 
a. 간결성. 또는 가장 적고, 가장 분명한 어휘로 표현하기나 뜻을 전달하기. 
b. 창조 또는 구성에 대한 실질적인 필요성. 
독자를 감동시킬 목적으로 배열한 구체적 사물(또는 사실)을 위한 이미지 혹은 충분한 이미지 제시하기. 
 
다시 말해서 이미지즘의 역사적 중요성은 시학의 형성에 있지 않다. 
파운드가 자신의 생각을 발전시켰을 때, 전혀 이미지즘에 대한 언급이 없었으며, 
또 그 운동을 포기한 이후에도, 계속 그 원칙들을 고수하였기 때문이다. 오히려 그 명칭과 운동, 
그리고 이들이 유발한 논쟁이 이들 가치를 효과적으로 전파한 데에서 그 중요성을 찾아야 할 것이다. 
 
파운드가 효과적인 보편적 글쓰기의 원칙과 별개의 프로그램을 이미지즘에 부여하고 있는 한, 
그 중요성은 바로 "이미지"에 할당된 특별한 역할에서 찾아져야 할 것이다. 
물론 파운드가 정의한 이 단어는 지극히 모호할 따름이다. 
그가 같은 호『시』에서 말한 이미지란, "어느 한 순간에 지적이고 정서적인 총체를 드러내는 
어떤 것이며, . . . 일생동안 두꺼운 책을 출판하는 것보다, 하나의 이미지를 창출하는 것이 낳다"고 
말할 수 있는 무언가였다. 
당연히 독자들의 귀에는, "이미지의 원칙"을 따르지 않는 어떠한 것도 다 쓰레기일 뿐이라는 
주장으로 들렸다. 그런 쓰레기들은 독자들의 관심을 끌 수도 없고, 
기껏 쓸데없는 논쟁거리나 만들어낼 뿐이다. 
 
그밖에, 1913년 3월호에는, 파운드의 "이미지스트들의 금기사항"도 실려 있었다. 
그것은 이미지즘의 프로그램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예를 들어, "어떠한 의미도 같지 않는 수식어와 형용사의 사용금지," 
 
"추상적인 표현을 피할 것," 
 
"최선의 리듬으로 먼저 자신의 마음을 채우되, 가능한 한 외래어를 사용하여, 
단어의 의미로 인한 이미지즘의 붕괴를 피할 것,"
 
 "현학적이 되지 말것--그런 것은 철학 에세이를 쓰는 사람에게나 적합한 것임," 
 
"자신의 소재를 약강격(정형률) 속에 꾸겨 넣지 말 것" 등, 
이러한 훈령들은 매우 실용적일 뿐 아니라, 
파운드의 구어적인 표현방식 역시 커다란 힘을 발휘하였다. 
1914년의, 『이기주의자』 6월호에서, 엘딩턴은 이미지즘의 의미에 대해 다시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미지즘 운동의 전 역사 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문장은 바로 1915년의 이미지즘 시선집에 
부친 그의 "서문"이었다. 그는, 모든 위대한 문학이 아니라, 
 
"모든 위대한 시가 지녀야 할 6가지 원칙"을 나열하였다. 
 
1. 구어체를 사용하되, 언제나 정확한 단어만을 사용할 것. 
 
정확-비슷한 단어나, 수사학적인 언어는 결코 사용하지 말라. 
 
2. 새로운 분위기를 표현하기 위한, 새로운 리듬을 창조할 것. 
 
낡은 리듬에는 낡은 감성만이 있을 뿐이다. "자유시"를 시 창작의 유일한 수단이라고 주장하지는 않으나, 그것이 자유의 원칙임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시의 독창성을 위해 전통적인 형식은 피해야 한다. 
따라서 자유시의 선택은 필수적이다. 새로운 운율만이 시의 새로운 사 상을 가능하게 한다. 
 
3. 주제의 선택에 있어서 절대적인 자유를 허용할 것. 
 
비행기와 자동차 에 대해서 써야만 좋은 시가 되는 것은 아닌 것과 마찬가지로, 
과거 에 대한 이야기가 반드시 나쁜 시는 아니다. 우리는 현대생활의 예 술적 가치를 신봉하고 있다. 
하지만, 1911년도의 비행기만큼이나, 비창조적이고, 비현대적인 것 도 없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싶다. 
 
4. 이미지를 제시할 것(이미지즘이란 이름은 여기에서 유래된다). 
 
우리 가 화가 그룹은 아니지만, 시가 철저하게 개별성을 지향하여야 하 며, 
절대로 모호한 일반성을 다루는 것이 아님을 믿는다. 그 시가 아무리 장엄하고 반향력이 
크다 할 지라도 마찬가지이다. 범우주적인 시인을 거부하는 것은 바로 이런 연유이다. 
그들은 종종 자신들의 시가 지닌 진짜 문제를 외면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5. 견고하고 명료한 시를 쓸 것. 
 
모호하거나 불분명한 언급을 피할 것. 
 
6. 마지막으로 "압축 concentration"이 시의 본질임을 잊지 말 것. 
 
이 원칙은 느슨한 기술이나, 보수적인 태도를 겨냥하고 있다. 형용사와 서술어를 걷어치우고, 
그들은 농축되고, 적확하고, 구어적인 표현으로 제시된 이미지를 제시하려 노력한다. 
 
예를 들어, 매이스필드(Masefield)의 시, "서풍 The West Wind"의 느슨함 대신에 
서풍, 그것은 따뜻한 바람, 새들의 울음으로 가득한 바람, 
그 소리를 들을 때면, 내 눈엔 항상 눈물이 고이네. 
서쪽 땅, 오랜 갈색의 언덕에서 불어오기 때문이지 
서풍 속에 4월이 있고, 그리고 또 수선화가-- 
It"s a warm, the west wind, full of bird"s cries; 
I never hear the west wind but tears are in my eyes. 
For it comes from the west lands, the old brown hills, 
And April"s in the west wind, and the daffodiles-- 
엘딩턴의 "새로운 사랑 New Love"을 선호할 것이다. 
꽃이 진 후에 얻은 
그녀의 새로운 이파리들 
서리발에 긁힌 
작은 알몬드 나무같은 
She has new leaves 
After her dead flowers 
Like the little almond-tree 
Which the frost hurt. 
 
시대의 문제를 다루어야 한다는 당시의 빈번한 요구에 반대하여, 엘딩턴은 자신과 H. D.의 "헬레니즘(Hellenism)"을 단호히 옹호하였다. 
그는 "주제의 선택은 시인이 지녀야 할 절대적인 자유"여아 한다고 하였는데, 
이것은 후에 미래의 모더니스트들이 지지한 원칙이 되기도 하였다. 
시가 운율의 예술이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자유시를 합법화하면서도, 
운율을 거부하지 않는 전략을 택하였다. 전통시이든 아니면 자유시이든 관계없이, 
새롭고도 개별적인 분위기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리듬"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그가 특정 시인들과 창작 습관을 강력히 비판하였을 때, 그의 공격은 충분히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이 서문은 파운드에게 받은 영향이 너무나 커서 마치 그의 견해를 앵무새처럼 따라하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파운드의 초기 글과 비교해보면, 약간 세속화되었다는 차이가 있을 뿐이었다. 
"압축," "적확한 단어," 그리고 "견고하고 명료한" 문체는, 파운드의 두 번째 항목인,
 "주제와 무관한 단어는 절대로 쓰지 말 것(그리고 이것이 파운드의 견해의 핵심이다)" 만큼 
엄격한 원칙이라는 느낌이 들지 않았다. 
 
게다가, 비록 파운드는 "이미지"를 정확히 정의하지는 못하였지만, 
"구체적으로 제시된 총체(complex)"를 의미한 것만은 분명하였다. 
하지만 엘딩턴의 서문에서, 이미지의 개념은 보다 단순한 쪽으로 흘러가 고 있었다. 
그것은 "설명을 배제한 채, 분명하고도 신속하게 구체성을 제시하는 방법"에 지나지 않았다. 
이런 류의 이미지즘이라면 물론 훨씬 쓰기 쉬울 수밖에 없다. 
 
1915년대의 이미지즘 비판은 두 가지 중요한 문제를 거론하였다. 
그 하나는 자유시 논쟁이며, 자유시도 시인가? 라는 질문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리고 또 하나는 이미지즘의 영향이 지엽적일 뿐이라는 지적이 그것이었다. 
콘래드 에이큰(Conraqd Aiken)의 말처럼, 이미지스트들이 우리에게 보여준 그림은 별볼일 없었다. 
해변을 스치는 작은 돌풍, 늪지, 목장, 도시의 거리, 흩날리는 잎사귀들. 
물론 재미있고 충분히 암시적이다. 하지만 기껏해야 멋진 표현일 뿐이다. 
매우 감각적이며, 귀를 간질이기도 하고, 볼거리를 제공하기도 한다. 
하지만 구조적인 측면에서 그들이 해놓은 것은 아무것도 없다. 
 
아무도 이제는 이미지즘의 장시를 쓸 수 없었다. 구체적인 문제는 사라져 버렸고, 
이제는 논쟁 자체가 이미지즘의 강령을 더욱 모호하게 만들 뿐이었다. 
물론 이미지즘의 수호자가 바로 에이미 로웰이기 때문이었다. 
그녀의 기질은 이론적이 아니라, 정치적이었고, 수많은 정치가들처럼, 
그 바닥에서 살아남기 위해 이미지즘의 강령과 타협할 수밖에 없었다. 
『현대 미국시의 경향 Tendencies in Modern American Poetry』에서, 
그녀는 이미지즘의 원칙을 "언어의 단순성과 직접성" 리듬의 섬세함과 아름다움, 
사상의 사적(私的) 자유, 표현의 구체성과 생생함, 그리고 압축"이라고 정의한 바 있다. 
이런 일반적인 원칙에 시비 걸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그 원칙들에 감명을 받을 사람도 없다. 
불과 몇년 전에 파운드의 웅변은 많은 사람들과 많은 논쟁거리를 불러들였었다. 
 
(이미지즘은 모더니즘의 부류,대표적인 시인은 에즈라 파운드. T.S 에리어트<황무지> 
우리나라 시인으로는 김광균<와사등> 노향림 시인을 예를 들수 있겠다.
 
출처,네이버동백문학,갈매기님
 
 

파일 [ 1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76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76 은유시학 – 홍문표 2022-02-22 0 731
75 현대시 주제별 정리 2022-02-04 0 712
74 뜻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500개 2022-02-03 0 1271
73 사자성어 2000 모음집 2022-02-03 0 544
72 동의어사전 / 유의어사전 2022-01-08 1 8463
71 반대말 사전 모음 2022-01-08 0 6455
70 수사학 그리고 은유와 환유 2021-05-19 0 1109
69 은유의 현대적 개념【퍼온 글】 2021-05-19 0 1115
68 시를 공부할 때 자주 만나는 용어 2019-12-22 0 1652
67 상징적 이미지 - 홍문표 2019-12-14 0 1237
66 이미지와 상징 그리고 언어 / 김 잠선(철학 ) 2019-10-24 0 1205
65 사자성어와 고사성어 모음 2019-07-12 0 2472
64 은유의 종류 2019-07-12 0 1476
63 병치은유와 치환은유 2019-07-12 0 1388
62 비유의 종류 2019-07-12 0 1492
61 이미지와 비유와 상상력의 결합 2019-07-12 0 1327
60 속담 4000개 2019-06-18 0 7766
59 고사성어 사전 2019-06-18 0 1227
58 순수 우리말 사전 2019-06-18 0 1265
57 이미지, 상상, 비유 / 신 진(시인, 동아대 명예교수) 2019-06-17 0 1401
‹처음  이전 1 2 3 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