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5월 2024 >>
   1234
567891011
12131415161718
19202122232425
26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마광수님의 적어도 더 이상 "그 고달픈 잠"을 깨우지 말자...
2017년 09월 10일 23시 45분  조회:2757  추천:0  작성자: 죽림
 
 
///김사윤 시인
‘혼자’라는 외로움의 끝은 어디일까. 죽음이다. 마침내 죽음에 이르는 시기와 사유는 다를지언정 언젠가는 혼자 떠날 수밖에 없다. 마지막 외로움조차 부정하기 위해 동반결의(同伴決意)를 실행에 옮기기도 하지만, 그 또한 공간의 동일함 외에는 아무것도 아니다. 죽음 이후의 시간은 어떤 것도 명확하게 증빙된 것은 없으니 말이다.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에서 수많은 이들의 위로와 격려를 받기도 하지만,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주는 이들도 그들이다. 소설이나 영화와는 달리 현실은 영원한 선악의 개체는 없다. 애매모호한 각자의 입장과 처신으로 인해서 본의 아니게 피해를 주기도 하고 그에 못지않은 피해를 보기도 한다. 그래서 ‘영원한 아군도 적군도 없다.’라는 말이 있나보다. 늘 우리는 누군가의 아군이고자 한다. 적군이고 싶은 사람은 아무도 없다. 두렵기 때문이다. 조직폭력배도 ‘나 홀로 조직’은 없다. 그들도 두렵기 때문이다.

2017년 9월 5일 오후 12시 51분 경 마광수 시인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그는 소설이나 수필 등의 산문을 쓰는 작가로, 연세대학교 국문학과 교수로 더 유명했지만 원래는 청록파 시인 박두진의 추천으로 등단한 시인이었음은 그렇게 알려져 있지 않다. 필자는 그를 좋아하는 축은 아니었지만, 적어도 그에게 닦달을 하거나 편견을 갖고 있지는 않았다. 다만 1991년에 발표한 그의 문제작 ‘즐거운 사라’는 자유로운 성(性)을 내세운 ‘또 다른 억지’처럼 여겨져서 불편하게 읽었던 건 사실이다. 하지만, 누가 보더라도 그릇된 예술의 잣대로 당국이 응징(?)함으로 그에게 전과 2범의 오점을 남긴 사건 이후에 발표한 작품들이 그에 대해서 오히려 우호적인 이해를 가지게 되었던 것 같다. 특히 그의 박사 학위논문은 단언컨대 ‘명품’이다. 시인 윤동주 작품에 나타난 상징적인 표현을 중심으로 그의 문학세계를 연구한 ‘윤동주 연구’는 학위논문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짜깁기의 메운 자국이 없을뿐더러 군더더기가 없다. 그런 그가 학자로도 문학인으로도 머무르지 못한 채 이젠 더 이상 그의 연구도 작품도 볼 수 없다는 것은 아쉬운 일이다.

그로테스크(grotesque), 마광수 시인과 함께 연상되는 형용사다. 원래는 이탈리아어로 특이한 의장(意匠)을 가리키는 것이었으나,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엽기적이나 괴기스러운 것을 뜻할 때 사용되기도 한다. 그의 삶 자체가 아라베스크 무늬만큼이나 난해하다. 25살에 대학에서 교편을 잡는 기염을 토하는가 하면, 1984년에는 ‘서울로 가는 전봉준’이라는 시로 안도현 시인이, 1985년에는 기형도 시인의 ‘안개’라는 작품이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될 당시 예심 심사위원으로도 그는 이름을 올렸다. 수천편의 응모작들 중에서 본선에 올릴 열댓 편의 작품들을 선정하는 데 그의 역할이 컸음은 말할 것도 없다. 그런 그가 재직하던 대학의 연세문학회 지도교수로 있던 당시 그의 제자였던 기형도의 작품을 선정한 것은 분명 문학을 꿈꾸는 이들의 가슴에 쇄기를 박는 잘못된 선택이었다. 게다가 그가 한 여성잡지에서 나눈 인터뷰에서 “기형도는 난해해. ‘물속의 사막’, 이게 무슨 소리야.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라는 시구가 있는 시 제목이 ‘빈집’이야. 무슨 연관이 있어? 사람들이 무슨 말인지 알고나 기형도를 좋아하는 걸까. 어려운 글은 무조건 못쓴 글”이라고 언급할 정도로 본인의 마음에 들지 않았으면서 그를 낙점한 것에 대해서는 두고두고 아쉬운 부분이 아닐 수 없다. 

우리나라 언론과 방송은 그야말로 대단하다. 그가 수업 중에 연행되고 조사받고 포승줄에 매여 이리저리 움직일 때마다 플래시를 터뜨리던 그들이 그가 명을 달리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마자 천재소설가라고 추켜세운다. 이게 뭐하자는 건지 모르겠다. 불과 이십여 년 전에 사지로 내몰며 마녀사냥에 뒤처질까 사냥개처럼 달려들던 그들이 이제는 그를 둘러싼 미담과 그의 제자들까지 찾아다니면서 그의 진혼에 이바지하는 모양새가 솔직하게 표현하자면 역겹다. 그의 예술적인 수준까지야 어찌되었건 시인 윤동주의 작품들 중에서 10편이나 등장하는 자학적인 시어 ‘부끄러움’을 길어 올리는데 마중물이 되어 주었던 그의 논문의 가치를 외면하던 언론이 이젠 그가 없었으면 시인 윤동주가 없었다고 극찬을 한다. 진작 그를 먼저 알아봐 주고 그의 작품을 해석해 주었더라면 그리도 오랜 시간 외롭지 않았을 텐데 말이다. 

연탄재 함부로 발로 차지 마라./너는/누구에게 한 번이라도 뜨거운 사람이었느냐. <너에게 묻는다. 안도현>

그는 당당했고 망설임이 없었다. 보란 듯이 윤동주 시인과는 전혀 다른 장르의 작품들을 남기고 떠났다. 그를 다시 만날 수만 있다면 청년 윤동주라는 한 인간의 고뇌와 외로움을 충분히 이해했기 때문에 ‘자유로운 욕정(欲情)’을 도구로 선택하지 않았을까 하는 질문을 하고 싶었다. 윤동주 시인을 일컬어 ‘그의 작품들은 일제 말 암흑기, 우리 문학의 공백을 밤하늘의 별빛처럼 찬연히 채워주었다.’라고 주장하던 그가 문학을 함부로 더럽힐 리는 없지 않는가 말이다. 대중의 무리들로 인해 상처를 두 번 다시 받지 않기 위해 영면(永眠)을 선택한 그의 고달픈 잠을 깨워선 안 된다. 적어도 더 이상은 그를 식어버린 연탄재 취급을 하지 말아야 한다. 적어도 그는 뜨겁게 살다간 사람이었음은 분명한 듯 보이니 말이다.
//////////////////////////////////
======================
//////////////////////////////////

문학계의 이단자 마광수 전 연세대 교수가 지난주 향년 66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그는 생전에 문학이 당대의 가치관에 순응하는 계몽서가 되어서는 안 되고 기존의 가치체계에 대한 창조적 반항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그의 문학관(文學觀)은 ‘상상력의 모험이며 금지된 것에 대한 도전’이었다.

그는 당시 우리 문학계에서 다루기를 꺼려했던, 인간 내부에 잠재한 본능적 욕구들을 적나라하게 드러내 이를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이야말로 문학이 가야 할 방향이라고 말했다. 어차피 문학은 ‘허구’이고 ‘그럴듯한 거짓말’이기에 상상적 허구의 세계를 통해 그 어느 것도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하면서 교양서나 교훈서로서의 문학은 앞으로 문학 취급을 받지 못할 것이라고 단언했다.

그는 시나 소설만큼은 구성이나 문체(文體)에 있어서도 에세이나 평론과는 달라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소설을 쓸 때 문장에 가장 많은 신경을 쓴다고 말했는데, 교양주의나 교훈주의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문체와 담론 방식을 추구해 친근감 있고 가벼운 문장을 쓰도록 애썼다.

에세이를 쓸 때에도 그는 서구의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담론 방식이 싫어 동양식의 자유롭고 분방한 아포리즘 형식을 빌려 글쓰기를 좋아했다. 아포리즘(aphorism)은 격언, 금언처럼 깊은 체험적 진리를 간결하고 압축적으로 표현하는 방식을 말한다.

그는 ‘즐거운 사라’ 필화 사건으로 구속돼 해직되는 아픔을 겪었고 이후 복직됐지만 정년퇴임 후 명예교수의 자격을 잃고 안타깝게 생을 마감했다. 그러나 그는 시대를 앞선 문제의식으로 우리 문학의 지평을 넓혔고, 창조와 상상의 자유를 우리 문학에 불어넣은 인물로 기억될 것이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

///유지철 KBS 아나운서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313 [고향문회인] - "된장사랑"에서 "된장아리랑"을 부르며... 2017-09-17 0 3288
1312 [고향문화인] - 가야금아, 둥기당당 영원토록 울려라... 2017-09-17 0 4567
1311 [고향문화인] - "악기만들기 인생" 닐리리... 2017-09-17 0 3758
1310 [고향문화인] -"상모야,- 빨강, 노랑, 파랑과 함께 얼쑤 돌아라" 2017-09-17 0 4126
1309 [고향문회인]"세상에서 고름이 있는 옷은 우리 민족 복장뿐"... 2017-09-17 0 4315
1308 [고향문화인] - "무대는 나의 영원한 파트너입니다!"...최중철 2017-09-17 0 3938
1307 마광수님, 님께서는 "이중삼중고(苦)"를 겪고 떠났어ㅠ... 2017-09-16 0 2823
1306 마광수님, 님께서는 생전에 줄담배를 피우셨다면서ㅠ... 2017-09-16 0 2442
1305 마광수님, 님께서는 태여나"야하게 살"권리를 찾으려 했건만... 2017-09-16 0 2540
1304 마광수님, 님께서는 문단에서도 "왕따"를 당했다면서ㅠ... 2017-09-16 0 2716
1303 마광수님, 안타깝도다, 님께서 계실 때나 "마광수붐"나 일지!!! 2017-09-16 0 2861
1302 마광수님, 님의 "즐거운 사라"는 지금 중고거래판매 된대ㅠ... 2017-09-16 0 2656
1301 마광수님, 그렇게도 잘 팔리지 않다던 님의 시집 재판했대ㅠ... 2017-09-16 0 2728
1300 마광수님, "님께서 죄가 있다면 '시대를 앞서간 죄' "라네ㅠ... 2017-09-16 0 2575
1299 마광수님, 지옥에서는 지금 "야한" 글이 잘 씌여지는가ㅠ... 2017-09-16 0 2701
1298 마광수님, "추억"책속에는 님께서 직접 그린 그림도 실렸어ㅠ... 2017-09-16 0 3665
1297 馬光洙님, 이승에서 출간못한 책, 저승에 부쳐 보내드릴게ㅠ... 2017-09-16 0 3608
1296 마광수님, 그렇게도 바라고 바랬던 책 "추억"이 출간되였어ㅠ... 2017-09-16 0 2739
1295 [록색문학평화주의者]"동북범"아, 영원히 맘대로 뛰여 놀아라... 2017-09-15 0 2680
1294 [쉼터] - 달에 발자국 찍다... 2017-09-15 0 2361
1293 [쉼터] - "괴짜 노벨상" = 이그노벨상 2017-09-15 0 2862
1292 [록색평화 ]- 당신의 자가용차는 시커먼 연기를 내뿜습니까... 2017-09-14 0 2613
129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도대체 남의 일이 아니다... 2017-09-14 0 2560
1290 [록색문학평화주의者].중국 최고령 판다 스타 "바시" 저 세상... 2017-09-14 0 2785
1289 [그것이 알고싶다] - 강아지가 똥싸기전 빙글빙글 도는 리유?... 2017-09-14 0 5560
1288 [이런저런] + 90 = 17 = 5 = 6 = 4 = 73 2017-09-14 0 3016
1287 [그것이 알고싶다] - 호랑이 으르렁...원숭이들 찔찔... 2017-09-14 0 2148
1286 [고향문인들] - 민족앞에 부끄럽지 않은 사람이 되여야... 2017-09-13 0 2589
1285 [고향문화소식] - 중국 조선민족의 명함장 = "조선족 농악무" 2017-09-13 0 2605
1284 [그것이 알고싶다] - 16년전, "추락하는 남자"를 찾아 16년?!... 2017-09-13 0 2861
1283 [고향소식]중국 화룡 국제마라톤경기를 못한다? -한다, 했다!... 2017-09-12 0 2466
1282 [쉼터] - ' 2018 이색적 기네스 세계기록 2017-09-11 0 4488
1281 [쉼터] - 중국 북경시에서 가장 높은 건물 2017-09-11 0 2576
1280 [쉼터] - 중국 남창에 "군사테마공원"이 없다?... 있다!... 2017-09-11 0 2875
1279 [쉼터] - 세계에서 가장 긴 "명절" 2017-09-11 0 2521
1278 마광수님의 적어도 더 이상 "그 고달픈 잠"을 깨우지 말자... 2017-09-10 0 2757
1277 [이런저런] - "이 판결이 불과 10년후에는 비웃음거리가..." 2017-09-10 0 3091
1276 마광수님은 "별것도 아닌 인생"길에서 "덫"에 걸렸다... 2017-09-09 0 2680
1275 [이런저런] -마광수님은 "얄궂은 한 시절 모퉁이를 돌아갔다"... 2017-09-09 0 2768
1274 [이런저런] - 마광수님은 "어느날 갑자기..."를 내다봤다?!... 2017-09-09 0 2446
‹처음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