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로고
고려성의 머리없는 장군
조글로미디어(ZOGLO) 2015년8월11일 14시51분    조회:2363
조글로 위챗(微信)전용 전화번호 15567604088을 귀하의 핸드폰에 저장하시면
조글로의 모든 뉴스와 정보를 무료로 받아보고 친구들과 모멘트(朋友圈)로 공유할수 있습니다.
 김호림 특별기고

  (흑룡강신문=하얼빈) 양세봉(梁瑞鳳)은 약 80년 전 남만주 일대를 주름 잡았던 항일장령이다. 그가 희생했을 때 조선인들은 다들 “별”이 하늘에서 떨어졌다고 한탄했다고 한다. 약간은 이상하게 비쳐질지 모르지만, 현지에서 이 “별”을 만나기 위해 우리가 찾은 사람은 심양의 길씨 성의 사업가였다.

  사실상 양세봉의 발자취를 찾는 사람들은 거개 이 사업가를 현지 안내인으로 삼고 있었다.

  그럴 법 했다. 양세봉은 예전에 료녕성 흥경현(興京縣) 일대에서 항일투쟁을 벌였다. 흥경현은 훗날 신빈현(新賓縣)으로 개명했다. 이 때문에 길씨는 양세봉에게 남달리 친숙한 감정을 지니고 있었다.

  “저의 부친의 고향이 바로 신빈현이지요.”

  나중에 이 인연이 빌미가 되어 길씨는 양세봉 기념비를 그가 신빈현 왕청문(旺淸門)의 매입한 산에 세우기에 이른다.

  왕청문은 심양 시내에서 200여㎞ 상거했다. 왕청은 만족말로 보루라는 의미이며, 왕청문은 유조변(柳條邊)에 수축한 왕청의 변문(邊門)을 말한다. 유조변은 청나라 때 만족의 용흥(龍興) 발상지를 보호하기 위해 버드나무를 심어 만든 구역 계선이었다.

  왕청문 일대를 흐르는 강 이름이 바로 푸르강(富爾江)인데, 만족말로 버드나무가 있는 강이라는 의미이다.

  푸르강 기슭을 따라 달리던 차가 먼저 멈춘 곳은 왕청문 화흥(化興)중학교의 옛터였다.

  화흥중학교는 그제 날 국민부(國民府)의 대표적인 교육기구였다. 국민부는 1929년 조직된 조선인들의 항일독립운동단체로, 1925년 이래 남북 만주에서 활약하던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를 통합해 흥경에 본부를 두고 있었다. 교육활동은 국민부가 가장 주력했던 사업인데 촌에는 서당, 구에는 소학교, 지방에는 중학교를 설립하여 인재를 양성하였다. 양세봉의 동생도 화흥중학교에서 공부했다고 한다.

  화흥중학교는 또 사령관 양세봉이 한때 조선혁명군(국민부 산하 독립군) 사령부를 세웠던 곳이다. 그래서 양세봉의 최초의 조각상은 화흥중학교의 옛터에 세워졌다고 한다. 이 옛터는 지세가 낮아 비가 오면 물이 흠뻑 고였다. 이때면 양세봉의 조각상도 물 가운데 서글프게 홀로 서있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누군가 학교청사를 매입한 후 양세봉의 조각상을 외면했으며 양세봉의 조각상은 더구나 쓰레기 무지에 버려지다 시피 했다.

  이 사정을 알게 된 길씨가 부근의 산 하나를 매입한 후 양세봉의 조각상을 양지바른 비탈에 이전했던 것이다.

  항일의 총성이 제일 먼저 울린 곳

  차는 이도구(二道溝)의 한 골짜기에 잠깐 머물렀다. 길씨의 건축회사 건물 하나가 이곳에 있었다. 회사 광고를 하는 게 아닐지 했는데, 실은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 사령부가 자리하고 있었던 유명한 곳이었다.

화흥중학교 옛터에 세워져 있는 왕청문조선족 중학교와 소학교.사진 전정혁 제공

  대한통의부는 1922년 만주에서 설립된 항일독립운동단체로, 훗날 참의부, 정의부 등에 흡수되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산하에 들어갔다. 골짜기 어구의 달라자(大砬子)에서 3,4리 정도 들어가면 아직도 그제 날의 연자방아 등 유물을 발견할 수 있다고 한다. 달라자는 만족말로 벼랑바위라는 뜻이다.

  “통의부의 신팔균(申八均)이 바로 이 골짜기에서 습격을 받아 숨졌지요.” 동행한 민간 사학자 전정혁(全正革)이 이렇게 설명했다.

  신팔균(1882~1924)은 김좌진 등과 함께 만주를 무대로 항일독립투쟁을 벌였던 유명한 인물이다. 그는 1924년 통의부 의용군 사령관으로 취임, 이해 여름 이도구의 골짜기에서 의용군을 인솔하여 야외 군사훈련을 하고 있다가 일본의 사촉을 받은 군벌 장작림(張作霖)의 습격을 받아 희생되었다.

  기왕 말이 났으니 말이지 전정혁은 일행이 이번 취재 길에 만난 또 하나의 인물이다. 그의 이름에는 “양세봉장군 자료전시관 관장”이라는 직함이 따르고 있었다. 그와 양세봉의 인연은 지식청년으로 하향을 했던 196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잔치 같은 모임이면 노인들이 종종 노래를 불렀는데요, 난생 처음 듣는 노래였지요.”

  나중에 알고 보니 옛날 독립군이 부르던 노래였다고 한다. 노인들은 노래 뒤에 또 양세봉 등 독립군 인물의 이야기를 담배 연기와 함께 피어 올렸다. 지난 세기 80년대 초 전정혁은 연변예술학교에서 계통적으로 음악공부를 하며 귀향 후 옛 악보를 수집하면서 “독립군 용진가” 등 항일노래를 새롭게 접하게 된다.

화흥중학교 옛터에 세워져 있는 왕청문조선족 중학교와 소학교.사진 전정혁 제공

  이 무렵 양세봉 등 독립군 인물과 접촉을 가졌던 당사자들은 고령으로 일부 세상을 떠나고 있었다. 옛 사료 수집의 긴박성을 느낀 전정혁은 단연히 사재를 털어 답사의 길에 나선다. 그때 통장에 있던 예금 5천원을 전부 해지한 일은 30년 동안의 답사생애에 남긴 에피소드의 하나였다.

  “지청구를 많이 들었어요. 노친이 딸애에게 피아노를 사주겠다고 한푼 두푼 어렵게 모은 돈이었지요.”

  각설하고, 대한통의부 의용군과 그 후의 국민부 조선혁명군이 모두 왕청문 일대에서 활약상을 벌인 데는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 흥경현은 조선인들이 약 2만명 살고 있는 지역으로, 독립군의 병력과 후방보급 등을 지원할 수 있었다. 더구나 왕청문 일대에는 조선족마을이 적지 않게 산재하고 있었다.

  전정혁이 왕청문조선족중학교 교원으로 있던 1970년대 말에도 학생은 무려 600명이나 되었다고 한다. 왕청문조선족중학교는 중심소학교와 더불어 옛 화흥중학교 건물을 그대로 사용했는데, 1990년대부터 학생이 급격히 줄어들어 종국적으로 2003년 경 폐교했다.

  1931년, “9.18” 사변이 일어난 후 동북 각 계층의 민중들은 자발적으로 각종 무장을 조직하여 항일의 길에 나섰다. 지역적으로 동북 3성의 의용군 특점을 요약한다면 요녕성에서 먼저 흥기하고 길림성지역의 전투력이 비교적 강하며 흑룡강성의 영향력이 제일 크다. 항일독립무장 조선혁명군은 이에 앞서 일찍 1929년 4월 조직되며 남만주 일대에서 항일독립활동을 전개한다.

  양세봉은 청년시대부터 항일활동에 투신하지만, 1932년 조선혁명군 사령관으로 추대된 후 비로서 빛을 크게 발한다. 이때 그는 동북의 반만항일(反滿抗日)의 세력과 연합하여 한중 연합작전을 이끌며 중국의 항일투쟁사에서 마멸할 수 없는 큰 획을 긋는다.

 
  이도구를 지난 차는 인차 또 하나의 골짜기 어구에 접어들었다. 산비탈에 세운 하얀 조각물이 푸른 산을 배경으로 시야에 유표하게 안겨왔다. 멀리 동쪽에는 양세봉의 고국 조선이 있었고, 바로 산기슭을 흐르는 푸르강의 맞은쪽에는 고구려인이 세운 옛 산성이 있었다.

  고려성에 묻힌 조선인 장군

  일제는 항일무장을 일거에 소멸하기 위해 1934년부터 동북에서 이른바 “치안숙정(治安肅正)”을 전개하는데, 남만과 동변도(東邊道)는 일본 치안숙정의 중점이었다. 봉천(奉天, 심양의 옛 이름) 일본영사관 총영사 후쿠시마(福島)는 반일무장을 “소탕”할 계획서에 “먼저 양세봉을 소멸하고 이어 왕봉각(王鳳閣, 요녕민중자위군 지휘관) 을 포위, 숙청하며 나중에 공비 양정우(楊靖宇, 동북항일연군 지휘관)를 토벌”할 것을 밝혔다.

  일본군은 이 계획에 따라 산하의 특무조직을 이용하여 별호 “아동양(亞東洋)”이라는 반역자를 매수한다. “아동양”은 예전부터 교분이 있던 양세봉에게 접근하여 “산림대의 개편”이라는 미끼를 던졌다. 그는 미구에 개편을 위해 산림대 숙영지로 향한 양세봉에게 암살행동을 시행했다.

 

1990년 김효순 할머니를 인터뷰한 전정혁.

  “실제로 양세봉장군이 반역자의 총을 맞아 숨진 곳은 여기가 아닙니다.” 전정혁은 조선혁명군 통신원이었던 이원태(李元泰)의 증언을 이야기했다.

  이원태는 양세봉이 왕청문 소황구(小荒溝)에서 북쪽으로 3,4백미터 상거한 수수밭에서 반역자의 총을 맞았다고 인터뷰에서 밝혔다. 나중에 전정혁은 이원태의 이 증언을 바탕으로 양세봉이 총격을 당했던 곳을 확인했다. 그곳은 소황구에서 길림성의 통화(通化)와 신빈으로 가는 갈림목이었다.

  양세봉은 총격을 받은 후 10여리 밖의 조선인마을 향수하자(响水河子)에 운송되며, 이 마을에서 구급을 받다가 운명했다고 한다.

  “양세봉장군이 최초로 묻힌 곳도 향수하자가 아니지요.”

  양세봉의 시신은 나중에 흑구(黑溝)산성 남쪽 산비탈의 김도선(金道善)의 집에 운구되어 조문을 받고 추도식을 거행한 후 산성 안에 묻혔다. 흑구산성은 1,500년 전의 고구려 산성으로 약칭 고려성이라고 불린다.

  일본 군경은 양세봉이 묻힌 이튿날로 밀고자를 앞세워 김도선의 집에 들이닥쳤다. 그들은 양세봉의 시신을 파낸 후 작두로 목을 잘라 그의 두골을 갖고 갔다. 이때 작두로 목을 자르는 것을 거부했던 김도선은 현장에서 일본군이 쏜 5발의 탄환을 맞아 숨졌다고 한다.

  이 이야기는 1990년 무렵 김도선의 차녀 김효순(金孝順)이 전정혁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김효순은 또 양세봉의 묘소 등 현장을 전정혁에게 직접 확인해줬다. 그때 김효순은 70여세의 고령이었는데, 고려성 부근의 쌍라자(雙砬子)에서 살고 있었다.

  “김효순 할머니는 양세봉장군의 옛 묘소에 도착하기 전에 하얀 치마저고리를 바꿔 입는 거예요.”

  반세기가 지나도록 양세봉에 대한 김효순 노인의 공경한 자세는 전정혁에게 지울 수 없는 인상을 남겼다.

  김효순은 물론 장남 김효직(金孝稷)도 조선혁명군의 비밀 통신원이었다. 김효직은 또 조선혁명군의 예비청년군 일원이었다. 부친 김도선은 양세봉으로부터 “큰형”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김씨의 가문은 조선혁명군과 조직적으로는 물론 개인적으로도 깊은 관계를 맺고 있었던 것이다.

  당시 김효순은 집 마당에서 양세봉 시신의 머리가 잘리고 부친이 총을 맞아 숨지는 처절한 정경을 두 눈으로 목격해야 했다.

  양세봉의 머리 없는 시신은 훗날 고려성에서 약 8리 상거한 삼도구(三道溝)의 길옆에 묻힌다. 그때 조선혁명군 대원들은 무덤 앞에 “독립군 사령관 양세봉”이라고 밝힌 나무비석을 세웠다고 한다.

  양세봉이 희생된 후 조선혁명군은 세력이 급격이 약화되며 1938년에 결국 해체되고 말았다. 와중에 조선혁명군의 상당수의 대원들은 동북항일연군 제1군에 편입되거나 기타 항일단체가 조직한 항일무장에 가입했다.

  아직 끝나지 않은 이야기

  1961년 양세봉의 유골은 조선에 이장, 애국열사릉에 묻히며 흉상 비석이 섰다. 1962년 한국 보훈처는 양세봉에게 독립훈장을 수여했다. 현재 한국 국립현충원에도 시신이 없는 묘소가 세워져 있다.

  1995년, 양세봉이 활동하던 지역인 왕청문에 양세봉 조각상이 설립되었다. 조각상의 이름은 “항일명장 양세봉”이었다. 훗날 산으로 이장된 양세봉의 조각상 부지는 동북항일연군 역사와 항일전쟁사의 조사연구기지로 되며 애국주의교육시범기지로 명명된다.

  솔직히 조선인 항일독립투사가 이렇듯 중국과 조선, 한국 등 3국에서 동시적으로 추앙을 받는 사례는 그리 많지 않다.

  어쩌면 양세봉이 “하늘의 별”로 추앙을 받을 만큼 거물급 인사이여서 그럴지 모른다. 길씨가 밝힌 양세봉 조각상의 비화는 말 그대로 한 편의 소설을 방불케 하고 있었다.

  양세봉의 조각상을 산으로 이전한 후 현지 정부 등은 날짜를 잡아 위령제를 지냈다고 한다. 웬 일인지 그날 새벽부터 하늘에서 비가 장대처럼 쏟아져 내렸다. 아침 일찍 심양을 떠난 길씨 일행은 제사를 지낼 수 없을까봐 근심이 자오록했다. 아니나 다를까, 조각상 부근에 이르니 주변의 산위에서 검은 구름이 뭉게뭉게 피어오르고 있었다.

  “그런데 조각상 주변만은 비가 한 방울도 안 내리는 거예요.” 길씨는 지금도 그때 그 일은 분명히 장군의 신통력이 천지에 감응했기 때문이라고 굳게 믿고 있었다.

  “제사가 끝나니 그제야 비가 기다린 것처럼 막 쏟아지는 겁니다.”

  이 이야기는 길씨가 지어낸 거짓말이 아니라고 전정혁이 재삼 증언했다. 그는 이번 걸음에 무궁화 한 송이를 조각상 뒤쪽의 밭에 정히 심었다. 얼마 전 바다 건너 한국에서 일부러 갖고 왔다고 한다. 그는 “관직”을 달고 있는 “양세봉장군 자료전시관”은 바로 조각상 앞쪽의 평평한 곳에 서게 된다고 한다. 전시관은 아직 경비 부족 때문에 그대로 방치, 건물을 짓지 못하고 있었다.

  정작 전정혁의 아쉬움은 거기에 있지 않았다. “지금도 양세봉장군의 두골을 찾지 못하고 있어요.”

  당시 일본군은 양세봉의 두골을 통화 등 지역에 효시, 그들의 혁혁한 전과를 자랑했다. 그 후 양세봉의 두골은 어디론가 방치되며 그때부터 행방불명이 되었다고 한다.

  사진을 찍다말고 부근에서 작업을 하는 인부들에게 이것저것 물었다. 놀랍게도 조각상 주인의 이름이 뭔지 잘 모르고 있었다. 갑자기 머리 없는 장군의 모습이 푸르강의 물결처럼 밀려와 버들가지로 가슴을 아프게 두드렸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248
  • (연길 도심 남쪽에 위치한 연변예술극장, 80여년전 이곳에 연길감옥이 있었다.)   2013년 5월, 연길 도심 남쪽에 위치한 연변예술극장(延邊藝術劇場) 주변이 갑자기 시끌벅적해졌다. 낡은 집 개조공사를 벌이던 현장에서 불현듯 녹이 뻘겋게 쓴 족쇄가 발견된 것이다. 주변의 분위기와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이 섬뜩한...
  • 2015-08-16
  • 1940년, 홍기하(紅旗河)의 기슭에서 역사에 회자되는 큰 전투가 발생했다. 일본 마에다(前田) 토벌대가 항일부대의 매복습격을 당해 많은 사상자를 내는 것이다. 홍기하는 두만강 상류에 있는 작은 지류이다. 연변박물관 김철수(金哲洙) 전 부관장은 연변지역의 항일투쟁사에 연구가 깊은 사학자다. 그는 홍기하전투는 아주...
  • 2015-08-16
  • 臨政 참여한 기독교 인사들, 日帝 만행 알리려고 작성 1919년 국내에서 선교하던 에비슨에게도 보내져 후손들이 간직하다가 증손녀가 연세대에 기증 뒷면 영문 호소문은 서재필 박사가 번역 추정 "슬프다 우리 한국이 피를 뿌리며 눈물을 머금고 세상에 호소하오니 (…) 인류의 행복을 도모하시는 여러분은 유력한 협...
  • 2015-08-14
  • 105년 동안 하나의 이름으로 살지 못한 겨레 통일 이후 남북은 어떤 나라 이름을 가져야 할까요? 지난 1992년 이후 정기적으로 남북을 오가면서 의학과 학술 교류를 진행하고 있는 재미 동포 정형외과 의사 오인동 박사가 최근 이에 대한 바람직한 답을 찾아냈다고 합니다.   오 박사는 통일된 국가의 이름으로 '...
  • 2015-08-14
  • ▲ 조마리아 여사 유해는 어디에… 한국인의 묘로 확인 또는 추정되는 14기의 묘가 있는 중국 상하이 송경령능원 내 만국공묘. 박은식 선생 등 7명의 유해가 고국으로 봉환됐다. 징안쓰 만국공묘에 있던 안중근 의사 모친 조마리아 여사, 부인 김아려 여사, 동생 안정근 여사 유해는 이장 과정에서 상하이 내 외...
  • 2015-08-14
  • 이민사 150년 최우선 가치는 인권의식에 기초한 인간존중의 인문정신 대한민국은 지난 70년간 일제 강점으로부터의 해방, 1948년 건국, 1950년부터 3년간 펼쳐진 6·25 전쟁 등 아픈 역사를 극복하고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발판 삼아 눈부신 성장을 이루어 왔다. 광복 이후 70년의 위대한 여정은 이승만 박정희...
  • 2015-08-14
  • 더 편리해진 뉴스공유, JoinsMSN 뉴스클립을 사용해 친구들과 공유하세요 고종이 러시아 니콜라이 2세 황제에게 을사조약 석달 전인 1905년 8월 22일 보낸 친서. ‘한국 황제의 친서’라는 제목의 10장짜리 문서에서 고종은 “일본의 독립 말살 행위는 불법”이라고 고발했다. 외교가 힘이다 구한말 구...
  • 2015-08-12
  •  김호림 특별기고   (흑룡강신문=하얼빈) 양세봉(梁瑞鳳)은 약 80년 전 남만주 일대를 주름 잡았던 항일장령이다. 그가 희생했을 때 조선인들은 다들 “별”이 하늘에서 떨어졌다고 한탄했다고 한다. 약간은 이상하게 비쳐질지 모르지만, 현지에서 이 “별”을 만나기 위해 우리가 찾은 사람은 심양...
  • 2015-08-11
  • 중국 문인 징메이주가 1941년 한국광복군 기관지에 기고한 '의사행' 1~3편 징메이주, 1941년 한국광복군 기관지에 한인애국단 헌시 기고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의사는 아무 일 없는 듯 폭탄을 가슴에 안고 인파 사이를 헤쳐 나가/…/의사는 손을 들어 폭탄을 투척하네/…/중화의 건아들아 부...
  • 2015-08-10
  •           그녀의 일본 이름은 가미오찌노미쯔꼬, 1937년 1월 4일, 일본 후꾸시마껜 이시가와군의 한 평민가정에서 출생.   1941년 부모를 따라 흑룡강성 밀산시에 와 살았다.8세때 '8.15광복'이 오자 일본으로 피난도중 부모와 동생을 잃고 오빠에게도 '버려&...
  • 2015-08-08
  • 본사소식 7월 31일, 주심양한국총령사관 대련출장소에서 주최하고 대련시한국인(상)회, (한)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대련지회에서 협찬한 "안중근의사 유해 발굴을 위한 방안 모색" 세미나가 중한 량국의 교수, 대련 소재 부분 기업인들과 대련국제학교 학생들이 참석한 가운데 대련부려화호텔에서 진행됐다.   ...
  • 2015-08-06
  • 동북항일련군 박물관 기본 전시로 “항전 14년-동북항일련군 력사진렬”이 다년간의 준비단계를 거쳐 8월 1일 공식 개방되였다. 전시는 9.18사변 폭발로부터 구쏘련 홍군의 동북 진입기간까지 동북항일련군 전사들이 중국공산당의 령도아래 침략군과 생사박투를 벌이고 민족 울타리를 지켜낸 력사적 증거물들이다...
  • 2015-08-03
  • (베를린=연합뉴스) 고형규 특파원 = 독일 나치 정권이 원자폭탄 개발을 눈 앞에 뒀었다는 오래된 스토리를 다시 한 번 뒷받침하는 증언들이 나왔다. 독일 제2공영 ZDF TV는 최근 나치 과학자 보고와 목격자 진술 등을 토대로 방영한 다큐멘터리에서 나치 정권이 2차 세계대전 종전 직전 비행접시에 실어나르는 방식의 원자...
  • 2015-07-31
  •   1938년 7월 30일, 일본군은 장고봉의 쏘련군진지를 향해 진공을 개시하고 3일 새벽에 장고봉과 장군봉을 점령하였다. 지금으로부터 77년전인 1938년 7월하순, 연변 훈춘 방천에 있는 장고봉(张高峰)에서 일본군과 쏘련군간의 치렬한 전투가 일어났다. 이는 우리 나라에서 외국군대가 들어와 다른 외국군과 국경...
  • 2015-07-30
  • 70년대 발견된 그리스 왕릉 유골의 정체가 40년 만에 밝혀져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은 최근 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교와 트라키아 데모크리투스 대학교 연구진이 1977년 발견됐던 그리스 왕릉에 안치된 유골을 알렉산더 대왕의 부친 필리포스 2세의 것으로 결론 내렸다고 20일(현지시간) 보도...
  • 2015-07-21
  • (선양=연합뉴스) 홍창진 특파원 = 조선족의 파란만장한 중국 이민사를 한눈에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가 올해 안에 완간된다. 명말청초인 17세기 초 중국에 정착하기 시작한 조선족은 1952년 연변자치주 설립까지 400년에 걸쳐 험난한 근현대사를 온몸으로 겪어낸 역사를 갖고 있다. 항일무장독립투쟁과 국공내전 과정에서는...
  • 2015-07-21
  • 原标题:战火熔铸的光辉人生 【英模小传】毛岸英,湖南韶山人,毛泽东长子,生前系中国人民志愿军司令部俄语翻译和秘书。1946年,毛岸英参加苏联卫国战争后回到延安,同年加入中国共产党。在解放区搞过土改,做过宣传工作,当过秘书。1950年,毛岸英主动请求奔赴抗美援朝战场。11月25日,美军轰炸机突然飞临志愿军司令部上...
  • 2015-07-14
  •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사람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다. 하지만 콜럼버스보다 2800년 앞서 미 대륙을 탐험한 중국인들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콜럼버스가 1492년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것보다 2800년 앞서 중국인들이 먼저 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했다는 증거라고 존 러스캠프가 제시한 그림. 사진=데일리메일....
  • 2015-07-12
  • [수교 50년, 교류 2000년 한일, 새로운 이웃을 향해]수성(水城)과 다자이후 다자이후 뒷산에 있는 대야성 흔적. 산허리를 따라 돌을 쌓아 성벽을 만든 전형적인 백제식 산성이다. 지금은 다 허물어지고 몇백 m 구간만 흔적이 남아 있다.   663년 백강전투에서 치명적 피해를 입은 왜(倭)는 이후 나당연합군의 공격에 ...
  • 2015-07-06
  •   이 세상의 수많은 이야기, 그가운데는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고 반드시 알아야 할 이야기가 있다. 오늘은 인생의 황혼녘에 선 갑삭한 88세 로인의 묵직한 이야기를 풀어보려 한다. 60년만에 빛을 본 편지 2000년 청명, 룡정시 개산툰진의 김문필옹(당시 73세)은 해마다 그래왔던것처럼 안해 강금자씨(올해 81세)가 정...
  • 2015-07-01
‹처음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