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5월 2024 >>
   1234
567891011
12131415161718
19202122232425
26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시인 지구촌

민족시인 심연수 그는 누구인가...
2017년 01월 27일 17시 49분  조회:4155  추천:0  작성자: 죽림
沈連洙

 
시대 현대
출생일 1918
사망일 1945
유형 인물
직업 시인
성별
분야 문학/현대문학
본관 삼척 심씨

요약 1918∼1945. 시인

개설

강원도 강릉 출생.

생애 및 활동사항

1925년 심연수의 부모는 고향 강릉을 떠나 연해주로 갔으나 1931년 구소련에서 조선 사람을 중앙아시아로 집단 이주시키는 바람에 중국으로 이주해서 흑룡강성 밀산에 살다가 신안진을 거쳐 1935년부터 용정에 머물렀다. 용정에서도 정착하지 못하고 어렵게 가계는 이어졌다. 집안은 용남촌 은진중학교 주변에서 두부와 콩나물을 팔아 생계를 유지했다. 다음해 용지촌 연변대학 내 농학원 자리로 이사하여 소작이나마 농사일을 시작했으나 지주가 일제 앞잡이여서 삶의 터전을 또 옮겨야만 했다. 1년 뒤 태평촌으로 옮겨 소작을 하다가 광복 후 토지분배를 받고 자신의 농토를 가지게 되었다. 물론 간도로 이주할 결심은 숙부 심우택이 간도에서 중학교, 군관학교를 졸업하고 독립운동을 하고 있어서 이곳 사정이 훤했으므로 가족이주가 가능했던 것이다.

1940년동흥중학교, 용정국민고등학교를 졸업할 무렵까지 쓴 시는 떠도는 가족사를 중심에 둔 작품이 주를 이룬다. 『심연수 원본대조 시전집』1부에 수록되어 있는데 「대지의 봄」, 「여창의 밤」, 「대지의 모색」, 「해란강」 등이 그러하다. 2부에서는 「추억의 해란강」, 「돌아가신 할아버지」, 「만주」 등에서 유사한 시적체험이 발견된다. 정착하지 못하고 떠도는 가정살이로 그는 22살에서야 중학교를 졸업할 수 있었다. 다른 형제들은 정규교육을 받지 못했다. 연해주에서 한인소학교에 입학해서 다니다가 중국 신안진에 있을 때 김수산 선생 집에 다니면서 공부한 것도 정착하지 못한 가정사에 배경이 있다.

어려운 가정살림에도 불구하고 1941년일본대학 창작과에 입학하여 1943년 졸업하였다. 부모와 가족의 배려덕분에 학교를 다닌 그는 유학시절 용정의 집으로 편지와 엽서를 보냈다. 집에서 보내준 돈을 받고 고마운 마음을 동생에게 엽서로 보낸 내용을 보면 “어떤 처지에서 온 것을 생각할 제 무위도식하는 것 같은 저를 위하여 이처럼 온 집안에서 애를 쓰며 힘을 쓰는 것 생각하니 그저 감사할 뿐이다.”라고 되어 있다.

이 시기 경제적으로 곤궁한 유학생으로 고학을 했으므로 신문배달과 다양한 일을 했던터라 이때의 어려움은 「야업」, 「검은 사람」, 「과오」 등에서 잘 나타난다. 1943년 그는 강제징집을 피해 지바현에 있다가 나진항을 거쳐 용정으로 귀환하여 흑룡강성에서 진성국민우급학교, 서성국민우급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했다. 이 소학교는 김수산 선생의 도움으로 김좌진이 설립했다고 한다.

1945년 왕청현 춘양진 역 앞 물탱크 부근에서 사람들과 다투다가 피살되었다. 그해 10월 그의 부친이 시신을 수습해서 용정 토기동 뒷산 가족묘지에 묻었다. 유복자 심상룡은 현재 평양에 거주하고 있다.

의의 및 평가

그는 한국문학사에서 공공연히 언급하는 1940년대 암흑기를 밝혀줄 새로운 작가로 조명되었다. 비극적인 생애에서 볼 수 있듯이 윤동주 시인과의 유사성은 연변, 한국에서 일제강점기의 암울한 시대를 서정적인 언어로 위무하면서 적극적인 항일의지를 밝힌 것과 관련있다. 특히 이국땅에서 민족문학을 지켜낸 시인으로 평가하고 있다. 심연수 문학은 일제강점기 재만조선시인들의 문학활동을 대중적으로 조명해내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원전 왜곡되고 日 강점기 행적도 사실과 달라”

중국 연변 출판사 재조명으로 ‘민족시인’된 故 심연수 씨

평론가 이성천 씨 논문서 주장

 

 

‘민족시인’으로 선양사업이 진행 중인 강원 강릉 출신의 고(故) 심연수 시인(사진)이 과대 포장됐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예상된다. 경희대 객원교수 겸 문학평론가인 이성천 씨(43·문학박사)는 최근 발표한 ‘재만(在滿) 시인 심연수 시 연구에 나타난 몇 가지 문제’라는 논문을 통해 “심연수 시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적지 않은 연구들은 단순 착오에서부터 논리적 모순과 의도적 왜곡에 이르기까지 심각한 문제를 노출하고 있다”고 밝혔다. 

 

심연수 시인(1918∼1945)은 재만 조선인 문단의 무명 시인이었으나 2000년 중국연변인민출판사가 심연수 문학편을 간행하면서 존재가 알려졌다. 그리고 최근까지 중국과 강릉을 중심으로 70여 편의 연구논문 및 산문이 발표됐고 ‘암흑기 민족의 별’, ‘일제 암흑기의 대표적인 저항시인’, ‘윤동주에 버금가는 시인’ 등의 평가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씨는 이에 대한 반박으로 1940년 만주국 기관지 만선일보에 발표된 시 ‘대지의 젊은이들’을 예로 들었다. 이 시에는 ‘왕도낙토(王道樂土)의 젊은이여/오족협화(五族協和)가 빛나는 곳에/솜씨야 빛나거라’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왕도낙토와 오족협화는 당시 일본이 세운 만주국의 통치이념이기 때문에 민족주의 성향과 거리가 멀다고 주장했다.

 

이 씨는 선행연구자들이 시를 왜곡 평가했다는 주장도 펼쳤다. 대학 교수를 지낸 A 씨는 자신의 책에서 ‘돌아가신 할아버지’란 시에 대해 원전에도 없는 ‘놈들의 총에 맞아’, ‘찢어져 펄럭이는 흰옷’ 구절을 내세워 왜곡했다는 것. 이에 대해 A 씨는 “2002년 중국연변인민출판사가 발행한 책 내용을 인용한 것으로 그 책에는 이 구절이 있었다”고 해명했다.

 

이 씨는 또 선행연구자들이 기록한 일제의 징집 도피 시기와 대학 졸업 일자 등도 확인 결과 사실과 다르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심연수선양사업위원회 측은 “시인의 행적 부분은 동생인 심호수 씨의 증언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심연수 시선집을 편저한 황규수 씨(인천 동산중 교사)는 “시인의 초기 작품에는 민족주의 경향이 없지만 일본 유학 이후 후기 시에서는 민족주의 경향이 나타난다”며 “초기 시만으로 민족시인이 아니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2000년 심연수 시인의 존재가 알려진 이후 강릉지역 문인들을 중심으로 선양사업위원회가 만들어져 심연수문학상이 제정됐고 심연수문학제가 매년 열리고 있다. 강릉시는 2003년부터 지난해까지 선양사업에 2억7000만 원을 지원했다.

 

이인모 

======================

한자 沈連洙
영어음역 Sim Yeonsu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강원도 강릉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강릉 출신의 민족 시인.

심연수는 1918년 5월 20일 강릉시 경포면 난곡리 399번지에서 삼척심씨 심운택과 최정배 씨 사이에서 5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25년 3월경 가족과 함께 블라디보스토크로 이주하였다. 1945년 8월 8일 영안현에서 용정으로 귀환하던 중 왕창현 춘양진에서 일제 앞잡이에 의해 피살되었다. 2000년 7월 중국 용정시 길흥8대에 거주하는 동생 심호수에 의해 55년 간 항아리에 담겨 비밀리에 보관되어 오던 육필 유고가 『20세기중국조선족문학사료전집』 제1집 심연수문학편에 수록됨으로써 세인의 관심을 받게 되었다.

1937년 중국 용정시 소재 동흥소학교 졸업, 1940년 동흥중학교를 졸업하였다. 1943년 7월 13일 일본대학 예술학원 창작과를 졸업하였다.

중국 연안현 신안진 등지에서 소학교 교사로 근무하였다.

1940년 4월 『만선일보(滿鮮日報)』에 「대지의 봄」, 「여창(旅窓)의 밤」 등을 발표하였다. 같은 해 5월 조선 전역과 중국 북부 일부를 대장정하는 20여 일간의 수학여행을 다녀온 뒤 64편의 기행시를 창작하였다. 현재 2,400여 편의 시작품과 일기문, 편지글 등이 전해진다.

심연수의 문학 세계에 대하여는 그동안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엄창섭은 심연수 시의 특성과 경향을 ‘시의 유연성과 병폐성’, ‘전통의 인식과 고향 회귀성’, ‘시의 호방성과 거창성’으로 분석하며 심연수의 시세계에 대해 ‘정직한 시어의 구사력, 남성다움과 신념의 노래, 빛나는 서정과 시의 틀’로 규정하여 그의 시적 특성을 고찰한 바 있다.

임헌영은 일본의 폭압이 점차 가혹해졌던 1940년을 전후하여서는 국내에서의 탄압상과 정비례하여 비교적 민족의식을 보유할 수 있었던 간도 지역에 조선 학생 수가 급증했으며, 간도 지역은 특이한 이방감과 향수와 민족의식으로 한글문학이 왕성했던 공간이었다고 논급하며, 심연수를 ‘암흑기’로 낙인 찍혔던 시대에 간도 지역에서 민족의식이 투철한 문학작품을 썼던 시인으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일본 유학 중 쓴 시는 마치 윤동주의 유학시절 시를 연상할 만큼 생생한 타국에서의 삶을 느끼게 해주며 반일적 색채가 강하다고 평가하였다. 그리고 심연수의 시가 일본 유학 이후에 모더니즘적 경향이 강하다고 보고 모더니즘 중 윤동주가 정지용 계열이었다면, 심연수는 김기림 계열이라 불러도 좋을 것이라고 평가하기도 하였다.

이명재는 심연수를 ‘암흑기 문학사의 한 등불’이라고 지적하며 윤동주 시와의 대비점, 항일 문학의 한 모델로 논의하였으며 특히 심연수가 직설적인 항거에만 그치지 않고 보다 문화적인 민족주의에 바탕을 둔 배달 겨레의 역사나 시조 양식을 통한 민족 정체성으로 항일 대응을 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심연수를 추모하는 단체는 중국 용정과 강원도 강릉에 각각 조직되어 있다. 강릉에는 2001년 11월 8일 심연수 시인선양사업위원회[위원장 엄창섭]가 조직되어 매년 국제학술세미나를 개최하고 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162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162 프랑스 시인 - 기욤 아폴리네르 2021-01-27 0 3130
2161 미국 시인 -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 2021-01-26 0 2162
2160 미국 시인 - 월러스 스티븐스 2021-01-26 0 2157
2159 미국 시인 - 로버트 프로스트 2021-01-26 0 2035
2158 미국 시인 - 엘리엇 2021-01-26 0 2396
2157 미국 시인 - 에즈라 파운드 2021-01-26 0 2289
2156 미국 시인 - 엘리자베스 비숍, 에이드리언 리치 2021-01-26 0 2288
2155 미국 시인 - 제임스 디키 2021-01-26 0 2100
2154 미국 시인 - 필립 레빈 2021-01-26 0 2168
2153 미국 시인 - 리처드 휴고 2021-01-26 0 1862
2152 미국 시인 - 시어도어 레트키 2021-01-26 0 2097
2151 미국 시인 - 존 베리먼 2021-01-26 0 2213
2150 미국 시인 - 앤 섹스턴 2021-01-26 0 2240
2149 미국 시인 - 실비아 플라스 2021-01-26 0 1959
2148 미국 시인 - 칼 샌드버그 2021-01-26 0 2330
2147 시적 개성 목소리의 적임자 - 글릭; 노벨문학상 문턱 넘다... 2020-10-09 0 2310
2146 고대 음유시인 - 호메로스 2020-03-09 0 3616
2145 프랑스 시인 - 폴 엘뤼아르 2020-03-01 0 3532
2144 한국 시인, 생명운동가 - 김지하 2020-01-23 0 3316
2143 한국 최초 시집... 2019-12-16 0 3633
2142 조선 후기 시인 - 김택영 2019-12-06 0 3492
2141 토속적, 향토적, 민족적 시인 - 백석 2019-11-18 0 5408
2140 한국 최초의 서사시 시인 - 김동환 2019-10-30 0 3309
2139 한국 순수시 시인 - 김영랑 2019-09-29 0 5181
2138 [시인과 시대] - 문둥이 시인 2019-08-07 0 3807
2137 일본 시인 - 미야자와겐지 2018-12-18 0 4080
2136 "쓰레기 아저씨" = "환경미화원 시인" 2018-11-15 0 3641
213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고추밭 2018-08-20 0 4084
2134 동시의 생명선은 어디에 있는가... 2018-07-09 2 3325
2133 인도 시인 - 나이두(윤동주 흠모한 시인) 2018-07-09 0 4136
2132 저항시인, 민족시인, "제2의 윤동주" - 심련수 2018-05-28 0 4740
2131 페르시아 시인 - 잘랄 앗 딘 알 루미 2018-05-04 0 5269
2130 이탈리아 시인 - 에우제니오 몬탈레 2018-04-26 0 5090
2129 프랑스 시인 - 보들레르 2018-04-19 0 6533
2128 윤동주가 숭배했던 시인 백석 2018-04-05 0 4939
2127 일본 동요시인 巨星 - 가네코 미스즈 2018-03-31 0 5037
2126 영국 시인 - 월리엄 블레이크 2018-03-22 0 3095
2125 오스트리아 시인 - 잉게보르크 바하만 2018-03-06 0 4250
2124 미국 시인 - 아치볼드 매클리시 2018-02-22 0 4845
2123 조숙한 동성련애자 천재 시인 - 랭보 2017-12-27 0 7349
‹처음  이전 1 2 3 4 5 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