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4 >>
 123456
78910111213
14151617181920
21222324252627
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시인 대학교

[그것이 알고싶다] - "조선어학회"
2020년 09월 03일 22시 00분  조회:3054  추천:0  작성자: 죽림

한국근현대사사전

조선어학회

 

 ]

시대명 근대/일제강점기

1931년 12월 3일, 우리말과 글의 연구를 목적으로 조직된 단체. 현재의 한글학회. 처음의 명칭은 <조선어연구회>였으며, 장지영(김윤경(이윤재·이극로·최현배·이병기 등을 회원으로 하여 연구발표회와 강연회를 갖고 한글의 우수성을 선전하는 한편, 27년 2월부터 기관지 <한글>을 발간했다. 29년에는 <조선어사전> 편찬사업에 착수했으나 일제의 탄압으로 출판하지 못했다. 31년 학회 이름을 조선어학회로 바꾸고, 33년에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발표했다. 이는 오늘날까지도 한글표기의 기준이 되고 있다. 42년 10월 이른바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회원 30여 명이 일제에 의해 검거, 투옥되었다. 해방 후 49년 한글학회로 다시 개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한글학회는 29년의 <조선어사전> 편찬사업을 이어받아 1957년 6권의 <큰사전>을 완간했다.

관련이미지

① 우리의 말과 글을 지키기 위해 조선어 학회에 참여한 학자들. 이들 중 상당수는 조선어 학회 사건으로 인해 모진 고문을 받거나 감옥 생활을 하는 등 고통을 겪었다.
② 조선어 학회 사건으로 감옥 생활을 했던 국어 운동가 최현배가 쓴 글씨.우리 글사랑의 마음이 담겨 있다.
③ 8 · 15 광복 후에 조선어 학회가 만들고 미군정청의 학무국이 펴낸 첫 교과서인 《한글 첫 걸음》.
출처: 한국사 사전 3 - 나라와 민족·기구와 단체·역사 인물 (촬영: )

[네이버 지식백과] 조선어학회 [朝鮮語學會] (한국근현대사사전, 한국사사전편찬회)

 

=================================///


한국사 사전 3 - 나라와 민족 · 기구와 단체 · 역사 인물

조선어 학회

일제의 민족 문화 말살 정책에 맞서 우리말과 글을 연구한 학술 단체

 

요약 1921년에 우리말과 글을 연구하기 위해 만든 단체이다. 장지영, 이윤재, 최현배 등이 중심이 되어 활동했으며, 잡지인 《한글》을 만들고 《조선어 사전》 편찬을 시작했다. 1942년에는 일제의 탄압으로 인해 해체될 위기를 맞기도 했으며, 8 · 15 광복 후에는 ‘한글 학회’로 이름을 바꾸었다.
시대 일제 강점기

목차

  1. 풀이
  2. 심화

풀이

조선어 학회 본문 이미지 1우리의 말과 글을 지키기 위해 조선어 학회에 참여한 학자들. 이들 중 상당수는 조선어 학회 사건으로 인해 모진 고문을 받거나 감옥 생활을 하는 등 고통을 겪었다.
조선어 학회 사건으로 감옥 생활을 했던 국어 운동가 최현배가 쓴 글씨. 우리 글사랑의 마음이 담겨 있다.
8 · 15 광복 후에 조선어 학회가 만들고 미군정청의 학무국이 펴낸 첫 교과서인 《한글 첫 걸음》.

① 우리의 말과 글을 지키기 위해 조선어 학회에 참여한 학자들. 이들 중 상당수는 조선어 학회 사건으로 인해 모진 고문을 받거나 감옥 생활을 하는 등 고통을 겪었다.
② 조선어 학회 사건으로 감옥 생활을 했던 국어 운동가 최현배가 쓴 글씨. 우리 글사랑의 마음이 담겨 있다.
③ 8 · 15 광복 후에 조선어 학회가 만들고 미군정청의 학무국이 펴낸 첫 교과서인 《한글 첫 걸음》.

3 · 1 운동으로 터져 나온 우리 민족의 독립 의지에 놀란 일제는 1920년대부터 우리 문화를 말살하려는 정책을 폈다. 이에 장지영, 이윤재, 최현배 등은 우리말과 글을 연구하기 위한 학회를 만들었다. 여기서 ‘학회’란 학문을 깊이 있게 연구하기 위해 만든 모임을 뜻한다. 장지영을 비롯한 국어학자들은 일제의 정책을 그대로 따르면 우리 고유의 말과 글마저 잃어버릴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이들은 처음에는 ‘조선어 연구회’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 국어에 대한 연구와 강연 활동을 주로 했으며, 1927년부터 《한글》이라는 잡지를 펴냈다. 1929년에는 《조선어 사전》을 편찬하기 시작했으나 일제의 탄압으로 인해 끝을 맺지는 못했다. 1931년에는 학회의 이름을 ‘조선어 학회’로 고쳤고, 1933년에는 오늘날에도 한글 표기의 기준이 되고 있는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발표했다.

조선어 학회는 1942년에 일어난 조선어 학회 사건으로 위기를 맞았다. 일제는 1937년부터 모든 관공서에서 일본어만 쓰게 했고, 1940년부터는 학교에서 우리말을 아예 못 쓰게 했다. 우리의 말과 글은 물론 역사와 민족 정신을 말살하기 위해서였다. 그런 다음 작은 사건을 꼬투리 잡아 조선어 학회를 무너뜨리려고 했다. 몇몇 사람들을 모질게 고문해 조선어 학회가 학술 단체를 가장한 독립운동 단체라는 거짓 자백을 받아냈고, 이를 구실로 회원 33명을 잡아간 뒤 28명을 감옥에 가둔 것이다. 결국 모진 고문과 고통스러운 감옥 생활 끝에 이윤재, 한징 등은 목숨을 잃었다.

심화

일제가 조작한 조선어 학회 사건 이후 조선어 학회는 큰 타격을 입고 위축되었으나 8 · 15 광복 후에는 다시 활동을 시작했다. 1949년에는 학회의 이름을 한글 학회로 바꾸고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 한글 학회는 1929년에 시작한 《조선어 사전》 편찬 사업을 이어받아, 1957년에 6권의 《큰사전》을 펴냈다.

조선어 학회는 국어를 연구하는 것은 물론이고 강연과 잡지 출간, 사전 편찬 등의 활동을 벌였다. 특히 조선어 학회의 학자들은 《조선어 사전》을 편찬하는 일에 힘을 쏟았는데, 일제의 탄압으로 끝을 맺지는 못했다. 사전은 해방 후 한글 학회로 이름을 바꾼 뒤에 완성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조선어 학회 - 일제의 민족 문화 말살 정책에 맞서 우리말과 글을 연구한 학술 단체 (한국사 사전 3 - 나라와 민족·기구와 단체·역사 인물)

 

===========================///

통합논술 개념어 사전 > 언어영역

조선어학회(한글학회)

 

 

교과단원 국어(상), Ⅱ. 짜임새 있는 말과 글, Ⅱ-보충 가람일기

1. 교과서 속 주개념

조선어학회

주시경 등을 중심으로 일제 강점기 전에 창립되어 식민지 기간을 거쳐 오면서 한글의 연구와 보급을 위해 앞장섰던 학술단체이다. 1908년 8월에 〈국어연구학회〉라는 이름으로 창립되었다가 이후 〈배달말글 몰음〉, 〈한글모〉, 〈조선어강습원〉 등으로 그 명칭을 바꾸면서 1931년 1월에 잘 알려진 〈조선어학회〉라는 이름으로 바뀌어 일제의 조선어 말살정책에 맞서 한글을 지키고 연구하는 데 앞장섰다. 해방 이후 1949년에는 〈한글학회〉로 그 명칭을 바꾸고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조선어학회의 활동은 일제 강점기 당시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한글의 연구와 보급에 앞장 섰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개화기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된 한글이지만 실제로 보급되어 매체 등을 통해 대중화 된 기간이 짧은데다, 곧바로 일제의 식민지배하에 들어가게 된 상황에서 한글을 제대로 연구할 수 있는 여건은 열악한 편이었다. 이에 따라 조선어학회에서는 한글의 우수성을 알리면서 한편으로는 올바른 한글 사용을 위한 맞춤법 통일안 마련에 힘을 기울인다.

그 결과 1933년 10월에 우리 나라 최초의 ‘한글맞춤법통일안’이 발표되고 1936년 10월에는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이 나오게 된다. 학회의 활동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외래어와 외국 인명 및 지명에 관한 표기를 통일하기 위해 1941년 ‘외래어표기법통일안’을 발표한다. 여기에는 교과서에 실려 있는 〈가람일기〉의 저자 이병기 선생도 함께 참여해 국어 연구와 발전에 있어서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맞춤법과 표기법을 정비한 조선어학회는 이와 함께 우리말 사전 제작에도 박차를 가한다. 1929년부터 시작된 조선어사전 편찬 작업은 1942년 봄에 이르러 조판을 앞두고 있었으나 그 해 가을 ‘조선어학회사건’이 터지고 구성원 대다수가 검거되고 투옥되는 바람에 빛을 보지 못하고 말았다.

해방 후에는 일제 말기 조선어 말살 정책으로 인해 흐름이 끊겼던 국어교육을 되살리기 위해 〈한글첫걸음〉, 〈초등국어교본〉, 〈중등국어독본〉 등의 교과서를 편찬하여 우리말 되살리기를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또한 1945년 10월에는 10월 9일을 한글날로 바꾸어 이것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일제 시대에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중단되었던 사전 편찬 사업도 다시 시작하여 1947년과 1949년 그리고 1950년에는 〈조선말 큰사전〉 1권부터 4권까지를 내고 한국전쟁 이후 1957년에 6권을 마지막으로 사전 편찬 사업을 완결지었다.

한글학회의 활동은 이후로도 계속 이어져 현재까지 수많은 사전과 고문서의 한글본을 펴내는가 하면 북한의 언어 연구와 디지털시대에 맞는 한글 연구에도 큰 기여를 하고 있다.

2. 확장 개념

조선어학회 사건

1942년 10월 일제에 의해 조선어학회 회원과 그 관련 인물들이 ‘치안유지법’의 내란죄를 적용받아 대규모로 검거되어 투옥된 사건이다. 이는 일제 말기 우리 민족의 정체성 및 언어를 완전히 말살하고자 한 일제의 발악이 빚어낸 일이라 할 수 있다. 일제는 한글 연구와 보급에 앞장섰던 조선어학회를 일찍부터 곱지 않은 시선으로 보아왔는데 특히 1929년부터 시작된 〈큰사전〉 편찬 작업이 어느 정도 결실을 맺기 시작한 1940년대 초에 이르러 이 사업에 소속된 조선어학회 회원 모두를 강제해산하기 위한 술책을 꾸민다.

조선어학회 사건이 일어나기 전 일제는 먼저 함흥학생 사건을 꾸민다. 이 사건의 핵심 인물인 함흥영생여자고등보통학교 학생 박영옥이 조선어학회 사전 편찬을 맡고 있던 정태진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그해 9월 5일 그를 검거한다. 일제는 정태진이 조선어학회가 민족주의 단체로서 독립운동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고 거짓 자백을 하게 만들어 10월에는 이중화, 장지영, 최현배, 이희승 등 조선어학회의 핵심 인물 11명을 검거한다.

이후 1943년 4월까지 모두 33명을 검거하여 고문을 가한다. 이들은 모두 ‘치안유지법’의 내란죄로 기소되는데 이 중 16명은 기소되고 12명은 석방된다. 기소되어 수감되었던 회원들 가운데 이윤재와 한징이 옥중에서 사망하였고, 나머지는 수감되었다가 해방으로 풀려나게 되었다. 이들은 오로지 조선의 국어인 한글을 사랑하고 이를 연구·보존하기 위해 헌신하였을 뿐이나 일제는 이들 순수 연구자들까지 민족주의 운동가로 몰아 무고한 죽음을 당하게 만든 것이다. 이 사건으로 조선어학회는 강제로 해산당했다가 해방 후 조직을 정비한 뒤 1949년 9월 ‘한글학회’로 이름을 바꾸어 재결성되었다.

3. 관련 지식

1) 한글맞춤법통일안

1933년 조선어학회가 제정 공표한 것으로 1948년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채택했다. 개화기에 우리 나라는 한글을 공용문으로 채택하였으나, 통일된 맞춤법이 없어 그 사용이 제각각이었다. 조선어학회는 1930년 12월13일 맞춤법통일안을 제정할 것을 결의하고, 이병기, 이윤재, 이희승, 최현배 등 12명이 참여하여 3년에 걸쳐 이 통일안을 만들었다. 이 통일안의 대원칙은 ① 표준말은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하고, ② 표준말은 현재 중류사회의 서울말로 하며, ③ 각 단어는 띄어 쓰되 토는 그 앞 단어에 붙여 쓴다는 내용이었다. 이는 1988년에 〈한글맞춤법〉이 새로 나오기 전까지 우리 나라 국어 문법의 중요한 기준이었다.

2) 외래어표기법통일안

1941년에 제정된 것으로 외래어를 한국어로 적을 때는 국제음성기호를 표준으로 하지만 외래어의 원음을 완전히 나타내기 힘들 시에는 우리 나라 말에 존재하는 자모와 자형으로 바꾸어 적는다는 것이 주요 골자이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라는 시대적 한계와 외래어에 대한 생소함이 이 표기안이 널리 알려지는데 큰 장애가 되었다.

관련이미지

① 우리의 말과 글을 지키기 위해 조선어 학회에 참여한 학자들. 이들 중 상당수는 조선어 학회 사건으로 인해 모진 고문을 받거나 감옥 생활을 하는 등 고통을 겪었다.
② 조선어 학회 사건으로 감옥 생활을 했던 국어 운동가 최현배가 쓴 글씨.우리 글사랑의 마음이 담겨 있다.
③ 8 · 15 광복 후에 조선어 학회가 만들고 미군정청의 학무국이 펴낸 첫 교과서인 《한글 첫 걸음》.
출처: 한국사 사전 3 - 나라와 민족·기구와 단체·역사 인물 (촬영: )

[네이버 지식백과] 조선어학회(한글학회) (통합논술 개념어 사전, 한림학사)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530 토템시/ 사슴= 남영전, 해설= 현춘산(7) 2020-10-10 0 1955
1529 토템시/ 물= 남영전, 해설= 현춘산(6) 2020-10-10 0 1898
1528 토템시/ 흙= 남영전, 해설= 현춘산(5) 2020-10-10 0 1866
1527 시=흥취 2020-10-09 0 1842
1526 조선족문단 우화시 개척자 - 허두남 2020-09-08 0 2071
1525 토템시/ 백학= 남영전, 해설= 현춘산(4) 2020-09-08 0 1847
1524 토템시/ 신단수= 남영전, 해설= 현춘산(3) 2020-09-08 0 1852
1523 토템시/ 곰= 남영전, 해설= 현춘산(2) 2020-09-08 0 1740
1522 토템시/ 달= 남영전, 해설= 현춘산(1) 2020-09-08 0 1833
1521 토템과 남영전시인 11 2020-09-03 0 2169
1520 [그것이 알고싶다] - "조선어학회" 2020-09-03 0 3054
1519 우아하게 삽시다 / 우상렬 2020-08-24 0 2446
1518 토템과 남영전 시인 10 2020-07-18 0 2345
1517 토템과 남영전 시인 9 2020-07-18 0 2557
1516 토템과 남영전 시인 8 2020-07-18 0 2463
1515 토템과 남영전 시인 7 2020-07-18 0 2899
1514 토템과 남영전 시인 6 2020-07-18 0 2717
1513 토템과 남영전 시인 5 2020-07-18 0 2693
1512 두만강은 알리라... 2020-07-17 0 2507
1511 작가들의 큰 박수를 받은 민족개념/ "길림신문"/ 김승종 2020-07-02 0 2689
1510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7 0 2972
1509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7 0 2766
1508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7 0 2971
1507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7 0 2826
1506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7 0 2776
1505 토템과 남영전 시인 4 2020-06-27 0 2462
1504 토템과 남영전 시인 3 2020-06-27 0 2803
1503 토템과 남영전 시인 2 2020-06-27 0 2649
1502 토템과 남영전 시인 1 2020-06-27 0 2530
1501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0 0 2688
1500 친족, 친척 = 토템 2020-06-20 0 2578
1499 [시공부 101] - 38... 2020-05-13 0 2573
1498 [시공부 101] - 37... 2020-05-13 0 2787
1497 [시공부 101] - 36... 2020-05-13 0 3763
1496 [잊혀진 민속] - 다듬이 2020-05-08 0 3971
1495 [그것이 알고싶다] - "토템"연구와 남영전 시인 2020-05-02 0 2829
1494 [그것이 알고싶다] - "단군신화" 2020-04-30 0 2571
1493 [시문학소사전] - 토테미즘 2020-04-30 0 3246
1492 [시공부 101] - 35... 2020-04-04 0 2453
1491 [시공부 101] - 33... 2020-04-04 0 3035
‹처음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