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로고
9세기 아랍 지리학자 “중국 맨 끝 너머에 신라가 있다”
조글로미디어(ZOGLO) 2021년6월11일 14시26분    조회:100
조글로 위챗(微信)전용 전화번호 15567604088을 귀하의 핸드폰에 저장하시면
조글로의 모든 뉴스와 정보를 무료로 받아보고 친구들과 모멘트(朋友圈)로 공유할수 있습니다.

불과 한 세기 반 전만 해도 서양에선 우리나라를 ‘고요한 아침의 나라’ 혹은 ‘은자의 나라’라고 불렀다. 세계 10위권 경제 대국으로 성장해 온갖 나라와 교역하고 있는 오늘날과 비교하면 매우 놀라운 일이다. 과연 한반도는 고대 이래로 유라시아 대륙을 이어준 실크로드와 단절된 채 우물 안 개구리처럼 살아왔던 것일까.
 

 

삼국시대부터 지속적 문물 교류
서역 유리·금세공 기술 받아들여
몽골은 고려를 ‘솔랑가’로도 표기
마테오리치 지도에 ‘조선’ 첫 등장

중세 아랍 지리학자 이드리시가 만든 ‘이드리시 세계지도’(1154). 왼쪽 상단에 신라로 추정되는 나라가 표기돼 있다. [사진 미국 의회도서관]

중세 아랍 지리학자 이드리시가 만든 ‘이드리시 세계지도’(1154). 왼쪽 상단에 신라로 추정되는 나라가 표기돼 있다. [사진 미국 의회도서관]

실크로드 역사를 살펴보면 한반도는 유라시아 교류 네트워크에서 결코 고립된 지역이 아니었다. 실크로드 동쪽 끝에 있었다는 지리적 한계는 분명했지만, 서방으로부터 흘러들어온 문물이 부단히 한반도를 적셔왔다. 유럽이나 서아시아에서도 중국이라는 제국 너머에 있는 한반도를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었고, 우리도 중국 너머 서방 세계와 미약하나마 접촉을 유지하고 있었다.
 
섬 6곳에 신라로 보이는 ‘(min) al-Sila’가 적혀 있다.

섬 6곳에 신라로 보이는 ‘(min) al-Sila’가 적혀 있다.

신라 도읍 경주에서 출토된 유물은 이런 사실을 웅변으로 말해준다. 예를 들어 4~6세기 지배층 무덤에서 많은 유리 제품이 나왔는데, 재료나 제작기법 혹은 양식으로 볼 때 그 상당수는 지중해 동부 연안이나 페르시아에서 만들어진 ‘로만 글래스’가 수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장식 보검·금팔찌·금관 등 장신구의 금세공 기술과 모티프 역시 서아시아나 중앙아시아에서 전래한 것이다.
 
신라 처용은 서아시아 무슬림의 후예?
 
통일신라 시대에 들어서면 서구와의 접촉을 시사하는 문헌 기록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삼국유사』에는 8세기 후반 하서국(河西國) 사람에 대한 언급이 나오는데, 이곳이 정확하게 어디인지 알 수 없지만 현재 중국 간쑤성(甘肅省)에서 신장성(新疆省)으로 이어지는 실크로드 연변의 어느 지역으로 추정된다. 최치원은 ‘향약잡영(鄕樂雜詠)’이라는 글에서 ‘속독(束毒)’의 무용에 대해 언급했는데, 이는 중앙아시아 사마르칸트 부근의 지방인 소그드(Soghd)를 가리킨다. 이용범·정수일 같은 학자는 신라 설화의 주인공인 처용(處容)에 대해서도 9세기 말 서아시아 무슬림이 바다를 거쳐 신라에 도래한 사람일 것이라고 추정했다. 실제로 경주 용강동 고분에서 출토된 토용(土俑)들은 얼굴 모양과 수염 모습이 중앙아시아나 서아시아인을 묘사한 것으로 보인다.
 
 


‘곤여만국전도’(1602)에 등장한 조선.

서방에서도 신라를 알고 있었다. 9세기 무렵부터 아랍권 문헌에 신라에 대한 언급이 자주 보이기 시작한다. 아랍 지리학자인 이븐 후르다드비가 쓴 글에 “중국의 맨 끝 깐수라는 곳의 맞은편에 신라(al-Silla)가 있다”라는 대목이 나타난다. 그의 기록은 이후 많은 무슬림 지리학자들에게 그대로 전달됐는데, 흥미롭게도 신라는 중국 너머의 바다에 있는 섬으로 인식됐다. 알 이드리시(al-Idris)가 그린 세계지도에 신라가 여섯 개의 섬으로 표시돼 있다.
 
하지만 신라의 정확한 실체는 아직 베일에 가려져 있었다. 12세기 초 페르시아 지방의 서사시 ‘쿠쉬나메(Kushname)’에 중국 연안에 있는 ‘바실라(Basila)’ 섬이 등장하는데, 이희수 교수는 이것이 신라를 가리킨다고 주장한다. 이게 사실이라면 앞서 말했듯이 9세기 이래 신라를 섬이라고 여겼던 아랍인의 판단이 그대로 투영된 셈이다.
 
경주 황남대총에서 나온 유리병(국보 193호). 지중해 일대에서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경주 황남대총에서 나온 유리병(국보 193호). 지중해 일대에서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아랍-페르시아인은 신라라는 나라를 주로 해로를 따라 중국을 왕래한 상인을 통해 전해 들었을 것이다. 하지만 한반도는 육로를 통해서도 서방에 알려졌다. 북방 초원 유목민 돌궐인들은 8세기 전반에 자신들의 문자로 비문들을 새겨서 남겼는데, 거기에 ‘뵈클리(Bökli)’라는 명칭이 보인다. 돌궐의 군주가 사망했을 때 여러 나라에서 조문 사절단을 보냈는데, 그중에 동쪽 해가 뜨는 곳에 있는 뵈클리의 군주(카간)도 사신을 보냈다는 내용이다. 이 말의 어원은 논란이 많지만 대체로 고구려로 보는 학자들이 많다.
 
한반도 주민들은 몽골 초원 너머 중앙아시아까지도 알려졌다. 현재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 도시 외곽에는 몽골인의 침입으로 폐허가 된 구도시, 즉 아프라시압 언덕이 있다. 그곳에서 7세기 중반경의 것으로 추정되는 궁전 벽화가 발견됐는데, 한반도에서 간 것으로 추정되는 두 명의 사신이 묘사돼 있다. 머리에 새 깃털이 꽂힌 조우관(鳥羽冠)을 쓰고 허리에는 환두대도(環頭大刀)를 차고. 또 손을 소매 안에 가지런히 모아 넣은 모습이다. 여러 논란이 있기는 하지만 고구려에서 파견한 사신으로 보는 견해가 우세하다.
 
10세기 한반도에는 고려 왕조가 들어섰다. ‘코리아(Korea)’의 기원이 된 고려가 서방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서방 문헌에 고려가 확인된 것은 이보다 조금 뒤늦은 13세기 중반부터다. 몽골 제국이 유라시아 대부분을 정복하게 되자 위협을 느낀 유럽이 사신들을 동방으로 파견했다. 1240~50년대에 몽골리아를 방문한 수도사 카르피니(Carpini)나 루브룩(Rubruck) 등이 여행기를 남겼는데, 거기에 처음으로 ‘카울레(Caule)’ 혹은 ‘카울리(Cauli)’가 등장한다. 이들보다 20~30년 늦게 중국에 온 마르코 폴로의 글에도 ‘카울리(Cauli)’ 지명이 보이지만 아쉽게도 별다른 설명을 찾아볼 수 없다.
 
‘코리아’가 서방에 알려진 건 13세기
 
경주 용강동에 출토 된 토용. 얼굴과 수염 모습이 중앙아시아나 서아시아인을 닮았다.

경주 용강동에 출토 된 토용. 얼굴과 수염 모습이 중앙아시아나 서아시아인을 닮았다.

몽골이 지배한 13세기에는 ‘고려’ 이외에 또 다른 명칭이 사용됐다. ‘솔랑가(Solanga)’, 혹은 ‘솔랑기(Solangi)’다. 오늘날 몽골에서 우리나라를 ‘솔롱고스(Solongos)’라고 부르는 것도 여기서 비롯했다. 현대 몽골어로 ‘무지개’를 뜻하지만 13세기에도 그런 뜻이었는지는 불분명하다.
 
이 명칭은 당시 몽골인이 남긴 『몽골비사』를 비롯해 카르피니와 루브룩의 여행기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카르피니는 몽골 제국 수도인 카라코룸에서 러시아와 조르지아의 군주 및 수많은 술탄과 함께 ‘솔랑기의 수령’도 보았다고 썼는데, 이는 고려에서 파견한 왕족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몽골제국 시대에는 한반도를 지칭하는 명칭으로 ‘카울리’와 ‘솔랑기’가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은 채 혼용되고 있었다. 페르시아 역사가 라시드 앗 딘(1247~1318)의 글에도 이 두 가지 명칭이 동시에 사용됐다.
 
이처럼 한반도는 실크로드와 끊임없는 관계를 유지해왔다. 예컨대 근대 세계지도의 효시로 꼽히는 이탈리아 마우로 신부(Fra Mauro·1400~64)가 1459년 만든 지도가 있다. 한반도 모습이 막연하게 표현돼 있다고 보는 학자들도 있지만 반도로서의 형태는 아직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았다. 16세기에 예수회 선교사들이 중국을 방문하면서 사정은 급변했다. 1550~60년대에 제작된 유럽 지도에서 한반도는 역삼각형 모양으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마침내 마테오 리치가 그린 ‘곤여만국전도(坤與萬國全圖·1602)’에 한반도의 정확한 모습과 ‘조선(朝鮮)’이라는 이름이 기록됐다.
 
실크로드 역사라는 관점에서 볼 때 한반도는 결코 고립된 은둔의 존재가 아니었다. 동서 문물 교류가 끊임없이 진행됐다. 한반도 국가와 주민도 어렴풋하게나마 서방에 알려졌다. 다만 우리가 스스로 나서서 서방과의 교류를 적극적으로 모색한 흔적은 찾아보기 어렵다. 한반도를 ‘발견’하고 그것을 세계지도 속에 분명히 자리매김한 것은 대항해 시대를 주도한 유럽인들의 몫일 수밖에 없었다.  
 
12세기 이슬람 세계지도에 등장한 신라
이드리시 세계지도(1154)라는 유명한 중세 지도가 있다. 북아프리카 모로코 출신의 아랍 지리학자 무함마드 알 이드리시(1100~65)가 이탈리아 남부 시칠리아섬을 통치하던 로저왕(Roger II·재위 1130~54)의 부탁을 받고 완성한 지도다.
 
이 지도는 고도로 발달한 이슬람권의 지리 지식을 망라한 당시 최고 수준의 세계지도다. 지도에서 위쪽이 남방이고 아래쪽이 북방이다.  중세 이슬람 문명에선 성지 메카가 남쪽으로 처지는 것을 막기 위해 방위를 반대로 정했다. 이드리시 지도 좌측 상단을 보면 중국 남부 연안에 섬 여러 개가 그려져 있고, 그 가운데 6개에 신라로 추정되는 ‘(min) al-Sila’라는 이름이 표기돼 있다.
 
김호동 서울대 명예교수

중앙일보

파일 [ 1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08
  • 조선왕실의 어책(御冊), 프랑스에서 돌아오다!(서울=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150여 년간 행방이 묘연해 소실된 것으로 추정됐던 조선왕실의 어책(御冊)인 '효명세자빈 책봉 죽책' 이 31일 오전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공개되고 있다.  '효명세자빈 책봉 죽책'은 순조 19년(1819) 효명세자빈을 책봉할 때...
  • 2018-01-31
  • 고령 지산동 고분군 발굴조사 결과…고분 74기·유물 1천여 점 나와 고령 지산동 고분군에서 나온 가야 무덤대가야 지배계층의 집단 무덤인 경북 고령 지산동 고분군(사적 제79호)에서 가야 시대에 축조된 무덤 74기가 추가로 발견됐다. 사진은 덕곡재 기준 남쪽 B구역 제4호묘에서 나온 인골. 2018.1.15 [대동...
  • 2018-01-15
  •   연잉군 어진. 영조의 왕자시절 모습.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고전으로 읽는 우리역사-31] "새벽 5시에 최숙의가 남자 아기씨를 생산하였습니다. 아기씨가 젖을 토하고 숨이 막히는 증세가 심해 걱정이 적지 않습니다. 부득이 우황과 대나무 태운 즙을 젖꼭지에 발라 삼키게 하니 진정되었습니다." 조선시대를 통틀어...
  • 2017-12-26
  • 이성제 동북아재단 연구위원 논문   342년 고구려의 고국원왕은 치욕적인 패배를 경험한다. 당시 중국 선비족이 세운 전연(前燕)의 침략에 수도 국내성이 함락되고 아버지 미천왕의 시신마저 뺏겨버린 것. 전연은 퇴각하는 길에 5만여 명의 고구려인을 포로로 잡아갔다. 하지만 중국 내에서 이들의 삶을 알려주는 사료...
  • 2017-12-25
  • 어진 중 보존 상태가 가장 좋은 영조 어진. 국립고궁박물관 소장.[고전으로 읽는 우리역사-30] 1900년(광무 4) 10월 한밤중에 경운궁(덕수궁)에 화재가 발생해 선원전이 소실됐다. 선원전은 역대 임금의 초상화, 즉 어진을 모셔두던 건물이다. 선원전이 불타면서 이곳에 있던 태조, 숙종, 영조, 정조, 순조, 문조(순조의 아...
  • 2017-12-09
  • 현장서 본 영화 남한산성 팩트체크 전투 묘사 일부, 역사적 사실과 달라 가파른 산 위에 지어져 방어 수월해 요충지에 적 활동 감시 위한 돈대도 경기관광공사 ‘도보 여행 명소’ 선정병자호란이 발발한 이듬해인 1637년 1월30일. 현재의 서울 송파구 삼전동인 삼전도 나루터. 47일간 치러진 전쟁에서 패한 조선...
  • 2017-12-08
  • 압독국 중심 임당동서 약 10㎞ 거리…"소국 형성 과정 보여주는 자료" 경산 하양읍에서 나온 목관묘의 머리쪽 모습. 황토색을 띠는 기다란 유물이 판상철부(板狀鐵斧)이고, 가운데 왼쪽에 보이는 유물이 청동거울이다. [성림문화재연구원 제공]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경북 경산에서 1세기 전후에 조성된 것으...
  • 2017-11-23
  • [동아일보] 동국대박물관 12월 8일까지 특별전 팔만대장경처럼 부처의 힘 의지해 침략 물리치려 한 왕실 바람 담겨 15일 동국대 박물관의 ‘나한―깨달음에 이른 수행자’ 특별전에서 처음 공개되는 오백나한도(왼쪽)와 십육나한도. 1235년 몽골 침략에 맞서 고려왕실이 제작한 희귀 불화다. 동국대 박물관 제공고...
  • 2017-11-15
  • '동아시아 역사 속의 여성 이주' 학술회의 중국 산둥성에 있는 현비 권씨의 무덤. [임상훈 교수 제공, 바이두 캡처]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역사적으로 한국과 중국 사이에는 '공녀'(貢女)라는 전근대적인 제도가 있었다. 공녀는 황제에게 바치는 여성을 뜻했다. 1392년 건국한 조선은 초기에 명나...
  • 2017-11-10
  • 9일 경주서 '고인골' 학술세미나 고인골 복원 이미지. [문화재청 제공]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지난 9월 열린 경주 동궁과 월지 발굴조사 설명회에서 인골을 공개했다. 이 인골들은 동궁과 월지의 동쪽 우물에서 나왔다. 우물은 통일신라시대 말기에 토기와 작은 사슴을 넣...
  • 2017-11-03
  • 국립중앙박물관서 3∼4일 고고학전국대회 요령식 동검과 한국식 동검.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古朝鮮)은 한반도 서북부와 중국 랴오둥(遼東)반도에 걸쳐 있었다. 하지만 고조선을 다룬 문헌 기록이 매우 부족하고 일부 영역이 북한에 포함돼 있어 어떻게 나라...
  • 2017-11-01
  • [한겨레] 덕흥리 고분벽화서 ‘통사리’ 적힌 올림머리 여성 확인  덕흥리 벽화고분 전실 서벽에 그려진 13태수 내조도. 두줄로 늘어선 태수들의 행렬 아래쪽 줄 맨 앞에 고구려 여성 통역관(점선 표시)이 보인다. 윗줄 맨 앞에 있는 이는 남성통역관이다. 두 사람 모두 관복차림에 손을 모아 올린 모습...
  • 2017-10-29
  • 김훈의 베스트셀러 을 읽고 있으면 분통이 터진다. 임진왜란을 겪고, 정묘호란을 겪었지만 조선의 왕들은, 그리고 도매금으로 신하들과 백성들은 절대적 교훈을 전혀 얻지 못한 셈이다. 세계사적 - 그래 보았자 중국과 일본과의 역학관계가 전부일 테지만- 시각이 우물 안 올챙이였고, 자기 당파에 대한 우월감은 최고 수준...
  • 2017-10-12
  • 잊혀진 전쟁 ‘정유재란’  10화: 조선인 노예사냥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당시 나고야성 일대를 묘사한 ‘히젠나고야성도병풍(肥前名護屋城圖屛風·나고야성박물관 소장)’ 그림(왼쪽)과 현재의 나고야성 일대(오른쪽). 왜군들의 조선 침략 사령부다.   “일본에서 온갖 상인들이 ...
  • 2017-09-11
  • 청년엔 의병, 노년엔 장군으로… 양난의 영웅 최진립 우리는 어렸을 때부터 역사(歷史)를 배우고 위인전도 읽지만, 길고 긴 역사 속에서 나라를 위해 몸 바친 영웅들을 다 알지는 못한다.  조선 시대, 국난(國難) 때마다 나이를 잊고 전장으로 뛰어나가 몸 바친 장수가 있었다. 구성 및 제작= 뉴스큐레이션팀 오...
  • 2017-07-31
  • 잊혀진 전쟁 ‘정유재란’ 바닷물을 끌어들여 해자로 이용한 순천왜성(노란 점선). 조명연합군의 거점지였던 검단산성은 사진 오른쪽 상단에 있다. 순천=박영철 기자 skyblue@donga.com     기자는 지난달 전남 순천시 해룡면 신성리에 위치한 왜교성(倭橋城·순천왜성)을 찾았다. 정유재란의 역...
  • 2017-07-08
  • [조선의 잡史] 곤장 대신 맞아주는 ‘매품팔이’ 김준근의 ‘형정풍속도’ 중 ‘곤장치고’. 숭실대 한국기독교박물관 제공     “이때 본읍 김좌수가 흥부를 불러 하는 말이 ‘돈 삼십 냥을 줄 것이니 내 대신 감영에 가서 매를 맞고 오라.’ 흥부 생각하되...
  • 2017-07-04
  • [View&]2017년 거리에서 6ㆍ10항쟁을 소환하다 1987년 6월 26일 6ㆍ10항쟁의 절정을 이룬 국민평화대행진에 대비해 서울 숭례문 앞 도로에 정렬한 전경들의 모습에서 긴장감이 엿보이는 것(오른쪽)과 대조적으로 2017년의 같은 장소에서는 평온함이 흐르고 있다. "종로 양 옆 인도 위에서 시위를 하는데 몇 사람이 '호헌...
  • 2017-06-08
  • 우리는 어렸을 때부터 역사(歷史)를 배우고 위인전도 읽지만, 길고 긴 역사 속에서 나라를 위해 몸 바친 영웅들을 다 알지는 못한다.  이순신 장군 처럼 후대에 잘 알려진 위인 외에도 많은 영웅들이 있었다.  이번 편은 이순신 장군과 함께 임진왜란 때 나라를 지킨 장수 '김충선'의 이야기다. 김충선은...
  • 2017-06-06
  • 명성황후의 주치의였던 릴리어스 호턴 언더우드[고전으로 읽는 우리역사-17] "흔히 조선 사람은 게으르고 무디고 어리석고 느리고 열등한 민족이라고 말들을 한다. 이는 생각 없이 겉모습만 본 사람들이 하는 말이다. 조선 사람은 아일랜드 사람들과 아주 비슷하다. 이 두 나라 사람 모두 낙천적이고 태평스럽고 감정적이고...
  • 2017-06-04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