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4 >>
 123456
78910111213
14151617181920
21222324252627
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시인 대학교

시는 벼락치듯 독자들을 전률시켜야...
2017년 02월 05일 19시 27분  조회:2384  추천:0  작성자: 죽림

109명의 시인들이 뽑은 벼락치듯 나를 전율시킨 '최고의 시구' 에 이어..
 

 


전율, 비극적 황홀, 위반
 
정    효    구

1. 대사저인大死底人의 활인活人


죽으려면 크게 죽어야 한다. 그래야 ‘한 소식’이 오면서 크게 살아난다. 이른바 대사저인大死底人을 통한 활인活人의 상태가 오는 것이다. 감전感電이 되더라도 강력하게 내전內電되어야 한다. 그래야 불순물이 일시에 하얗게 타버린다. 이른바 육탈肉脫과 탈각脫殼을 통한, 해탈解脫의 법열이 이런 때에 내방하는 것이다. 

그러나 어디 그게 쉬운가. 우리는 다 죽지 못하여 진속眞俗의 경계를 넘나들며 허둥댄다. 또한 우리들은 심장의 중심부까지 내전시킬 용기가 없어서, 겨우 손끝만 쩌릿쩌릿한 채 3촉짜리 불빛 하나를 달고 덜 절은 김장배추처럼 피둥피둥한 몸으로 밤 속을 헤쳐간다. 

여기 100여 명의 시인들이, 사구死句로 가득 찬 진부한 세상에서 그들의 시적 공안이자 활구活句를 붙들고 자신들만의 비밀스런 사생담死生談을 진솔하게 들려준 이야기가 있다. 모든 인간들이 다르게 살고 죽듯이, 이들 또한 시인으로서의 삶을 통해 만인만색으로 살고 죽은 한 순간의 실상實相을 여기에 고스란히 내어놓고 있다.

2. 감동, 전율 그리고 법열


감동과, 전율과, 법열은 다르다. 감동이 우리의 몸속에 촉촉한 물기와 따스한 열기를 가져다준다면, 전율은 차가운 한기와 탈습한 건기를 전해준다. 그런가 하면 법열은 한열조습寒熱燥濕의 인간적이며 현상계적인 기운을 일체 무화시키고, 무색의, 무취의, 무감의 환한 진경을 경계 없이 열어 보인다.  

감동이 봄과 여름을 상징하는 음양오행의 목성木性과 화성火性의 내질인, 이른바 생장生長과 생기生氣의 힘이 작용하는 에로스의 세계라면, 전율은 가을과 겨울이 상징하는 금성金星과 수성水性의, 이른바 수장收藏과 살기殺氣의 힘이 불러일으키는 공의公義의 세계이다. 그렇다면 법열은 어떠한가. 그것은 생장과 수장, 생기와 살기를 모두 통합하며 넘어선 토성土性, 그러니까 중화中和의 핵심과 한몸이 된 상태이다. 

감동할 때 우리의 몸은 뜨겁고 촉촉해지면서 몸에서 눈물과 화기가 흘러나온다. 그것은 생명감이 살아나는 눈물이고 화기다. 그에 비해 전율할 때 우리의 몸은 차갑고 건조해지면서 소름이 돋는다. 그것은 내성의 응축이 빚어낸 자아단속의 모습이다. 전자는 이완이고 후자는 수축이다. 이완도 수축도 다 그 나름의 의미를 갖고 우리 존재의 항상성恒常性에 이바지하지만, 중요한 것은 그것이 어느 것이든 우리는 이런 이완과 수축의 드라마 속에서 묵은 존재의 때를 홀연히 벗고 새로운 존재로 중생重生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법열의 순간엔 어떠해지는가. 법열의 순간에 우리는 공空의 백금처럼 무애無碍하고 자재自在해진다. 내면이 그대로 청정한 공의 상태로 들어서는 최고의 중생을 체험하는 것이다.

100여 명의 시인들이 보여준 감전의 체험 가운데는 감동도 있고, 전율도 있고, 법열도 있다. 감동의 감성과, 전율의 지성, 그리고 법열의 영성이 함께 자리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지배적인 것은 아무래도 지성의 전율 쪽이다. 전율도 크게 보면 감동의 일종이다. 그러나 그것은 존재를 안으로 죽비처럼 치는 수렴과 수장의 살기殺氣, 즉 반성적, 지적 사유가 심층에 내재한 감동이다. 다시 말하면 감동의 자연성, 동일성, 상생성과 비교할 때, 그리고 법열의 초월성, 무비성, 절대성 등에 비할 때, 전율은 비동일성의 세계를 대면하는 지적 행위를 숨기고 있다.  

우리의 시인들에게 감동이나 법열보다 특별히 전율이 그들의 생을 바꾼 감전체험의 절정으로 엄습한 것은 이 땅의 근대 및 현대시의 정신이 요구한 지성과 부정의식이 크게 작용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한 인간의 삶이란 그 개인의 개별의식과 그를 둘러싸고 있는 집단의식 사이에서 창조되는 것이라 할 때, 한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그가 일반인이든 시인이든 간에 그 자신의 개인의식은 물론 시대가 가진 집단의식으로부터 결코 자유로울 수가 없다. 한 인간의 감전 체험이란 것은 바로 이런 의식 전체의 문제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감전체험이란 시공을 초탈하여 영원불변성을 지닌 것이 아니라 한 개인을, 또는 그 시대를 지배하고 있는 관념, 의식, 가치관 등등에 의하여 창조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이 땅의 근대 및 현대, 그리고 이들 속에 내재된 집단의식, 더 나아가 근대 및 현대시가 지향한 집단의식으로서의 지성과 부정의식은 시인들로 하여금 전율의 체험을 갖게 하는 데 크게 영향을 미쳤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응답 시인들은 김수영, 이상, 정지용, 김종삼, 이성복, 기형도, 최승자 등과 같은 시인들에 많이 이끌렸다. 특히 김수영은 압도적이었고, 이상과 정지용과 김종삼도 상당한 정도로 감전의 원인을 제공한 조사祖師들이었다. 이들의 공통점은 모두가 지적인 시인에 속한다는 점이다. 그들은 서정을 말하더라도 반성적, 지적 사유가 내재된 서정을 말함으로써 그 서정에 가을과 겨울이 상징하는 냉정한 살기殺氣를 내재시키고 있었다. 그럼으로써 그 서정이 고전적인 서정과는 구별되는 현대성을 갖게 하였다.

이런 세계는 일면 불편하다. 그러나 그것은 ‘진실한 불편’이어서 ‘불쾌의 쾌감’을 불러일으키는 신비를 갖고 있다. 시인들은 이런 시적 풍경 앞에서 ‘서늘한 감동’이라 부를 수 있는 전율을 느끼며, 느슨해진 허리끈을 졸라매듯, 흐트러진 옷매무새를 가다듬듯, 지저분한 방안을 정리하듯, 진부해진 내면을 긴장시키고 시의 길을 향해 분발하였던 것이다. 

3. 동일성, 비동일성, 비극적 황홀


동일성이란 자아와 세계 사이에 틈 없이 전일성이 부드럽게 성취되는 일이다. 그때 자아와 세계는 갈등 없는 연인 사이 같기도 하고, 우정이 넘치는 친구 사이 같기도 하다. 그것이 연인 사이 같을 때 상황은 에로스적 합일의 그것과 같고, 친구 사이 같을 때엔 동지애와 같다. 또 있다. 그것이 부모 자식 같은 사이일 때, 거기에는 포용으로 하나 된 연속의 아우라가 감돈다.

세상과 존재 사이의 관계가 이와 같다면 굳이 다른 무엇을 꿈꾸거나 말할 필요가 없다. 그들은 소박해도, 심오해도, 미숙해도 다같이 사랑의 얼굴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순간은 드물다. 세상은 언제나 분열돼 있고, 파편들로 가득차 있고, 자아와 세계는 단절의 골을 건너지 못한다. 이와 같은 세계를 비동일성의 장이라고 말해도 틀리지 않을 것이다. 그 비동일성의 장은 인간적 계산법으로 산뜻하게 풀리지 않는 모순과 아이러니의 얼룩덜룩한 장이다.  

이런 비동일성의 세계에 대한 인식은 한 인간을 성숙에로 이끈다. 그러나 거기엔 불쾌감이 늘 따라다닌다. 불쾌감의 다른 이름은 무한하다. 불안, 불행, 소외, 좌절, 분노, 시기, 우울 등등 그런 것들 말이다.

하지만 인간들은 그런 불쾌감 속에서도 궁극적으로 살고자 하고, 살아내고자 한다. 그것도 잘 살고자, 더욱더 잘 살아내고자 한다. 그런 살고자 하는 마음, 더 잘 살거나 살아내고자 하는 마음을 에로스적 소망이라고 부른다면, 모든 타나토스적 행위도 실은 그 안에 에로스적 소망을 품고 형태만 바꾸어 나타난 것이라고 말해볼 수 있다.

시인들이 시를 쓴다는 것은 이와 같은 에로스적 소망의 적극적이며 발효된 고차원의 표현양식이다. 그들은 시를 씀으로써 사는 것이다. 그들이 죽음을 말할 때에도 그들은 에로스적 행위를 적극적으로, 의미있게 전개해 나아가는 것이다.

에로스적 열정과 의지의 다른 이름인 이 같은 시작 행위 속에서, 시인들은 비동일성의 세계를 뛰어넘는 방식으로 ‘비극적 황홀’이라는 일종의 특수한 심리적 기법을 터득하고 활용한다. 비극적 황홀이란 현실이 비극적이라 하더라도 그 안에 범접할 수 없는 에로스적 절정의 유토피아적 지점을 상정하는 것이다. 그 지점의 도달 가능성이나 현실적 구현 가능성이 희박하다 하더라도, 그것은 그들을 이끌며 그들로 하여금 비극적 현실을, 비동일성의 현장을 넘어서게 하는 어떤 힘으로 작용한다.

황홀의 다른 이름인 황홀경이라 부를 수 있는 그 어떤 세계, 그것은 인간이 죽음을 지연시키고 살아갈 수 있는 상상의 세계이자 그리움의 세계이다. 이것이 없다면 우리는 이 비동일성의 세계에서 질식하여 일찍이 생을 중단시키고 말았을 것이다. 비동일성의 어긋남 속에서도 죽음을 지연시킬 수 있는 힘, 그런 것들 가운데 가장 강력한 것이 이 황홀경의 힘이자 상상이 아닌가 한다.

비극적 황홀은 현실이 비극적일수록, 그런가 하면 황홀경이 드높을수록 그 울림과 떨림이 크다. “외롭고 높고 쓸쓸한”이라는 백석의 시 「흰 바람벽이 있어」의 한 구절이 잘 말해주듯이, 비극과 황홀경 사이의 거리, 그 거리 좁히기의 안간힘에 비례하여 울림과 떨림은 진폭을 달리한다. 

우리의 시인들을 감전시킨 ‘비극적 황홀’의 체험은 그 울림의 정도가 상당히 진하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그들의 세계인식이 그만큼 비극적이었고, 그에 반해 그들의 순수성, 순정성, 진정성을 향한 꿈도 또한 강렬했다는 뜻이 된다. 적어도 고전적인 시학의 시각에서 본다면, 순수하지 않은 자, 순정하지 않은 자, 진정하지 않은 자는 시적 순간을, 그것도 비극적 황홀이라는 시적 순간을 맞이하기 어렵다. 방금 열거한 순수, 순정, 진정은 비극적 황홀의 필수조건이다.

‘비극적 황홀’이란 김지하가 미학적 양식으로 주장하는 ‘흰 그늘의 미학’의 한 형태라고 볼 수도 있다. 그리고 이것은 앞장에서 말한 근대 및 현대시의 부정의식과 맞물리면서 더욱 시인들을 사로잡은 체험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부정은 언제나 그 심저나 고처에 이상적 지점을 설정하고 있으며, 그것을 상상하고 그리워할 때, 우리에겐 부정을 통한 깊이의 초월과 높이의 초월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천양희는 “시라는 위독한 병을 철저히 앓을 수 있었던” 것에 안도하며 감사하고 있다. 이것은 비극적 황홀을 몸으로 살아낸 일의 고백이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비극적 황홀의 끝 지점에서 펼쳐지는 세계는 어떤 것일까? 그 하나는 비극적 황홀을 무심하게 관조하는 일이다. 그 둘은 비극적 황홀 너머의 도심道心에 자리를 마련하는 일이다. 그 셋째는 반성과 성찰을 스스로 거부하는 노마드적 포스트모던의 파편들을 즐기는 일이다. 

우리 시단의 대부분의 시인들은 비극적 황홀 이후에서 첫째나 둘째의 단계를, 그 중에서도 특히 둘째의 단계를 꿈꾸거나 그 길로 접어드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최근 황병승, 김행숙 등을 비롯한 새로운 의식과 상상력의 젊은 주인공들이 빚어내는 세계는 세 번째의 세계를 예고하고 있다. 이것은 매우 문제적인 한 징후이기도 하다.

4. 위반과 순응


위반의 파트너는 금기이다. 순응의 파트너도 금기이긴 마찬가지이나, 그때의 관계는 불화가 아닌 화해의 관계이다.

우리의 시인들이 감전을 체험한 내용은 순응보다 ‘위반’ 쪽이 훨씬 많다. 순응은 그것이 우주의 섭리에 관한 것이든, 자연의 흐름에 관한 것이든, 사회의 규범에 관한 것이든, 에너지의 소모가 적다. 그런 만큼 그것은 보수적이나 유익하다.

그러나 간혹 시인들은 우주와 자연의 섭리에는 순응의 흔적을 보이면서도, 유독 사회적 규범에 대해서는 강력한 위반의 충동을 느낀다. 그리고 때로 그것은 충동만으로 끝나지 않고 현실로 나타난다. 

사회란 우주 혹은 자연과 달리 인간이 만든 하나의 인공적 구성물이다. 그러나 그 견고성은 시멘트처럼 딱딱하여 사회는 언제나 홈패인 구조를 지향한다. 그 홈패인 구조에 순응하는 모범생을 제외한다면, 사회는 일탈의 충동을 자극하는 원천이다.

시인들은, 그것이 현대시인일수록 일탈과 위반 속에서 그들만의 ‘일인 단독정부’를 꿈꾼다. 그들은 그들만의 범접할 수 없는 ‘자유의 땅’을 내부지대에 건설하고, 자발적 패배자가 되어 혼자만의 놀라운 쾌감을 만끽한다. 가령 허연은 김종삼의 「시인학교」를 언급하면서 “제외된 자들이 주는 눈부심”을 알았다고, “시를 씀으로써 세상에서 제외되고 싶었다”고 말하였다. 그런가 하면 안도현은 백석의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를 언급하면서 “산골로 가는 것은 세상한테 지는 것이 아니다/ 세상 같은 건 더러워 버리는 것이다”라는 백석의 시구에 그의 온몸을 동의의 표시로 기대고 있었다. 자발적 제외, 자발적 은일, 자발적 일탈은 패배가 아니다. 그것은 적극적인 위반이고 강력한 성공이다.

위반은 역시 근대 및 현대시사의 부정의식과 깊이 닿아 있다. 시가 개인의식과 자유정신의 산물이라는 그 전제는 시인들로 하여금 순응보다 위반을 지향하게 하였다. 위반에는 고독과 위험이 따른다. 그러나 그 고독과 위험을 선택된 예술가의 고고한 행위라고 인식할 때, 더욱이 사회가 그것에 동의할 때, 그들의 위반 행위는 매우 가치 있는 일이 된다.

틈 없이 돌아가나, 진부하기 그지없는 사회적 삶은, 위반을 통하여 중생重生하는 균열의 시간을 맞이하고, 최후의 지성소인 그들만의 생체리듬으로 숨쉴 공간을 확보하게 한다. 사회란 공공의 이름으로 난폭함을 합리화한다. 그 속에서 우리는 경직되고 박제된다. 
위반의 환희는 이런 맥락 위에 놓여 있다. 금기를 자발적으로 벗어났을 때, 시인들은 위험한 지대의 아슬아슬한 쾌감을 독자적인 정부 안에서 만끽하는 것이다.

5. 마치며


정말 크게 죽는 대사저인大死底人의 상태가 되면 시 같은 것은 쓰지 않아도 된다. 오도송 한 편으로 모든 것을 마무리할 수 있다. 그러나 ‘지예至藝’와 ‘지도至道’의 거리는 가까운 듯 먼 것이어서 시인들은 인간적인 번뇌망상을 의미 있는 것으로 만들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인들이 벼락 같은 감전의 경험 속에서 중생의 시간을 맞이하는 것은, 그들의 내적 심해 속에 현상계적 그리움은 물론 반야의 진제적眞言帝的 그리움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뭉친 것이 풀리면 길이 트인다. 얽힌 것이 풀리면 길이 보인다. 감전의 체험은, 어찌보면 이 둘의 기미가 보였을 때, 다가온 황홀한 감정이다. 그러나 그것은 앞서 말했듯이, 인간의식과의 상호작용 속에 있다. 의식이란, 굳이 유식론唯識論을 언급하지 않아도, 후천적으로 만들어진 연기緣起의 산물이다. 그런 점에서 시인들이 보여준 감전의 경험은 20세기 근대 및 현대시의 의식 내용을 성실히 반영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시간이 지나고, 의식이 바뀌는 시대가 온다면, 그들의 이런 경험내용은 동의를 받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그런 점에서 이번에 본 시적 감전들의 내용은 한국근현대시사 100여 년의 심층의식을 상당히 잘 반영한 하나의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정효구   충북대학교 국어교육과 졸업. 서울대학교 국문과 석사, 박사학위 받음. 1985년 《한국문학》에 문학평론으로 등단. 저서 『존재의 전환을 위하여』 『시와 젊음』 『몽상의 시학: 90년대 시인들』 『한국현대시와 자연탐구』 『시 읽는 기쁨』 등 다수 있음. 현재 충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시인은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황    상    민 | 연세대 심리학과 교수

시인에게 ‘시’란 무엇일까? 평생 잊혀지지 않는 ‘벼락치듯 전율시킨 최고의 시구’는 이들에게 무엇일까? 마음을 흔들어 놓은, 인생의 빛나는 순간을 나타내는 시구는 무엇인가? 이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이들의 삶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을까? 각기 다른 100명 이상의 시인이 말하는 최고의 시구를 통해 시인의 마음을 그려낼 수 있을까? 시인이 꼽았던 명시의 한 구절을 통해 ‘시의 존재’, ‘시인의 존재’, 그리고 그들의 ‘존재 이유’와 삶의 모습을 그려내면서 시인의 심리를 분석한다.  

최고의 순간, 황홀한 절정을 맛보게 하는 시구란 ‘한 줄의 시구’가 만들어내는 마음의 작용이다. 하지만, 그뿐만은 아니다. 그것은 시인이 살았던 시대의 반영이자 시인이 그토록 찾았던 ‘그 무엇’이다. 자신이 살았던 시대를 어떻게 형상하느냐에 따라 그 ‘무엇’은 시인에게 다양한 시구로 각인된다. 

한 폭의 그림이 전경과 배경으로 구성되듯이 때로 시는 시인에게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는 대상이 되기도 하고, 자신의 마음을 비추어주는 화폭이 된다. 시인이 그려내는 시는 때로 심리학자가 분석하는 것보다 더 생생하게 인간의 마음을 드러낸다. 왜냐하면, 나와 공감할 수 있는 인간 마음의 상응이 나타나게 하기 때문이다. 그냥 그렇게 던져진 것이 아니라, 나를 울리고 나를 힘내게 하는, 아니 나를 그대로 보여주는 거울이 되기 때문이다. 

시인이 아닌 심리학자의 호기심은 한 줄의 시구를 통해 시인이 체험하고 드러내었던 감정과 생각, 그리고 과거의 기억을 재구성한다. 그것은 바로 시인이 그려내었던 자신의 마음의 지도이다. ‘마음 속에서 일어나는 진정한 행위는 내용물이 아니다. 그 내용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감정과 판단, 행동을 낳는 마음의 작용이다’. 이제 시구가 사라지고 인간의 감성과 사고, 행동만 남았을 때, 우리는 시인이 그려내었던 시의 세계에 어떤 마음의 지도가 드러나는지를 보게 된다.  

60년이 넘도록 청소년기에 읽은 시는 뇌리에서 사라지지 않는다. “돌”에 관한 시의 기억은 “바위”에 관한 시를 쓰게 한다. 분노에 차, 별을 보지 못한 시인에게 “캄캄한 교실에서 끝까지 남아 바라보던 별 하나”라는 시구는 바로 「바다가 보이는 교실」을 쓰는 단초가 된다. ‘시’는 마음을 달래주는 무엇이 아닌 마음을 키워내는 역할을 했다. 삶의 목표가 되고, 또 시구와 교감하는 마음을 창조하는 에너지이다. 그렇기에, 시는 시인이 살고 있는 세상을 표현하는 것을 넘어 시인이 살아야 하는 이유가 된다. 한국 시인 100인에게 벼락치듯 자신을 전율시킨 시구는 바로 자신의 삶과 감응하는 절대자 그 자체였다. 

절대적 그 무엇으로 형상화되는 ‘시’는 한국의 시인에게 하나의 역병처럼 다가온다. “움직이는 비애悲哀를 알고 있느냐.” 움직이는 비애가 내면을 훑고 지나갈 때 시인은 위독한 병을 철저히 앓는다. 시구는 정신의 지문指紋처럼 남고, 또 다른 절망 같은 시작詩作이 시작된다.
“지난 여름은/ 줄곧 난행亂行만 당하고/ 겨우 한 줄의 시를 써서 수습하고……/ 빈자貧者로다. 빈자로다. 나 이 땅의 1등 가는 빈자로다.” 젊은 시절 외웠던 한 구절의 시구는 바로 생활의 자화상이다. 빈취貧臭, 그것을 좋아했지만, 단지 한 동네에서 같이 살았기 때문이었다. 아름다운 시절로 기억하고 싶지만, 현실의 삶은 결코 아름답지만은 않았다. 그래도, 한 구절의 시가 있었기에 살 만했던 그런 시기로 기억할 뿐이다. 

“무의식은 의식에 도달하지는 못하지만 인간의 판단과 감정, 혹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의 작용이다.” 시를 쓴다는 것은 통상적으로 우리가 의식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일이다. 하지만, 이것도 일부는 무의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무의식이지만 의식의 영역에 속하는 일에는 바로 “우리가 어느 정보에 관심을 줄 것인지를 결정하고, 그 정보를 해석하고 평가하는 일, 새로운 것을 배우고, 자신을 위해 목표를 설정하는 일”이 있다. 이런 측면에서 시인의 마음은 아주 놀랄 정도로 정교하고 효율적인 도구처럼 움직인다. 

우리의 ‘의식적 마음’이 삶의 다른 일로 바쁠 때조차도 우리의 무의식은 다른 정보들을 해석하고 평가하여 우리의 목적에 부합하는 정보를 골라낸다. 이것이 ‘적응무의식’이다. 시인에게 최고의 시구로 남아있는 시의 구절은 바로 시인이 보여주는 ‘적응무의식’이다. 엄청나게 밀려오는 많은 정보들을 순식간에 비의식에서 분석하고 그 정보에 효과적으로 반응하는 마음의 능력이다. 인간은 적응무의식을 통해 이 세상이 돌아가는 모양새를 파악하고, 위험에 대해 경고를 발하고, 목표를 설정하고, 세련되고 효율적인 행동을 시작한다. 아니, 이런 임무를 탁월하게 수행해 낸다. 적응무의식은 사람들이 자각하지 않는 느낌과 편애를 만들어낼 수 있다. ‘벼락치듯 시인을 전율시킨 최고의 시구’는 바로 시인의 적응무의식이 작용한 결과물이다. 

“싱그러운 거목巨木들 언덕은 언제나 천천히 가고 있었다. 나는 누구나 한번 가는 길을 어슬렁어슬렁 가고 있었다.” 시인이 고민했던 것이 ‘있는 그대로의 사물’을 드러낼 수 있는 방법이라고 했다. 사물의 이면에 존재하는 복합적 의미를 은연중에 담아내고 싶었다고 한다. 영혼을 팔아서라도 얻고 싶었을 것이다. 시인의 ‘적응무의식‘은 어떤 이유로 이런 유혹을 받았을까? 

“노점의 빈 의자를 그냥 시라고 하면 안 되나.” 시인에게 고민했던 화두였다. ‘이 세상에 시 아닌 것은 없다. 네가 쓰는 모든 것이 시다.’라고 이야기하고 싶었을 것이다. ‘시에 대해, 삶에 대해 가지고 있던 고정관념’을 버릴 때 시인은 우리의 마음이 알려주는 적응무의식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다. 

스스로 ‘시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그것을 바로 시로 만들 수 있을 때, 시인은 시구를 붙잡고 날아오르게 된다. “무수한 정적”이 “와글와글거리는” 상황일지라도. 시인은 수많은 사람과 묘한 정서적 일체감을 가진다. 그것은 바로 우리의 세계와 삶에 대한 각성이다. 시인들이 지나온 시대가 어두웠기에 시인은 시를 통해 생존의 힘을 얻고 또 다른 방식으로 적응하게 된다. 
 
“캄캄한 공기를 마시면 폐에 해롭다.” 병든 내면은 항상 나 자신의 내면이 된다. 그리고, 이것을 통해 모두 정신적 가족이 된다. 어둡던 가정, 나약한 감성, 우울한 사춘기의 은유는 시를 통해 밤으로 표현되지만, 그 “밤은 참 많기도 하더라.” 그리고, 이런 밤은 지금도 계속된다. “그대 언 살이 터져 시가 빛날 때”는 시인이 살았던 시대의 상징이었다. 양심만으로 양심을 지킬 수 없었고, 용기만으로 승리할 수 없었던 시절의 마지막 세대가 자신이라고 믿었던 시인에게 ‘시‘는 바로 자신이 지켜야 할 무엇이었다. 그랬기에, 시인은 자기에게 끊임없이 “내 길은 문학에 있으며, 언젠가는 누구의 의지도 아닌 내 의지로 그 길을 가게 되리라”는  암시를 해야 한다. 자신의 삶에 대한 자기 확신이다. 시는 자신에 대한 세뇌였다. 물론, 상황에 따라 쉽게 바뀌는 것이 인간의 마음이기에 시인이 되고 싶은 자신의 삶의 경로는 흐르는 물결처럼 움직이기도 했다. 

한국의 시인이 표현하는 시는 자신의 분신이었다. “세월이 흘러 풍경이었던 설움은 나의 분신이 된다”. “애틋한 그리움, 아직도 이런 시구를 쓰지 못한 부끄러움을 나는 항상 느끼고 있다”라고 표현한다. 왜냐하면, 시는 항상 캄캄하고 외로웠던 문청 시절의 또 다른 기억이기 때문이다. 그 장소가 부산이든 서울이든 아니면 탄광촌이든, 시인은 혼자 어두운 유적지에 남아 있는 유물이 된다. 시인의 호주머니 속에는 언제나 죽음과 연결되는 부스러기가 있다. 이런 경우 항상 자신의 마음에 투사되는 한 줄기 불빛은 바로 시詩였다.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새들은 무리지어 지나가면서 이곳을 무덤으로 덮는다// 관 뚜껑을 미는 힘으로 나는 하늘을 바라본다”. 널 안에 매장된 자신을 보는 시인은 막연하게 슬픔에 기댄 자화상을 그려낸다. 물론, 시는 관 속의 시체를 부활시키는 몰약이다. 

“덜컹대는 직행버스 안에서 시집을 읽었고, 다시 살고 싶었다. 그날 난 아주 나른한 계시를 받았다. 통닭 냄새를 맡으며 제외된 자들이 주는 눈부심을 알았다. 절창絶唱은 제외된 자들의 몫이라고 생각했다. 시를 씀으로써 세상에서 제외되고 싶었다.” 군대라는 척박한 상황에서도, 육체적·정신적인 피폐한 시기라는 기억마저도 습작의 시기로 변신시킨다. 군대의 화장실에 쪼그려 앉아 시집을 읽는 모습은 바로 스무 살 무렵의 비감한 심정으로 감응한다. 비록 이제는 정신이 백골처럼 무심한 시점이 되었더라도 시인에게 시는 자신을 일깨우는 자명종이 된다.  

시는 시인의 마음의 표식일 뿐 아니라 시대와 사회 속에서 이루어지는 삶의 상징이다. ‘어쩌면 이리도 내 마음 그대로일까.’ 마음을 대신해 표현해주고 또 마음을 흔들어주는 것이 시의 체험이다. 어떤 마음이었을까? 그것은 바로 어떻게 살아야 하며, 무엇을 하면서 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다. 시인이 기억하는 그때는 ‘너무나 어리고 힘들었던 시절’이었다. 시는 바로 그때 희열의 근원이자 삶의 목표이다. 

어떻게 살아야 하느냐고 묻는다면, 그것은 바로 “산이 날 에워싸고, 씨나 뿌리며 살아라 한다. 밭이나 갈며 살아라 한다.” 적산가옥으로 남겨진 썰렁한 다다미방 하숙집에서 겨울을 나며 입학시험 준비를 하던  소년에게 한 편의 시는 어린 영혼을 흔들어주었다. 

“타고 남은 재가 다시 기름이 됩니다.” 법대로 가기를 권하신 아버지의 명령을 배반(?)하고 시인이 되기 위해 국문과를 택한 소년의 삶은 모험이다. 자신이 재가 되는 경험을 한다. 우울의 극치라고 할 수 있는 순간에 알 수 없는 시에 대한 희열을 맛보는 순간이다. 

“머언 곳에 여인의 옷 벗는 소리.” 난독의 시절이자 남독의 시절이었고 사춘기로 접어들까 말까 한 시기, 이 구절은 야한 비디오 화면처럼 자꾸만 떠올려진다. 몰래 혼자 설레어하며 부끄러워하면서도 계속 이 구절을 읊조리기도 한다. 삶에 대한 비극적인 예감으로 오랫동안 괴로워하지만 한편 그 괴로움을 즐긴다. 바람도 없는 공중에 수직垂直의 파문波紋을 내이며, 고요히 떨어지는 오동잎이 누구의 발자취인지 알 수 없지만, 시란 놈은 그렇게 시인에게 엄습했다. ‘처음에는 싱겁고 무덤덤했던 글귀가 어느 날 하루 종일 입술에 붙어서 팔딱인다’. ‘번개가 치고 온몸의 혈류가 범람하는 전율’을 만들어낸다. 
  
“내가 살아 있다는 것, 그것은 영원한 루머에 지나지 않는다.” 시구를 막 ‘느끼기’ 시작한다. 지금은 “영원한 루머”보다 저 ‘물질적인 손’에 끌리지만, 그래도 시인에게 영원한 루머는 삶의 다양한 종류의 질문이다. 비록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라고 해도 좋다. 자신에게 했던 맹세, 까무라칠 것 같았던 느낌, 부르다가 죽어도 좋을 이름 하나는 갖고 싶다. 나에게도 내 이름을 부르다 죽을 누군가가 있었으면 하는 간절한 소망이 있다. 시인에게 시는 짝사랑의 열병이었다. 

청춘과 삶의 모습은 연애였다. 그것은 수없이 내 안에 떠 있던 섬으로 인해 좌초했다. “사람들 사이에 섬이 있다. 그 섬에 가고 싶다.” 떠나간 사랑을 탓하느라 청춘을 소비했지만, 섬은 내게 사랑의 은유처럼 남았다. 끝없이 미끄러지는 운명을 반복하는 어떤 실현 불가능한 욕망의 치환이었다. 나 사이에 섬이 있었고, 그래도 아직도 그 섬에 가고 싶은 것이 시인의 마음이다. 

“어느날에사, 어둡고 아득한 바위에, 절로 임과 하늘이 비치리오” 이런 싯구를 통해 시인은 ‘천둥의 빗금이 가슴을 쫙 후비듯 금을 긋는’다는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상상할 수 없었던 그것, 백일기도 끝에도 닿지 못할 것 같은 이미지이지만 손쉽게 가슴에 와 닿을 수 있는 무거운 의미의 밀착이라고 표현할 때, 과장과 부정을 통한 마음의 충격을 나타낸다. ‘지금도 조금도 가벼워지지 않고 그대로 살아 있다’는 그 충격이 시인에게 어떤 사리 같은 결정물을 만들어낼지 궁금하다.  

시인에게 항상 삶이란, 아니 인생이란 거창할 수 없었던 것 같다. “나는 이렇게 한가하고 게으르고 그러면서 목숨이라든가 인생이라든가 하는 것을 정말 사랑할 줄 아는 그 오래고 깊은 마음들이 참으로 좋고 우러러진다.” 저리 순연하게 ‘우러러’ 볼 수 있는 시구에서 ‘참 인간으로서도 잘 살았다’ 싶은 부러움과 찬탄을 하게 된다. 하지만, 한 줄의 시구를 애틋하고 뜨겁게 느끼는 시인들에게 삶은 항상 녹록치 않은 시간의 연속이다. 

시인의 삶의 고백은 계속된다. ‘사는 게 무엇인지, 신념이 무엇인지 모르던 시절’ 시인은 데마(<디모데후서 4:10> 참고)처럼 세상으로 나가 보고 싶었다. 뜻대로 되지 않는 것이 우리의 삶이라 오랜 방황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다. 방황하는 곳이 그 어디든 밤마다 허공에서 푸른 목소리가 울려왔다. 이곳도 저곳도 아닌 길모퉁이에서 불안스레 듣던, 저 맑고 뜨겁고 목 타는 울림, “어서 너는 오너라.” 

시인이 노래하는 삶의 모습은 그 자체로 처절하다. “우리 세 식구의 밥줄을 쥐고 있는 사장님은 나의 하늘이다.” 나의 존재가 사라지고, 타인이 나의 하늘이 된다. ‘밥줄’이라는 말에 가슴은 아려지고, 밥줄 때문에 자존심은 사라진다. ‘세상 앞에서 허리를 굽실거려야 하는’ 반길 수 없는 시간이 계속된다. 삶의 모습이다. 그렇기에, 자신이 새처럼 날아가는 것을 꿈꾼다.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어깨에 힘 빼고, 혀 꼬부리지도 않고 그저 한 마디 툭, 던져지는 이 말을 통해 자신을 들어 올려 놓고 싶어했다. 삶 속에서 시인은 쉽게 맥없이 그 자리에 다시 주저앉고 만다. 왈칵 저 새떼의 일원이라도 되고 싶지만, 그것은 시구로 남을 뿐이다. 
 
하릴없이 나이를 꺼내 먹으며 늙어 가는 어느 시인에게 “집은 벽 속의 곳간에서 제 나이를 꺼내 먹으며 늙어간다. 집은 저 벽을 부수고 나와야 한다.”는 시구는 바로 ‘벽을 부수고 나오라’는 소리이다. 하지만, ‘덩굴을 걷어내고, 벽을 부수는 일’은 쉽지 않다. 너무나 ‘오랫동안 자신에게 갇힌’ 마음의 감옥 속에 숨어 있었기에, 변화란 항상 죽음과 친구가 된다. 

숨어 있고, 갇혀 있는 시인은 “너는 해바라기처럼 웃지 않아도 좋다. 배고프지 나의 사람아 엎디어라 어서 무릎에 엎디어라”라고 노래한다. 모든 것이 다 엉망진창인 시절의 계시이다. 돌아가신 엄마가 꿈속에 찾아와서 밥을 해주시는 장면, 옥탑방에 누워 천장에 드리워진 두꺼운 구름장들을 쳐다보면서도 울지 않으려고 했다. 울면 지는 거니까. 하지만, 울어야 했다. 이 시구를 되뇌이면서. 

삶을 노래하는 시인에게 삶은 항상 이해할 수 없는 사건의 연속이다. 그렇기에 또 다른 세상을 꿈꾸게 된다. “아, 갈 수 있을까/ 언제는/ 몸도/ 마음도/ 안 아픈/ 나라로” 아버지 없는 집에 늘 앓아누워 있는 엄마를 보며 시인이 꿈꾸기도 한다. “갈 수 있을까. 언제는 몸도 마음도 안 아픈 나라로”는 바로 나의 나라에 대한 소망이다. 

시는 때로 우연히 만들어내는 삶의 단편을 보여준다. 삶의 모순과 의미는 시가 만들어내는 생생함과 실재감으로 되살아난다. 왼손잡이, 안경잡이에다 소위 말하는 결손가정의 병약한 소녀에게 독백 같은 습작시는 이상한 시인의 이상한 시가 되기도 했다. “‘거울속의나는왼손잽이오. 내악수를받을줄모르는.” 소녀의 독백은 “거울 속의 나는 정상/ 왼손잡이 아냐, 풀 같은 머리칼/거울 속에서 나는 두 개의 눈동자”였다. 감옥의 간수 같은 국어선생은 화부터 냈다. “어디서 본 건 있어가지고 베끼고 난리야!” 출석부로 머리를 얻어 맞으면서 증거물로 내민 이상의 시집은 정말 난생 처음 본 것이었다. 

‘시를 쓸 종이가 없어 날 지난 신문지 한 귀퉁이에 몇 줄을 끄적거려 그것을 천금인양 가슴 한편에 감추던 시절’ 한 줄의 싯구는 바로 시인의 마음이었다. “나는 이 세상에서 가난하고 외롭고 높고 쓸쓸하니 살어가도록 태어났다/그리고 이 세상을 살아가는데/내 가슴은 너무도 많이 뜨거운 것으로 호젓한 것으로 사랑으로 슬픔으로 가득찬다” 한국의 시인에게 시는 가난하고 외로웠으나 높고 뜨거울 수 있었던 동력이었다. 얄궂게도 그렇게 진저리를 쳤던 가난과 외로움이었지만, 역설적으로 그다지 가난하고 외롭지 않게 된 지금에서야 시를 만들게 했던 자양분이었다는 것을 깨닫게 한다. 이제는 더 이상 가난하지도 않고, 또 외롭지도 않기에 더 이상 시인의 마음이 그다지 높고 뜨겁지도 않다. 원하였던 일이지만, 한편으로 두렵고 절망스러운 삶의 변화이다.  

“영원의 사랑을 받을까 인간 역사의 첫 페이지에 잉크 칠을 할까 술을 마실까 망설일 때에 당신을 보았습니다.” 스무 살의 ‘그 어떤 포스와 비전’을 떠올리게 하는 구절이라고 하지만, 그것은 단지 ‘시에 울고 사람에 울고 신에 울고 최루탄에 울고 술에 울었던’ 어떤 시기였다. 비장한 ‘포스’를 내뿜으면서 확고한 ‘비전’이기를 바랐던 그 마음이 지금도 그대로 간직되기만을 기대한다. “고한읍 어딘가에 고래가 산다는 걸, 나는 몰랐다.” 이 시구가 척추를 지나 심장으로 파고들 때 시인은 이제 나도 고래를 잡으러 고향으로 돌아가야 할 때가 된 것 같다는 생각을 한다. 



황상민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 하버드 대학교 심리학 박사. 저서 『대한민국 사람이 진짜 원하는 대통령』 『세상이 변해도 성공할 아이로 키워라』, 공저 『한류와 아시아의 대중문화』 『현대 심리학 이해』 『인간행동의 이해』 등과 번역서 『인터넷 심리학』 『적응을 위한 지식의 기능: 산다는 것과 안다는 것』 등 다수 있음.

 

 

출처 : 문학저널21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10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시를 잘 지으려면?... 2017-02-08 0 2836
209 젓가락 두짝 = ㅣㅣ톡!.. ㅣ ㅣ톡!... 2017-02-08 0 2083
208 하늘 날던 새가 땅을 내려다보며 왈; ㅡ질서 공부 좀 해... 2017-02-08 0 2051
207 눈사람 왈; ㅡ느네집 따듯하니?... 2017-02-08 0 1962
206 역술(易術), 학술(學術), 의술(醫術), 시술(詩術), 저술(著術)... 2017-02-08 0 3093
205 시인은 시작에서 첫행을 어떻게 잘 쓸것인가를 늘 고민해야... 2017-02-08 0 2316
204 시의 제목에서도 이미지가 살아 있어야... 2017-02-08 0 2379
203 두보, 그는 두보, 두보인거야... 2017-02-08 0 3408
202 가난은 시로 가난을 못막는다?... 2017-02-08 0 3368
201 담시(談詩)란 서사시 범주에 속하는 이야기시이다... 2017-02-07 0 2150
200 패러디할 때 원작을 충분히 존중해야... 2017-02-07 0 2588
199 시의 제목을 무제(無題) 혹은 실제(失題)라고도 달수 있다... 2017-02-07 0 2257
198 시의 제목은 바로 시의 얼굴... 2017-02-07 0 2493
197 [이것이 알고싶다] - "아버지"와 "어머니" 유래 2017-02-05 0 2506
196 [이것이 알고싶다] - "~습니다"의 유래 2017-02-05 0 2463
195 시를 쓰는 사람은 많지만 시를 읽는 사람은 많을손가 많지않도다... 2017-02-05 0 2409
194 시는 벼락치듯 독자들을 전률시켜야... 2017-02-05 0 2384
193 109명 현역시인과 "최고의 시구"(2) 2017-02-05 0 2556
192 109명 현역시인과 "최고의 시구"(1) 2017-02-05 0 2537
191 시인에게시를 묻다... 2017-02-05 0 2302
190 좋은 시의 조건 10 2017-02-05 0 2576
189 "사랑하라 그러면 시는 써질지니..." 2017-02-05 1 2190
188 중국 唐代 녀류시인들 思夫曲 알아보다... 2017-02-05 0 2455
187 [자료] - 중국 현대시의 일단면 /이육사 2017-02-05 0 3247
186 "한반도의 반쪽 반도"의 현대시 문제점을 알아보다... 2017-02-05 0 2323
185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침묵" 명언모음 2017-02-05 0 2500
184 100명 詩民, 100년 詩人 노래하다... 2017-02-05 0 2295
183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덮혀"와 "덮여", "높히다"와 "높이다" 2017-02-04 0 2759
182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주락펴락"과 "쥐락펴락" 2017-02-04 0 2203
181 시는 아름답기만 해서는 모자라고 독자들의 령혼을 뜻대로 쥐락펴락 해나감과 동시에 독자들의 마음을 뒤흔들어야... 2017-02-04 0 2376
180 그 무슨 사건, 그 무슨 혁명, 그 무슨 전쟁과 詩는 싸워야... 2017-02-04 0 2483
179 [시문학소사전] - "판타지"란?... 2017-02-04 0 3679
178 동시의 상상력과 그리고 동시의 "판타지" 세계 2017-02-04 0 2542
177 시적 상상력으로 즐거움을 찾기... 2017-02-04 0 3520
176 시에서 아이디어를 얻을수 없다?... 있다!... 2017-02-04 0 2022
175 "립춘대길" = <봄맞이 시모음> 2017-02-04 0 2045
174 "동시집"을 돗자리로 깔고 "동시놀이" 알콩달콩 하자야... 2017-02-04 0 2111
173 쇠사슬은 노예의 령혼까지 묶어 놓는다... 2017-02-04 0 2256
172 시를 말하는 산문, 산문으로 된 시 2017-02-04 0 1983
171 모든 시관(詩觀)은 그 시인의 우주관에서 비롯된다... 2017-02-04 0 2165
‹처음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