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5월 2024 >>
   1234
567891011
12131415161718
19202122232425
26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시인 대학교

시인이여, 단순하고 엉뚱한 상상력으로 놀아라...
2017년 02월 21일 00시 30분  조회:3018  추천:0  작성자: 죽림

상투성의 그물

 

 

상투성은 시의 가장 큰 적이다.
시인의 미적 인식에 의해 사물을 재발견하는 게 중요하다.
절대 죽은 인식을 되풀이 하지 말라(남들이 많이 써먹은 비유는 하지 말것)
-> 죽은 언어를 구별하여 과감히 버리고 살아있는 언어와 사투를 벌여라.






 

똥누듯이 쓰라. '무엇'을 쓰려고 하지 말라

 

가까운 곳에 있는 것을 써라. "오래 들여다봐라. 오래 들여다보면 주변의 것들이 모두 시가 된다."
-> 사과를 예로 들면 사과를 오래 바라보고 사과에 스민 햇빛을 상상해보고 (중략) 사과를 완전히 잊어버려라.(p. 61)
큰 것이 아니라 작은 것을 써라.
이론이나 세계관이 시를 낳는 게 아니다. 당신의 시가 당신의 이론과 세계관을 형성한다고 믿어라.
화려한 것이 아니라 하찮은 것을 써라

책으로 얻은 지식과 지혜를 말로 옮겨 쓰려 하지 말라. 현학이나 지적 허영의 늪에 빠질 수 있다.
어깨와 팬 끝에 힘을 주지 말고 자연스럽게 써라.






 

상처를 통해 이야기하고 
흉터를 감추지 말고 말하며 
자신이 미쳤음을 부끄러워 하지 말라

 

시를 쓰는 동안은 당신이 받은 훈장과 상장을 반납하고
행운과 행복과 영광을 외면하라
당신이 자랑하고 싶은 것들과는 이별하고
당신이 부끄러워하는 것들과 손을 잡고 결혼하라.
당신이 두고두고 치욕스럽게 여기는 것, 감춰두고 싶은 것, 그래, 그것을 꺼내 써라






 

무엇을 위해서, 누구를 위해서 쓰지 말라

 

무엇을 위해서, 누구를 위해서 쓰지 말라
시가 천박해진다.
그래도 부처와 예수와 부모와 아내를 시에 쓰고 싶어 못 견디겠다면?
-> 부처의 말씀을 관념의 테두리 안에 가둬버리고 실천할 줄 모르는 자들에 대해 써라
예수를 팔아 제 잇속을 챙기는 자들을 꾸짖는 시를 써라
부모의 비겁함과 치부와 죄를 찾아 써라
아내의 째째함과 실수와 과욕에 대해 써라






 

묘사

 

묘사는 개념을 해체한다.
고정관념이 만든 개념을 쓰지 말라.
묘사는 개념을 구체화하거나 해체하는 데 기여한다. 예를 들면
"시장에는 여러가지 채소가 많다"라고 쓰면 죽은 문장이다.
"가락시장에는 배추, 시금치, 상추가 많다"라고 쓰기 시작해야 문장에 조금이라도 생기가 돌기 시작한다.

 




[창작강의]
단순하고 엉뚱한 상상력으로 놀아라



비유는 일상적 언어 규범에서 일탈해 새로운 의미를 형성하는 언어 용법이다.

은유·직유·제유·환유의 뒷글자인 ‘유’(喩)는 ‘말하다’는 뜻의 ‘구’(口)와 ‘옮기다’라는 뜻을 가진 ‘유’(兪)의 결합이다.

즉 비유란 말의 원래 뜻을 옮겨 다르게 표현하는 것이라는 뜻이다.

“개나리꽃은 노랗다”는 일상 언어를 “개나리꽃은 병아리 부리다”라는 비유적 표현으로 바꿔보자.

이 ‘병아리 부리’ 속에는 노란 색깔 이외에도 개나리꽃의 모양, 꽃잎의 연약함, 봄의 이미지 등이 첨가된다.

‘노랗다’는 일상 언어의 평이함이 전면 확장되어 의미의 전이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대상과 대상 연결하는 ‘은유’ 
비틀고 꼬며 덧칠해야 할까 

여러 가지 비유 중에 은유는 차별성 속에서 동일성을 찾는 수사법 중의 하나다.

옥타비오 파스는 “시는 대립적인 것들의 역동적이고 필연적인 공존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의 최종적인 동일성을 선언한다”(<활과 리라>)고 말했다.

누가 뭐래도 시는 은유의 덩어리다.

은유적 표현을 한정해서 말하는 게 아니라 시라는 양식이 은유에 기대어 태어났고 성장하고 있는 존재다. 

그런데 때로 은유의 폐해를 지적하는 연구도 우리의 흥미를 끌어당긴다.

구모룡의 <제유의 시학>에 따르면 시는 근대적 개념인 세계의 자아화나 동일성으로 설명할 수 없다.

“은유는 다른 대상을 자기화하는 수사학이다.

다시 말해서 은유는 대상과 대상을 강제적으로 연결한다.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억압하는 논리이다.

” 이러한 은유적 욕망이 근대에 와서 주체중심주의, 이성중심주의, 남성중심주의를 낳았다는 진단이다.

이처럼 “타자에게 폭력적”인 은유에 대한 대안으로

유기론을 바탕으로 하는 제유 시학의 가능성을 제시하기에 이른다. 

말을 비틀고 교묘한 표현을 일삼는 이들에 대한 비판에 일찍이 허균도 가세했다.

“<서경>에 실려 있는 여러 편의 명문장을 보라. 모두 문장으로 최고의 경지에 이르렀지만,

어려운 말로 교묘하게 꾸민 구절이 있는가?

(중략) 제자백가서만 보더라도 모두 자신들의 도리를 논했기 때문에 그 글은 쉽고 간결했다.

그런데 후대에 와서는 문장과 도리가 둘로 쪼개져 마침내 어렵고 교묘한 말로 글을 꾸미는 일이 생겨났다.

이것이야말로 문장의 재앙이다.”(허균 <성소부부고>) 


나도 땅을 가지고 싶다. 
내가 좋아하는 민병하 선생님도 
수원 근처에 오천평이나 가졌는데…… 

싼 땅이라도 좋으니 
한 평이라도 땅을 가지고 싶다. 
땅을 가졌다는 것은 얼마나 좋으랴…… 

땅을 가지고 싶지만, 
돈이 있어야 한다. 
돈을 많이 벌어야겠다. 

땅을 가지고 있으면, 
초목을 가꾸고, 
꽃을 심겠다. 


천상병의 시 <땅>이다.

시인은 가진 땅이 한 평도 없어 “나도 땅을 가지고 싶다”고 직설적으로 욕망을 드러낸다.

땅을 가지기 위해 “돈을 많이 벌어야겠다”는 소유욕을 숨기지 않는다.

그것은 인간의 보편적인 욕망이라 할 만하다.

어떤 이들은 도대체 이런 게 무슨 시인가, 되묻고 싶을 것이다.

이 시에는 시적인 비유도 없고 시적인 발견도 없다고, 이런 시라면 하룻밤에도 수십 편을 쓰겠다고 투덜댈지도 모르겠다.

천상병이라는 유명한 시인이 쓴 것이니까 좋은 시라고 추어올리는 게 아니냐고 볼멘소리를 할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땅을 소유하고자 하는 시인의 욕망은 “초목을 가꾸고,/ 꽃을 심겠다”는 아주 작지만 근원적인 꿈을 이루기 위해서다.

땅을 가진 뒤에 땅값이 오르기를 기다리거나 거기에 부동산을 짓겠다는 투기 욕망 따위는 일절 없다.

오히려 그런 심리를 비웃기라도 하듯 시인은 그저 초목과 꽃을 심겠다고 한다

(그러다 보면 땅값이 오르겠지, 하고 의심한다면 당신은 정말 속물이다).

이러한 단순성의 미학이 천상병이라는 시인을 만들었다. 

이 시에서 무욕의 욕망을 읽고 은유 아닌 은유를 읽을 줄 아는 사람이라면 그가 바로 은유의 성채 입구에 도달한 사람이다.

그러니 시를 쓰기 위해 책을 뒤져 은유를 배우지 마라.

은유를 잘못 배우면 말을 요리조리 비틀고 무슨 문장이든 꾸미려 하고 교묘하게 꼬는 일이 시의 전부인 줄 알게 된다.

나는 그것을 ‘비유의 덧칠’이라고 부른다.

비유를 덧칠하지 않고 단순한 상상력의 깊이를 아는 사람은 저녁에 술 마시러 나갈 때

천상병의 이런 시 구절을 흥얼거릴지도 모른다.

“저녁 어스름은 가난한 시인의 보람인 것을……”(<주막에서> 일부분) 


내 늙은 아내는 
아침저녁으로 
내 담배 재떨이를 부시어다가 주는데, 
내가 
“야 이건 
양귀비 얼굴보다도 곱네. 
양귀비 얼굴엔 분때라도 묻었을 텐데?” 
하면, 
꼭 대여섯 살 먹은 계집아이처럼 
좋아라고 소리쳐 웃는다. 
그래 나는 
천국이나 극락에 가더라도 
그녀와 함께 
가 볼 생각이다. 


미당이 작고하기 두 해 전, <현대문학> 1998년 1월호에 발표한 시 <내 늙은 아내>다.

그 한 해 전에 나온 마지막 시집 <80소년 떠돌이의 시>(시와시학사)도 그렇지만 말년에 미당은 여든을 훨씬 넘은 나이에

놀랍게도 소년의 목소리를 얻었다.

어른은 복잡하게 얽히고설킨 세상사에 대해 이것저것 따지고 분석하는 사람이다.

그러나 소년은 단순하게 세상을 읽으려고 한다.

삶의 갈등과 고뇌에 물들지 않았기 때문이다.

미당의 시에 나타나는 이 단순성은 이 세상을 한 바퀴 휘휘 돌아본 뒤에 마침내 다다른 시선(詩仙)의 경지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문학과 인생의 산전수전 끝에 미당은 천진성이라는 새로운 문학적 눈을 갖게 된 것이다. 


*특정한 틀에 갇히지 말고 
천진난만한 상상 표현하길 


내 아내는 여기 등장하는 ‘늙은 아내’와 달리 내 담배 재떨이를 아침저녁으로 비워본 적이 별로 없었다.

집에서 내 재떨이는 담배꽁초뿐만 아니라

아이들이 버린 휴지 조각, 방바닥에서 집어낸 머리카락, 손톱 따위들을 담는 쓰레기통쯤으로 취급되어 왔었다.

나는 이 시를 아내에게 보여주었다.

아내는 시를 보고 뭔가 찔리는 게 있었던 모양이다.

그 다음날부터는 정말 내 재떨이도 확연히 달라졌다.

아침저녁으로 담뱃재 하나 묻어 있지 않은 재떨이를 보면서 나는 아내에게 말했다.

“야 이건 양귀비 얼굴보다도 곱네. 양귀비 얼굴엔 분때라도 묻었을 텐데?” 

담배 재떨이는 대체로 둥글다.

그 둥근 모양과 부부 관계가 알맞게 버무려진 이 시를 읽으면서 나는 보름달을 떠올린다.

모자라는 것도, 더 채워야 할 것도 없는 보름달의 원형은 우리가 궁극적으로 가 닿아야 할 사랑의 종착지를 상징한다.

 “아 내곁에 누어있는 여자여./ 네 손톱 속에 떠오르는 초생달에/ 내 戀人(연인)의 꿈은 또 한 번 비친다.”

(<눈 오시는 날> 일부분) 그동안 미당의 시에 숱하게 등장하던 초생달의 이미지는

이 시에 이르러 비로소 환한 보름달로 가득 차올랐다.

미당은 자연스럽게 보름달의 세계를 갖게 되었다. 단순함의 힘이다. 


나주 들판에서 
정말 소가 웃더라니까 
꽃이 소를 웃긴 것이지 
풀을 뜯는 
소의 발밑에서 
마침 꽃이 핀 거야 
소는 간지러웠던 것이지 
그것만이 아니라 
피는 꽃이 소를 살짝 들어 올린 거야 
그래서, 
소가 꽃 위에 잠깐 뜬 셈이지 
하마터면, 
소가 중심을 잃고 
쓰러질 뻔한 것이지 



윤희상의 <소를 웃긴 꽃>이다.

근래 이 시를 잃고 한참 동안 행복했다.

특정한 개념과 틀에 갇히지 않은 상상력이 이런 유쾌한 시를 생산했다.

엉뚱함의 힘이다.

꽃이 소를 웃겼다고, 소의 발바닥을 간질였다고, 연약한 꽃이 육중한 소를 살짝 들어 올렸다고 한다.

정말 소가 웃을 일이다.

세상에 시인이 아니면 누가 이런 엉뚱한 발언을 하랴.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90 시인의 고향 룡정에서 반세기만에 첫 기념회를 열었던 때가 ... 2017-02-27 0 1707
289 시가 스스로 울어야 독자들도 따라 운다... 2017-02-27 1 2117
288 시의 창으로 넘나드는 시어는 늘 신선해야... 2017-02-27 0 1959
287 "알파고"와 미래의 조선족 2017-02-24 0 2052
286 인공지능 번역기가 없다?... 있다!... 2017-02-24 0 2236
285 인공지능이 영화대본을 못쓴다?... 썼다!... 2017-02-24 0 3433
284 시도 모르는 비인간적인 사회는 배부른 돼지들만 사는 세계 2017-02-24 1 2301
283 인공지능이 천여편의 시를 못쓴다?...썼다!... 2017-02-24 0 2189
282 중국 연변 룡정 동산마루에 "별의 시인" 윤동주묘소가 있다... 2017-02-24 0 2210
281 시인은 궁핍(窮乏)으로 시인의 이름에 누를 끼치지 말아야... 2017-02-24 1 1962
280 윤동주 시와 이육사 시를 재조명해 보다... 2017-02-23 1 7874
279 책을 그렇게도 사랑했던 덕화 남평 길지籍 허봉남 문학가 2017-02-23 0 2180
278 시는 꽃씨와 불씨와 꿈을 지닌 여백(餘白)의 미학이다... 2017-02-23 0 2097
277 "하이쿠시"는 불교, 도교, 유교의 종합체이다... 2017-02-22 1 2392
276 덕화 남평의 "마당형님"이였던 허충남 문학가 2017-02-22 0 1954
275 시는 예쁜 포장지속에 들어있는 빛나는 보석이여야... 2017-02-22 0 2007
274 "한글통일"이 언제 오려나(4)... 2017-02-22 0 2937
273 "한글통일"이 언제 오려나(3)... 2017-02-22 0 1960
272 "한글통일"이 언제 오려나(2)... 2017-02-22 0 2229
271 "한글통일"이 언제 오려나... 2017-02-21 0 2317
270 세계가 기리는 100년의 시인... 2017-02-21 0 1935
269 진정한 시는 "찾아지는 감춤"의 미덕과 미학의 결과물이다... 2017-02-21 0 2346
268 안도현 시론을 재정리하여 알아보다... 2017-02-21 0 2796
267 시 안에서 "잔치"를 벌리라... 2017-02-21 0 2309
266 시는 발효와 숙성의 간고하고 처절한 시간과의 결과물이여야... 2017-02-21 0 2451
265 시인이여, 단순하고 엉뚱한 상상력으로 놀아라... 2017-02-21 0 3018
264 시어는 "관념어"와 친척이 옳다?... 아니다!... 2017-02-21 0 2332
263 멕시코 시인 옥타비오 파스가 "이미지"를 말하다... 2017-02-20 0 2951
262 애송시가 되는 비결은 우리 말로 우리 정서를 표현해야... 2017-02-20 0 2015
261 창조적 모방을 위하여 // 트럼블 스티크니 / 정지용 2017-02-19 0 3713
260 "아버지가 서점이고, 서점이 곧 아버지였다" 2017-02-19 0 2624
259 한국 최초의 번역시집, 최초의 현대 시집 / 김억 2017-02-19 0 4021
25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즈려밟다" 와 "지르밟다" 2017-02-19 0 3322
257 아르헨티나 극단주의적 모더니즘 시인 - 보르헤스 2017-02-19 0 4131
256 "내 시가 독자를 감동시키지 못한다면 죽어도 쉬지 않으리라" 2017-02-19 0 1809
255 시작은 탈언어화로부터 시작하라... 2017-02-19 0 2022
254 "낯설게 하기"를 처음 제시한 사람 - 러시아 작가 쉬클로프스키 2017-02-19 0 2088
253 시는 언어의 건축물이다... 2017-02-19 2 2094
252 시작을 낯설게 하기도 하고 낯익게 하기도 하라... 2017-02-19 0 1879
251 시인은 재료 공급자, 독자는 그 퍼즐맞추는 려행자 2017-02-19 0 1910
‹처음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