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0 >>
   1234
567891011
12131415161718
19202122232425
2627282930  

방문자

검색날짜 : 2020/04/05

전체 [ 2 ]

2    [민속] - 이남박 댓글:  조회:3214  추천:0  2020-04-05
한국의 농기구 이남박     쌀이나 보리쌀 등에 섞인 돌과 같은 협잡물을 고를 때 사용하는 연장으로 농사용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보통 부엌 살림으로 많이 썼다. 통나무를 바가지모양으로 파내고 다듬어서 만드는데 그릇 운두의 안쪽 면에 1/2∼1/3 정도만 둘레 방향으로 오톨도톨하게 요철을 냈다〈사진 9-6〉. 〈사진 9-6〉 이남박(농협 농업박물관) 조리로 일어 내고 남은 쌀을 이남박에 담아 흔들면서 따라 내는데, 요철 부분으로 곡식이 통과하면서 요철면과의 마찰력의 차이로 돌과 같은 협잡물을 가려낸다. 작은 것은 지름이 20cm 정도에서 큰 것은 70cm 이상 되는 것도 있으며, 모양도 원형, 타원형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이남박을 한자음을 빌어 齒函只로 썼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남박 (한국의 농기구) 한국언어지도 이남박     질문 이 그릇은 무엇이라고 합니까? (쌀을 일 때 쓰는 나무바가지인데, 흔히 둥글게 파여 있음) '이남박'의 방언형은 모두 '박'을 공유하고 있으면서도 아주 잡다하게 여러 형태로 분화되어 있다. 대표적인 방언형은 대개 '이남박'계, '함박'계, '쌀름박'계 및 '바가지'계 정도로 나눌 수 있을 듯한데 그 구체적인 방언형을 보이면 다음과 같다. ① '이남박' : 이남박, 남박 ② '함박'계 : ㉮ 함박, 나무함박, 쌀함박, 함배기, 나무함배기                    ㉯ 함지, 나무함지, 함지박 ③ '바가지'계 : 나무바가치, 솔바가지, 박바가치 ④ '살름박'계 : ㉮ 쌀름박, 쌀람박, 쌀룸박, 쌀르박                       ㉯ 쌀배기, 살배기, 쌀뚝배기, 쌀람배기 이상의 세 계열 외에도 '바팅이', '구멍구시'가 각각 겨우 경북의 , 경남의 한 곳에서만 나타나며, 또 제주를 비롯하여 경남과 전남의 여러 곳 등 이에 해당하는 어휘 자체가 없는 지역도 꽤 있다. 개별적 방언형은 복잡하게 얽혀 있지만 이들을 앞의 세 계열로 나누어 보면 그 분포가 꽤 선명하게 드러나는 편이다. '이남박'계는 경기를 거점으로 하여 강원, 충북의 일부에 퍼져 있고, '함박'계는 전남북과 충남이 그 중심지로서 충북, 경남 쪽으로도 확산되었으며, '쌀름박'계는 경북을 거점으로 강원의 동남부에까지 분포되어 있는 것이다. 각 계열 안에서도 '남박'은 강원, '함지'나 '함지박'은 전남, '쌀름박'은 강원, '쌀배기'는 경북 등으로 그 분포가 선명한 경계를 만들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들은 한결같이 '박'을 그 핵심어로 가지고 있음이 주목을 끈다. 방언형이 이처럼 여러 갈래로 갈리면서 이렇듯 한 가지 뿌리를 공유하고 있기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남박'은 '나무로 된 박'이라는 뜻으로, '이남박'은 안으로 골이 파인 모양이 '이빨' 같다고 해서 거기에 '이'를 결합하여 만들었을 것이다. 그리고 '쌀름박'은 '쌀+함박'에서 'ㅎ'이 약화되어 생긴 형태일 것이다.(I-077) 관련이미지 11 이미지목록 이전                                           이미지목록 다음 이미지 이전 이남박 이미지 갤러리 출처: e뮤지엄 [네이버 지식백과]이남박 (한국언어지도)   사진의 왼쪽에 있는 나무제품은 이남박이란 것으로 함지박의 일종으로 쌀, 보리쌀 등을 씻을 때 골이 진 부분에서 가벼운 마찰이 생겨 깨끗이 씻을 수 있게 하였고 또 조리로 쌀을 일어 건진 다음, 이남박에 남은 소량의 쌀과 돌 부스러기 등 불순물을 분리시킬 때도 이 골이 진 부분이 효과적인 구실을 하게 됩니다.   새로 만든 이남박은 사용하기에 앞서 표면에 들기름을 발랐다가 잘 마른 다음 행주로 길을 들여서 쓰거나, 주사의 붉은 칠이나 진흙 칠을 하여 잘 말린 다음 마른행주로 깨끗하게 닦고 그 위에 들기름을 얇게 먹여 약간 홍갈색이 돌게 길들인 다음에 사용하였는데 장기 보관을 위해서라도 들기름을 발라 마른 행주로 벅벅 닦아 주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오른쪽 사진은 여물바가지 입니다. 지금은 소를 키울때 대부분의 경우 사료를 먹이는데 예전엔 여물이라 해서 소나 말이 먹던 마른풀, 그것을 여물이라고 하는데 그 여물을 푹 끓입니다. 그럼, 그것이 여물죽이 되는데 그 여물죽을 풨던 도구.^
1    [민속] - 함지박 댓글:  조회:3174  추천:0  2020-04-05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함지박     이미지 크게보기 큰 나무를 쪼개어 안을 파내서 만든 큰 그릇.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유형 물품 성격 생활용품, 주방용품 재질 고한지, 풀, 나무 용도 조리용, 음식운반용 목차 정의 내용 정의 통나무의 안을 파내서 바가지 같이 만든 큰 그릇. 내용 일명 ‘함박’이라고도 한다. 함지박에는 전함지·민함지·주름함지 등이 있다. 전함지는 전이 달리게 판 것이며 민함지는 둥근 함지이고 주름함지는 안쪽이 주름지게 만든 것이다. 이것은 식품류를 담고 떡가루를 버무리거나 반죽할 때, 또는 김장소나 깍두기를 버무리는 등 조리의 여러 조작을 할 때, 혹은 떡이나 과줄 등을 담아 운반할 때 등 여러가지 일에 쓰인다. 크기는 여러가지이며 무겁고 튼튼하므로 한 가정에서 대를 물리면서 사용하였다. 중간 크기의 것은 가운데 지름이 80㎝, 깊이 20㎝ 정도이며 주변에 5∼6㎝ 정도의 전을 붙인다. 전을 좌우 양쪽에만 10㎝ 정도로 넓게 붙인 것도 있으며, 큰 것에는 붙이지 않는다. 새로 만든 함지박은 콩댐을 먹여 반들거리고 견고하게 하였다. 목제 외에 종이로 만든 종이함지도 있다. 이것은 먼저 물에 담가서 땟국물과 풀기를 뺀 고한지(古韓紙)를 꼭 짜서 묽은 풀에 다시 담가 풀물이 고루 배도록 한 다음, 목함지 둘레에다 2∼3㎝의 두께로 부착시켜 형태를 만들고 잘 말린다. 잘 마르면 목함지에서 떼어 다시 손질하여 콩댐을 한다. 물기 없는 음식을 다룰 때 사용하면 가벼워서 매우 편리하다. 참고문헌 『한국민속대관』2(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0) 관련이미지 51 이미지목록 이전                                                   이미지목록 다음 이미지 이전 함지담아 보관하거나 나르는 도구. 이미지 갤러리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함지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천재학습백과 초등 국어 용어사전 함지박   [ wooden bowl ] 목차 1. 함지박 2. 소쿠리 3. 대야 4. 키를 쓰고 소금을 얻어 오너라! 1. 함지박 함지박   [비슷한말] 함지, 함박 함지박에 물을 담아 오면 되나요? 바가지와 비슷한 모양으로, 통나무를 잘라 그 속을 파내어 만든 그릇을 '함지박'이라고 해요. 여러 가지 음식을 담아 놓을 때나 음식을 버무릴 때 사용한답니다. [예] 갓 쪄낸 송편이 함지박 안에 가득 있었습니다. [교과서예] 삽을 들고 함지박 안으로 들어가 엎치락뒤치락하면서 만두소를 버무리는 모습     2. 소쿠리 소쿠리 '소쿠리'는 대나무를 얇고 가늘게 쪼개어 둥글게 짜고, 그 위에 테두리를 둘러서 단단하게 엮어 만든 그릇을 말해요. 주로 음식을 담아 놓을 때 사용한답니다. 길동이는 거북 옹이 소쿠리에 가득 담아 온 것이 무엇인지 궁금하였습니다. 3. 대야 대야 '대야'는 세수를 할 때나 발을 씻을 때처럼 무엇을 씻기 위하여 물을 담아서 쓰는 둥글넓적한 그릇을 말해요. 길동이는 햇빛을 가리려고 머리에 대야를 뒤집어썼습니다. 4. 키를 쓰고 소금을 얻어 오너라! 옛날에는 아이가 이불에 오줌을 싸면 머리에 키를 씌우고 동네를 다니며 소금을 얻어 오게 했답니다. 키를 쓰고 돌아다니면서 오줌을 쌌다는 것을 동네 사람들에게 알리고 창피함을 느끼게 하기 위해서였다고 해요. 관련이미지 43 이미지목록 이전                                                       이미지목록 다음 이미지 이전 함지큰 나무를 쪼개어 안을 파내서 만든 큰 그릇.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이미지 갤러리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함지박 [wooden bowl] (천재학습백과 초등 국어 용어사전)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