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jinge 블로그홈 | 로그인
김혁
<< 5월 2024 >>
   1234
567891011
12131415161718
19202122232425
26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나의카테고리 : 칼럼니스트

어느 화백의 실크로드
2015년 07월 30일 07시 31분  조회:2858  추천:18  작성자: 김혁

칼럼
 
어느 화백의 실크로드
 
김혁 (소설가. 인물전 “한락연의 이야기”의 저자)

 
 
1
인류는 길을 따라 소통하고 교류하며 문명을 꽃피워 왔다.
그 대표적인 길이 중국 장안에서 시작돼 중앙아시아를 관통, 유럽 지중해까지 연결 된 실크로드다.

중국의 고전 “서유기”에서 등장하는 당승의 원형인 현장법사가 1,300년 전 기록으로 남긴 귀중한 자료 “대당서역기”에 대서특필했던 곳이 바로 그 실크로드다.

고구려 고선지 장군의 활약과 “왕오천축국전”을 남긴 신라의 혜초 스님의 법경이 바람소리로 남아 있기도 한 길이  바로 그 실크로드다.
이 길을 통하여 도자기, 향신료, 유리, 보석, 옥, 직물, 쌀, 밀 등 인류가 생산해 낸 모든 물건들이 거래 되였으며 동방에서 서방으로 간 대표적인 상품이 비단이라는 데서 그 이름이 유래됐다.

길을 따라 물건만 오고 간것이 아니라 종교와 문화도 함께 주고받았다.
동서양의 교역과 문화의 네트워크 역할을 톡톡히 하면서 약 6400 킬로메터에 이르는 방대한 륙로 교통망이 구축되였다.
 
2
최근 실크로드는 또 한번 굳잠에서 깨어 나고있다.

중앙아시아의 경제성장 잠재력이 부각되면서 주변국인 일본에서는 실크로드 루트의 동방의 종점은 일본이라고 력사를 왜곡하고 있는가 하면, 중국을 비롯한 한국, 로씨야 등 린접국들은 그 경제협력 진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도 있다.
따라서 한국이 중국의 동부 도시들과만 교류에 그치지 말고 특색있는 서부지역과 교류의 다변화를 꾀해 새로운 “한중-로드”를 구축 할 필요가 있다는 제안도 나오고있다.
한반도 종단 철도를 중앙아시아와 유럽으로 확장하겠다는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구상에서 실크로드는 “장미빛” 환상의 길목이며 그 길 위에서 한국과 중국은 경쟁자이자 동반자인 셈이다.
 

"중국의 피카소"- 한락연

3
그 길우에 혼을 묻은 화가가 있다.
1898년 이주민들이 일군 북간도의 룡정촌에서 태난난 그의 원명은 한광우, 한락연이라는 이름으로 더 알려져 있다.
짧은 생을 살았지만 그의 행동반경은 실로 종횡무진이였다.

1914년 룡정에서 헤이그 밀사 리상설이 창설한 “서전서숙”이 전신이였던 룡정보통학교를 마쳤고 용정에서 3 ·1운동의 추동을 받은 독립시위에 가담하였다. 일경의 리스트에 오르자 1919년 상하이로 갔고 임정의 초기 멤버로 활약하였다.  상해에서 중국 최초의 미술전문학교를 나왔다.

1923년 심양에서 첫 개인전을 열었고, 1929년 프랑스로 가서 루브르예술학원을 졸업했다. 재학 당시 유럽 각국을 돌며 개인전을 열어 호평을 받았다. 세상의 모습을 올곧게 그려내는 한편 그는 그림에만 매달리는 다른 화가와 달리 좁은 화폭안에서 살아가는 화가로 만족하지 않았다.

1937년 중일전쟁이 일자 그는 곧 중국으로 돌아와 무한, 중경등지에서 항일투쟁에 적극 투신하였다.

​​
서역의 풍광을 담아 낸 한락연의 유화

 
그는1943년부터 중국에서 처음으로 서역의 벽화모사와 유물 고찰작업에 착수한 사람이다.
이때 장족, 몽골족, 위구르족 등 중국 소수민족의 생활풍습 등을 생동감 있는 화법으로 그려냈는데, 이는 당시 중국화단에 큰 충격을 주었다.

중국의 이름난 석학 성성(盛成)선생은 1980년대 한락연의 그림전을 보고 이런 글발을 남긴적 있다.
“그는 피카소와 어깨를 나란히 하며 현실보다 더 현실적이고 초현실주의적이었다. 또한 그는 예술사학자이자 탐험가로서 쿠차 천불동에서 당나라 초기의 투시화와 인체해부도를 발견했다. 그의 성은 한씨, 이름은 낙연. 이름이 그 사람을 닮았고 사람은 그의 예술을 닮았으며 그의 예술은 그곳, 그때를 발견했다. 그는 변경 동포로서, 변경 지역의 생활과 문화를 가장 사랑했다…”

1947년 다시 벽화모사와 유물고찰을 마치고 둔황에서 란저우로 돌아오던 중 비행기 추락사고로 한락연은 실크로드 위에 육신을 바쳤다.

한국에서는 광복 60주년을 맞으며 덕수궁미술관 한락연 특별전을 가졌고 이어 “대통령상”이 추서(追敍)되였다.
2010년 고향인 룡정에 그의 이름을 딴 공원이 조성되였다.
피카소등 세계화단의 불세출의 인물들과 실크로드에 깃들어있는 인류의 보귀한 유산들이 한락연의 꿈을 키울 모판이 되였고 그의 화법에 그러한 심력이 녹아 들어있다.

고향 룡정에 조성된 한락연 공원
조선인 이주민의 후예로서
, 예술가로서, 열렬한 사회활동가로서, 굳건한 “력사문물의 지킴이”로서 그는 조선독립과 민족해방의 사명을 짊어지고 젊음을 불살랐고 반일투쟁을 위해 거대한 중국대륙을 무대로 혼신을 던졌으며 무엇보다도 인류의 찬란한 문화유산인 서역의 문화재발굴에 주력하여 선구자적인 업적을 남겼다. ​
전기적 색채가 짙은 한락연의 경력은 깊은 잠에서 깨어 난 실크로드와 더불어 뒤늦게 나마 중국과 세계 화단의 주목을 모으고 있다.
 
-“청우재(听雨斋)”에서
 
문화시대” 2015 3월호

 


 ☞ 김혁 문학블로그: http://blog.naver.com/khk6699
 

 

 

 
 

파일 [ 5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전체 [ 1 ]

1   작성자 : xuchanghao
날자:2015-08-05 15:21:39
한락연의 이야기 잘 봤습니다. 선생님이 싸인해주신 평전을 읽고 와이프와 애들가지 데리고 용정으로 가서 낙연공원을 둘러 보았습니다.
한국에서는 한낙연에 대해 전혀 모르더군요. 우리민족에 이렇게 뛰여난 인물이 있다는데서 놀랐습니다. 선생님의 책을 읽고 저도 알았지요. 김학철이나 주덕해,정율성에 못지않은 인물이라 생각됩니다. 드라마를 찍었으면 좋겠네요. 조선족이 아니고 한족이였다면 언녕 난리가 났겠는데요.
김학철평전도 쓰신다고 전번에 얘기했는데 기대해 봅니다. 조선족의 많은 인물들을 계획하고계시는데 건강에 주의하면서 (술을 적게 드시면서 캬캬) 선생님의 대작들이 하루빨리 독자들을 만나기를 기대해 봅니다.
16일에 다시 한국에 들어갑니다. 11월까지 쭈욱~한국에서 만나볼수 있겠네요. 건강에 주의하시고 안녕히 게세요/
Total : 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3 SNS의 “꽃”, 디카시 2020-09-21 2 633
82 지천명(知天命)의 자치주 2020-09-08 11 755
81 한 농예인의 동상 2020-08-01 12 1016
80 바람을 가르는 붓 2020-03-09 30 1454
79 윤동주를 기리는 사람들 2019-12-30 26 924
78 신(新) 매체시대 새로운 문학을 위한 테제 2019-02-28 29 1030
77 김혁소설가와 그의 위안부소재의 장편소설 “춘자의 남경” 2019-02-12 16 1148
76 “백세” 김학철 2018-12-10 13 1587
75 신(新) 매체시대 새로운 문학을 위한 테제 2018-09-14 20 1140
74 동주를 위한 3개의 공책(空册)- 3 2017-11-22 13 1591
73 동주를 위한 3개의 공책(空册)- 2 2017-11-21 20 1620
72 동주를 위한 3개의 공책(空册)-1 2017-11-12 15 1286
71 필끝에 건곤乾坤세상 있나니(련재1) 2017-08-03 14 1520
70 죽음의배- "페스카마"호 2017-06-13 17 2037
69 창피함에 대하여 2017-05-31 13 1594
68 꼬마 축구팬의 눈물 2017-04-21 15 1620
67 필끝에 건곤(乾坤)세상 있나니 2017-02-28 17 1676
66 우리의 이야기를 여러 어종(語種)으로 세상에 들려주자 2017-02-10 15 1849
65 로신의 어깨 2016-09-13 17 2227
64 즐거운 축구 패러디 2016-09-13 13 2482
63 꿈과 사다리 2016-06-29 10 2265
62 청산을 에돌아 “두만강”은 흐르고 2016-06-18 10 2350
61 소울메이트 2016-06-18 14 2182
60 구순(九旬)의 박물관 2016-05-29 11 2314
59 리얼리즘과 문학비 2016-05-04 17 1953
58 “백세” 김학철 2016-04-23 30 2462
57 난 로봇이다 2015-09-14 11 2868
56 피서(避暑)의 방식 2015-08-19 13 2673
55 영화"암살"의 녀주인공과 "간도참변" 2015-08-18 16 4736
54 어느 화백의 실크로드 2015-07-30 18 2858
53 무자비(無字碑) 2015-07-13 13 3491
52 요절 문인 2015-07-07 16 3051
51 전범기(戰犯旗) 펄럭... 2015-06-30 13 4456
50 소금 이야기 2015-06-16 12 2851
49 12 초 2015-06-04 22 5228
48 북간도의 큰 스님 2015-05-26 14 3629
47 "언브로큰" 그리고 윤동주 2015-05-07 22 4425
46 지하철에서 읽은 모디아노 2015-04-29 12 2827
45 황제의 수라상 2015-03-30 12 4732
44 봄 우뢰 2015-03-16 11 3694
‹처음  이전 1 2 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